이지스 전투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지스 전투 시스템(Aegis Combat System)은 미국 해군에서 개발한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그리스 신화 속 아테나 여신의 방패 '이지스'에서 이름을 따왔다. 1950년대 후반 대함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다기능 레이더, 지휘 결정 시스템, 무기 통제 시스템 등을 통합하여 함정의 전투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지스 시스템은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탄도 미사일 방어(BMD) 기능을 수행하여 탄도탄 요격도 가능하다. 미국, 일본, 대한민국, 스페인, 노르웨이,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며, 1988년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용 전자장비 - 에리아이
에리아이는 에릭슨이 개발한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탑재한 조기경보통제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종에 탑재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며 400km 이상의 탐지 범위와 다양한 작전 모드를 제공한다. - 군용 전자장비 - 전자전기
전자전기는 전자 공격, 전자 방호, 전자전 지원을 통해 적의 레이더 및 통신을 교란하고 아군 장비를 보호하며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항공기 또는 전자 장비이다. - 방공 장비 - 요격기
요격기는 적 항공기 요격에 특화된 군용 항공기로, 제1차 세계대전부터 냉전 시대까지 발전을 거듭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탄도미사일 등장과 다목적 전투기 발전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다. - 방공 장비 - S-75 드비나
S-75 드비나는 소련에서 개발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고고도 폭격기 요격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여러 개량형을 거쳐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용되거나 지대지 미사일로 개조되어 사용된다. - 대잠수함전 - 소나
소나는 음파를 사용하여 수중 물체를 탐지하고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능동 소나와 수동 소나로 나뉘며 군사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쓰이지만 해양 생태계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대잠수함전 - 어뢰
어뢰는 수중에서 스스로 움직여 목표물을 공격하는 유도 무기로, 다양한 유도 및 추진 방식과 플랫폼을 통해 해상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각국 해군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이지스 전투 시스템 | |
---|---|
이지스 전투 시스템 | |
![]() | |
개요 | |
유형 | 통합 해군 무기 시스템 |
개발 | RCA (현 록히드 마틴) |
생산 | 록히드 마틴 |
실전 배치 | 1983년 |
운용 국가 | 미국 해군 해상자위대 대한민국 해군 스페인 해군 노르웨이 해군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
시스템 구성 | |
레이다 | AN/SPY-1 (페이즈드 어레이 레이다) |
무장 통제 시스템 | Mk 7 |
사격 통제 시스템 | Mk 99 |
함대 방어 무기 | RIM-66 Standard 미사일 RIM-161 Standard 미사일 3 RIM-174 Standard 미사일 6 RIM-162 ESSM Mk.41 수직 발사 시스템 |
역사 | |
개발 시작 | 1969년 |
최초 배치 | USS 타이콘데로가 (CG-47) (1983년) |
주요 개량 | 베이스라인 9 (2015년 이후) |
특징 | |
주요 기능 | 대공 방어 탄도 미사일 방어 대함 전투 대잠 전투 |
핵심 기술 | 위상 배열 레이다 자동화된 전투 관리 시스템 |
추가 정보 | 여러 표적 동시 추적 및 공격 가능 네트워크 중심 작전 능력 |
파생형 및 관련 시스템 | |
육상형 | 이지스 어쇼어 |
소형화 버전 | SPY-7 (신형 레이다) |
관련 시스템 | Link 16, CEC |
기타 | |
주요 운용 함정 |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세종대왕급 구축함 아타고급 구축함 |
참고 자료 | 미사일 방어 정책 글로벌 시큐리티 |
2. 명칭
이지스(Aegis)는 그리스 신화에서 군사를 담당하는 여신 아테나가 사용했던 제우스의 방패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을 빌려 미국 해군의 함대방공시스템을 이지스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이지스는 'Advanced Electronic Guidance Information System'(강화 전자 유도 정보 시스템) 또는 'Airborne Early-warning Ground Integrated System'(공중 조기경보 지상통합 시스템)의 약어라는 설도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이지스'라는 명칭은 제우스의 방패였고 아테나가 착용했던 것처럼 보호와 수호의 의미를 지닌다.
3. 역사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 해군은 함선의 주요 무장을 함포에서 유도 미사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소련의 신형 대함 미사일 위협이 커지면서 기존 방공 시스템의 반응 시간, 화력, 작전 가용성 등이 부족하다는 점이 명확해졌다.[8] 특히 당시 해군 레이더 기술로는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접근하는 다수의 미사일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요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 해군은 1958년 타이푼 전투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으나, 핵심 기술의 신뢰성 문제 등으로 실용화에 실패하고 1963년 계획이 취소되었다.[9] 타이푼 시스템의 실패 경험은 이후 새로운 시스템 개발의 중요한 교훈이 되었다.
타이푼 계획 취소 후, 미 해군은 곧바로 고급 표면 미사일 시스템(ASMS, Advanced Surface Missile System)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10] 이 계획은 1969년 12월,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의 방패인 아이기스(Aegis)를 따 이지스(Aegi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1]
이지스 시스템의 첫 기술 개발 모델(EDM-1)은 1973년 시험함 노턴 사운드에 설치되어 해상 시험을 거쳤다.[12] 초기에는 원자력 추진 순양함(CSGN, CGN 42)에도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하려 했으나, 비용 문제 등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선체를 기반으로 한 유도탄 순양함인 티콘데로가급이 최초의 이지스 전투함으로 건조되었다. 이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개발되어 이지스 시스템은 미 해군 함대 방공의 핵심 체계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1. 개발
이지스 시스템은 초기에는 RCA의 미사일 및 표면 레이더 부서에서 개발되었다. 이 부서는 이후 제너럴 일렉트릭에 인수되어 정부 전자 시스템 부서가 되었고, 1992년 GE 항공우주 사업부의 일부로 마틴 마리에타에 매각되었다.[7] 1995년 마틴 마리에타와 록히드가 합병하면서 록히드 마틴의 일부가 되었다.
1950년대 후반, 미국 해군은 함선의 함포를 유도 미사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소련의 신형 대함 미사일 위협이 증가하면서 기존 시스템의 반응 시간, 화력, 작전 가용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8] 당시 해군 레이더는 여러 대함 미사일을 동시에 추적하고 표적을 지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8년, 해군은 미래 지향적인 타이폰 전투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으나, 핵심 기술인 AN/SPG-59 위상 배열 레이더의 신뢰성 문제로 실용화에 실패하고 1963년에 계획이 취소되었다.[9] 타이폰 계획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얻은 연구 성과는 이후 이지스 시스템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타이폰 계획의 실패를 교훈 삼아, 1963년 11월부터 선진 수상 미사일 시스템(ASMS, Advanced Surface Missile System) 계획이 시작되었다.[9][10]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1965년 1월, ASMS 평가 그룹이 구성되어 개념 개발을 진행했다. 이 그룹에는 해군성, 해군무기국, 함선국, 연구소, JHU/APL, 경쟁 업체들, 벨 연구소, 육군방공청 등에서 정예 인력들이 모였으며, 퇴역했던 프레더릭 위싱턴 소장이 특별히 복귀하여 지휘를 맡았다.
1968년에는 여러 제안 업체 중 RCA, 제너럴 다이내믹스(GD), 보잉 3개사로 후보가 압축되었고, 1969년 12월 최종적으로 RCA사가 주 계약자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ASMS 계획은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의 방패인 아이기스를 따서 이지스(Aegi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이름은 전 타타르 무기 시스템 관리자였던 L. J. 스테처(L. J. Stecher) 함장이 제안한 것이다.[11]
1967년 이스라엘 구축함 에일라트 격침 사건과 1970년 소련 해군이 실시한 대규모 해상 훈련인 오케안 70(Okean-70)은 이지스 시스템 개발을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오케안 70 훈련에서는 짧은 시간 안에 100발 이상의 대함 미사일을 집중 발사하는 포화 공격 전술이 시연되어 기존 방공 시스템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1970년, 웨인 E. 마이어(Wayne E. Meyer) 함장이 이지스 무기 시스템 관리자로 임명되어 개발을 이끌었다. 타이폰 시스템이 준비 부족 상태에서 해상 시험에 돌입했다가 실패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지스 시스템은 철저한 지상 시험을 거치기로 했다. 1972년, 뉴저지주 무어스타운에 위치한 RCA사 부지 내에 지상 시험 시설(Land Based Test Site, LBTS; 현재는 Combat System Engineering Development Site, CSEDS)이 건설되었다. 1973년부터 AN/SPY-1 레이더 시제품 시험이 시작되었고, 이후 다른 시스템들과 통합되어 시스템 전체의 시제품인 기술 개발 모델 1호기(Engineering Development Model 1, EDM-1)가 완성되어 시험에 들어갔다.
지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1975년 EDM-1은 실험함 노턴 사운드에 설치되어 본격적인 해상 시험에 돌입했다.[12] 노턴 사운드함에는 Mk.26 미사일 발사기와 SM-1 미사일 등 실제 함정에 탑재될 구성 요소들이 함께 장착되어 실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종합적인 시험이 이루어졌다. 이 시험에서 이지스 시스템은 첫 미사일 발사 시험부터 목표 요격에 성공했으며, 고속 목표물에 대한 뛰어난 요격 능력과 강력한 전자 방해 대응 능력을 입증했다.
초기 해군은 이지스 시스템을 원자력 추진 "타격 순양함"(CSGN)과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기반의 재래식 추진 구축함(원래 DDG 47로 지정됨)에 탑재할 계획이었다. CSGN은 이전의 캘리포니아급 순양함 및 버지니아급 순양함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설계였다. 그러나 CSGN 계획이 취소되면서, 버지니아급 순양함을 기반으로 이지스 시스템 탑재에 맞게 상부 구조를 변경한 새로운 원자력 순양함(CGN 42) 설계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역시 비원자력 DDG 47에 비해 비용이 증가하여 카터 행정부 시절에 취소되었다. 결국 기존의 DDG 47 이지스 구축함 계획이 유도탄 순양함인 CG 47로 재지정되었다.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첫 번째 순양함은 티콘데로가로, 마크-26 2연장 미사일 발사기를 함수와 함미에 각각 장착했다. 이후 6번함인 벙커 힐부터는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마크 41 수직 발사 시스템(VLS)이 탑재되어 더 다양한 미사일 운용과 향상된 화력 및 생존성을 갖추게 되었다. 프린스턴에는 개량된 AN/SPY-1B 레이더가, 초신에는 처리 성능이 향상된 AN/UYK-43/AN/UYK-44 컴퓨터가 도입되는 등 지속적인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1980년대에는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선체 설계 개선(해상 유지력 향상, 스텔스 성능 강화 등)을 반영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설계되었고, 1번함 알레이 버크는 1991년에 취역했다. 이후 알레이 버크급은 Flight II(1992년 도입, 레이더, 미사일, 전자전, 통신 능력 향상), Flight IIA(2000년 도입, 헬리콥터 격납고 추가, 비용 절감) 등으로 지속적으로 개량되었다.
최근 이지스 전투 시스템 함선에는 질화 갈륨 소자를 사용하는 능동 전자 주사 배열(AESA) 레이더가 장착되고 있다. 여기에는 록히드 마틴의 AN/SPY-7 레이더를 사용하는 캐나다 수상전투함(CSC) 및 스페인 F110급 호위함과 레이시온의 AN/SPY-6 레이더를 사용하는 미국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이 포함된다. AN/SPY-6 레이더는 최신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I 및 Flight IIA 개량형에도 설치되어 기존 Flight I/II 함선보다 향상된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을 제공할 것이다.
3. 2. 발전
이지스 시스템은 개발 이후 지속적인 개량을 거듭하며 발전해왔다. 이러한 개량 단계를 구분하기 위해 '''베이스라인'''(Baseline)이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같은 베이스라인 내에서도 소규모 개량에 따라 '''페이즈'''(Phase)로 구분되기도 한다.
최초의 이지스 시스템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초기 건조함 5척에 탑재된 '''베이스라인 1'''이다. 이 시스템은 AN/UYK-7 및 AN/UYK-20 컴퓨터를 사용했으며, LAMPS Mk. I 헬리콥터 운용 능력을 갖춘 구성은 베이스라인 0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이 초기형 함정들은 미사일 발사기에 한 발씩 재장전하여 발사하는 방식이어서 동시 다발적인 공격에 대한 대응 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이 함정들은 2005년까지 모두 퇴역했다.
이후 등장한 '''베이스라인 2'''는 미사일 발사기를 Mk. 41 VLS로 변경하여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고, SM-2 미사일도 사거리가 연장된 블록 II로 개량되었다. 이 시스템은 타이콘데로가급 6번함 벙커 힐부터 12번함 필리핀 시까지 7척에 탑재되었다. 이 함정들은 2008년부터 시작된 이지스 현대화 개수(AMOD)를 통해 베이스라인 8(CR2/ACB08)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베이스라인 3'''은 SPY-1 레이더를 개량형인 B형으로 변경하여 높은 각도로 접근하는 목표물 탐지 능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탐지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경량화도 이루어져 타이콘데로가급의 단점 중 하나인 무게 중심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베이스라인 4에 준하는 수준으로 강화된 버전은 '''베이스라인 3A'''로 불린다. 타이콘데로가급 13번함 프린스턴부터 18번함 게티즈버그까지 6척에 탑재되었으며, 이 함정들 역시 AMOD를 통해 베이스라인 9A(CR3/ACB12)로 개수되었다.
'''베이스라인 4'''는 전자 계산기를 신형 AN/UYK-43으로, 일부 콘솔을 AN/UYQ-21로 교체했다. 알레이버크급에 탑재된 시스템은 레이더가 D형으로 변경되었다. 이 시기부터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이 건조되기 시작했는데, 함수와 함미에 각각 32셀 또는 64셀의 Mk.41 VLS를 설치하여 동시 대응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한국 해군의 세종대왕급(KDX-3)을 포함한 현대의 이지스함들과 후기형 타이콘데로가급은 모두 VLS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곤고급 초기 건조함 3척은 베이스라인 4를 기반으로 일본 고유의 개량을 더한 '''베이스라인 J1'''을 탑재했다. 베이스라인 4 탑재 함정들은 이후 베이스라인 5 Phase III 사양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2012년부터 시작된 AMOD를 통해 베이스라인 9C(CR3/ACB12)로 개수되었다.
'''베이스라인 5'''는 JTIDS/C2P, TADIXS-B 통신 시스템, AN/SRS-1 전투 방향 탐지기(Combat DF) 등을 도입하여 지휘·통제 및 정보 연계 능력을 강화했으며, 민수품 도입(COTS)을 통해 비용 절감을 추구했다. '''Phase III'''에서는 레이더 관제 프로세서가 강화되고 통신 능력이 향상되었다.
'''베이스라인 6'''은 ESSM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운용 능력을 추가하고 광섬유 기반 함내 통신 시스템을 도입했다. '''Phase III'''에서는 레이더를 개량형인 SPY-1D(V)형으로 변경하여 저고도 및 저시인성 목표물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베이스라인 7'''은 AN/UYQ-70 워크스테이션을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방식을 도입하여 시스템 구성을 크게 변경했다. 상용 기성품(COTS)화의 정도에 따라 CR(COTS Refresh)이라는 내부 버전이 있으며, Phase I(DDG-91~102)은 CR0, Phase IR(DDG-103~112)은 CR1이다. 협동 교전 능력(CEC)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레이더에 신형 프로세서를 도입하고 신형 SM-2 블록 IIIB 미사일에 대응한다. 이 베이스라인은 미국 외 동맹국에도 제공되어 한국 해군의 주력함인 세종대왕급 구축함에도 탑재되었다.
'''베이스라인 8''' (CR2/ACB08)은 기존 이지스함의 현대화를 위한 AMOD 계획에 따라 개발되었다. 2008년부터 베이스라인 2를 탑재했던 타이콘데로가급 7척을 대상으로 개수가 시작되었다.[56] 하드웨어는 CR2, 소프트웨어 버전(Advanced Capability Build, '''ACB''')은 ACB08이며, CEC를 지원한다. 정보 처리 장치 및 단말을 AN/UYQ-70으로 교체하고 미 해군의 표준 컴퓨터 아키텍처인 OACE(Open Architecture Computer Environment)에 거의 준거하도록 설계되었다.[56] 타이콘데로가급 개수 시 AN/SPQ-9B 저고도 경계 레이더 도입, CIWS의 팔랑크스 블록 1B로 교체, Mk. 45 5인치 주포의 62구경장 포신으로 교체, AN/SQQ-89A(V)15 소나 시스템 및 MFTA 예항 소나 도입, MH-60R 헬기 운용 능력 추가 등 대잠전 능력 향상도 이루어졌다.[57]
'''베이스라인 9''' (CR3/ACB12)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OACE를 완전히 준수하는 CR3를 적용하고, 소프트웨어 버전은 ACB12이다. 이지스 BMD 5.0 시스템이 통합되어 대공전(AAW) 기능과 미사일 방어(BMD)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공중 및 미사일 방어(IAMD, 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능력을 갖추게 된다.[58] 베이스라인 9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뉜다.[59]
'''베이스라인 10''' (ACB20)은 레이더 시스템의 독립화를 추구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이지스 시스템은 초기 함대 방공 시스템에서 출발하여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까지 갖춘 통합 전투 시스템으로 발전해왔다. 2011년에는 유럽 단계적 적응 접근법(EPAA)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지스 BMD 시스템을 탑재한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4척이 스페인 로타 해군기지에 배치되기도 했다.[27][28]
4. 구성
이지스 전투 시스템(ACS: Aegis Combat System)은 함정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와 무기 체계를 통합하여 전투 능력을 극대화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함대 방공 임무를 주로 담당하는 이지스 무기 시스템(AWS: Aegis Weapon System)이다.[2] AWS는 강력한 AN/SPY-1 다기능 레이더, 신속한 판단을 내리는 지휘 및 의사결정 시스템(C&D), 무기 발사와 유도를 통제하는 무기 통제 시스템(WCS) 및 사격 통제 시스템(FCS), 그리고 스탠더드 미사일과 이를 발사하는 Mk 41 수직발사대(VLS) 등으로 구성된다.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AWS 외에도 근접 방어를 위한 팰런크스 CIWS, 대잠전(ASW) 시스템,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 함포, 어뢰 등 함정의 다른 전투 체계까지 통합하여 운용한다.[2] 이를 통해 탐지부터 식별, 위협 평가, 교전 명령, 공격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다수의 위협에 동시다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전투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시스템을 통해 이지스함은 강력한 '시스템 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4. 1. 핵심 구성 요소


이지스 전투 시스템(ACS)은 이지스 무기 시스템(AWS)을 중심으로 함정의 모든 무기 시스템을 통합하여 유기적인 전투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AWS 자체는 대공 전투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들로 구성된다.[2]
- 다기능 레이더 (AN/SPY-1): 이지스 시스템의 핵심 센서로, 목표물의 탐색, 추적, 평가 및 발사된 미사일의 유도를 담당한다.
- 지휘 및 의사 결정 시스템 (C&D: Command and Decision System): 레이더, 소나 등 다양한 센서 정보를 종합하여 위협을 평가하고 대응 방법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 무기 통제 시스템 (WCS: Weapon Control System): C&D의 결정에 따라 사용할 무기를 선택하고 발사 명령을 내리며, 미사일의 중간 유도를 담당한다.
- 사격 통제 시스템 (FCS: Fire Control System): 미사일의 최종 유도를 담당하며, AN/SPG-62 일루미네이터를 포함한다.
- 미사일 발사대: 스탠더드 미사일 등을 발사하는 장치로, 초기형 Mk.26과 현대적인 Mk.41 수직발사시스템(VLS)이 있다.
- 스탠더드 미사일 (SM): 함대 방공의 핵심 무기로,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운용 중이다.
- 이지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ADS): 전투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운용자가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 자체진단 시스템 (ORTS: Operational Test and Readiness System):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고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 다기능 레이더 ===

이지스 시스템의 눈 역할을 하는 것은 AN/SPY-1 다기능 레이더이다. 이 레이더는 S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패시브 위상 배열(PESA) 방식으로, 4개의 고정된 평면 안테나를 함선 상부 구조물 사방에 설치하여 360도 전 방향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여러 목표를 동시에 추적하며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다. "함대의 방패"로 알려진 이 고출력(6메가와트) 레이더는 100nmi 이상 거리에서 100개 이상의 목표물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3]
AN/SPY-1 레이더는 여러 버전이 개발되었다.
- AN/SPY-1A/B/B(V):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에 탑재되었으며, 안테나가 함선 앞뒤 구조물에 나뉘어 설치되었다.
- AN/SPY-1D/D(V):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용으로 개발되었으며, 레이더 장비를 함교 구조물에 집중 배치하여 효율성과 소형화를 이루었다. D형 안테나 한 면에는 4,350개의 소자가 있으며, 최대 탐지 거리는 324km 이상, 동시 추적 가능 목표는 2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S밴드의 특성상 낮은 고도로 비행하는 목표물 탐지에 약점이 있어, 이후 X밴드를 사용하는 AN/SPQ-9B 레이더가 추가되기도 한다.
- AN/SPY-1F/K: 각각 프리깃과 더 작은 함정을 위해 AN/SPY-1D를 기반으로 더욱 소형화 및 간략화한 버전이다.
최신 이지스 시스템(베이스라인 10 이후)에서는 레이더 시스템이 더욱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개선되었으며(Radar Suite Controller, RSC), 안테나 역시 능동 위상 배열(AESA) 방식의 신형 레이더(AN/SPY-6, AN/SPY-7)로 교체되는 추세이다.
=== 지휘 및 의사 결정 시스템 (C&D) 및 이지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ADS) ===
지휘 및 의사 결정 시스템(C&D)는 이지스 시스템의 두뇌에 해당한다. AN/SPY-1 레이더를 비롯한 함선의 각종 센서(소나, 데이터 링크 등)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고, 탐지된 목표들의 위협도를 자동으로 평가하여 어떤 무기로 어떻게 대응할지 신속하게 결정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동적인 대응 방식에 비해 반응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순양함에는 Mk.1, 구축함에는 Mk.2 버전이 탑재되었다.
이지스 디스플레이 시스템(ADS)는 C&D 시스템의 판단 결과와 전투 상황 정보를 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이다. 전투지휘소(CIC)의 핵심 설비로, 보통 42인치 크기의 대형 화면 표시기(LSD: Large Screen Display)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순양함은 4면의 LSD를 갖춘 Mk.1을, 구축함은 2면의 LSD를 갖춘 Mk.2를 사용한다. (일부 개량된 함선은 디스플레이 구성이 변경되기도 함)
=== 무기 통제 시스템 (WCS) ===
무기 통제 시스템(WCS)는 C&D 시스템의 교전 결정을 실제로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공격 명령이 내려지면 WCS는 가장 적합한 무기(예: 스탠더드 미사일)를 선택하고, 발사대에 발사 명령을 내린다. 미사일이 발사된 후에는 목표물까지 날아가는 중간 단계까지 미사일을 유도하며, 최종 공격 단계에서는 사격 통제 시스템(FCS)에 유도를 넘겨준다. WCS는 스탠더드 미사일 외에도 대함 미사일, CIWS, 함포 등 함선에 탑재된 다른 무기 체계와도 연동되어 통합적인 공격 통제를 수행한다. 순양함에는 Mk.1, 구축함에는 Mk.8 버전이 탑재되었다.
=== 사격 통제 시스템 (FCS) ===
사격 통제 시스템(FCS)은 스탠더드 미사일의 최종 유도를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Mk.99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FCS의 핵심 요소는 AN/SPG-62 레이더 일루미네이터(표적 조사기)이다. 스탠더드 미사일은 발사 후 초기 및 중간 단계에서는 자체 관성 항법 장치(INS)와 AN/SPY-1 레이더의 명령 유도를 따라 비행한다. 목표물에 충분히 근접하면, Mk.99 FCS의 통제에 따라 AN/SPG-62 일루미네이터가 목표물에 강력한 레이더 전파를 발사하고, 미사일은 이 반사파를 따라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하게 된다(세미 액티브 레이더 호밍).
하나의 일루미네이터는 한 번에 하나의 목표만 조사할 수 있지만, AN/SPY-1 레이더가 여러 미사일의 중간 유도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목표 거리가 가까울수록 일루미네이터의 조사 시간이 짧아지므로, 이지스 시스템은 여러 목표물과 동시에 교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근거리에서는 SPY-1 레이더만으로도 SM-2 미사일의 종말 유도가 가능하여 동시 대응 능력이 더욱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 미사일 발사대 ===
초기 이지스함(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초기형)에는 Mk.26 연장 발사기가 사용되었다. 이는 미사일을 함내 탄약고에서 레일 위로 끌어올려 장전한 후 발사하는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복잡하고 발사 간격이 길어 동시에 여러 목표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Mk.41 수직발사체계(VLS)이다. Mk.41 VLS는 미사일을 발사관 역할을 하는 밀폐된 컨테이너에 수직으로 보관하다가 바로 발사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단순하여 정비가 용이하고, 미사일이 컨테이너 안에 보관되어 신뢰성과 생존성이 높으며, 무엇보다 미사일을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어 동시 대응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Mk.41 VLS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탑재하는 미사일 종류에 따라 길이가 다르다. (예: 자체 방어형 약 530.86cm, 전술형 약 675.64cm, 타격형 약 769.62cm) 현재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한국 해군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을 포함한 대부분의 현대 이지스함들은 Mk.41 VLS를 채택하고 있다.
=== 스탠더드 미사일 (SM) ===
이지스 시스템의 주력 방공 무기는 스탠더드 미사일(SM) 계열이다.
- SM-2MR (Standard Missile 2 Medium Range): 초기부터 사용된 기본형 함대공 미사일이다. 기존 SM-1MR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오토파일럿과 명령 유도 기능을 추가하여, 발사 후 최종 유도 단계 전까지는 AN/SPY-1 레이더의 지령을 받아 비행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N/SPG-62 일루미네이터가 특정 미사일 유도에 묶여 있는 시간을 줄여, 동시에 더 많은 목표와 교전할 수 있게 되었다.
- SM-2ER (Standard Missile 2 Extended Range): SM-2MR에 부스터를 추가하여 사거리를 연장한 버전이다. (베이스라인 5부터 운용)
- SM-3 (Standard Missile 3): 탄도 미사일 요격을 위해 개발된 미사일로, 대기권 밖에서 직접 충돌하여 목표를 파괴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지스 탄도미사일 방어체계(BMD)의 핵심 요소이다.
- SM-6 (Standard Missile 6): SM-2ER 기반에 능동 레이더 호밍(ARH) 시커를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목표를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최신 미사일이다. 이를 통해 일루미네이터의 지원 없이도 원거리 목표와 교전하거나, 수평선 너머의 목표물도 공격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9부터 운용)
- RIM-162 ESSM (Evolved Sea Sparrow Missile):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로, 주로 접근하는 대함 미사일로부터 함선을 보호하는 근접 방어(개함 방공) 역할을 수행한다. Mk.41 VLS 한 셀에 4발을 탑재할 수 있어 많은 수의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6부터 운용)
이 외에도 이지스 시스템은 자체적인 상태 점검 및 준비 태세 유지를 위한 자체진단 시스템(ORTS) 등을 포함하여 복잡하고 정교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4. 2. 정보 처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능력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초기 베이스라인 0 시스템에서는 AN/UYK-7 전자계산기 4기가 지휘결정 시스템(C&D), 이지스 디스플레이 시스템(ADS), 무기통제 시스템(WCS), AN/SPY-1 레이더에 각각 사용되었으며, 이 외에도 소나 및 수중 공격 지휘 장치 등에도 AN/UYK-7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AN/UYK-20 전자계산기 11기가 ORTS, WCS, 소나 연동, 사격통제 시스템(GFCS, GMFCS), 토마호크 FCS 등에 활용되었다.[5]베이스라인 4에서는 성능이 향상된 AN/UYK-43 전자계산기가 도입되어 기존의 AN/UYK-7을 대체하였고, 훈련용 및 Mk.86 GFCS용으로 2기가 추가되었다. 순양함의 경우, 베이스라인 5에서 전술 데이터 링크 기능 강화를 위해 7번째 AN/UYK-43이 추가되었으나, 시스템 구성이 다른 구축함에는 5기의 AN/UYK-43이 탑재되었다.[5]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맨-머신 인터페이스 역시 발전했다. 초기에는 18기의 AN/UYA-4 콘솔이 사용되었으나, 베이스라인 3에서 일부가 AN/UYQ-21로 교체되었다. 이후 베이스라인 6에서는 상용 범용 제품(COTS, Commercial off-the-shelfeng)화 추세에 따라 AN/UYQ-21의 일부가 AN/UYQ-70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5] 이 AN/UYQ-70은 미국 해군이 추진한 개방형 아키텍처(Open Architecture, OA) 기반(open architecture computer environment|OACEeng) 환경의 핵심 장비로 자리 잡았다.
베이스라인 7에서는 AN/UYQ-70의 도입이 더욱 확대되면서 시스템 아키텍처에 큰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전자계산기를 중심으로 한 메인프레임 방식에서 벗어나, AN/UYQ-70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한 분산 처리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환되어 시스템 전체가 쇄신되었다. 베이스라인 7.1에 이르러 AN/UYQ-70으로의 완전한 이전이 이루어졌다.[55]
베이스라인 9에서는 COTS화가 더욱 진전되어, 콘솔은 AN/UYQ-70에서 CDS(Common Display System|공통 디스플레이 시스템eng)로 변경되었고, 컴퓨터 시스템으로는 CPS(Common Processing System|공통 처리 시스템eng)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하드웨어의 지속적인 발전은 기술 삽입(Technology Insertion|TIeng)이라는 관리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55]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베이스라인 5까지는 주로 CMS-2eng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1971년 AN/UYK-7과 함께 채택되어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 등 해군 시스템에서 널리 쓰였다. 그러나 AN/UYQ-70 도입과 함께 베이스라인 6부터 C++와 Ada가 도입되었고, 베이스라인 7.1에서는 CMS-2가 완전히 배제되었다. 이후 Java도 사용되기 시작했다.[55] 개방형 아키텍처의 발전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체계를 가능하게 했다. 소프트웨어 버전은 ACB(Advanced Capability Build|고급 능력 구축eng)라는 명칭으로 관리되며, 미 해군이 구축한 표준화된 응용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인 CSL(Common Source Library|공통 소스 라이브러리eng)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55]
4. 3. 작동 모드
이지스 전투 시스템(AWS)은 고도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작동 모드를 가진다.# '''수동 모드''': 목표 탐색부터 위협 판단, 공격 명령, 미사일 발사까지 모든 단계를 운용자가 직접 수행하는 방식이다.
# '''반자동 모드''': 목표 탐색, 위협 판단, 미사일 발사 등 대부분의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만, 최종 공격 명령은 운용자가 내리는 방식이다.
# '''자동 모드''': 운용자가 미리 설정한 교전 규칙(거리 매개변수 등)에 따라 지휘결정시스템(C&D)이 자동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공격 명령까지 내린다. 실제 전투 상황에서 운용자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교전이 가능하지만, 필요한 경우 운용자가 중간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작전 상황에서는 반자동 모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수동 모드는 주로 시스템 성능을 시험하거나, 매우 엄격한 교전 통제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혹시 모를 오인 사격을 막기 위해 완전 수동 모드로 운용하는 경우도 많다. 한편, 1988년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 당시 빈센스함의 이지스 시스템이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민간 항공기 오인 격추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일부 소설(키스 더글러스의 『할마게돈 모드』)이나 만화(카와구치 카이지의 『지팡구』) 같은 픽션 작품에서는 자동 모드를 "할마게돈 모드"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실제 군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5. 탄도 미사일 방어 (BMD)
이지스 전투 시스템(AWS)은 본래 대함미사일이나 항공기 공격에 대응하는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개발되었으나, 냉전 종식 이후 탄도 미사일 위협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었다. 특히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에서 스커드 미사일이 사용되고, 구 소련의 기술과 인력이 확산되면서 전술탄도미사일 대응 필요성이 커졌다.[43] 이에 미국 클린턴 행정부는 미사일 방어 정책을 재편하며, 해상 기반 방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이지스함이 그 핵심 플랫폼으로 주목받게 되었다.[43]
미국 미사일 방어청(MDA)이 주도하는 이지스탄도탄방어체계(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BMD) 프로그램은 이지스 시스템에 해상 기반 탄도탄 방어 능력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존의 대공 전투(AAW) 임무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이지스 BMD(ABMD)라는 별도의 버전으로 관리되며 나선형 모델 방식으로 개발되었다.[44][45] 이 프로그램은 미국 국가 미사일 방어 전략 및 NATO 유럽 미사일 방어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1]
이지스 BMD 시스템은 여러 단계에 걸쳐 발전해왔다.
- '''이지스 BMD 3.0 시리즈 (블록 2004)''': 초기 버전으로, 탄도 미사일 탐지 및 추적(Long range surveillance & track, LRS&T) 기능(BMD 3.0E)을 우선 구현하고, 이후 SM-3 블록 I/IA 미사일을 이용한 예비적인 교전 기능(Preliminary Engagement Capability)(BMD 3.0, BMD 3.6)을 갖추었다.[44][46]
- '''이지스 BMD 4.0 시리즈 (블록 2006/08)''': SM-3 블록 IB 미사일을 운용하여 단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SRBM/MRBM)뿐 아니라 제한적인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대응 능력을 확보했다. 신호 처리 능력도 강화되었다.[46][45]
- '''이지스 BMD 5.0 시리즈 (블록 2010/12/14)''': 최신 이지스 전투 시스템(AWS 베이스라인 9)과 통합되어, 대공 전투(AAW)와 탄도 미사일 방어(BMD) 임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통합 공중 및 미사일 방어(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IAMD) 기능을 구현했다(BMD 5.0CU).[46] 또한, SM-3 블록 IIA 미사일을 통해 IRBM에 대한 대응 능력을 더욱 향상시켰다(BMD 5.1).[46]
이지스 BMD 시스템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요격 미사일: MK 41 수직발사시스템(VLS)을 통해 발사된다.
- RIM-161 스탠다드 미사일 3(SM-3): 중간 단계(mid-course)에서 대기권 밖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는 주력 미사일이다. 충돌하여 파괴하는 운동 에너지 탄두(KW)를 사용한다.[13] 블록 I, IA, IB, IIA 등으로 개량되며 성능이 향상되었다.
- RIM-156 스탠다드 미사일 2 확장 사거리 블록 IV(SM-2ER Block IV): 종말 단계(terminal phase)에서 대기권 내의 탄도 미사일을 파편 효과 탄두로 요격한다.[14][15]
- RIM-174 스탠다드 ERAM(SM-6): SM-2ER 블록 IV의 발전형으로, 부스터와 능동 레이더 유도 시커를 탑재하여 사거리와 교전 능력이 향상되었다. 대공 및 탄도탄 방어 임무 모두 수행 가능하다.[16][17] SM-6 블록 IB는 더 강력한 추진 시스템을 갖추었다.[18]
- 레이더 및 신호 처리:
- AN/SPY-1 레이더는 BMD 임무를 위해 상용품 기술과 개방형 아키텍처를 적용한 다기능 신호 처리기(MMSP)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이를 통해 탐지/추적 능력이 향상되고 이중 빔 작동이 가능해졌다.[19][20][21]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Flight III부터는 레이시온의 AN/SPY-6 AESA 레이더가 탑재되어 기존 SPY-1D 레이더보다 탐지 능력과 동시 교전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25][24] 기존 Flight IIA 함정들도 SPY-6 레이더로 개량될 예정이다.[24][25]
2008년 2월 20일, 미국 해군의 레이크 이리 순양함(CG-70)은 제어 불능 상태에 빠진 정찰위성 USA-193을 SM-3 미사일로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고도 247km에서 이루어졌으며, SM-3 미사일의 대기권 밖 요격 능력을 실증한 사례이다.
2022년 4월 기준으로 미국과 일본만이 군함에 이지스 BMD 시스템을 구매하거나 배치한 국가이다.[26][22][23]
이지스 어쇼어는 이지스 BMD 시스템의 육상 배치형 버전으로, AN/SPY-1 레이더, 지휘 통제 시스템, MK 41 VLS(SM-3, SM-6 탑재) 등으로 구성된다. 하와이에 시험 시설이 있으며, 루마니아에서는 2016년부터 운용 중이고 폴란드에서도 배치가 진행 중이다. 일본은 AN/SPY-7 레이더를 탑재한 시스템 도입을 추진했으나 2020년에 계획을 취소했다. 괌 역시 이지스 어쇼어의 잠재적 배치 장소로 거론된다.[26]
미 육군은 통합 대공 및 미사일 방어 전투 지휘 시스템(IBCS)을 통해 이지스 BMD 시스템(AN/SPY-1, AN/SPY-6 레이더 포함)을 MIM-104 패트리엇, THAAD, NASAMS, F-35 라이트닝 II 등 다양한 센서 및 요격 시스템과 통합하여 육·해·공을 아우르는 미사일 방어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1. 한반도에서의 운용
북한의 지속적인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미국, 일본 3국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활용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2022년 10월 6일, 한미일 3국의 군함 5척이 동해에서 다국적 미사일 방어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북한이 일본 열도 상공을 통과시킨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대한 군사적 대응의 일환이었다.[33][34]

2023년 2월 22일에도 한미일 군함들은 동해에서 다국적 탄도 미사일 방어(BMD)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2023년 2월 18일 북한이 발사한 화성-15형 탄도 미사일에 대한 대응이었다. 해당 미사일은 일본 홋카이도 본섬 서쪽 약 48.28km 떨어진 오시마 서쪽 125마일 지점,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 낙하했다. 북한은 이후 2023년 2월 20일에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2발을 추가로 발사하여 한반도 동쪽 동해 상에 탄착시켰다.[40]
북한의 계속되는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2023년 12월 19일 대한민국, 미국, 일본 3국은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가동하고, 다년간의 3국 합동훈련 계획을 수립했다고 공동으로 발표했다.[41][42]
6. 문제점
이지스 시스템은 1988년 발생한 이란항공 655편 추락 사고와 관련하여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미국 해군 소속의 USS 빈센스함이 이지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란 항공 655편을 적기로 오인하여 격추했고, 이로 인해 민간인 290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미 해군의 공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지스 시스템 자체는 완벽하게 작동했으며 유지보수 상태도 양호했다고 결론 내렸다. 조사는 함장이 이지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술 데이터를 전적으로 신뢰했다면 공격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승무원들이 특정 시나리오에 맞춰 무의식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려는 심리적 요인이 오인 식별에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이지스 전투 시스템 자체는 사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었으며, 시스템에 기록된 데이터는 오히려 사건 조사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당시 이지스 시스템의 데이터 기록과 함장에게 보고된 내용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다.[44]
이지스 데이터 보고서 | 함장에게 보고된 내용 |
---|---|
이란항공 655편은 비행 내내 지속적으로 고도를 높였다. | 이란항공 655편은 약 2743.20m에서 약 3657.60m 고도에 도달한 후, USS 빈센스함을 공격하기 위해 하강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
이란항공 655편은 비행 내내 민간 항공기 식별 신호인 모드 III IFF 신호를 계속 발신했다. | 이란항공 655편이 잠시 동안 이란 공군 F-14 톰캣 전투기의 신호인 모드 II IFF를 발신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에 따라 승무원은 표적을 알 수 없는, 적군 추정에서 F-14로 재분류했다. |
이란항공 655편은 비행 내내 일정한 상승 속도를 유지했다. | 이란항공 655편이 F-14 톰캣과 유사한 공격 비행 경로로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
그러나 다른 분석에서는 비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문제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지스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추가 정보를 수집하면서 표적 추적 번호를 변경하는 방식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함장이 원래 표적 식별 번호(TN4474)의 상태를 문의했을 때, 이지스 시스템은 해당 번호를 하강 중인 다른 표적(공격 자세로 오인될 수 있는)에 재사용한 상태였다.[45]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데이비드 포그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기고문에서 이 사건을 역대 최악의 디지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패 사례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46]
한편, 2010년에는 일부 이지스함의 시스템이 제대로 유지보수되지 않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필립 발리슬 예비역 해군 중장이 이끈 조사위원회는 "발리슬 보고서"를 통해, 과도한 예산 절감 압박이 승무원 감축, 훈련 간소화, 유지보수 부실로 이어졌으며, 이것이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준비태세를 심각하게 저하시켰다고 지적했다.[43]
7. 운용 국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여러 국가에서 해군 함정의 핵심 전투 체계로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다.
국가 | 함급 | 운용 중 | 계획 중 | 퇴역 |
---|---|---|---|---|
오스트레일리아 | 헌터급 호위함 (Type 26) | 6 | ||
호바트급 구축함 | 3 | |||
캐나다 왕립 해군 | 캐나다 수상 전투함 (Type 26) | 15 | ||
일본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ASEV) | 2 | ||
마야급 구축함 | 2 | |||
아타고급 구축함 | 2 | |||
공고급 구축함 | 4 | |||
대한민국 해군 | 세종대왕급 구축함 | 3 | 3 | |
노르웨이 | 프리드티오프 난센급 프리깃 | 4 | 1 | |
스페인 해군 | 보니파스급 호위함 (F110급) | 5 | ||
알바로 데 바산급 호위함 | 5 | |||
미국 해군 |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 20 | ||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 73 | 19 | ||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 17 | 10 | ||
합계 | 113 | 73 | 11 |
- 오스트레일리아: 3척의 호바트급 구축함을 운용 중이며, 마지막 함정은 2020년에 취역했다. 향후 건조될 6척의 헌터급 호위함에도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할 예정이지만, 전술 인터페이스는 사브 오스트레일리아(Saab Australia)가 개발한다.[47]
- 캐나다 왕립 해군: 록히드 마틴 캐나다에 15척의 캐나다 수상 전투함 건조를 의뢰했다. 이 함정들은 AN/SPY-7(V)1 레이더와 국제 이지스 사격통제 루프(IAFCL)를 탑재하며, IAFCL은 핼리팩스급 호위함을 위해 개발된 CMS 330 전투 관리 시스템과 통합된다. 이 계획이 완료되면 캐나다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이지스 함대를 보유하게 된다.[49]
- 일본: 1993년부터 취역한 4척의 공고급 구축함, 2007년부터 취역한 2척의 개량형 아타고급 구축함, 그리고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취역한 2척의 추가 개량형 마야급 구축함을 포함하여 총 8척의 이지스 함정을 운용하고 있다. 추가로 2척의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ASEV)을 계획 중이다.
- 대한민국 해군: 2008년 취역한 세종대왕함을 포함하여 총 3척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추가로 3척을 건조할 계획이다.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뛰어난 성능으로 한국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 평가받는다.
- 노르웨이: 스페인에서 건조한 프리드티오프 난센급 프리깃 5척을 도입했다. 첫 함정인 프리드티오프 난센함(F310)은 2006년에, 마지막 함정인 토르 헤이에르달함(F314)은 2011년에 취역했다. 이 중 헬게 잉스타함(F313)은 유조선과 충돌하여 침몰했으며, 인양 후 수리 비용 문제로 폐기되었다. 현재 4척을 운용 중이다.
- 스페인 해군: 5척의 알바로 데 바산급 호위함을 운용 중이며, 2024년부터 보니파스급 호위함(F110급) 5척을 추가로 운용할 예정이다.[48] F-110급은 나반티아(Navantia)가 개발한 SCOMBA 전투 시스템과 통합된 국제 이지스 사격통제 루프(IAFCL)를 탑재할 것이다.[49]
- 미국 해군: 이지스 시스템을 개발하고 가장 많이 운용하는 국가이다. 현재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과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알레이 버크급은 추가 건조를 진행 중이다. 향후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에도 새로운 이지스 베이스라인 10을 통합할 계획이다.[50]
- 기타: 일부 언론에서는 중국의 052C형과 052D형 구축함을 비공식적으로 "중국 이지스"라고 부르기도 한다.[51]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지스함"이라는 용어는 록히드 마틴의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탑재한 함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52]
참조
[1]
웹사이트
Fact Sheet on U.S. Missile Defense Policy - A "Phased, Adaptive Approach" for Missile Defense in Europe
https://obamawhiteho[...]
The White House
2009-09-17
[2]
문서
Ticonderoga-class cruiser
[3]
백과사전
Aegis Combat System
https://wrc.navair-r[...]
Warfighter Response Center
2003-10-08
[4]
웹사이트
AN/SPY-1 Radar
http://www.fas.org/m[...]
[5]
웹사이트
First-Hand:Legacy of NTDS - Chapter 9 of the Story of the Naval Tactical Data System
https://ethw.org/Fir[...]
[6]
웹사이트
20191205_Lockheed_AEGIS_50th_Anniversary_3D_ME_FINAL
https://vimeo.com/37[...]
Green Buzz Agency
2019-12-05
[7]
간행물
GE Aerospace to merge into Martin Marietta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1992-11-30
[8]
서적
Hearings on H.R. 6566, ERDA Authorization Legislation (National Security Programs) for Fiscal Year 1978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arpoonhq[...]
[10]
웹사이트
Aegis Cruisers
http://usmilitary.ab[...]
[11]
프레젠테이션
Aegis Heritage
Lockheed Martin
2002-11-20
[12]
웹사이트
The US Navy -- Fact File: Aegis Weapon System
http://www.navy.mil/[...]
[13]
웹사이트
Standard Missile-3 (SM-3)
https://missilethrea[...]
[14]
웹사이트
Standard Missile-2 Block IV
https://missilethrea[...]
[15]
웹사이트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https://missilethrea[...]
[16]
웹사이트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ce (BMD) System,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naval-tec[...]
[17]
뉴스
Non-Standard: Navy SM-6 Kills Cruise Missiles Deep Inland
http://breakingdefen[...]
Breakingdefense.com
2014-08-19
[18]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https://news.usni.or[...]
2018-12-18
[19]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Successfully Completes Formal Testing of Second-Generation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Capability
http://www.lockheedm[...]
2010-09-16
[20]
웹사이트
FY 2013 Presidential Budget (PB): Navy
https://web.archive.[...]
2012-02
[21]
웹사이트
pr_mission_aegis-live-tracking-041210 · Lockheed Martin
http://www.lockheedm[...]
[22]
웹사이트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http://www.mda.mil/s[...]
US Dept. of Defense
2014-01-08
[23]
웹사이트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 Foreign Military Sales
http://www.mda.mil/s[...]
US Dept. of Defense
2014-01-02
[24]
웹사이트
U.S. Navy's SPY-6 Family of Radars
https://www.raytheon[...]
Raytheon
2020-07-12
[25]
뉴스
Raytheon to start backfitting destroyers with SPY-6 radar
https://breakingdefe[...]
Breaking Defense
2022-01-11
[26]
웹사이트
Navy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BMD) Progra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RL33745)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2-04-01
[27]
웹사이트
Navy Names Forward Deployed Ships to Rota, Spain
http://www.navy.mil/[...]
U.S. Department of Defense
2012-02-16
[28]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COMMANDER, DESTROYER SQUADRON SIX ZERO
http://doni.daps.dl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Navy
2013-05-09
[29]
웹사이트
Japanese Defense Budget Expansion Includes Two 20,000 Ton Cruisers
https://www.overtdef[...]
2022-09-01
[30]
웹사이트
Japan to Build Two 20,000-ton Missile Defense Warships, Indian Carrier Commissions
https://news.usni.or[...]
2022-09-06
[31]
웹사이트
Japan's New "Aegis Equipped Ships": What We Know So Fars
https://www.overtdef[...]
2022-09-01
[32]
웹사이트
Japan Defense Ministry plans new Aegis destroyers in place of Aegis Ashore
https://www.popularm[...]
2022-09-12
[33]
웹사이트
UPDATED: Warships from U.S., Japan, South Korea Ballistic Missile Defense Drills After North Korean Missile Shots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2-10-06
[34]
웹사이트
US Navy, JMSDF And ROK Navy Conduct BMD Exercise
https://www.navalnew[...]
2022-10-06
[35]
웹사이트
Two Japanese Destroyers Score in Ballistic Missile Defense Test off Hawaii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2-11-21
[36]
웹사이트
Japanese MoD Releases New Details on Ballistic Missile Defense Ships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2-12-27
[37]
웹사이트
Japanese MoD Releases Further Details About Its Future BMD Destroyers
https://www.navalnew[...]
2022-12-25
[38]
웹사이트
First Rendering Of Japan's Ballistic Missile Defense Ship Concept Released
https://www.thedrive[...]
2022-12-29
[39]
웹사이트
Defense Programs and Budget of Japan FY Reiwa 5 (2023) Budget Overview
https://www.mod.go.j[...]
Japanese Ministry of Defense
2022-12-23
[40]
웹사이트
U.S., Japan, South Korea Hold Ballistic Missile Defense Drills after North Korean Launches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3-02-22
[41]
웹사이트
U.S., Japan, South Korea Establish North Korean Missile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3-12-19
[42]
웹사이트
Japan-United States-Republic of Korea Trilateral Ministerial Joint Press Statement
https://www.mod.go.j[...]
Japanese Ministry of Defense
2023-12-19
[43]
뉴스
Study says Aegis radar systems on the decline
http://www.navytimes[...]
Navy Times
2010-07-07
[44]
웹사이트
Formal Investigation into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wning of Iran Air Flight 655 on 3 July 1988
http://www.dod.mil/p[...]
1988-07-28
[45]
논문
Criticality of data quality as exemplified in two disasters
2001
[46]
잡지
5 of the Worst User-Interface Disasters
https://www.scientif[...]
2016-04-01
[47]
웹사이트
Subscribe to The Australian - Newspaper home delivery, website, iPad, iPhone & Android apps
http://www.theaustra[...]
[48]
웹사이트
Fragatas F-110: presupuestados por ahora 174 millones en I+D+i y su diseño
http://abcblogs.abc.[...]
ABC
2018-01-20
[49]
웹사이트
SNA 2020: Four Nations to Be Protected with Lockheed Martin's Next Generation SPY-7 Radar
https://www.navalnew[...]
2020-01-15
[50]
웹사이트
Fincantieri's FREMM Wins US Navy FFG(X) Frigate Competition
https://www.navalnew[...]
2020-04-30
[51]
웹사이트
PLA Navy shows off 'Chinese Aegis' at RIMPAC 2014
http://missilethreat[...]
2014-06-19
[52]
웹사이트
'Taipei must admit defeat in the arms race…' - The Diplomat
https://thediplomat.[...]
[53]
웹사이트
解説 イージス・システム搭載護衛艦派遣の意義
http://www.clearing.[...]
[54]
웹사이트
2 イージスシステムに係る特別防衛秘密流出事案
http://www.clearing.[...]
[55]
간행물
日米韓BMD海上部隊の全容
海人社
2018-02
[56]
웹사이트
Naval Systems - Planning Firms Up for Aegis Baselines
http://www.usni.org/[...]
2013-02
[57]
간행물
まるごと分かる!イージス艦最新事情
이카로스출판
2013-06
[58]
웹사이트
Surface Navy Combat System Development Update
http://www.navsea.na[...]
2011-04-11
[59]
웹사이트
NDIA 2011 Integrated Warfare Systems Conference
http://www.dtic.mil/[...]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