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F-953 충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F-953 충남함은 대한민국 해군 울산급 호위함 3번함으로, 1984년 한진중공업에서 진수되어 1986년 취역했다. 대함, 대공, 대잠전 수행이 가능하며, 1991년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이듬해 해군 최초 세계 일주를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2017년 퇴역하여 훈련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급 호위함 - FF-958 제주
    FF-958 제주는 대한민국 해군에서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 2022년 퇴역한 초계함이다.
  • 울산급 호위함 - FF-957 전남
    FF-957 전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했던 울산급 호위함으로, 1988년 취역하여 환태평양 훈련에 참가 후 2022년 퇴역, 현재 목포항 북항에 계류 중이다.
  • 1984년 선박 - 노틸
    노틸은 3명을 수용하며 최대 8시간 수중 체류가 가능한 프랑스 소형 잠수정으로, 해저 탐사 및 작업에 활용된다.
  • 1984년 선박 - FF-952 서울
    FF-952 서울은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 2번함으로, 30년간 수도권 서부 해역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림팩 훈련 참가 및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구조 작업 지원 등의 활동 후 퇴역하여 현재 서울함 공원에 박물관으로 전시되어 있으며, 함명은 FFG-821 서울에게 계승되었다.
FF-953 충남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 정보
2013년 3월 키 리졸브 훈련에 참여 중인 FF-953 충남 (왼쪽 맨 앞)
함명충남 (忠南)
함명 유래충남
함 종류호위함
함 번호FF-953
함 급울산급
건조한진
기공1983년 6월 1일
진수1984년 10월 26일 (1984년 9월 14일)
취역1986년 6월 1일 (1985년 7월 1일)
퇴역2017년 12월 27일
상태퇴역
제원
배수량경하: 1,500 t
만재: 2,215 t
길이103.7 m
12.5 m
흘수3.8 m (3.5 m)
추진 방식CODOG
엔진2 x General Electric LM-2500
2 x MTU 12V 956 TB82
속력34 kn (37 노트)
항속 거리8,000 nmi (16 노트 시)
승조원186명 (장교 16명) (약 150명)
센서 및 레이더
레이더Signaal DA-08 대공 감시 레이더
AN/SPS-10C 항해 레이더
ST-1802 화력 통제 레이더
소나Signaal PHS-32 함수 장착 소나
TB-261K 예인 소나
전자전 및 기만기
전자전 장비ULQ-11K ESM/ECM 스위트
채프/플레어 발사기2 x Mark 36 SRBOC 6연장 채프/플레어 발사기
어뢰 음향 대항책2 x 15연장 SLQ-261 어뢰 음향 대항책
무장
함포2 × 오토브레다 /62 구경 함포
4 × Emerson EMERLEC 30 2연장 포탑 (Oerlikon 30 mm/75 KCB 기관포)
어뢰 발사관2 × Mk.32 SVTT 3연장 어뢰 발사관 (Chung Sang Eo 어뢰)
대함 미사일8 × 하푼 Block 1C (2 4연장 발사대) 대함 순항 미사일
대공 미사일미스트랄 (단거리)

2. 개발 배경

199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차세대 연안 함정 건조 계획인 '프리깃 2000'을 세웠지만,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그러나 기어링급 구축함의 퇴역과 노후화된 울산급 호위함 때문에 2000년대 초반에 미래형 호위함 실험으로 알려진 FFX 계획이 부활했다.[1]

3. 건조 및 취역

대한민국 해군충남함은 1984년 10월 26일 한진중공업에서 진수되었고, 1986년 6월 1일 취역했다.

4. 주요 성능 및 제원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결과물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5. 주요 활동

1985년 7월 1일에 실전배치된 울산급 호위함 3번함 충남함은 대함·대공·대잠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1] 1991년 우리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했고, 이듬해에는 해군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하는 등 대양을 누볐다.[1] 전비태세 최우수함, 최우수 포술함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이 있고 해군 함정의 기준을 의미하는 '벤치마크 십'(Benchmark ship) 칭호를 받기도 했다.[1]

6. 퇴역 및 이후

고속 기동을 위해 선체 상부는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제작했는데 균열이 발생하여, 2002년부터 울산급 호위함 전 함정의 상부 구조물에 신축성 연결부를 설치하고, 주갑판과 선체 옆 부분에 보강판을 붙이는 선체 보강 작업도 병행했다. 인천급 호위함대구급 호위함이 실전 배치되면서 2017년 12월 27일에 퇴역했다.[3]

FF-953 충남함1984년 10월 26일 한진중공업에서 진수되었고, 1986년 6월 1일 취역했다. 이후 훈련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2]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FFK Ulsan class Frigate Korea (FFK) https://www.globalse[...] 2021-07-08
[2] 웹사이트 ROKS Chungnam, ROKS Yeosu and ROKS Jinhae decommissioned on Dec 27. - Naval Post- Naval News and Information https://navalpost.co[...] 2017-12-29
[3] 뉴스 국산 1세대 전투함 '충남함' 32년 임무 완수하고 전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