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춘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춘호는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로, 1979년 듀엣 활동을 시작하여 1984년 포크 록 그룹 시인과 촌장에 합류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시인과 촌장의 앨범 《푸른 돛》에서 독창적인 기타 연주를 선보이며 주목받았고, 1980년대 중후반부터는 조용필, 송창식, 이문세, 김광석, 신승훈 등 수많은 유명 가수들의 음반 작업과 공연에 세션 연주자로 참여했다. 현재는 서울신학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연주자협회 회장, 기독음악인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재즈 기타 연주자 - 김정배 (음악가)
대한민국의 음악가 김정배는 솔로 앨범 발매, 밴드 활동, OST 참여, 앨범 세션 및 프로듀싱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며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 음반에 작사, 작곡, 편곡으로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재즈 기타 연주자 - 김영광 (음악가)
김영광은 《정든 배》를 작사, 작곡하며 데뷔하여 남진, 나훈아 등 유명 가수의 히트곡을 제작하고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작곡가이자 음반 제작자이다. - 시타르 연주자 - 조지 해리슨
영국의 록 음악가이자 비틀즈의 리드 기타리스트였던 조지 해리슨은 "조용한 비틀"로 불리며 "Something"과 같은 곡들을 작곡했고, 인도 악기 도입, 솔로 활동, 방글라데시 난민 구호 콘서트 개최, 영화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시타르 연주자 - 브라이언 존스
브라이언 존스는 롤링 스톤스의 창립 멤버로, 다양한 악기 연주를 통해 밴드 초기 사운드 구축에 기여했으나 마약 문제와 불화로 탈퇴 후 27세에 익사로 사망했으며 타살설도 제기되는 영국의 음악가이다. - 대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노웅래
노웅래는 MBC 기자 출신으로 언론 개혁과 방송 민주화에 힘쓴 대한민국 정치인이며, 국회의원 4선에 성공하여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쳤으나, 현재는 청탁 대가 금품 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 대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강병원
강병원은 서울대 농경제학과 졸업 후 대우인터내셔널, 노무현 정부 행정관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0대,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환경노동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폭스바겐 재발 방지법',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등 법안 통과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함춘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함춘호 |
| 로마자 표기 | Ham Chun-ho |
| 출생일 | 1961년 8월 5일 |
| 직업 | 기타리스트, 편곡자, 프로듀서, 가수 |
| 장르 | 포크 음악, 어쿠스틱, CCM |
| 악기 | 기타 |
| 활동 시기 | 1980년~ |
| 관련 활동 | 시인과 촌장 야샤 전인권과 함춘호 토이 |
| 종교 | 개신교 |
| 학력 |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실용음악과 석사 |
2. 생애
예원학교에서 성악을 전공하던 중학교 1학년 때 기타를 처음 접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79년, 전인권과 함께 '전인권과 함춘호'라는 듀엣으로 활동하며 대중음악계에 발을 들였다.[1] 1984년 하덕규가 이끌던 포크 록 그룹 시인과 촌장에 합류하여 기타리스트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시인과 촌장 2집 《푸른 돛》 (1986)은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14위에 선정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함춘호는 이 앨범에서 독창적인 기타 연주로 주목받았다.[1]
1980년대 중후반부터는 세션 연주자로 활동하였다.
송창식은 "대한민국의 기타, 함춘호입니다."라고 언급했으며, 유희열은 "그는 나의 영웅이며, 한국 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한 연주자를 한 명 뽑는다면 함춘호라고 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신승훈은 "단순 기타의 장인이 아닌, 말 그대로 음악계 레전드이자 거장"이라고 평가했고, 최백호는 "동시대에 이런 대단한 기타리스트가 존재한다는건 그야말로 행운이다"라고 말했다.[1]
함춘호는 이윤수 2집의 〈먼지가 되어〉 리메이크 버전을 편곡하는등 편곡, 프로듀서, 음악감독으로도 활약했다.[1]
2020년 기준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수로 재직중이며(학과장), 대중음악인 단체인 한국연주자협회 회장과 기독음악인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다.[1]
2. 1. 세션 활동
1980년대 중후반부터 세션 연주자로 활동하며 수많은 유명 가수들의 음반 작업과 공연에 참여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1990년대에는 세션계 최고의 인기를 누렸는데, 유명한 곡에는 모두 함춘호의 기타가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인들과 협업하고 있다.[1]조용필, 송창식, 양희은, 전인권, 이문세, 김광석, 김현식, 이선희, 임재범, 신승훈, 이승철, 김현철, 토이(유희열), 김건모, 이소라, 윤종신, 김동률, 김연우, 김경호, 윤도현, 박효신, 성시경, 백지영, 아이유, 박정현 등 최고의 가수들부터 여러 아이돌까지 수많은 유명 가수들의 음반 세션 및 공연 연주자로 활약했다.[1]
3. 학력
4. 음반
함춘호는 정규 앨범으로 2집 《푸른 돛》, 4집 《The Bridge》를 발매했고, 베스트 앨범으로 《BEST 앨범 1981 ~ 1991》(1991년 발매), 《BEST 앨범》(1997년 발매)을 발매했다. 시인과 촌장의 라이브 앨범 《12년만의 만남 - 시인과 촌장 Live》와 장필순과의 CCM 프로젝트 앨범 《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도 발매했다.[1]
4. 1. 정규 앨범
| 음반명 | 발매일 |
|---|---|
| 2집 《푸른 돛》 | |
| 4집 《The Bridge》 | |
| 《BEST 앨범 1981 ~ 1991》 | 1991년 |
| 《BEST 앨범》 | 1997년 |
| 《12년만의 만남 - 시인과 촌장 Live》 | |
| 장필순&함춘호 CCM 프로젝트《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 |
4. 2. 베스트 앨범
- 《BEST 앨범 1981 ~ 1991》 (1991년 발매)
- 《BEST 앨범》 (1997년 발매)
4. 3. 라이브 앨범
- 시인과 촌장 《12년만의 만남 - 시인과 촌장 Live》
4. 4. 참여 앨범
| 음반명 | 발매 연도 | 비고 |
|---|---|---|
| 2집 《푸른 돛》 | ||
| 4집 《The Bridge》 | ||
| 《BEST 앨범 1981 ~ 1991》 | 1991년 | |
| 《BEST 앨범》 | 1997년 | |
| 《12년만의 만남 - 시인과 촌장 Live》 | ||
| 장필순&함춘호 CCM 프로젝트《그는 항상 내 안에 있네》 | 장필순, 함춘호 |
5. 세션 참여 음반
| 년도 | 가수명 | 곡명 | 앨범 |
|---|---|---|---|
| 1990 | 신승훈 | 《미소 속에 비친 그대》 | |
| 1991 |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 | |
| 1992 | 손지창 | 《손지창 1집》 | |
| 1993 | 신승훈 | 《Shin Seung Hun Vol.3》 | |
| 1994 | 김경호 | 긴이별 | 《KIM KYUNG HO》 |
| 신승훈 | 《그 후로 오랫동안》 | ||
| 김원준 | 《KIM WON JUN 3》 | ||
| 김원준 | 《dear》 | ||
| 1996 | 서지원 | 76-70=LOVE (Duet With 박선주) | 《Tears》 |
| 토이 | 사랑, 집착&중독 내가 너의 곁에 잠시 살았다는 걸 슬픈이야기 23번째 생일 첫 Kiss 어른들을 위한 동화 이사가던 날 | 《YOUHEEYEOL》 | |
| 신승훈 | 《Shin Seung HunⅤ》 | ||
| 1997 | 김경호 | 슬픈 영혼의 아리아 [엘리제] 금지된 사랑 | 《Kim:kyungho 1997》 |
| 토이 | 바램 고백 넌 어떠니?! 외로움 (이혼한 부모님을 가진 아이들에게...) 다시 시작하기 마지막 로맨티스트 | 《Present》 | |
| 김원준 | 《One》 | ||
| 황선영 | 오감도[1] | 《숨겨진 이야기》 | |
| 1998 | 김경호 | 마지막 부를 이름 영원의 성{城} -슬픈 영혼의 아리아II-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 | 《00:00:1998 KYUNG-HO KIM》 |
| 1999 | 김경호 | 1052 아름답게 사랑하는 날까지 -금지된 사랑 II | 《KYUNG-HO KIM IV》 |
| 김장훈 | 잊으러 가는 길 회자정리 (會者定離) 반지 오페라 | 《바보》 | |
| 토이 | A Night In Seoul 거짓말 같은 시간 구애 새벽 그림 혼자있는 시간 못다한 나의 이야기 스케치북 | 《A NIGHT IN SEOUL》 | |
| 유희열 | 《익숙한 그집앞》 | ||
| 2000 | 신승훈 | 《Desire To Fly High》 | |
| god | 거짓말 | 《Chapter 3》 | |
| 보아 | Come To Me 체념 비밀일기 안돼, 난 안돼 차마 I`m Your Lady Tonight 어린 연인 이별준비 먼 훗날 우리 | 《ID; Peace B》 | |
| 신화 | Wedding March | 《Only One》 | |
| 김경호 | 그때가 아닌 지금 | 《Kim kyungho-5th》 | |
| 베이비복스 | 《Why》 | ||
| 박정현 | 아무 말도, 아무것도... | 《Naturally》 | |
| 여러 음악가 | 얼마나 내가 | 《가을동화 OST》 | |
| 2001 | 여러 음악가 | 야야야(그 남자 그 여자 두 번째 닫는 노래) 도와줘(로도스도 전기 OVA 닫는 노래) 봉인(마스터 키튼 닫는 노래) | 《WE 1》 |
| 토이 | 좋은 사람 내가 남자 친구라면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면 Complex 목소리 마지막 노래 잊진 않았겠죠? | 《Fermata》 | |
| 토이 | 《Toy Live》 | ||
| 김조한 | 《2gether 4ever》 | ||
| 김민종 | 언제나 그대 내 곁에 (김현식 트리뷰트 음반의 곡을 재수록) | 《You're My Life》 | |
| 2002 | 성시경 | 사랑해서 슬픈날 Love Letter 슬픔이 슬픔을 사랑이겠죠 | 《Melodie d'AMOUR》 |
| 김완선 | 《S & Remake》 | ||
| god | 기회를 줘 0% | 《Chapter 5: Letter》 | |
| 신승훈 | 사랑해도 헤어질 수 있다면… 널 위한 이별 | 《The Shin Seung Hun》 | |
| 2003 | 김진표 | 유난히 스물 다섯 | 《JP4》 |
| 여러 음악가 | 한국사람(연주곡) | 《Tribute To Kim Hyun Sik》 | |
| 비 | 태양을 피하는 방법 | 《RAIN2》 | |
| 2004 | 김연우 | 연인 우리 처음 만난 날 8211 잘해주지 말걸 그랬어 | 《연인》 |
| 2005 | 루시드 폴 | 물이 되는 꿈 삼청동 들꽃을 보라 | 《오, 사랑》 |
| 여러 음악가 | 나의 너를 위해(작은 눈의 요정 슈가 여는 노래) | 《WE 2》 | |
| 김완선 | 《rEturN》 | ||
| 2007 | 토이 | 나는 달 해피엔드 뜨거운 안녕 오늘 서울은 하루종일 맑음 크리스마스 카드 딸에게 보내는 노래 안녕 스무살 | 《Thank You》 |
| 김경호 | 습관 | 《Infinity》 | |
| 2008 | 윤상 | 새벽 | 《YOONSANG SONGBOOK:Play With Him!》 |
| 유희열 | 공원에서 우리 만난적 있나요 즐거운 나의 하루 그럴때마다 에필로그 | 《여름날 (유희열 소품집)》 | |
| 2009 | 김경호 | 《Alive》 | |
| 여러 음악가 | 《토끼와 리저드 OST》 | ||
| 2010 | 윤종신 | 새로고침 빈 고백 | 《行步 2010 YOON JONG SHIN》 |
| 2011 | 유가을 | 가시고기 사랑 ※ 기타가 아닌 우쿨렐레 연주 | 〈가시고기 사랑〉(디지털 싱글) |
| 2017 | 장민호 | 남자는 말합니다 내 이름 아시죠 | 《드라마 (장민호의 음반)》 |
6. 평가 및 영향
함춘호는 독특하고 따뜻한 기타 연주 스타일로 대중음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립했다. 특히 세션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부족했던 시절에 연주자의 위상을 높여준 인물로 평가받는다. 시대를 선도한 그의 연주는 대중음악 기타 연주의 표준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아름다운 기타 톤과 어쿠스틱 감성은 대체 불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1]
송창식은 "대한민국의 기타, 함춘호입니다."라고 평했으며, 유희열은 "그는 나의 영웅이며, 한국 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한 연주자를 한 명 뽑는다면 함춘호라고 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신승훈은 "단순 기타의 장인이 아닌, 말 그대로 음악계 레전드이자 거장"이라고 평가했고, 최백호는 "동시대에 이런 대단한 기타리스트가 존재한다는 건 그야말로 행운이다"라고 말했다.[1]
함춘호는 이윤수 2집의 '먼지가 되어' 리메이크 버전을 비롯한 여러 음반의 편곡을 맡았고, 프로듀서, 음악감독으로도 활동하며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