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ata (토이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ermata》는 유희열이 토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음반이다. 이소은, 김형중, 김연우, 윤상, 조트리오, 성시경, 이적, 이승환 등 다양한 보컬과 최진우, 박인영, 함춘호 등 여러 음악인이 참여했다. 유희열은 프로듀서로서 믹싱, 보컬, 연주를 담당했으며, Light Cube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앨범에는 타이틀곡 "좋은 사람"을 비롯하여 "Fermata",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면", "소박했던, 행복했던" 등 총 18곡이 수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이의 음반 - Present (토이의 음반)
토이의 세 번째 정규 앨범 《Present》는 유희열이 전곡을 작사, 작곡, 편곡하고 신해철, 조규찬, 이승환 등 다양한 객원 보컬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참여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유희열의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준다. - 토이의 음반 - A NIGHT IN SEOUL
A NIGHT IN SEOUL은 유희열이 작곡, 편곡하고 김연우, 변재원, 윤상 등 다양한 보컬리스트들이 참여한 총 14곡이 수록된 앨범이다. - 일렉트로니카 음반 - Crom's Techno Works
Crom's Techno Works는 신해철이 1999년에 발매한 앨범으로, CD 1에는 기존 곡들이, CD 2에는 리믹스 버전과 데모 버전 등이 수록되었으며, 다양한 음악가와 스태프들이 참여했다. - 일렉트로니카 음반 - Quiet Night
《Quiet Night》는 2014년에 발매된 서태지의 정규 9집 앨범으로, 아이유가 참여한 〈소격동〉을 선공개하고 〈Christmalo.win〉을 리드 싱글로 발매했으며, 컴백 콘서트와 함께 가온 앨범 차트 2위,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6위를 기록했다. - 전자 음악 음반 - MONOCROM
MONOCROM은 신해철과 크리스 샹그리디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락, 테크노에 국악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앨범 《MONOCROM》을 발표하고 수록곡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는 밴드 크래쉬가 리메이크했으며, 크리스 샹그리디는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 전자 음악 음반 - Crom's Techno Works
Crom's Techno Works는 신해철이 1999년에 발매한 앨범으로, CD 1에는 기존 곡들이, CD 2에는 리믹스 버전과 데모 버전 등이 수록되었으며, 다양한 음악가와 스태프들이 참여했다.
Fermata (토이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배경색 | darkkhaki |
음반명 | Toy 5 Fermata |
가수명 | 토이 |
![]() | |
발매년월일 | 2002년 5월 17일 |
구성 | CD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녹음 | 드림 팩토리 스튜디오, 서울 스튜디오, 하나 스튜디오 |
장르 | 팝, 발라드, 클래식, 일렉트로니카, 뉴에이지, 퓨전 재즈, 신스팝, 모던 록, 이지 리스닝 |
언어 | 한국어 |
길이 | 1:17:44 |
유통사 | 유니버설 뮤직 코리아 |
프로듀서 | 유희열 |
이전 음반 | A NIGHT IN SEOUL (1999) |
현재 음반 | Fermata (2002) |
다음 음반 | Thank You (2008) |
2. 수록곡 목록
Fermata영어 앨범의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전곡 모두 유희열이 작곡했다.
총 재생 시간은 77분 44초이다.
각 곡에 참여한 보컬 정보는 '상세 정보'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상세 정보
곡 제목 | 참여 보컬 |
---|---|
Fermata | 이소은, 유희열 |
그대 먼 곳만 보네요 | (〈좋은 사람〉 Prelude) |
좋은 사람 | 김형중 |
내가 남자 친구라면 | 유희열 |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면 | 김연우 |
안녕 이제는 안녕 | 윤정오 |
Complex | 조트리오(조규만, 조규찬, 조규천) |
그 끝엔 너 | 윤상 |
목소리 | 유희열 |
첫사랑 | 최진우, 박인영, 유희열 |
기다립니다 | 조원선(롤러코스터) |
마지막 노래 | 김연우 |
잊진 않았겠죠? | |
소박했던, 행복했던 | 성시경 |
두사람 | |
모두 어디로 간걸까? | 이적 |
좋은 사람 sad story | 이승환 |
미안해 | 유희열 |
이 음반에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했다.[1]
3. 참여
유희열은 프로듀서를 맡았고, Light Cube는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김한구, Dr. Ko, 윤정오가 믹싱을 담당했으며, 이탈리아 Nautilus 스튜디오의 Antonio Baglio가 마스터링을 맡았다.
함춘호(기타), 강수호(드럼), 김광민(피아노) 등 여러 세션 연주자들이 참여했다. 이적, 롤러코스터 등은 코러스로 참여해 곡의 풍성함을 더했다.
장지복, 김원진, 김경환 등이 보조 기술을, 심상원 외 23인이 현악 연주를 담당했다. 서울 스튜디오, 드림 팩토리 스튜디오, 하나 스튜디오에서 녹음과 믹싱이 진행되었다.
김희수, 안성진 등이 앨범 디자인과 사진에 참여해 시각적인 완성도를 높였다. 이 외에도 스타일리스트, 코디네이터, 매니지먼트 등 다양한 스탭들이 앨범 제작을 지원했다.
3. 1. 토이
유희열은 이 음반에서 프로듀서, 믹싱(2번 트랙), 보컬(1, 4, 10, 18번 트랙), 각종 악기 연주(1, 3, 4, 7, 10, 12, 16번 트랙), 컴퓨터 프로그래밍(1, 3, 4, 6, 7, 10, 12, 16~18번 트랙), 피아노 연주(5, 6, 9, 10, 14번 트랙), 현악 편곡(5, 6번 트랙), 멜로디언 연주(10번 트랙), 코러스(11번 트랙), 건반 연주(13번 트랙)를 담당했다.[1]
3. 2. 참여 음악인
참여 음악인 | 역할 |
---|---|
유희열 | 프로듀서, 믹싱(2), 보컬(1, 4, 10, 18), 각종 악기(1, 3, 4, 7, 10, 12, 16), 컴퓨터 프로그래밍(1, 3, 4, 6, 7, 10, 12, 16~18), 피아노(5, 6, 9, 10, 14), 현악 편곡(5, 6), 멜로디언(10), 코러스(11), 건반(13) |
박인영 | 현악 편곡(2, 9, 11, 14, 17) |
함춘호 | 기타(3~5, 7, 9, 12, 13), 멜로디 라인(3) |
강성호 | 코러스(3, 4, 9) |
Light Cube | 각종 악기(1, 3, 4, 7, 10, 12, 16), 컴퓨터 프로그래밍(1, 3, 4, 6, 7, 10, 12, 16) |
김정열 | 베이스 기타(4, 5), 콘트라베이스(15) |
신석철 | 드럼(5) |
Imade Hiroshi | 하모니카(5, 17) |
엄세희 | 바이올린(6) |
김소린 | 첼로(6) |
장효석 | 색소폰(7, 12) |
김광민 | 피아노(8) |
신현권 | 베이스 기타(9, 17) |
강수호 | 드럼(9, 17) |
이상순 | 기타(11) |
최진우 | 베이스(11) |
이도헌 | 드럼(11) |
롤러코스터 | 코러스(11) |
함상욱 | 리코더(13) |
이성렬 | 기타(16, 17) |
이적 | 코러스(16) |
3. 3. 스탭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 〈staff〉목록에서 발췌하였다.[1]역할 | 참여 음악인 | 비고 |
---|---|---|
프로듀서 | 유희열 | 보컬(1, 4, 10, 18), 각종 악기(1, 3, 4, 7, 10, 12, 16), 컴퓨터 프로그래밍(1, 3, 4, 6, 7, 10, 12, 16~18), 피아노(5, 6, 9, 10, 14), 현악 편곡(5, 6), 멜로디언(10), 코러스(11), 건반(13) |
공동 프로듀서 | Light Cube | 각종 악기(1, 3, 4, 7, 10, 12, 16), 컴퓨터 프로그래밍(1, 3, 4, 6, 7, 10, 12, 16) |
현악 편곡 | 박인영 | (2, 9, 11, 14, 17) |
기타 | 함춘호 | (3~5, 7, 9, 12, 13), 멜로디 라인(3) |
코러스 | 강성호 | (3, 4, 9) |
베이스 기타 | 김정열 | (4, 5), 콘트라베이스(15) |
드럼 | 신석철 | (5) |
하모니카 | Imade Hiroshi | (5, 17) |
바이올린 | 엄세희 | (6) |
첼로 | 김소린 | (6) |
색소폰 | 장효석 | (7, 12) |
피아노 | 김광민 | (8) |
베이스 기타 | 신현권 | (9, 17) |
드럼 | 강수호 | (9, 17) |
기타 | 이상순 | (11) |
베이스 | 최진우 | (11) |
드럼 | 이도헌 | (11) |
코러스 | 롤러코스터 | (11) |
리코더 | 함상욱 | (13) |
기타 | 이성렬 | (16, 17) |
코러스 | 이적 | (16) |
3. 3. 1. 기술 스탭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 〈staff〉목록에서 발췌하였다.[1];스탭
- Light Cube - 공동 프로듀서
- 김한구 - 믹싱(1, 6)
- Dr. Ko - 믹싱(3, 4, 7~10, 12, 15~18)
- 윤정오 - 믹싱(5, 11, 13, 14)
- 장지복, 김원진, 김경환 - 보조 기술
- 심상원 외 23인 - 현악
- 녹음, 믹싱 스튜디오 - 서울 스튜디오, 드림 팩토리 스튜디오, 하나 스튜디오
- 장지복, 김정도 - protool 에디트
- Antonio Baglio(Nautilus 스튜디오, 이탈리아) - 마스터링
- 전상진, IO MUSIC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정동인, Toy Music - 프로젝트 프로듀서
- 안성진 with Jam - 사진
- 이정훈, 김태은 - 사진 보조
- 김희수 - 사진, 아트 디렉터, 디자인
- 이우만, 지효섭 - 디자인 보조
- 김효은 - 스타일리스트, 코디네이터(대한민국)
- 김태은, 김현섭 - 코디네이터(이탈리아)
- 최희숙 - Nautilus 스튜디오 편곡
- 정동인, 김영환 - 매니지먼트
- 김상태, 최문용, 김범수, 김영준, 고한석, 이정은, 장윤주 - 뮤직비디오 스탭
3. 3. 2. 디자인 및 사진
참여 | 이름 |
---|---|
사진 | 안성진 with Jam |
사진 보조 | 이정훈, 김태은 |
사진, 아트 디렉터, 디자인 | 김희수 |
디자인 보조 | 이우만, 지효섭 |
3. 3. 3. 기타 스탭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 〈staff〉목록에서 발췌하였다.[1]스탭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