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로리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로리앙은 1926년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2019-20 시즌 리그 2 우승을 차지했다. 2001-02 시즌에는 쿠프 드 프랑스 우승, 쿠프 드 라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02년에는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준우승했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2로 강등되었다. 크리스티앙 구르퀴프는 선수와 감독으로 클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장클로드 다르슈빌 등 다수의 주요 선수를 배출했다. 현재 로익 페리가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올리비에 판탈로니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르타뉴의 스포츠 - 브르타뉴 축구 국가대표팀
브르타뉴 축구 국가대표팀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을 대표하는 비공식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세기 초부터 브르타뉴 XI 축구팀으로 활동하다 1997년 브르타뉴 축구 협회 설립 후 공식 대표팀을 구성하여 비공식 국제 경기를 치르고 있다. - 브르타뉴의 축구단 - 스타드 렌 FC
스타드 렌 FC는 프랑스 렌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그 앙에 50시즌 이상 참가, 쿠프 드 프랑스 3회 우승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리그 앙 상위권 유지와 아프리카 출신 젊은 선수 육성에 힘쓰고 있다. - 브르타뉴의 축구단 - 반 OC
반 OC는 1998년 합병으로 창단되어 5부 리그에서 시작, 리그 2까지 승격하고 쿠프 드 라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재정 위기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2016년 5부 리그로 복귀했으며, 2021년 시티 풋볼 그룹의 파트너 클럽이 되었다. - 리그 1 구단 - AS 생테티엔
프랑스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AS 생테티엔은 1919년 창단하여 리그 1에서 10회 우승, 쿠프 드 프랑스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고, 홈 구장인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를 사용하며 올랭피크 리옹과의 데르비 론알프가 유명하고, 2023-24 시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 리그 1 구단 - 툴루즈 FC
프랑스 툴루즈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인 툴루즈 FC는 1970년 US 툴루즈로 창단되어 197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보라색과 흰색을 팀 컬러로 하며, 2023년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 스타드 드 툴루즈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FC 로리앙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네임 | Football Club Lorient Bretagne Sud |
별칭 | 레 메를뤼(Les Merlus) (메를루사) 르 FCL(Le FCL) 레 탕고 에 누아르(Les tangos et noirs) (주황색과 검은색) |
창단 | 1926년 4월 2일 |
홈구장 | 스타드 뒤 무스투아르 |
수용 인원 | 18,110명 |
구단 운영 | |
구단주 | 로이크 페리(최대 주주) 빌 폴리(소액 주주) |
회장 | 로이크 페리 |
감독 | 올리비에 판탈로니 |
리그 정보 | |
리그 | 리그 되 |
시즌 | 2024-25 시즌 |
순위 | 미정 |
유니폼 정보 | |
![]() | |
![]() | |
![]() |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FC 로리앙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FC 로리앙은 1926년 창단되어 프랑스 축구 리그에서 여러 차례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부침을 겪었다.
1926년 생테티엔 출신의 퀴사르 부인과 아들에 의해 현재와 동명의 아마추어 클럽으로 발족했다. 클럽 컬러인 오렌지와 검정은 창설 당시 부인이 착용했던 옷에서 유래한다. 이후 잠정적으로 프로화된 기간이 있었지만, 1995년에 본격적으로 프로팀이 되었다.
1997-98 시즌에 디비지옹 2(현재의 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1부 리그로 승격했다.
2001-02 시즌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프랑스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3] 프랑스 리그 컵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3] 하지만 리그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3] 이로 인해 다음 시즌에는 리그 2에 소속된 채로 UEFA컵에 출전하는 특이한 경험을 하기도 했다.[3]
이 프랑스 컵 우승 당시, 레미 가이야르가 경기장에 난입하여 선수인 척하며 뛰어다녔다는 해프닝이 있었다.
2006년에 리그 1으로 재승격했다.[3]
2017년에 리그 2로 강등되었다.[4][5]
2. 1. 창단 초기 (1926~1967)
1926년 4월 2일, 생테티엔의 상점 후원자 마담 퀴사르(Madame Cuissard)와 그녀의 아들 조제프(Joseph)가 설립한 '라 마레 스포르티브(La Marée Sportive)'에서 FC 로리앙이 창단되었다.[3] 초기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감독 요제프 로케(Jozef Loquay) 아래에서 아마추어 클럽으로 운영되었으며, 1929년 챔피언 드 루에스트(Champions de l'Ouest)에서 우승하며 브르타뉴 지역 리그인 디비시옹 도뇌르(Division d'Honneur)로 승격했다.[3] 1932년과 1936년에 디비시옹 도뇌르에서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자리매김했다.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선수들이 전쟁에 참전하거나 해외로 이적하면서 클럽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종전 후, 마담 퀴사르의 손자인 앙투안 퀴사르가 할머니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클럽 선수로 합류하여 클럽 재건에 힘썼다. 앙투안 퀴사르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기도 했다. 로리앙은 디비시옹 도뇌르에서 다시 시작하여 1948년 샹피오나 드 프랑스 아마추어(CFA)에 참가했다. 2년간 CFA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디비시옹 도뇌르로 강등되었다. 1957년, CFA로 다시 승격했지만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고전했다. 결국, 클럽은 프로가 되기 위해 스폰서를 찾았고, 1967년 장 토민(Jean Tomine)과 르네 푸제르(René Fougère) 회장의 지휘 아래 프로 전환을 위한 입찰을 했고, 프랑스 리그로부터 디비시옹 2로 선출되었다.
2. 2. 프로 전환과 부침 (1967~1991)
1967년, 장 토민과 르네 푸제르 회장의 주도로 로리앙은 프로 클럽 전환을 추진했고, 프랑스 리그는 로리앙을 디비시옹 2로 승격시켰다.[3] 앙리 뒤카소 신임 회장은 로리앙에 프로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다.1970년대 초반, 로리앙은 디비시옹 2에서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1974-75 시즌과 1975-76 시즌에는 디비시옹 1 승격에 근접했으나, 각각 3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는 디비시옹 3로 강등되었다.[3] 같은 시기 프랑스 FA컵에서 8강에 진출하며 클럽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재정난을 겪으며 1978년 파산했고, "클럽 데 서포터 뒤 FC 로리앙"이라는 이름으로 서포터들이 클럽을 인수하여 프랑스 축구 리그 6부 리그인 디비시옹 쉬페리외르 레지오날에서 명맥을 이어갔다.[3]
1980년대 초, 조르주 그네움이 클럽 회장을 맡았고, 전 로리앙 선수였던 크리스티앙 구르퀴프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구르퀴프 감독의 지휘 아래, 로리앙은 빠르게 성장했다. 1983년, 브르타뉴 디비시옹 도뇌르에서 우승했고, 다음 시즌인 1984년에는 디비시옹 4에서 우승했다. 1985년에는 디비시옹 3에서 우승하며, 8년 만에 디비시옹 2로 복귀했다.[3] 구르퀴프는 디비시옹 2 첫 시즌 이후 팀을 떠났고, 로리앙은 불리한 골득실차로 강등되었다. 이후 5년간 디비시옹 3에서 두 명의 감독을 거쳤다. 1990년 다시 재정난을 겪었지만, 디비시옹 3에 잔류했다. 1991년, 구르퀴프 감독이 복귀했고, 10년 가까이 디비시옹 3에서 활동한 후 샹피오나 나시오날 두 번째 시즌에서 우승하며 디비시옹 2로 승격했다.[3]
2. 3. 구르퀴프 시대와 프로 리그 정착 (1991~2014)
1991년,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감독이 복귀하여 팀을 이끌었다. 10년 가까이 디비시옹 3에 머물렀던 로리앙은 구르퀴프 감독 부임 이후 샹피오나 나시오날 두 번째 시즌에서 우승하며 디비시옹 2로 승격했다.[3]1997-98 시즌에는 챔피언 낭시와 함께 리그를 압도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디비시옹 1(현 리그 1)에 승격했다.[3] 1998-99 시즌 디비시옹 1에서 16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으나, 르 아브르와 승점, 승, 패, 무승부 수가 같았지만 골득실차에서 밀려 강등되었다.[3]
디비시옹 2에서 2시즌 만에 로리앙은 2001-02 시즌에 다시 디비시옹 1으로 복귀했다.[3] 승격 직전 클럽 인수로 인해 내부 문제가 발생했고, 구르퀴프 감독과 울리히 르 팽이 팀을 떠났다.[3] 아르헨티나 출신 감독 앙헬 마르코스가 부임했으나 몇 달 만에 팀을 떠났다.[3]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로리앙은 파스칼 델로메오, 무사 사이브, 요한 카발리, 파페 말리크 디오프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3] 이본 폴리겡 감독의 지휘 아래 장-클로드 다르슈빌, 아르노 르 랑, 세이두 케이타 등이 활약하며 쿠프 드 라 리그 결승에 진출했으나, 보르도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3]

하지만 로리앙은 쿠프 드 프랑스에서 바스티아를 1-0으로 꺾고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메이저 트로피를 획득했다.[3] 장-클로드 다르슈빌이 결승골을 기록했다.[3] 같은 시즌 리그에서는 강등되었다.[3]
2002-03 시즌, 로리앙은 UEFA 컵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터키의 데니즐리스포르에게 원정 다득점으로 패하며 탈락했다.[3]
2006년, 로리앙은 리그 1으로 재승격했다.[3] 클럽은 선수 영입 대신 유소년 시스템을 강화하여 앙드레-피에르 지냑, 비르질 레셋, 제레미 모렐, 디에고 예소 등을 1군으로 승격시켰다.[3] 또한 말리 국가대표 바카리 코네를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3] 리그 1 복귀 후 3시즌 연속 중위권을 기록했다.[3]
2009-10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3] 2009년 10월에는 리그 5위까지 오르기도 했다.[3]
시즌 | 리그 | 순위 | 쿠프 드 프랑스 | 리그 컵 |
---|---|---|---|---|
1995-96 | 디비지옹 2 | 12위 | 7라운드 탈락 | 32강 |
1996-97 | 디비지옹 2 | 9위 | 64강 | 32강 |
1997-98 | 디비지옹 2 | 2위 | 32강 | 32강 |
1998-99 | 디비지옹 1 | 16위 | 64강 | 32강 |
1999-00 | 디비지옹 2 | 13위 | 16강 | 1라운드 탈락 |
2000-01 | 디비지옹 2 | 2위 | 8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2001-02 | 디비지옹 1 | 18위 | 우승 | 준우승 |
2002-03 | 리그 2 | 4위 | 8강 탈락 | 1라운드 탈락 |
2003-04 | 리그 2 | 4위 | 64강 | 32강 |
2004-05 | 리그 2 | 10위 | 7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2005-06 | 리그 2 | 3위 | 32강 | 16강 |
2006-07 | 리그 앙 | 14위 | 64강 | 32강 |
2007-08 | 리그 앙 | 10위 | 16강 | 32강 |
2008-09 | 리그 앙 | 10위 | 16강 | 32강 |
2009-10 | 리그 앙 | 7위 | 64강 | 준결승 탈락 |
2010-11 | 리그 앙 | 11위 | 8강 탈락 | 16강 |
2011-12 | 리그 앙 | 17위 | 64강 | 준결승 탈락 |
2012-13 | 리그 앙 | 8위 | 준결승 탈락 | 32강 |
2013-14 | 리그 앙 | 8위 | 64강 | 3라운드 탈락 |
2. 4. 최근 역사 (2014~현재)
2009-10 시즌에 로리앙은 리그 1에서 7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4]2016-17 리그 1 시즌, 로리앙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리그 2의 ES 트루아에게 합계 2-1로 패하며 11년 만에 리그 2로 강등되었다.[4][5]
2020년 4월 30일, 프랑스 프로축구연맹(LFP)이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으로 리그 1과 리그 2 시즌을 조기 종료하면서, 당시 리그 2 선두였던 로리앙은 리그 1으로 승격되었다.[6]
2023-24 리그 1 시즌, 로리앙은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리그 2로 강등되었다. 시즌 마지막 날, 로리앙은 이미 강등된 클레르몽을 꺾고 강등을 피하기 위해 5골 차 이상 승리해야 하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메스와의 리그 맞대결 성적에서 밀려 2부 리그로 내려가게 되었다.[7]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2002-03 | UEFA컵 | 1라운드 | 데니즐리스포르 | 3-1 | 0-2 | 3-3 (원정 다득점) |
FC 로리앙의 선수 명단은 2022년 9월 22일[13] 기준이며, FIFA 대표 자격 규칙에 따라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진 선수도 있을 수 있다.
3. 선수
번호 포지션 이름 국적 1 GK 비토 만노네 Vito Mannone|비토 마노네it 2 DF 이고르 실바 Igor Silva|이고르 시우바pt 3 DF 몽타사르 탈비 Montassar Talbi|몬타사르 탈비ar 4 DF 크리스랑 마지마 Chrislain Matsima|크리슬랭 마침마프랑스어 6 MF 로랑 아베르젤 Laurent Abergel|로랑 아베르젤프랑스어 7 FW 스테판 디아라 Stéphane Diarra|스테판 디아라프랑스어 8 MF 봉크 이노센트 Bonke Innocent|본케 이노센트영어 9 FW 이부라히마 코네 Ibrahima Koné|이브라히마 코네프랑스어 10 MF 엔조 르 페 Enzo Le Fée|앙조 르페프랑스어 11 FW 당고 와타라 Dango Ouattara|당고 와타라프랑스어 12 DF 다린 용과 Darlin Yongwa|다를랭 용와프랑스어 13 FW 테렘 모피 Terem Moffi|테렘 모피영어 15 DF 줄리앙 라포르트 Julien Laporte|쥘리앵 라포르트프랑스어 17 MF 캉탕 보와갸 Quentin Boisgard|캉탱 부아가르프랑스어 18 MF 바모 메와테 Bamo Meïté|바모 메이테프랑스어 20 DF 사뮈엘 로릭 Samuel Loric|사뮈엘 로리크프랑스어 21 DF 줄리앙 퐁소 Julien Ponceau|쥘리앵 퐁소프랑스어 22 FW 요안 카트린 Yoann Cathline|요안 카틀린프랑스어 24 DF 가데온 카를루 Gédéon Kalulu|게데옹 칼룰루프랑스어 25 DF 뱅상 르 고프 Vincent Le Goff|뱅상 르고프프랑스어 27 FW 아드리앙 굴비치 Adrian Grbić|아드리안 그르비치de 29 FW 시린 드크레 Siriné Doucouré|시리네 두쿠레프랑스어 31 FW 레도안 부르스 Redwan Bourles|레드완 불레프랑스어 37 DF 테오 르 브리 Théo Le Bris|테오 르브리프랑스어 38 GK 이본 음보고 Yvon Mvogo|이본 음보고de 70 MF 아딜 아우시시 Adil Aouchiche|아딜 아우시시프랑스어 77 GK 테디 바르투셰 Teddy Bartouche|테디 바르투슈프랑스어
※ 괄호 안의 국기는 다른 보유 국적을, 별표는 EU 외 선수임을 나타낸다.
3. 1. 현역 선수 명단 (2024년 8월 31일 기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8] 2024년 8월 31일 기준 선수 명단입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뱅자맹 르로이 | 프랑스 |
2 | DF | 이고르 실바 | 브라질 |
3 | DF | 몽타사르 탈비 | 튀니지 |
5 | DF | 뱅자맹 멘디 | 프랑스 |
6 | MF | 로랑 아베르젤 | 프랑스 |
7 | DF | 파노스 카체리스 | 그리스 |
8 | MF | 본케 이노센트 | 나이지리아 |
9 | FW | 모하메드 밤바 | 코트디부아르 |
10 | FW | 파블로 파지 | 프랑스 |
11 | MF | 테오 르 브리스 | 프랑스 |
13 | DF | 포르모스 멘디 | 세네갈 |
15 | DF | 줄리앙 라포르트 | 프랑스 |
17 | MF | 장-빅토르 마켕고 | 프랑스 |
21 | MF | 줄리앙 퐁소 | 프랑스 |
22 | FW | 엘리 주니오르 크루피 | 프랑스 |
23 | MF | 스테판 디아라 | 코트디부아르 |
24 | DF | 게데온 칼룰루 | 콩고 민주 공화국 |
27 | FW | 토신 아이예군 | 베냉 |
28 | FW | 삼부 수마노 | 세네갈 |
30 | GK | 가엘 알레트 | 프랑스 |
32 | DF | 나다니엘 아제이 | 가나 |
38 | GK | 이브 Mvogo | 스위스 |
44 | DF | 다를린 용와 | 카메룬 |
75 | MF | 반디우구 파디가 | 프랑스 |
93 | MF | 조엘 Mvuka | 노르웨이 |
3. 2. 역대 주요 선수
- 앙투안 퀴사르: 클럽 재건에 기여한 선수이자,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3]
-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선수로 활약했다.
- 장클로드 다르슈빌: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활약했으며, 2002년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여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3]
- 세이두 케이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활약했다.
- 바카리 코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활약했다.
- 카림 지아니: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활약했다.
- 앙드레피에르 지냑: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활약했다.
- 스티브 말레: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활약했다.
- 아메드 남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활약했다.
- 파브리스 아브리엘: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활약했다.
- 야지드 만수리: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활약했다.
- 로랑 코시엘니: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활약했다.
- 케빈 가메이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활약했다.
- 뤼도비크 쥘리: 2012년부터 2013년까지 활약했다.
- 뱅자맹 무캉조: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활약했다.
4. 코칭 스태프
제공된 원본 소스에 FC 로리앙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 1982 ~ 1986 |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 1991 ~ 2001 |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 2003 ~ 2014 |
베르나르 카소니 | 2016 ~ 2017 |
미카엘 랑드로 | 2017 ~ 2019 |
크리스토프 펠리시에 | 2019 ~ 2022 |
올리비에 판탈로니 | 2024 ~ |
크리스티앙 구르퀴프는 1982-1986, 1991-2001, 2003-2014 세 차례에 걸쳐 감독을 역임하며 클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 중 하나이다.[10][11] 크리스토프 펠리시에는 2019-2022 리그 2 우승과 리그 1 승격을 이끌었다.
5. 성적
FC 로리앙은 리그 2에서 2019-20 시즌에 우승했다. 쿠프 드 프랑스에서는 2001-02 시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으며, 같은 시즌 쿠프 드 라 리그와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5. 1. 리그
5. 2. 컵 대회
FC 로리앙은 쿠프 드 프랑스에서 2001-02 시즌에 SC 바스티아를 1-0으로 꺾고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번째 주요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3] 같은 시즌 쿠프 드 라 리그 결승전에도 진출했지만, 보르도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3] 2002년에는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준우승했다.[3]
5. 3. 지역 대회
참조
[1]
웹사이트
'#250 – FC Lorient : les Merlus'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1-12-22
[2]
웹사이트
'#364 – FC Lorient : les Tangos et Noirs'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1-12-22
[3]
웹사이트
France - List of Regional Champions 1919-1932
https://www.rsssf.or[...]
2023-06-03
[4]
웹사이트
Troyes promoted to Ligue 1
https://www.beinspor[...]
[5]
웹사이트
French Football League - FC LORIENT BRETAGNE SUD
http://www.ligue1.co[...]
[6]
뉴스
Paris St-Germain awarded French title as season finished early
https://www.bbc.co.u[...]
[7]
웹사이트
Lorient relegated from Ligue 1 despite final-day miracle
https://www.sportsmo[...]
2024-05-19
[8]
웹사이트
L'équipe professionnelle 2024-25
https://www.fclorien[...]
FC Lorient
2024-07-02
[9]
뉴스
Présentation
http://www.fclweb.fr[...]
2011-01-11
[10]
뉴스
France – Trainers of First and Second Division Clubs
https://www.rsssf.or[...]
2011-01-11
[11]
뉴스
Entraîneurs
http://www.fclweb.fr[...]
2011-01-11
[12]
문서
[13]
웹사이트
L'équipe professionnelle 2022-23
https://fclweb.fr/eq[...]
FC Lorient
202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