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Spac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Space는 디지털 자원 관리를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MIT와 HP 랩스의 협력으로 2002년 처음 공개되었다. 전 세계 700개 이상의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듀라 스페이스를 통해 리더십과 지침을 받고 있다. DSpace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자료를 관리하며, 데이터 관리, 사용자 및 권한 관리,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무료 오픈 소스,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웹 기반 인터페이스, 영구 식별자 부여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KAIST, 서울대학교 등에서 DSpace를 기반으로 한 기관 리포지터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픈 소스 - 클램윈
    클램윈은 ClamAV 엔진 기반의 오픈 소스 백신 소프트웨어로,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 멀웨어 등 다양한 악성 위협 분석 자료를 제공하며 예약 검사, 수동 검사, 컨텍스트 메뉴 통합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만 실시간 감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 오픈 소스 - VP9
    VP9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으로, VP8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고 HEVC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WebM 형식으로 사용되고 주요 웹 브라우저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지원했으나 AV1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메타데이터 - DOAJ
    DOAJ는 과학 및 학술 저널의 오픈 액세스 가시성을 높이고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접근성과 영향력을 확대하며, 피어 리뷰를 거친 학술지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수록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토리이다.
  • 메타데이터 - 해시태그
    해시태그는 2007년 트위터에서 관심 주제를 묶기 위해 제안되어 마이크로블로깅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언어학적 분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2002년 소프트웨어 - 아이포토
    아이포토는 애플에서 개발한 디지털 사진 관리 및 편집 소프트웨어로, macOS와 iOS에서 사진 관리, 편집, 공유 기능을 제공했으나 macOS 카탈리나 10.15부터 공식 지원이 중단되었다.
  • 2002년 소프트웨어 - 젠투 리눅스
    젠투 리눅스는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개발된 소스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이며, 포티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높은 사용자 정의와 유연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DSpace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류기관 리포지터리 소프트웨어
개발자DuraSpace (모회사: Lyrasis)
최초 릴리스2002년 11월
프로그래밍 언어자바
라이선스BSD 라이선스
웹사이트DSpace 공식 웹사이트
저장소DSpace GitHub 저장소

2. 역사

DSpace의 첫 번째 공개 버전은 2002년 11월 MIT와 HP 랩스(HP Labs) 개발자들의 공동 노력으로 출시되었다.[3] 2004년 3월 첫 번째 사용자 그룹 회의 이후, 관심 있는 기관들이 DSpace 연합[4]을 결성하여 아파치 재단(Apache Foundation)의 커뮤니티 개발 모델을 채택하고 DSpace 커미터 그룹을 설립함으로써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버넌스를 결정했다.[5]

2007년 7월, DSpace 사용자 커뮤니티가 더욱 성장함에 따라 HP와 MIT는 공동으로 리더십과 지원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인 DSpace 재단[6]을 설립했다. 2009년 5월, DSpace 재단과 페도라 커먼즈(Fedora Commons) 조직 간의 관련 프로젝트 협업과 시너지 효과 증대로 인해 두 조직은 듀라 스페이스(DuraSpace)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합류했다.[7] 2019년 7월, 듀라 스페이스와 LYRASIS는 합병되었다. 현재 DSpace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커뮤니티는 LYRASIS로부터 리더십과 지침을 받고 있다.

2. 1. 개발 배경

DSpace는 MIT 교수와 연구자들이 연구 자료와 학술 출판물을 보다 복잡한 디지털 형태로 생산하게 되면서, 이들을 수집, 보존, 색인 및 배포하는 업무를 도서관이 수행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추진되었다. MIT 도서관에서는 DSpace 시스템 개발을 통해 디지털 연구 성과물과 학술 출판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여 정보 자료의 가시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26]

DSpace의 첫 번째 공개 버전은 2002년 11월 MIT와 HP 랩스(HP Labs) 개발자들의 공동 노력으로 출시되었다.[3] 2004년 3월 첫 번째 사용자 그룹 회의 이후, 관심 있는 기관들의 그룹이 DSpace 연합[4]을 결성하여 아파치 재단(Apache Foundation)의 커뮤니티 개발 모델을 채택하고 DSpace 커미터 그룹을 설립함으로써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버넌스를 결정했다.[5] 2007년 7월 DSpace 사용자 커뮤니티가 더욱 성장함에 따라 HP와 MIT는 공동으로 DSpace 재단[6]을 설립했는데, 이는 리더십과 지원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였다. 2009년 5월, DSpace 재단과 페도라 커먼즈(Fedora Commons) 조직 간의 관련 프로젝트 협업과 시너지 효과 증대로 인해 두 조직은 듀라 스페이스(DuraSpace)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합류했다.[7] 듀라 스페이스와 LYRASIS는 2019년 7월에 합병되었다. 현재 DSpace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커뮤니티는 LYRASIS로부터 리더십과 지침을 받고 있다.

2. 2. 개발 과정

초기에는 교원들의 연구 성과물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연구원들의 성과물, 전자 학위 및 지적 자산 등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들을 컬렉션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였다.

최근 DSpace는 HP, MIT, 에든버러 대학교, 캠브리지 대학교, OCLC, 토론토 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등 DSpace 시스템을 채택한 전 세계의 여러 기관들과 D-Space 연합공동체를 구성하여 기술적 문제 및 현안들을 공동체 내 개발자, 연구자, 이용자들이 주도하여 2008년 3월 버전 1.5를 개발하였다.[27]

DSpace 개발 초기에는 HP 연구소, MIT, OCLC, 캠브리지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가 개발의 주축을 이루었고,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텍사스 A&M 대학교가 추가 개발 주체로 합류하였다.[31] 2000년 3월, HP사는 DSpace를 개발하기 위해 MIT와 18개월간 공동 협력했으며, MIT 도서관에 180만달러을 투자했다. 2002년 11월, HP 연구소와 MIT 도서관은 전 세계에 시스템을 공개하였고, 1개월 뒤 MIT 도서관의 새로운 시스템으로 소개하였다.[32] 2002년 11월에 첫 번째 버전이 공개되었고, 2004년 3월 첫 번째 DSpace 이용자 그룹 미팅(DSUG)을 통해 DSpace 커뮤니티와 향후 관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후 2005년 DSpace 버전 1.3, 2008년 3월 DSpace 버전 1.5가 발표되었다.[33] DSpace는 분산형 오픈 소스로 개발되었고, HP사나 MIT에서 중앙 통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의 합의에 의해 전체적인 방향이 결정된다.[34]

DSpace의 첫 번째 공개 버전은 2002년 11월 MIT와 HP 랩스(HP Labs) 개발자들의 공동 노력으로 출시되었다.[3] 2004년 3월 첫 번째 사용자 그룹 회의 이후, 관심 있는 기관들의 그룹이 DSpace 연합[4]을 결성하여 아파치 재단(Apache Foundation)의 커뮤니티 개발 모델을 채택하고 DSpace 커미터 그룹을 설립함으로써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버넌스를 결정했다.[5] 2007년 7월 DSpace 사용자 커뮤니티가 더욱 성장함에 따라 HP와 MIT는 공동으로 DSpace 재단[6]을 설립했는데, 이는 리더십과 지원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였다. 2009년 5월, DSpace 재단과 페도라 커먼즈(Fedora Commons) 조직 간의 관련 프로젝트 협업과 시너지 효과 증대로 인해 두 조직은 듀라 스페이스(DuraSpace)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합류했다.[7] 듀라 스페이스와 LYRASIS는 2019년 7월에 합병되었다. 현재 DSpace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커뮤니티는 LYRASIS로부터 리더십과 지침을 받고 있다.

2. 3. DSpace Federation과 DuraSpace

DSpace 커뮤니티 이용자 그룹인 DSpace Federation은 연구기관, 도서관, 정부부처, 기록보존소, 문화유산기관, 기업체 등이 참여하는 유동적인 형태이다. 특정한 가입 방식은 없다. 2006년 6월 5일에 열린 DSpace Governance Advisory Board meeting에서는 DSpace 커뮤니티의 발전을 위한 메커니즘을 세우고 관리 및 기금 조성을 논의하였다.[47] DSpace 커뮤니티는 소프트웨어의 기본 소스 코드를 관리하고 새로운 버전을 개발하여 발표하며, DSpace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학문적 리포지터리의 상호운용을 위한 기능 지원과 표준 적용을 통한 장기 보존을 지원한다.[47] 이용자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더불어 기술상의 문제 해결을 돕는다. 설치 방법과 관련된 기술사항을 비롯하여 실제적 활용 방안까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것이 DSpace를 사용하는 이점이라 할 수 있다.[47]

2004년 3월 첫 번째 사용자 그룹 회의 이후, 관심 있는 기관들이 DSpace 연합[4]을 결성하여 아파치 재단(Apache Foundation)의 커뮤니티 개발 모델을 채택하고 DSpace 커미터 그룹을 설립함으로써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버넌스를 결정했다.[5] 2007년 7월, DSpace 사용자 커뮤니티가 더욱 성장함에 따라 HP와 MIT는 공동으로 DSpace 재단[6]을 설립했는데, 이는 리더십과 지원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였다. 2009년 5월, DSpace 재단과 페도라 커먼즈(Fedora Commons) 조직 간의 관련 프로젝트 협업과 시너지 효과 증대로 인해 두 조직은 듀라스페이스(DuraSpace)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합류했다.[7] 듀라스페이스와 LYRASIS는 2019년 7월에 합병되었다. 현재 DSpace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커뮤니티는 LYRASIS로부터 리더십과 지침을 받고 있다.

3. 기술

DSpace는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과 여러 프로그램, 관련 메타데이터 저장소로 구성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보관, 수집, 검색 및 접근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자산 저장소는 파일 시스템이나 유사한 저장 시스템에서 유지 및 관리된다. 접근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PostgreSQL오라클 사용을 지원한다.[8] DSpace 소장 자료는 주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며, 최신 버전의 DSpace는 패싯 검색 및 아파치 솔라를 사용한 탐색 기능도 지원한다.[9]

자바 및 JSP로 작성되었으며, 자바 서블릿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PostgreSQLOracle을 지원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OAI-PMH 2를 지원한다.

3. 1. 기술적 특징

DSpace는 공유를 우선하는 연구 영역에 적합하다. 메타데이터 지원 여부 및 설치의 까다로움은 약점이지만, 설치가 어려운 만큼 기능이 많다고 볼 수도 있다. 설치뿐만 아니라 등록 과정도 간단하지 않아, 단계별로 등록 과정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personal workspace)을 지원한다. 자료가 입수되면 수정과 검토를 거친 후에 아카이브로 이동할 수 있다. DSpace 관리자는 커뮤니티와 컬렉션을 생성하고 웹 페이지를 수정하며, 메타데이터 관리 및 대량 반출 및 반입을 담당한다. 교육 매체 자원을 지원하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대학 중심의 색채가 강하다.[46]

DSpace의 기술적 특징 중 주목할 만한 점은 이용자 인증, 정보 보호, 암호화 등 보안 관련 항목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Space는 파일 자체를 남기는 비트 방식의 보존과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을 수행하는 기능적 보존을 지원한다. 파일 형식의 수준을 지원 가능, 인식 가능, 지원 불가로 구분하여 기능적 보존을 지원한다. 버전 히스토리 기능은 버그 수정과 버전의 변화 내용 및 개발 방향까지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DSpace는 이 기능에 강하다. 히스토리 기능은 커뮤니티, 컬렉션, 아이템, 이용자 단위에서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등록 과정에서의 생성, 수정, 삭제 등의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46]

DSpace는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과 많은 프로그램, 관련 메타데이터 저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보관, 수집, 검색 및 접근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자산 저장소는 파일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저장 시스템에서 유지 관리된다. 접근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PostgreSQL오라클 사용을 지원한다.[8] DSpace 소장 자료는 주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최신 버전의 DSpace는 패싯 검색 및 아파치 솔라를 사용한 탐색 기능도 지원한다.[9]

자바 및 JSP로 작성되었으며, 자바 서블릿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PostgreSQLOracle을 지원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OAI-PMH 2를 지원한다.

3. 2. 시스템 구조

DSpace는 저장 계층, 내부 처리 계층, 응용 계층의 세 가지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향후 커스터마이징과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API를 가지고 있다.[43]

계층설명
저장 계층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로 운영되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서 구현되었다.[43]
내부 처리 계층워크플로우, 콘텐츠 관리, 운영, 검색 및 브라우즈 모듈을 포함하는 DSpace만의 특징적인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각 모듈은 DSpace를 채택한 기관이 원하는 기능을 교체하거나 확장을 허용하는 API를 보유하고 있다.[43]
응용 계층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괄하는데, 웹 UI(User Interface)와 배치로더(batch loader) 및 OAI 지원, DSpace 아이템(item, 개별 자료)에 영구적 식별자를 부여하는 핸들 서버 등이다.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 운용성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의 웹 서비스를 추가하고 DSpace를 채택한 기관들 간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정의하는 등 향후 업그레이드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43]



DSpace는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과 많은 프로그램, 관련 메타데이터 저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보관, 수집, 검색 및 접근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자산 저장소는 파일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저장 시스템에서 유지 관리된다. 접근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PostgreSQL오라클 사용을 지원한다.[8] DSpace 소장 자료는 주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최신 버전의 DSpace는 패싯 검색 및 아파치 솔라를 사용한 탐색 기능도 지원한다.[9]

자바 및 JSP로 작성되었으며, 자바 서블릿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PostgreSQLOracle을 지원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OAI-PMH 2를 지원한다.

4. 기능

DSpace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10]


  •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 사용자 요구에 맞춰 완벽하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 PDF, Word, JPEG, MPEG, TIFF 파일 등 모든 형식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고 보존한다.
  • 아파치 SOLR 기반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텍스트 콘텐츠 검색을 지원한다.
  • UTF-8을 지원한다.
  • 22개 언어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11]
  • 세분화된 그룹 기반 접근 제어를 지원하며, 개별 파일 수준까지 권한 설정이 가능하다.
  • 구글 학술 검색 인덱싱에 최적화되어 있다.
  • BASE, CORE, OpenAIRE, Unpaywall, WorldCat과 통합된다.[12]

4. 1. 주요 기능

DSpace는 디지털 자원 관리를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을 위한 기초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디지털 보존을 위한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DSpace는 웹 기반 리포지터리겸 커뮤니티 기반의 리포지터리이며 학위논문관리, 전자문서관리, 디지털 보존, 전자출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리포지터리와 수업자료 리포지터리 등을 구축 할 수 있다.[29]

DSpac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40][10]

  • 데이터 관리
  • Data Model - 조직구조를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 구조를 설계한다.
  • Metadata - 콘텐츠의 기술, 관리, 구조를 위한 3가지 메타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 Import & export - 다양한 데이터 형식의 반입과 반출을 위한 일괄적 틀을 제공한다.
  • History - 각 아이템별 데이터 변경 히스토리를 기록한다.
  • 사용자 및 권한 관리
  • E-people & Groups -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및 그룹을 관리한다.
  • Authentication - 인증방식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스택 형식의 인증구조를 채택한다.
  • Authorization - 사용자 그룹과 자원객체 간의 접근권한을 정책에 기반하여 설정한다.
  • 저장 관리
  • Bitstream'Persistent'ID - 아이템 핸들과 유사하게 비트스트림에도 영구적 식별자를 부여한다.
  • SRB Support - 콘텐츠 저장, 관리를 위한 견고한 스토리지 자원 브로커를 지원한다.
  • Checksum Checker - 콘텐츠가 파손되었는가를 검사하는 무결성 체크 틀을 제공한다.
  • 검색/열람
  • Search & Browse - 루씬기반의 전문검색서비스와 다양한 브라우징을 제공한다.
  • 기타 주요 기능[11][12]
  •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사용자 요구에 맞게 완벽하게 사용자 정의 가능
  • 모든 형식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존 (PDF, Word, JPEG, MPEG, TIFF 파일)
  • 아파치 SOLR 기반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텍스트 콘텐츠 검색
  • UTF-8 지원
  • 22개 언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 세분화된 그룹 기반 접근 제어, 개별 파일 수준까지 권한 설정 가능
  • 구글 학술 검색 인덱싱에 최적화됨
  • BASE, CORE, OpenAIRE, Unpaywall, WorldCat와의 통합

4. 2. 핵심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

DSpace는 핵심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핵심 서비스는 온라인 서비스와 운영 관리 서비스로 나뉜다. 온라인 서비스는 논문 제출, 검색, 브라우징, 접근 기능을 제공한다. 운영 관리 서비스는 저작물 수집 및 보존 관리, 커뮤니티 관리 및 지원, 이용자 질의응답, 시스템 모니터링, 백업 등을 제공한다.[37]

부가 서비스로는 전자문서 변환, 메타데이터 서비스, 저장 공간 할당, 이용 통계 보고 등이 있다. 전자문서 변환은 비디지털 콘텐츠 및 포맷 변환을 제공한다. 메타데이터 서비스는 기관 자원 특성에 맞는 메타데이터 상담 및 자문, 메타데이터 생성 및 지원을 제공한다. 저장 공간 할당은 커뮤니티의 요구에 따른 저장 공간을 할당한다. 이용 통계 보고는 이용자 분석, 통계 기능, 최신 주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37]

핵심 서비스는 커뮤니티와 이용자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반면 부가 서비스는 커뮤니티 구성원의 특별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계된 전문 유료 서비스로, 시스템 보완을 요청하는 기관에 한해 제공된다.[37]

DSpac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10]

  •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사용자 요구에 맞게 완벽하게 사용자 정의 가능
  • 모든 형식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존 (PDF, Word, JPEG, MPEG, TIFF 파일)
  • 아파치 SOLR 기반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텍스트 콘텐츠 검색
  • UTF-8 지원
  • 22개 언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11]
  • 세분화된 그룹 기반 접근 제어, 개별 파일 수준까지 권한 설정 가능
  • 구글 학술 검색 인덱싱에 최적화됨
  • BASE, CORE, OpenAIRE, Unpaywall, WorldCat와의 통합[12]

4. 3. 파일 포맷 지원

DSpace는 다양한 파일 포맷을 지원하고 디지털 보존 기술을 통해 저장된 자료를 관리한다. 그러나 모든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DSpace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따른다.[50]

  • 수록된 자료는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
  • 승인된 포맷 파일만 인정한다.
  • 보편적으로 알려진 파일 형식을 지원한다.


파일이 DSpace에 업로드될 때, 파일 포맷 지원 수준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50]

  • Supported (지원): DSpace가 해당 포맷을 인식하고 충분히 지원한다.
  • Known (알려짐): DSpace가 해당 포맷을 인식하지만, 완전한 지원은 보장할 수 없다.
  • Unsupported (지원 안 함): DSpace가 해당 포맷을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포맷은 `application/octet-stream` 또는 `Unknown`으로 표시된다.

4. 4. 콘텐츠 접근

DSpace는 다양한 파일 포맷을 지원하고 디지털 보존 기술을 통해 저장된 자료를 관리한다. 그러나 모든 파일 포맷을 지원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DSpace는 검색 가능한 자료, 승인된 포맷 파일, 보편적으로 알려진 파일 형식을 지원하는 정책을 제시한다.[50] 파일이 DSpace에 업로드될 때마다 다음과 같은 파일 포맷 지원 수준이 표시된다.

  • Supported: DSpace에서 포맷을 인식하고 충분히 구성을 지원한다.
  • Known: DSpace에서 포맷을 인식할 수 있지만 완전한 지원을 보장할 수는 없다.
  • Unsupported: DSpace에서 포맷을 인식할 수 없으며, 'application/octet-stream' 또는 'Unknown'으로 표시된다.


DSpace는 OAI-PMH 상에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에 접근하는 여러 방법을 제공한다. 메타데이터와 원본 파일을 하나의 아카이빙 단위로 결합하여 처리하고, DC XML 표준을 사용하여 대량의 아이템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기능도 지원한다. 또한, 오픈 소스 시스템으로 기관, 회사, 조직, 개인 누구나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설치 시 기관의 요구 사항에 맞게 수정할 수 있고, 다른 시스템과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자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51]

DSpac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10]

  •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사용자 요구에 맞게 완벽하게 사용자 정의 가능
  • 모든 형식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존 (PDF, Word, JPEG, MPEG, TIFF 파일)
  • 아파치 SOLR 기반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텍스트 콘텐츠 검색
  • UTF-8 지원
  • 22개 언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11]
  • 세분화된 그룹 기반 접근 제어, 개별 파일 수준까지 권한 설정 가능
  • 구글 학술 검색 인덱싱에 최적화됨
  • BASE, CORE, OpenAIRE, Unpaywall, WorldCat와의 통합[12]

4. 5. 콘텐츠

DSpace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파일 등 모든 형태의 디지털 자료를 수용한다. DSpace가 수용하는 자료 유형은 다음과 같다.[38]

  • 기사 및 견본 인쇄
  • 기술 보고서
  • 조사 보고서
  • 협상문
  • 전자논문 (E-theses)
  • 데이터 모음
  • 이미지
  • 오디오 파일
  • 비디오 파일
  • 학습 객체
  • 웹 페이지


DSpac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10]

  •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 사용자 요구에 맞게 완벽하게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다.
  • PDF, Word, JPEG, MPEG, TIFF 파일 등 모든 형식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고 보존한다.
  • 아파치 SOLR 기반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텍스트 콘텐츠 검색을 지원한다.
  • UTF-8을 지원한다.
  • 22개 언어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11]
  • 세분화된 그룹 기반 접근 제어를 지원하며, 개별 파일 수준까지 권한 설정이 가능하다.
  • 구글 학술 검색 인덱싱에 최적화되어 있다.
  • BASE, CORE, OpenAIRE, Unpaywall, WorldCat과 통합된다.[12]

5. 운영 및 활용

DSpace 소프트웨어는 리눅스, 솔라리스, 유닉스, 우분투, 윈도우에서 실행된다. OS X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13] 리눅스는 DSpace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다.[14] DSpac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관 저장소 및 기타 저장소의 전체 목록은 오픈 액세스 저장소 레지스트리(ROAR)와 듀라 스페이스 레지스트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21][22]

DSpace를 활용하는 기관은 다음과 같다.

5. 1. 운영 주체

DSpace는 MIT 교수와 연구자들이 연구 자료와 학술 출판물을 보다 복잡한 디지털 형태로 생산하게 되면서, 이들을 수집·보존·색인 및 배포하는 업무를 도서관에 요청하면서 추진되었다. MIT 도서관은 DSpace 시스템 개발을 통해 디지털 연구 성과물과 학술 출판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여 정보 자료의 가시성을 높이고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26]

DSpace는 커뮤니티, MIT 도서관, MIT 행정 부서 간의 협력으로 운영된다. 커뮤니티에서 DSpace 콘텐츠 생산을 담당하고, MIT 도서관은 전체 커뮤니티를 총괄하며 DSpace를 관리, 보존, 배포한다. MIT 행정부서는 자원 관련 지침을 규정하고, DSpace 담당 주체 간의 이해관계, 정책 및 지침 논의, DSpace 개발 절차 등을 중요하게 다룬다.[28]

5. 2. 구축 범위

MIT 도서관은 DSpace 시스템 개발을 통해 디지털 연구성과물과 학술출판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여 정보자료의 가시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였다.[26] 초기에는 교수들의 연구 성과물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연구원들의 성과물 중 유용성이 인정되고 저작권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자료를 포함하였다. 또한 도서관에서도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전자학위 및 지적자산으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컬렉션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였다.[26][30]

DSpace는 각 학과 및 연구소에서 생산되는 학술논문, 책, 회의 보고서, 3D, 사진, 필름, 비디오, 연구 자료 세트 등 폭 넓은 자료를 지원한다.[30] 2010년 9월 현재 45,385여 건의 학술정보가 등록되어 있다.[30] MIT 도서관은 DSpace 콘텐츠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 DSpace에 수록되는 자료는 MIT 교수들에 의해 제안되거나 검증되어야 한다.
  • 교육 또는 연구를 지향하는 자료이어야 한다.
  • 자료는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되어야 하고 배포할 수 있게 완전한 것이어야 한다.
  • 저자 또는 소유자는 자발적으로 DSpace를 통해 자료를 보존하고 배포할 권리를 MIT에 양도해야 한다.
  • 자료가 시리즈의 일부분이라면, 시리즈에 있는 다른 자료 또한 등록해야 하며 DSpace는 가능하면 완전한 세트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30]

5. 3. 정보 모델

DSpace는 MIT 교수와 연구자들이 연구 자료와 학술 출판물을 더 복잡한 디지털 형태로 생산하면서, 이들을 수집, 보존, 색인 및 배포하는 업무를 도서관에 요청하면서 추진되었다. MIT 도서관에서는 DSpace 시스템 개발을 통해 디지털 연구 성과물과 학술 출판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여 정보 자료의 가시성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26]

시스템의 정보 모델은 조직의 "공동체" 개념에 따라 구축되어 있다. 공동체는 각각 독특한 정보 관리 요구를 가지고 있는 기관의 자연스러운 하부 단위를 말한다. 규모가 큰 연구 대학인 MIT의 경우, 공동체는 대학원, 학과, 연구실, 연구소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공동체는 자신의 특별한 요구에 부합하는 컬렉션(collection) 시스템을 채택하고 제출 과정을 독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45]

5. 4. 아이템 등록

DSpace의 처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연구자가 로그인하면 지정된 커뮤니티나 컬렉션으로 접근하고 이 공간에 해당 자료의 메타데이터를 입력한다. 메타데이터 입력 후 원문 파일을 업로드하고, 오픈 액세스에 대한 공개 동의 절차 후 입력 작업은 끝난다. 이 자료는 관리자 승인 후에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관리자 승인 작업에서는 입력된 메타데이터를 수정, 보완하며 저작권 정책 확인을 통해서 원문 서비스 여부도 아울러 검토하게 된다.[44]

DSpace에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은 소속 기관 및 소속 대학의 교수 또는 연구원에게만 부여하거나, 직원과 학생에게까지 확대하여 부여하는 등 각 기관 및 대학의 정책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운영 주체 또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곳에서 중앙집중식으로 운영하거나 해외 타 기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커뮤니티 또는 서브커뮤니티별로 별도의 관리 및 운영자를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에서 중앙집중식으로 운영할 경우 데이터의 품질과 저작권 등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반면 업무 과부하로 등록 자료의 검증 작업이 지연될 소지가 있다. 커뮤니티나 서브커뮤니티별로 운영자를 지정하여 운영할 경우 데이터의 품질과 저작권 등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관리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문제가 대두되는 반면 대량의 자료를 신속하게 아카이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Space에 아이템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회원 가입이 선행되어야 하며, 회원 가입 후 해당 커뮤니티의 관리자로부터 아이템 등록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관리자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으면 부여된 컬렉션에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아이템 등록은 모두 8단계를 거쳐서 진행된다.

단계설명
1등록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컬렉션을 선택하는 단계
2등록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일반적인 사항을 체크하는 단계
3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4아이템의 키워드, 초록, 스폰서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5원문 파일을 업로드하는 단계
6메타데이터 입력 사항에 대한 검증 및 수정 단계
7라이선스 동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8제출 완료 단계.[49]


5. 5. 저작권 정책

DSpace에 등록된 학술정보에 대한 권리는 저자 및 연구자인 교수에게 있고, 등록된 자료에 대한 전자 출판, 번역, 배포 권한은 MIT 도서관에 비독점적 권리로 부여된다. 등록된 연구 저작물은 모두 미국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저작권 관련 자료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된다. 모든 학술정보 내용을 인용할 때는 전자 저널, 소프트웨어, 공연 및 예술 작품, 영화 등의 저작권 정책을 따라야 한다. 저작물 접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 항목을 확인해야 한다.[52]

6. 발전 사례 (한국)

우리나라에서 DSpace를 응용해 국가적 차원에서 처음 기관 리포지터리 시스템을 구축한 기관은 KERIS이다. KERIS는 2003년 대학에서 생산된 지식정보의 공동활용체제 구축을 위하여 '생성 및 유통체계 시스템'인 dCollection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MIT의 DSpace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학술자료구축시스템, 기존변환시스템, 유통시스템, 통합검색시스템,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후 KAIST은 2007년, 서울대학교는 2008년에 DSpace 기반의 기관 리포지터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6. 1. KAIST

KAIST은 2007년 DSpace 기반의 KOASAS(KAIST Open Access Self-Archiving System, [http://koasas.kaist.ac.kr http://koasas.kaist.ac.kr])를 가동하여 오픈 액세스를 지향하는 기관 리포지터리 시스템을 처음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구축된 자료는 주로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논문과 학술대회 발표 논문이다.[35]

6. 2.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는 S-Space(http://s-space.snu.ac.kr)라는 이름으로 DSpace를 운영하여 2008년 12월 22일에 정식 가동하였다.[35] 2009년 11월 말 기준으로 15,189건의 자료가 등록되었으며, 자료 유형은 학술지에 실린 연구논문, 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대학교 내 각종 학회나 기관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및 학위논문이다. Google Analytics를 활용하여 2009년 1월부터 8월까지 이용률을 분석한 결과, 전 세계 122개국 12,150명이 S-Space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 이용률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나아가 인용률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35]

서울대학교는 S-Space를 이용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제시하고 있다.[36]

1) 자료의 기사성 확대: S-Space뿐만 아니라 구글을 통해서도 검색 가능

2) 논문의 인용 횟수 증가: 웹을 통한 공개 이용으로 인용 횟수 증가

3) 지속적인 URL 제공: 각 학술자료에 대한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URL 부여

4) 안전한 보관: 도서관이 학술자료의 보존 및 백업 담당

5) 학과 및 연구소 자료의 홍보: 연구 성과물을 학내 구성원과 공유 및 홍보

7. 장점

DSpace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사용자 커뮤니티 보유: 1000개 이상의 기관에서 DSpace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학술 자료 저장소로 활용된다. 2007년 CLIR 조사에 따르면 기관 저장소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DSpace 사용자가 466명으로 가장 많았다.[39]
  • 자유로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사용, 수정, 통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많은 개발자들이 코드 개선에 참여하고 있다.[39]
  • 모든 유형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존: PDF, Word, JPEG, MPEG, TIFF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하며, 자동 인식 기능을 통해 파일 형식을 관리한다. 사용자들은 인식 불가능한 형식도 등록할 수 있다.[39]
  • 쉬운 설치: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다. Mac OS X, Window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다. DSpace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전 시험 사용도 가능하다.[39]
  •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 고등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박물관, 주 기록 보관소, 도서관, 저널 보관소, 컨소시엄, 상업 회사 등에서도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해 사용한다.[39]
  • 핸들을 이용한 영속적인 식별자 부여: CNRI 핸들 시스템을 통해 각 자료에 고유하고 영구적인 식별자를 부여하여, 자료 검색 및 인용 정보의 유효성을 보장한다. 서울대학교 S-Space의 경우, 'http://hdl.handle.net/10371/5960'과 같이 '10371'은 서울대학교 고유 번호, '5960'은 논문 고유 번호를 나타낸다. 이러한 식별 번호 체계는 특정 커뮤니티나 컬렉션으로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DSpace에 등록된 학술 자료는 핸들 시스템을 통해 DOI처럼 사용할 수 있다.[42]

참조

[1] 웹사이트 LYRASIS and DuraSpace Complete Merger–Members and Community Benefit https://duraspace.or[...] 2019-07-09
[2] 웹사이트 DuraSpace Registry https://duraspace.or[...]
[3] 간행물 DSpace: An Open Source Dynamic Digital Repository http://www.dlib.org/[...] 2003-01
[4] research report Final Report on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DSpace Federation http://msc.mellon.or[...] Mellon 2004-06
[5] 간행물 DSpace Committer Group https://wiki.duraspa[...] Duraspace
[6] press release DSpace Foundation http://www.hp.com/hp[...] Hewlett‐Packard
[7] press release OAI implementers http://www.openarchi[...] Open archives 2009-05
[8] conference Open Repositories http://biecoll.ub.un[...] Uni Bielefeld 2012-06-12
[9] 간행물 DSpace Discovery: Unifying DSpace Search and Browse with Solr http://biecoll.ub.un[...] Uni Bielefeld 2012-06-12
[10] 웹사이트 Functional Overview - DSpace 8.x Documentation - LYRASIS Wiki https://wiki.lyrasis[...]
[11] 웹사이트 dspace-xmlui-lang/src/main/webapp/i18n at main · DSpace/dspace-xmlui-lang https://github.com/D[...]
[12] 웹사이트 Enrich your DSpace repository with customized tools https://www.eifl.net[...] 2020-04-25
[13] 웹사이트 DSpace User Registry {{!}} DuraSpace http://registry.dura[...] 2017-03-01
[14] 웹사이트 Expert tips for setting up and managing a DSpace repository https://eifl.net/new[...] 2020-04-25
[15] 웹사이트 Open Knowledge Repository https://openknowledg[...]
[16] 문서 Apollo https://www.reposito[...]
[17] 웹사이트 DASH Home https://dash.harvard[...]
[18] 웹사이트 DSpace@MIT Home https://dspace.mit.e[...]
[19] 웹사이트 Spiral: Home https://spiral.imper[...] 2018-11-27
[20] 웹사이트 IRIS Home http://apps.who.int/[...]
[21] 웹사이트 Software matches any of "DSpace" -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http://roar.eprints.[...] 2018-11-27
[22] 웹사이트 DuraSpace Registry https://duraspace.or[...] 2020-10-22
[23] 문서 LYRASIS and DuraSpace Complete Merger–Members and Community Benefit https://duraspace.or[...]
[24] 문서 http://dspace.mit.ed[...]
[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roar.eprints.[...] 2012-11-07
[26] 서적 국내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KAIST의 KOASA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7] 서적 국내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KAIST의 KOASA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8]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29]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30]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31]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32] 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33]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34] 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35] 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36] 간행물 도서관연구소 웹진 Vol. 54 http://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2010
[37] 논문 오픈 액세스 레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013-05-05
[38] 논문 주제기반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의 구축 방향 한국정보관리학회 2007
[39] 웹사이트 dspace hp http://www.dspace.or[...]
[40] 논문 리포지터리 최신기술 동향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41] 학위논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42] 학위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43] 학위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44] 학위논문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45] 논문 디지털 도서관의 개방 접근에 관한 연구 2003
[46] 서적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47] 서적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48] 논문 오픈액세스기반 지식정보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 비블리아 학회지 2004
[49] 연구보고서 국내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KAIST의 KOASA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50] 학위논문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2011
[51] 학위논문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2011
[52] 학위논문 대학 기관 리포지터리의 구축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 대학원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