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급 호위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의 노후화와 천안함 피격 사건을 계기로 대잠 및 대공 능력 강화를 위해 개발되었다. 1998년 시작된 차기 호위함 사업(FFX)을 통해 2008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어 2011년 초도함인 인천함을 시작으로 6척이 배치되었다. 국산 장비를 탑재하고 스텔스 설계를 적용했으며, 127mm 함포, 팰렁스 CIWS, 해성 대함 미사일 등을 탑재한다. 필리핀에 수출되었으며, 납품 비리와 부실 시공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급 호위함 - FFG-812 경기
FFG-812 경기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FFX 계획에 따라 건조되어 2013년 진수, 2014년 취역했으며, 주요 작전 및 훈련에 참여했다. - 인천급 호위함 - FFG-811 인천
FFG-811 인천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2011년 진수되어 2013년 취역했으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었다. - 호위함 함급 - 울산급 호위함
자주국방을 목표로 대한민국 해군이 건조한 울산급 호위함은 총 9척이 배치되었으며 함포를 주 무장으로 하였으나 하푼 함대함 미사일을 추가 탑재했고 일부는 퇴역하여 박물관으로, 일부는 현재도 운용 중이다. - 호위함 함급 - 라파예트급 호위함
라파예트급 호위함은 프랑스 해군이 운용하는 스텔스 호위함으로, 스텔스 기술을 적용해 레이더 단면적을 최소화했으며, 프랑스 해군 외에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각국의 요구사항에 맞춰modified 되었다.
인천급 호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종 | 유도탄 호위함 |
건조 | 현대중공업 STX조선해양 |
이전 함급 | 울산급 호위함 포항급 초계함 |
이후 함급 | 대구급 호위함 |
파생 함급 | 호세 리잘급 호위함 |
건조 기간 | 2008년 - 2016년 |
취역 기간 | 2013년 - 현재 |
건조 수량 | 6척 |
계획 수량 | 6척 |
취역 수량 | 6척 |
활동 수량 | 6척 |
제원 | |
배수량 | 2,500톤 (경하) 3,300톤 (만재) |
전장 | 114미터 |
전폭 | 14미터 |
흘수 | 4미터 |
승조원 | 140명 |
추진 체계 | |
방식 | CODOG |
엔진 | MTU 12V 1163 TB83 디젤 엔진 2기 GE LM2500 가스 터빈 엔진 2기 |
속도 | 최대: 30노트 순항: 18노트 |
항속 거리 | 4,500해리 |
무장 | |
함포 | 5인치 (127mm)/L62 구경 Mk 45 Mod 4 1문 |
CIWS | 20mm 팰렁스 CIWS 1문 |
어뢰 | K745 청상어 어뢰용 3연장 어뢰 발사관 2문 |
미사일 | RAM 블록 1 CIWS 1기 SSM-700K 해성 대함 미사일 4연장 8발 해룡 전술 지상 공격 미사일 4연장 8발 |
센서 | |
레이더 | SPS-550K 3차원 대공 탐색 레이더 SPG-540K 사격 통제 레이더 |
소나 | SQS-240K 함수 장착 소나 |
전자 광학 추적 장비 | SAQ-540K EOTS |
전투 관리 시스템 | Naval Shield 통합 전투 관리 시스템 |
전자전 및 대응 | |
전자전 장비 | LIG넥스원 SLQ-200(V)K 소나타 전자전 장비 |
어뢰 음향 대응 | SLQ-261K 어뢰 음향 대응 |
채프/플레어 발사기 | KDAGAIE Mk 2 기만기 발사대 |
항공 | |
탑재기 | 슈퍼 링스 또는 AW159 헬리콥터 |
시설 | 헬리콥터 1대를 위한 비행 갑판 및 격납고 |
2. 건조 배경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울산급 호위함과 그의 경량판인 포항급 초계함은 미국으로부터 받았던 중고 기어링급 구축함의 퇴역으로 인해 운용부담이 증가하여 무리하게 운용하게 되어 운용수명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상부구조물에 균열이 일어나 보강판을 덧대는 공사까지 받게되면서 노후화가 급속도록 진행되었다. 또한 천안함 피격사건은 기존의 연안전력의 충추를 담당한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의 대잠능력의 취약함을 들어냈고 북한과의 각종 대치와 교전에서 대함 미사일 위협은 이들 함정의 거의 전무한 대공능력의 취약함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98년 11월 처음 이들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을 대체하기 위한 소요제기가 제시되었고 이후 차기 호위함 사업은 '''울산급 Batch-II''' 사업이라고 불리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외환위기로 잠시 중단되다가 2001년에 사업이름이 '''FFX''' 사업으로 개칭되어 다시 진행되었다.
2006년 현대중공업과의 기본설계 계약체결 이후, 2008년 건조에 착수하였으며 2011년 4월 초도함인 인천함이 진수되었다.[20] 2016년 11월 11일 6번함인 광주함이 취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6척 배치가 완료되었다.[21]
북방한계선 부근에서 산발하는 무력 충돌이나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과 같은 게릴라전 사건에 대응할 필요성 때문에, 대한민국 해군에게 연안 방비는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1980년대에는 포항급 초계함과 울산급 호위함이 건조되었으나, 2010년대에는 이들 함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1998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더욱 강화되고 발전된 작전 능력을 갖춘 함선으로 이들을 교체할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작된 것이 차기 호위함 사업 (Frigate eXperimental, FFX영어) 계획이며, 해군은 사업 추진을 확정 한 후, 방위사업청과의 협의를 거쳐 개념 설계를 완료하고, 2006년에 현대중공업과 기본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처음에는 3,000톤급 호위함 24척을 건조할 계획이었으나, 계획이 진행됨에 따라 선체 규모가 2,700톤으로 축소되었고, 2008년, 먼저 현대중공업이 제1차 사업으로 2,300톤급 호위함 6척의 상세 설계 및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이로 인해 건조된 것이 본급이다。
대한민국 해군(ROKN)은 원래 37척의 ''울산''급, 포항급, 그리고 동해급 연안 함대를 대체하기 위해 24척의 3,000톤급 호위함을 원했다. 이후 6척의 2,700톤급 함정을 1차 사업으로 건조하기로 결정했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계획은 2,300톤으로 축소되었으며, 1차 사업 함정 수도 6척으로 줄었다. 2차 FFX 사업으로는 8척이 계획되어 있으며, 최종 목표는 20~22척의 호위함 건조이다.[2]
2010년, 첫 번째 FFX 호위함 건조는 현대중공업에 배정되었고, 2011년 4월 동급 1번함인 ROKS ''인천''이 진수되었다. 이 함정은 인천광역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조선인민군 해군과의 지속적인 충돌로 인해 서해 도서를 방어하려는 대한민국 해군의 의지를 나타낸다.
2. 1. 노후 함정 대체 및 연안 방어 강화 필요성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던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은 기어링급 구축함의 퇴역과 노후화로 인해 운용 부담이 커졌고, 천안함 피격사건으로 대잠 능력 및 대공 능력의 취약성이 드러났다.[2] 이에 따라 1998년 11월, 이들 함정을 대체하기 위한 차기 호위함 사업('''울산급 Batch-II''')이 시작되었고, 외환위기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2001년 '''FFX''' 사업으로 재개되었다.[20][21]1980년대에는 북방한계선 부근의 무력 충돌과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 같은 게릴라전에 대응하기 위해 포항급 초계함과 울산급 호위함이 건조되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 이들 함정의 교체가 필요해졌다. 1998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더욱 강화된 작전 능력을 갖춘 함선으로 교체할 방침을 밝혔고, 차기 호위함 사업 (Frigate eXperimental, FFX영어) 계획을 추진, 방위사업청과의 협의를 거쳐 개념 설계를 완료했다.
당초 3,000톤급 호위함 24척 건조 계획은 2,700톤급으로 축소되었고,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2,300톤급으로 다시 축소되었다. 현대중공업은 2006년 기본설계 계약 체결[20] 이후, 2008년 1차 사업으로 6척의 상세 설계 및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2011년 4월, 초도함인 인천함이 진수되었고, 인천광역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이는 조선인민군 해군과의 지속적인 충돌이 있는 서해 도서를 방어하려는 대한민국 해군의 의지를 나타낸다.[2] 2016년 11월 11일 6번함인 광주함이 취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6척 배치가 완료되었다.[21] 2차 FFX 사업으로는 8척이 계획되어 있으며, 최종 목표는 20~22척의 호위함 건조이다.[2]
2. 2. 천안함 피격 사건과 대잠 능력 강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던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은 기어링급 구축함 퇴역 이후 운용 부담 증가와 노후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천안함 피격 사건은 이들 함정의 대잠 능력 부족을 드러냈고, 북한의 대함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공 능력 취약성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998년 11월,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을 대체하기 위한 차기 호위함 사업('''울산급 Batch-II''')이 시작되었으나, 외환위기로 중단되었다가 2001년 '''FFX''' 사업으로 재개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초기 계획은 취소되었으나, 노후화된 함대 문제로 인해 2000년대 초 미래형 호위함 실험(FFX)으로 다시 추진되었다.[2]
2006년 현대중공업과 기본설계 계약을 체결하고, 2008년 건조에 착수하여 2011년 4월 초도함인 인천함이 진수되었다.[20] 인천광역시의 이름을 딴 인천함은 서해 도서를 방어하려는 대한민국 해군의 의지를 보여준다.[2] 2016년 11월 11일, 6번함 광주함이 취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6척 배치가 완료되었다.[21]
2. 3. 사업 추진 과정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은 기어링급 구축함의 퇴역과 노후화로 인해 운용 부담이 증가하고, 상부 구조물 균열 및 천안함 피격사건으로 인한 대잠 능력 부족 문제점이 드러났다.[20] 또한, 북한과의 대치 상황에서 대함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공 능력 취약성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998년 11월,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을 대체하기 위한 차기 호위함 소요가 처음 제기되었고, '울산급 Batch-II' 사업으로 불리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외환위기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2001년 'FFX' 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재개되었다.
2006년 현대중공업과 기본설계 계약이 체결된 후, 2008년 건조에 착수, 2011년 4월 초도함인 인천함이 진수되었다.[20] 인천광역시의 이름을 딴 인천함은 서해 도서를 방어하려는 대한민국 해군의 의지를 나타낸다. 당초 2015년까지 6척의 호위함을 인도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은 지연되어 2013년 1월 17일 해군에 인도되었다.[12] 2016년 11월 11일, 6번함인 광주함이 취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6척 배치가 완료되었다.[21]
대한민국 해군은 3,000톤급 호위함 24척 건조를 원했으나,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2,300톤으로 축소되었고 1차 사업 함정 수도 6척으로 줄었다. 2차 FFX 사업(대구급 호위함)은 8척이 계획되어 있으며, 최종 목표는 20~22척의 호위함 건조이다.[2]
3. 설계
울산급 호위함의 빠른 노후화로 인한 퇴역과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인한 전력 손실, 그리고 주변국들의 군비 증강은 대한민국 해군으로 하여금 호위함 전력의 공백을 메꿀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이에 따라, 해군은 강력한 성능을 가진 소수의 고급 함정보다는 준수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가진 다수의 함정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인천급 호위함은 이러한 해군의 요구에 맞춰 적절한 방공 능력, 대잠 능력, 화력, 그리고 저렴한 가격을 목표로 개발 및 건조되었다. 결과적으로 해군은 필요한 호위함 전력을 빠르게 보충할 수 있었으며, 인천급에서 제기된 다소 부족한 방공 및 대잠 능력은 후속 함급인 대구급 호위함에서 개선되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부터 적용된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현대적인 대공 및 대잠 능력이 전무했던 울산급 호위함이나 포항급 초계함과는 달리 기본적인 개함 방공 능력과 대잠 능력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선형은 중앙 선루형을 채택했으며, 낮은 건현의 주 선체에 스텔스 설계를 적용한 상부 구조물을 조합했다. 전방 돛대 후방에는 기관 흡기구와 굴뚝을 통합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선루 후단부 우현에는 격납고가 설치되어 있고, 바로 뒤 헬리콥터 갑판에는 DCNS제 하푼 그리드 착함 억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개발된 전술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되었으며, 장비의 90% 이상이 국산화되었다. 주 센서로는 국산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3차원 레이더인 SPS-550K가 탑재되었다.[12]
함대함 미사일은 국산 해성(SSM-700K)이 채택되었으며, 4연장 발사관 2기가 탑재되었다. 2017년에는 VLS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현무-3/Hyunmoo-3영어 (천룡/천룡 (미사일)한국어) 개발에 성공했으며, 인천급 호위함에도 탑재될 예정이다.
함포는 기존 호위함 및 초계함보다 강력한 62구경 127mm 단장포(Mk.45 mod.4)가 장착되었지만, CIWS로는 기존 대한민국 해군이 사용하던 골키퍼/Goalkeepernl (30mm 구경) 대신 팰렁스/Phalanx CIWS영어 (20mm 구경)가 채택되었다. 인천급 호위함은 해군에서 매년 선정하는 포술 최우수 전투함의 단골 수상 함정이기도 하다.
3. 1. 스텔스 설계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부터 이어져온 스텔스 설계를 채용하였으며, 건현이 낮은 주 선체에 스텔스 설계를 도입한 상부 구조물을 조합하고 있다. 전방 돛대 후부에는 기관 흡기구와 굴뚝을 일체화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3. 2. 국산 장비 탑재
울산급 호위함의 노후화 및 천안함 사태 등으로 인해 해군은 호위함 전력 보충이 시급했다. 이에 따라 적당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가진 인천급 호위함이 개발 및 건조되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부터 이어져온 스텔스 설계를 채용했으며,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에 비해 개함방공 능력과 대잠 능력이 향상되었다.[12]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된 전술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되었고, 장비의 90% 이상이 국산화되었다. 주 센서로는 국산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3차원 레이더인 SPS-550K가 탑재되었다. 함대함 미사일은 국산 해성(SSM-700K)이 채용되었으며, 4연장 발사관 2기가 탑재된다. 2017년에는 VLS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천룡(현무-3) 개발에 성공하여, 인천급 호위함에도 탑재될 예정이다.
함포는 62구경 127mm 단장포(Mk.45 mod.4)가 사용되었으며, CIWS는 골키퍼(30mm) 대신 팰렁스(20mm)가 채용되었다. 인천급 호위함은 해군에서 매년 선출되는 포술 최우수 전투함의 단골이기도 하다.
3. 3. 헬기 운용 능력
인천급 호위함은 선루 후단부의 우현 측에 격납고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로 뒤의 헬리콥터 갑판에는 DCNS제 하푼 그리드 착함 억류 장치를 갖추고 있다.4. 무장
''인천''급 호위함의 주포는 127mm/L62 Mk. 45 Mod 4 함포이다.[3] 이 함포는 상륙작전에서의 함포 사격 지원 및 함대함 교전에서의 우위를 위해 76mm 함포보다 큰 구경으로 선택되었다.[4] 근접 방어 무장으로는 20mm 팰렁스 CIWS 1문과 RIM-116 롤링 에어프레임 미사일 Block 1 21연장 발사기가 탑재된다. 대잠전 무장으로는 K745 LW ''청상어'' 어뢰가 탑재된다.
함대함 공격 능력은 SSM-700K ''해성'' 장거리 대함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각 미사일은 미국의 하푼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육상 공격 능력은 최근 개발된 전술 함대지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이 미사일은 SSM-700K ''해성''에서 파생되었다. 초기에는 육상 공격 미사일이 배치 2 ''인천''급 함정에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2016년 9월부터 시작된 실용성 연구를 통해 배치 1 함정에도 개조 장착이 가능해져 150-200km 사거리의 전술 미사일로 유연성과 억지력을 강화했다.[5]
4. 1. 함포
''인천''급 호위함의 주포는 127mm/L62 Mk. 45 Mod 4 함포이다.[3] 이 함포는 상륙작전에서의 함포 사격 지원 및 함대함 교전에서의 우위를 위해 76mm 함포보다 큰 구경으로 선택되었다.[4] 근접 방어 무장으로는 20mm 팰렁스 CIWS 1문과 RIM-116 롤링 에어프레임 미사일 Block 1 21연장 발사기가 탑재된다. 대잠전 무장으로는 K745 LW ''청상어'' 어뢰가 탑재된다.함대함 공격 능력은 SSM-700K ''해성'' 장거리 대함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각 미사일은 미국의 하푼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육상 공격 능력은 최근 개발된 전술 함대지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이 미사일은 SSM-700K ''해성''에서 파생되었다. 초기에는 육상 공격 미사일이 배치 2 ''인천''급 함정에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2016년 9월부터 시작된 실용성 연구를 통해 배치 1 함정에도 개조 장착이 가능해져 150-200km 사거리의 전술 미사일로 유연성과 억지력을 강화했다.[5]
4. 2. 근접 방어 무기
인천급 호위함의 근접 방어 무장은 20mm 팰렁스 CIWS 1문과 RIM-116 롤링 에어프레임 미사일 Block 1 21연장 발사기가 탑재된다.[3] 대잠전 무장으로는 K745 LW ''청상어'' 어뢰가 탑재된다.[4]4. 3. 대함/대지 미사일
인천급 호위함의 함대함 공격 능력은 SSM-700K ''해성'' 장거리 대함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각 미사일은 미국의 하푼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5] 육상 공격 능력은 최근 개발된 전술 함대지 미사일에 의해 제공되며, 이 미사일은 SSM-700K ''해성''에서 파생되었다.[5] 초기에는 육상 공격 미사일이 배치 2 ''인천''급 함정에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2016년 9월부터 시작된 실용성 연구를 통해 배치 1 함정에도 개조 장착이 가능해져 150-200km 사거리의 전술 미사일로 유연성과 억지력을 강화했다.[5]4. 4. 대잠 무장
대잠전 무장으로는 K745 LW ''청상어'' 어뢰가 탑재된다.5. 레이다
인천급 호위함은 LIG 넥스원이 개발한 SPS-550K 레이다를 탑재하고 있다. SPS-550K는 3차원 대공 레이다로, 수백km 거리의 항공기를 위치 및 고도까지 탐지 가능하다. 윤영하급에 장착된 SPS-540K 레이다를 기반으로 개량/개발된 AESA레이다다. SMART-S Mk.2 기반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미국제 GaN 소자를 수입하여 개발한 것으로 외형은 SMART-S Mk.2와 비슷하지만 내부 부품은 전혀 다르며 SMART-S Mk.2보다 나중에 개발된 만큼 성능이 더 우수하다.
SPS-550K의 최대 탐지거리는 250km 이상이다. 폭격기 크기의 목표물은 200km, 전투기 크기의 목표물은 150km, RCS 0.1m2 크기의 스텔스 대함 미사일은 60km 거리에서 탐지 가능하다. 해상 및 공중 목표물은 500개까지 탐지할 수 있다.
5. 1. SPS-550K 레이다의 특징
인천급 호위함은 LIG 넥스원이 개발한 SPS-550K 레이다를 탑재하고 있다. SPS-550K는 3차원 대공 레이다로, 수백km 거리의 항공기를 위치 및 고도까지 탐지 가능하다. 윤영하급에 장착된 SPS-540K 레이다를 기반으로 개량/개발된 AESA레이다다. SMART-S Mk.2 기반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미국제 GaN 소자를 수입하여 개발한 것으로 외형은 SMART-S Mk.2와 비슷하지만 내부 부품은 전혀 다르며 SMART-S Mk.2보다 나중에 개발된 만큼 성능이 더 우수하다.SPS-550K의 최대 탐지거리는 250km 이상이다. 폭격기 크기의 목표물은 200km, 전투기 크기의 목표물은 150km, RCS 0.1m2 크기의 스텔스 대함 미사일은 60km 거리에서 탐지 가능하다. 해상 및 공중 목표물은 500개까지 탐지할 수 있다.
6. 동형함
wikitable
함명 | 진수 | 취역 | 제작 |
---|---|---|---|
FFG-811 인천 | 2011년 4월 29일 | 2013년 1월 16일[11] | 현대중공업 |
FFG-812 경기 | 2013년 7월 18일[13] | 2014년 11월 3일 | 현대중공업 |
FFG-813 전북 | 2013년 11월 13일[7] | 2015년 1월 5일 | 현대중공업 |
FFG-815 강원 | 2014년 8월 12일[14] | 2016년 1월 6일 | STX조선해양 |
FFG-816 충북 | 2014년 10월 23일[15] | 2016년 1월 26일 | STX조선해양 |
FFG-817 광주 | 2015년 8월 11일[8] | 2016년 11월 10일 | STX조선해양 |
함명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에서 따왔다.
7. 수출
필리핀 해군측에서 차기 호위함 도입 사업을 진행, 현대중공업의 인천급 호위함을 선택했다.[22] 현대중공업은 필리핀 국방부의 호세 리잘급 호위함 2척의 신형 호위함 획득 요구에 따라 ''인천''급의 변형 모델을 제안했다.[9] 2016년 10월 24일, 방위사업청, 델핀 로렌자나 국방장관, 현대중공업 부사장 정기선 등이 참석한 가운데 2척의 신형 다목적 스텔스 호위함 공급 계약이 체결되었다.[10]
2017년까지 설계를 확정한 후 건조를 진행해 2019년 후반과 2020년 중반에 1척씩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필리핀 해군의 예산 사정으로 무장은 76mm 함포, 저성능의 CIWS등 다운그레이드가 되었다.[22] 2021년 6월 12일에 2번함 안토니오 루나함 작전 배치로 호위함 수출이 완료되었다.[23]
2012년 11월, 이스라엘이 현대중공업과 이스라엘 조선소가 공동으로 건조하는 ''인천''급 호위함 4척 구매 계약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8. 문제점 및 논란
2014년, 대한민국 국군 전체의 납품품 위조 문제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인천급 역시 원래 프랑스산이어야 할 전자 기기 냉각 팬 등이 대만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17] 2015년에는 원래 독일산이어야 할 조타기의 오일 펌프가 한국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또한 수많은 납품품 위조 문제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전 해군 참모총장이 STX 그룹으로부터 7억 원을 수수하고, 본 함급에 동사의 디젤 엔진을 채용하도록 편의를 제공한 혐의로 구속되었다.[18] 같은 해, 「강원」함 건조 과정에서 다수의 부실 시공이 발각되었다. 해당 함의 시험 운행 중 닻이 갑자기 떨어져 함수 음향 탐지기 커버를 파손시켰는데, 이는 원래 2개여야 할 닻을 고정하는 고정 핀이 1개만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함내 배관의 이음매에 필요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관은 용접만으로 접합되어 있었다.[19]
8. 1. 납품 비리
2014년, 대한민국 국군 전체의 납품품 위조 문제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인천급 역시 원래 프랑스산이어야 할 전자 기기 냉각 팬 등이 대만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17] 2015년에는 원래 독일산이어야 할 조타기의 오일 펌프가 한국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또한 수많은 납품품 위조 문제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전 해군 참모총장이 STX 그룹으로부터 7억 원을 수수하고, 본 함급에 동사의 디젤 엔진을 채용하도록 편의를 제공한 혐의로 구속되었다.[18] 같은 해, 「강원」함 건조 과정에서 다수의 부실 시공이 발각되었다. 해당 함의 시험 운행 중 닻이 갑자기 떨어져 함수 음향 탐지기 커버를 파손시켰는데, 이는 원래 2개여야 할 닻을 고정하는 고정 핀이 1개만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함내 배관의 이음매에 필요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관은 용접만으로 접합되어 있었다.[19]8. 2. 부실 시공
2014년, 대한민국 국군 전체의 납품품 위조 문제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인천급 역시 원래 프랑스산이어야 할 전자 기기 냉각 팬 등이 대만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17] 2015년에는 원래 독일산이어야 할 조타기의 오일 펌프가 한국산으로 둔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또한 수많은 납품품 위조 문제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전 해군 참모총장이 STX 그룹으로부터 7억 원을 수수하고, 본 함급에 동사의 디젤 엔진을 채용하도록 편의를 제공한 혐의로 구속되었다.[18] 같은 해, 「강원」함 건조 과정에서 다수의 부실 시공이 발각되었다. 해당 함의 시험 운행 중 닻이 갑자기 떨어져 함수 음향 탐지기 커버를 파손시켰는데, 이는 원래 2개여야 할 닻을 고정하는 고정 핀이 1개만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함내 배관의 이음매에 필요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관은 용접만으로 접합되어 있었다.[19]참조
[1]
논문
13. Incheon class FF / South Korea
2013-08
[2]
웹사이트
Rolls-Royce to supply MT30 Gas Turbines to next three Korean Daegu-class frigates
http://www.rolls-roy[...]
2017-05-27
[3]
웹사이트
Brand-new - naval ships built in 2013
http://www.naval-tec[...]
Naval-technology.com
2014-08-26
[4]
뉴스
해군 차기호위함 '인천함', 29일 울산서 진수
http://media.daum.ne[...]
Segye Ilbo
2011-04-29
[5]
뉴스
S. Korean Navy to arm frigates with tactical ship-to-land missiles
https://www.koreatim[...]
Koreatimes.co.kr
2016-08-21
[6]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Navy commissions First of Class "Incheon" FFX I Frigate
http://www.navyrecog[...]
Navy Recognition
2013-02-27
[7]
웹사이트
Hyundai Heavy Industries launched the 3rd Incheon class frigate ROKS Jeonbuk
http://www.navyrecog[...]
2013-11-14
[8]
웹사이트
Navy launches new frigate Gwangju, 6th in next-generation fleet project
https://www.koreatim[...]
2015-08-11
[9]
웹사이트
South Korean defense manufacturer signifies interest to provide DND's frigate requirements
http://www.pna.gov.p[...]
2013-03-04
[10]
간행물
Philippine Navy's first ever state-of-the-art frigate launched in South Korea
https://dnd.gov.ph/P[...]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2019-05-24
[11]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Navy commissions First of Class "Incheon" FFX I Frigate
http://www.navyrecog[...]
2016-06-02
[12]
웹사이트
Incheon class (FFG-I) Guided Missile Frigate
https://www.seaforce[...]
2021-10-26
[13]
뉴스
두 번째 차기호위함 '경기함' 진수…헬기 탑재
http://www.yonhapnew[...]
聨合ニュース
2013-07-18
[14]
뉴스
韓国海軍 次期護衛艦「江原」進水式=16年に実戦配備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4-08-12
[15]
뉴스
韓国海軍 次期護衛艦「忠北」進水式=16年に実戦配備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4-10-23
[16]
웹사이트
"[권홍우기자의 군사·무기 이야기] 신형 호위함, 대잠능력 이지스 능가"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6-06-02
[17]
뉴스
韓国原発、「欠陥・事故」続出の恐ろしき実態…偽造部品納入は当たり前、放射能漏れ数値は18倍増に修正
https://www.sankei.c[...]
2015-01-02
[18]
뉴스
北朝鮮の潜水艦捕捉 次期護衛艦にも「参謀総長不正」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5-05-24
[19]
뉴스
次期護衛艦「江原」も欠陥=韓国
https://japanese.joi[...]
2015-03-28
[20]
뉴스
해군 차기호위함 '인천함', 29일 울산서 진수
https://v.daum.net/v[...]
2011-04-29
[21]
뉴스
진해군항서 국산 차세대 호위함 '광주함' 취역
http://www.gnmaeil.c[...]
2016-11-11
[22]
뉴스
‘Made in Korea’ 호위함, 필리핀軍의 희망으로 떠올라
https://weekly.donga[...]
2020-04-18
[23]
뉴스
필리핀, 안토니오 루나함 작전 배치...호세 리잘급 2번함
https://news.g-enews[...]
2021-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