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odlan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loodland는 1987년 앤드루 엘드리치가 이끄는 밴드 시스터즈 오브 머시의 앨범이다. 앨범은 고딕 록과 다크 웨이브를 혼합한 음악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냉전 시대의 불안, 개인적인 갈등, 묵시록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다. 앨범의 수록곡인 "This Corrosion"과 "Dominion" / "Mother Russia"는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영국과 독일에서 골드 인증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너 뮤직 그룹의 음반 - Enya
Enya는 아일랜드 음악가 엔야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으로, BBC 다큐멘터리 《켈트족》 사운드트랙으로 작곡된 곡들을 모아 발매되었으며, 켈트족의 역사와 신화를 주제로 아일랜드어, 웨일스어, 영어 가사를 담고 있다. - 워너 뮤직 그룹의 음반 - Loaded
Loaded는 앨범의 곡 목록을 담은 위키 페이지로, Side One, Side Two 트랙 리스트, 보너스 트랙 포함 앨범 정보, 한국어 제목, LP 수록곡 목록을 상세히 제공한다. - 1987년 음반 - E.S.P. (비지스의 음반)
비지스의 1987년 앨범 E.S.P.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복귀작으로 아리프 마르딘이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You Win Again"을 포함한 히트곡들과 페어라이트 CMI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유럽에서의 성공, 그리고 2백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 1987년 음반 - Spirits Having Flown
Spirits Having Flown은 비지스가 1979년 1월 24일에 발매한 앨범으로, 새터데이 나이트 피버 사운드트랙 이후 2년 만에 발표되었으며, 발매 전 내용 유출로 발매일을 앞당겨 〈Too Much Heaven〉, 〈Tragedy〉, 〈Love You Inside Out〉 등의 싱글을 히트시키며 상업적 성공과 2천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 엘렉트라 레코드 음반 - Tracy Chapman
트레이시 채프먼의 1988년 데뷔 앨범 《Tracy Chapman》은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포크, 블루스, 록의 조화, 그리고 "Fast Car"와 "Talkin' 'bout a Revolution" 같은 대표곡들로 평단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3개 부문을 수상했다. - 엘렉트라 레코드 음반 - Ballbreaker
1995년 발매된 AC/DC의 앨범 《Ballbreaker》는 드러머 필 러드의 복귀와 릭 루빈의 프로듀싱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Floodland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제목 | Floodland |
종류 | 스튜디오 |
가수 | 더 시스터즈 오브 머시 |
발매일 | 1987년 11월 16일 |
녹음 년도 | 1987년 |
장르 | 고딕 록 다크 웨이브 |
길이 | 45분 27초 |
레이블 | 머시풀 릴리즈 |
프로듀서 | 앤드루 엘드리치 래리 알렉산더 짐 스타인먼 |
이전 음반 | First and Last and Always |
이전 음반 발매 년도 | 1985년 |
다음 음반 | Vision Thing |
다음 음반 발매 년도 | 1990년 |
싱글 | |
음반 제목 | Floodland |
종류 | 스튜디오 |
싱글 1 | This Corrosion |
싱글 1 발매일 | 1987년 9월 |
싱글 2 | Dominion |
싱글 2 발매일 | 1988년 2월 |
싱글 3 | Lucretia My Reflection |
싱글 3 발매일 | 1988년 6월 |
커버 이미지 | |
![]() |
2. 배경
1985년 3월, 시스터즈 오브 머시는 데뷔 앨범 ''First and Last and Always'' 발매 후 멤버 간의 불화로 해체 위기를 맞았다.[5][7] 밴드의 프론트맨 앤드루 엘드리치는 ABBA의 "Gimme! Gimme! Gimme!" 커버곡을 싱글로 발매하고 짐 스타인먼을 프로듀서로 영입하려 했으나, 당시 스타인먼의 일정 문제로 무산되었다.[3][4]
앤드루 엘드리치는 함부르크에서 새 앨범을 작곡하기 시작했다.[13] 앨범의 데모는 주로 Casio CZ-101 신디사이저, 어쿠스틱 기타, 새로운 드럼 머신으로 녹음되었다.[14]
밴드 해체 후, 엘드리치는 솔로 앨범을 계획하고 패트리샤 모리슨에게 협업을 제안했다.[6] 그러나 엘드리치는 해체된 밴드의 이름을 유지하는 대신, 더 시스터후드라는 이름으로 제임스 레이가 보컬로 참여한 싱글 "Giving Ground"를 발매했다.[8][9] 이후 머시풀 릴리즈를 통해 ''Left on Mission and Revenge''라는 가칭으로 앤드루 엘드리치의 앨범 발매를 예고했고, 이는 1986년 7월 시스터후드의 ''Gift'' 앨범으로 발매되었다.[9] 이 앨범은 킹스턴 어폰 헐 윌러비의 페어뷰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모리슨은 "Jihad" 트랙에서 스포큰 워드 부분을 담당했다.[9] ''Gift'' 앨범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엘드리치는 RCA Music Limited와의 출판 계약을 잃게 되었다.[9]
3. 녹음
앨범의 시작점은 짐 스타인먼이 프로듀싱하기로 했던 "This Corrosion"이라는 곡이었다.[18] "This Corrosion"과 "Dominion" / "Mother Russia"의 녹음은 1987년 1월 뉴욕에서 시작되었다.[12] 스타인먼과 엘드리치는 맨해튼에 있는 파워 스테이션 스튜디오를 사용했으며, 엔지니어 래리 알렉산더와 함께 작업했다.[21] 스타인먼은 두 곡 모두에서 6명의 백 보컬리스트와 뉴욕 합창 협회의 40명의 멤버를 사용했다.[22][23]
''Floodland''의 나머지 부분은 영국에서 녹음되었다. 엘드리치는 뉴욕에 있는 동안 알렉산더에게 전화를 걸어 그를 공동 프로듀서로 고용했다. 두 사람은 영국으로 건너가 여러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그들은 스톡포트의 스트로베리 스튜디오에서 시간을 보낸 후, 녹음을 마무리하기 위해 배스의 더 울 홀로 옮겨갔다. 앨범의 믹싱은 런던의 AIR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21]
4. 구성
4. 1. 음악
《Floodland》의 음악은 고딕 록과 다크 웨이브의 혼합으로 묘사되었다.[48] 시스터즈 오브 머시의 이전 앨범인 ''First and Last and Always''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녹음되었지만, ''Floodland''는 시퀀서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조립되었다. 엘드리치는 보이에트라 시퀀서 플러스를 사용하여 녹음된 파트를 작업했으며, 야마하 SPX90가 이펙터로 사용되었고, 파트는 컴팩 휴대용 286에 저장되었다. 기타는 엘드리치가 직접 연주했으며, "This Corrosion"의 솔로는 스타인만의 친구인 에디 마르티네즈가 연주했다.[4] 앨범의 드럼 사운드는 Akai S900으로 다양한 드럼 머신에서 샘플링되었다.
4. 2. 가사
''Floodland''의 가사는 냉전 시대의 불안, 개인적인 갈등, 묵시록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다.[34] 앨범의 모든 곡을 쓰고 난 후, 엘드릿치는 물이라는 주제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자신이 이 곡들을 작곡했던 함부르크에 많은 물이 있었던 것과 관련지었다.[20]
두 부분으로 된 오프닝 트랙인 "Dominion" / "Mother Russia"는 셸리의 소네트 오지만디아스(1818)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냉전의 지정학적 갈등을 다루고 있다.[34] 엘드릿치는 1986년 체르노빌 사고 이후 중앙 유럽에서의 경험, 그리고 "미국인에 의한 유럽의 매춘"을 언급하며, 이를 자신의 "미국에 대한 혐오/혐오 관계"의 일부라고 덧붙였다.[26]
"Flood I"과 "Flood II"는 모두 "flood"(홍수)라는 단어를 섹스를 비유하는 데 사용한다. 엘드릿치는 홍수가 자극적인 것이 될 수 있다고 느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 특정한 상황에서만 젖게 된다"고 덧붙였다.[26] "루크레치아 나의 반사"는 엘드릿치가 항상 "루크레치아형 사람"으로 생각해 온 패트리샤를 위한 노래이다.[26]
앨범의 핵심인 "This Corrosion"은 엘드릿치와 그가 이전에 밴드 동료였던 이들이 결성한 미션(Mission)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이 곡의 가사는 허시의 작사 방식을 차용했으며, 엘드릿치는 이를 "진부"하고 "의미 없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는 대부분의 가사가 "따옴표로 생각해야 한다"고 느꼈다.[26] 또한 "This Corrosion"이 가사 시트에서 노래 제목 스타일로 대문자로 표기된 것은 "다른 사람의 노래 제목"이기 때문이며, 허시가 자신에게 유지했던 노래 제목 목록을 회상했다.[4]
"1959"는 엘드릿치의 출생 연도에서 제목을 따온 부분 자전적인 곡으로, "환경적인 것과는 반대로 상속된 순수함"에 관한 것이다.[34] "Driven Like the Snow"는 ''First and Last and Always''의 "Nine While Nine"과 마찬가지로 엘드릿치의 전 여자 친구인 클레어 시어스비에 관한 것이며, "Nine While Nine Part 2"로 언급되기도 한다. 그는 이 곡을 그들의 관계가 왜 무너져야 했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생각했다.[26] "Never Land"에 대해 엘드릿치는 "지구 전체 인구가 우주의 어떤 정의할 수 없는 지점에서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지구를 향해 여행을 시작하는 것"을 상상하며 쓴 곡이라고 설명했다.[26] 엘드릿치가 언급한 가사는 2006년 ''Floodland'' 재발매에 포함될 때까지 미발매된 노래의 12분짜리 전체 버전에서 발견되었다.[60]
5. 발매 및 홍보
1987년 9월 21일, 앤드루 엘드리치가 운영하는 WEA의 자회사인 Merciful Release를 통해 ''Floodland''의 리드 싱글로 "This Corrosion"이 발매되었다.[20] 각 버전에는 곡의 다른 믹스가 포함되었으며, 싱글의 B면은 엘드리치가 직접 제작하고 모든 악기를 연주한 "Torch"였다.[4] 12인치 싱글에는 엘드리치의 시스터후드 곡 "Colours"(1985)의 버전이 추가되었다.[27]
''Floodland''는 1987년 11월 16일에 영국에서, 1988년 1월 11일에 Elektra Records를 통해 미국에서 발매되었다.[29] 비닐, 카세트, CD로 동시 발매되었으며, 카세트 발매에는 "This Corrosion"의 B면인 "Torch"가,[30] CD 발매에는 "Torch"와 "Colours"가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31] 패트리샤 모리슨은 앨범 크레딧에 이름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슬리브에 사진으로 등장했고, 내 슬리브의 "감사" 섹션에서 실제 이름인 앤 레인으로 등장했다.[6]
1987년 12월, "Dominion"의 리믹스가 두 번째 싱글로 발표되었고, 1988년 2월 마지막 주에 발매되었다.[20][34] 핫 초콜릿의 노래 "Emma"(1974)의 커버 버전이 싱글의 일부로 발매되도록 녹음되었다.[34] "Dominion" 뮤직 비디오는 1988년 2월 요르단 도시 페트라에서 촬영되었으며, 요르단에서 촬영된 최초의 뮤직 비디오였다.[36]
앨범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인 "Lucretia My Reflection"의 리믹스는 1988년 5월 27일에 발매되었다.[39] 싱글의 B면은 "Long Train"이었다.[39] 뮤직 비디오는 피터 싱클레어 감독이 봄베이의 면 공장을 포함한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촬영했다.[36][40]
엘드리치는 앨범 홍보를 위한 투어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32] 앨범이 라이브로 연주하기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33] 대신 싱글, 뮤직 비디오 및 텔레비전 출연만으로 ''Floodland''를 홍보하기로 하였다.[16]
6. 평가
《Floodland》는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이 시스터즈 오브 머시의 이전 작품들보다 떨어진다고 평가하며, "우스꽝스럽지만, 적어도 항상 들을 만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This Corrosion"은 "진정한 싱글"이라며 칭찬했다.[69] ''더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밴드의 "침체"를 필즈 오브 더 네필림에 비유하며, 덜 멍청하고 "디스코"와 "고유 명사"로 보완되었다고 평가했다.[70]
시간이 지나면서 《Floodland》는 고딕 록의 걸작으로 재평가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을 "확실한 이정표"라 칭하며, "풍부한 프로덕션"과 "무섭고 영광스러운 가사 이미지"를 칭찬했다. 특히 "Dominion / Mother Russia"는 "장엄하고 광대한 검은 음향 풍경"을 만들었으며, "Flood"와 "1959"는 고딕이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에테르 사운드를, 'This Corrosion'은 이 장르 최고의 노래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71] 스푸트니크뮤직은 "'Floodland'는 밴드의 데뷔 앨범만큼 어둡고 영향력 있거나 집중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앤드루 엘드리치의 놀라운 보컬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훌륭한 앨범"이라고 평가했다.[73] 이후 ''클래식 록''은 10점 만점에 7점으로 평가하였다.[72]
《Floodland》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 예약 판매만으로도 음반 발매 당일 실버 인증을 받았으며, 1988년 3월 11일에는 10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영국 음반 산업 협회(BPI)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독일에서는 1987년 12월 14일 Top 100 앨범 차트에 32위로 진입하여 20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 1993년 《Floodland》는 25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연방 음악 산업 협회(BVMI)로부터 독일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미국에서는 1988년 2월 6일 주에 ''빌보드'' 200에서 174위로 데뷔했다. 이후 1988년 3월 12일 주에 차트에서 6주 동안 머물며 101위로 정점을 찍었다.
6. 1. 비평적 평가
《Floodland》는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이 시스터즈 오브 머시의 이전 작품들보다 떨어진다고 평가하며, "우스꽝스럽지만, 적어도 항상 들을 만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This Corrosion"은 "진정한 싱글"이라며 칭찬했다.[47] ''더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밴드의 "침체"를 필즈 오브 더 네필림에 비유하며, 덜 멍청하고 "디스코"와 "고유 명사"로 보완되었다고 평가했다.[50]시간이 지나면서 《Floodland》는 고딕 록의 걸작으로 재평가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을 "확실한 이정표"라 칭하며, "풍부한 프로덕션"과 "무섭고 영광스러운 가사 이미지"를 칭찬했다. 특히 "Dominion / Mother Russia"는 "장엄하고 광대한 검은 음향 풍경"을 만들었으며, "Flood"와 "1959"는 고딕이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에테르 사운드를, 'This Corrosion'은 이 장르 최고의 노래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41] 스푸트니크뮤직은 "'Floodland'는 밴드의 데뷔 앨범만큼 어둡고 영향력 있거나 집중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앤드루 엘드리치의 놀라운 보컬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훌륭한 앨범"이라고 평가했다.[48] ''피치포크''는 이 앨범을 "고딕 록 걸작"이자 "극적이고 윙크하는 듯한 섬뜩한 음반"이라고 묘사했다.[44] 이후 ''클래식 록'',[51] ''컨시퀀스'',[52] ''스펙트럼 컬처'',[53] ''LA 위클리'',[54] ''트레블''[55] 등 여러 매체에서 필수적인 고딕 록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6. 2. 상업적 성공
《Floodland》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 예약 판매만으로도 음반 발매 당일 실버 인증을 받았으며, 1988년 3월 11일에는 10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영국 음반 산업 협회(BPI)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엘드리치는 《Floodland》가 1989년에 높은 제작비를 회수했다고 밝혔다.[56]엘드리치가 영국 다음으로 밴드의 두 번째로 큰 시장이라고 주장한 독일에서는[56] 1987년 12월 14일 Top 100 앨범 차트에 32위로 진입하여 20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57] 1993년 《Floodland》는 25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연방 음악 산업 협회(BVMI)로부터 독일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미국에서는 1988년 2월 6일 주에 ''빌보드'' 200에서 174위로 데뷔했다.[58] 이후 1988년 3월 12일 주에 차트에서 6주 동안 머물며 101위로 정점을 찍었다.[59]
7. 곡 목록
''Floodland''는 LP, 카세트, CD 등 다양한 포맷으로 발매되었으며, 각 포맷에 따라 수록곡 구성에 차이가 있다.[19] 2006년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재발매 버전이 출시되었다.[60]
제목 | 프로듀서 | 재생 시간 |
---|---|---|
Dominion" / "Mother Russia | 래리 알렉산더, 앤드루 엘드리치/Andrew Eldritch영어, 짐 스타인먼 | 7:00 |
Flood I | 알렉산더, 엘드리치 | 6:22 |
Lucretia My Reflection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57 |
1959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09 |
This Corrosion | 스타인먼 | 9:16 |
Flood II | 알렉산더, 엘드리치 | 6:19 |
Driven Like the Snow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39 |
Never Land (단편) | 알렉산더, 엘드리치 | 2:46 |
제목 | 프로듀서 | 재생 시간 |
---|---|---|
Dominion" / "Mother Russia | 7:00 | |
Flood I | 6:22 | |
Lucretia My Reflection | 4:57 | |
1959 | 4:09 | |
Torch | 엘드리치 | 3:55 |
This Corrosion | 10:55 | |
Flood II | 6:47 | |
Driven Like the Snow | 6:27 | |
Never Land (단편) | 2:55 |
제목 | 프로듀서 | 재생 시간 |
---|---|---|
Dominion" / "Mother Russia | 7:01 | |
Flood I | 6:22 | |
Lucretia My Reflection | 4:57 | |
1959 | 4:09 | |
This Corrosion | 10:55 | |
Flood II | 6:47 | |
Driven Like the Snow | 6:27 | |
Never Land (단편) | 2:55 | |
Torch | 3:55 | |
Colours | 알렉산더, 엘드리치 | 7:23 |
제목 | 작가 | 재생 시간 |
---|---|---|
Never Land (전체 길이 버전) | 엘드리치 | 12:00 |
Emma | Errol Brown, 토니 윌슨 | 6:21 |
7. 1. Vinyl Track Listing
제목 | 프로듀서 | 재생 시간 |
---|---|---|
Dominion" / "Mother Russia | 래리 알렉산더, 앤드루 엘드리치, 짐 스타인먼 | 7:00 |
Flood I | 알렉산더, 엘드리치 | 6:22 |
Lucretia My Reflection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57 |
1959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09 |
7. 1. 1. Side One
(내용 없음)7. 1. 2. Side Two
(내용 없음)7. 2. Cassette Track Listing
제목 | 프로듀서 | 재생 시간 |
---|---|---|
"Dominion" / "Mother Russia" | 래리 알렉산더, 앤드루 엘드리치, 짐 스타인먼 | 7:00 |
Flood I | 알렉산더, 엘드리치 | 6:22 |
Lucretia My Reflection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57 |
1959 | 알렉산더, 엘드리치 | 4:09 |
Torch | 엘드리치 | 3:55 |
7. 2. 1. Side One
(빈칸)7. 2. 2. Side Two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7. 3. CD Track Listing
wikitext''Floodland''의 CD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67]
번호 | 곡명 | 프로듀서 | 길이 |
---|---|---|---|
1 | Dominion" / "Mother Russia | 7:01 | |
2 | Flood I | 6:22 | |
3 | Lucretia My Reflection | 4:57 | |
4 | 1959 | 4:09 | |
5 | This Corrosion | 10:55 | |
6 | Flood II | 6:47 | |
7 | Driven Like the Snow | 6:27 | |
8 | Never Land | 2:55 | |
9 | Torch | 3:55 | |
10 | Colours | 래리 알렉산더, 앤드루 엘드리치 | 7:23 |
총 재생 시간은 60:51이다. 2006년 재발매반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Never Land" (전체 길이 버전)과 에롤 브라운, 토니 윌슨이 작곡한 Emma가 추가되었다.[68]
7. 4. 2006 Reissue Bonus Tracks
2006년 재발매반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엘드리치가 작곡한 "Never Land" (전체 길이 버전)와 에롤 브라운과 토니 윌슨이 작곡한 Emma가 추가되었다.[68] "Never Land"는 12분, "Emma"는 6분 21초 길이이다.[68]8. 참여자
앤드루 엘드리치는 보컬, 작곡, 키보드, 신시사이저,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머신 프로그래밍을 담당했으며, 앨범의 엔지니어링 및 프로듀싱에도 참여했다.[61] 패트리샤 모리슨은 백 보컬로 참여했다.[61]
"닥터 아발란체"는 드럼 머신이다.[61]
기술 스태프로는 래리 알렉산더와 앤드루 엘드리치가 1–4, 6–8번 트랙의 프로듀싱을 맡았고, 짐 스타인먼은 1번과 5번 트랙을 프로듀싱했다.[61]
추가 연주자로는 에디 마르티네즈가 5번 트랙의 기타를 담당했고, 뉴욕 합창단이 1번과 5번 트랙에서 합창 보컬로 참여했다.[62]
9. 차트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