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illette 스타리그 200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illette 스타리그 2004는 2004년 4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개인 리그이다. 질레트가 스폰서로 참여했으며, 대회 명칭에 온게임넷이 빠진 최초의 스타리그이다. 박성준이 저그 종족 최초로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은 대구 EXCO에서 개최되었다.

2. 리그 정보

Gillette영어 스타리그 2004는 2004년 4월 30일부터 2004년 8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스폰서는 질레트(Gillette)였으며, 사용된 캐치프레이즈는 다음과 같다.


  • 남자를 위한 최상의 선택 질레트
  • 내 생애 첫 면도는 질레트와 함께
  • 넘버원은 넘버원다워야 한다 질레트

2. 1. 대회 방식

Gillette영어 스타리그 2004는 예선전을 거쳐 18개 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챌린지리그는 6개 조 풀 리그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는 듀얼 토너먼트로 직행하고, 조 2, 3위는 최종전을 치렀다. 최종 1위 결정전에서는 상위 6명이 풀 리그를 벌여 1위는 스타리그에 자동 진출, 2~6위는 듀얼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듀얼 토너먼트는 6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 2위가 스타리그에 진출했다.

16강은 4개 조 풀 리그로,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8강은 4개 조 3전 2선승제 토너먼트 방식으로 개편되어 최소 2주에서 최대 3주간 경기가 진행되었다. 4강, 3, 4위전 및 결승전은 모두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3. 특이사항


  • 온게임넷 명칭이 빠진 첫 번째 스타리그이다.
  • 이제열 PD가 처음으로 프로듀싱을 맡았다.
  • 저그 선수는 3명(박성준, 박태민, 변은종)만이 진출하여 역대 최소였다. 전통 강호였던 조진락 트리오(조용호, 홍진호, 박경락)는 모두 스타리그 진출에 실패했고, 임요환도 탈락했다.
  • 지난 시즌 우승자인 강민이 16강에서 탈락하면서 우승자 징크스가 발생했다.
  • 박성준은 온게임넷 본선 최단 경기 기록(3분 37초, vs 한동욱)을 세웠다.
  • 조지명식 전에 프리매치(pre-match)를 통해 공식맵을 선정했다.
  • 최초로 네오 버전이 아닌 오리지널 버전 맵(노스탤지아, Nostalgia)이 4시즌 연속 사용되었다.
  • 최초의 역언덕형 맵(레퀴엠, Requiem)이 사용되었다.
  • 온게임넷 2차 맵 공모전 우승작을 공식맵으로 사용하였다.

순위맵 이름제작자
우승Requiem지근영
준우승Serapis Temple고승훈
3위Dual Space조승연


  • 8강 투어는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 8강은 4개조 3전 2선승제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모든 경기가 2:1로 종료되었다.
  • 스타리그 4강 최초로 양쪽 대진 모두 5경기까지 진행되었으며, 4강 및 3, 4위전 모든 경기가 3:2로 종료되었다. (4강 A조: 최연성 vs 박성준, 4강 B조: 나도현 vs 박정석, 3, 4위전: 최연성 vs 나도현)
  • 4강 B조 박정석 vs 나도현 5경기에서 마인 역대박이 발생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4강에서 테란이 모두 탈락했다.
  • 대회 2년 후, 동방신기휠라 광고가 이 대회 오프닝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3. 1. 결승전

Gillette영어 스타리그 2004 결승전은 3시즌 만에 저그가 결승에 진출하여,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초로 저그가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박정석은 프로토스 선수로는 최초로 여름에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결승전은 테란이 없고, 저그와 프로토스 간의 최초의 결승전이었다. 박성준은 기욤 패트리, 김동수, 임요환, 이윤열에 이어 5번째 로열로더로 등극했다. 결승전은 대구 EXCO에서 개최되었으며, 이는 스타리그 최초의 지방 결승전이었다. 초대 가수로는 뜨거운 감자(김C)가 출연했다.

4. 경기 결과

(첫 번째 우승)



16강 조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B조C조D조
강민1승 2패전태규2승 1패나도현2승 1패서지훈2승 1패
최연성3승 0패박성준3승 0패이윤열2승 1패박용욱3승 0패
박정석2승 1패한동욱1승 2패박태민1승 2패변은종1승 2패
이병민0승 3패최수범0승 3패김성제1승 2패김정민0승 3패



2004년 5월 14일 16강 C조 3경기(나도현 vs 박태민)에서 나도현 선수가 경기 직전 실신하는 사태가 발생했으며, 박태민의 재경기 요청으로 해당 경기는 다음 주차로 연기되었다.

4. 1. 진출 선수

Gillette 스타리그 2004는 챌린지리그와 듀얼 토너먼트를 거쳐 선발된 선수들이 참가했다. 챌린지리그에서는 각 조별 경기와 시드 결정전, 결승전을 통해 선수들이 선발되었고, 듀얼 토너먼트에서는 각 조별 경기를 통해 최종 16명의 선수가 선발되었다.

16강 진출 선수는 다음과 같다.

4. 1. 1. 예선 통과자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
이창훈최인규김정민나경보김근백최연성이병민김환중한웅렬
J조K조L조M조N조O조P조Q조R조
조병호전상욱차재욱김선기변길섭박경수이재훈한동욱안기효


4. 1. 2. 챌린지리그

2003년 12월 9일부터 2004년 3월 2일까지 진행된 챌린지리그의 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Match1Match2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김현진조병호김근백이병민조병호이병민김현진김근백김근백조병호
B조이운재김환중최연성나경보최연성이운재나경보김환중이운재나경보
C조서지훈안기효한동욱이창훈서지훈한동욱안기효이창훈한동욱안기효
D조최인규김동진변길섭차재욱변길섭최인규차재욱김동진최인규차재욱
E조전상욱도진광김선기김정민전상욱김선기김정민도진광김선기김정민
F조박성준박경수이재훈한웅렬박경수이재훈박성준한웅렬박경수박성준



챌린지리그 듀얼토너먼트 진출자들의 시드 결정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연성1승 4패
이병민3승 2패
서지훈3승 2패
변길섭4승 1패
전상욱2승 3패
이재훈2승 3패



챌린지리그 결승전에서는 서지훈이 변길섭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챌린지리그를 통해 스타리그에 진출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4. 1. 3. 듀얼 토너먼트

2004년 3월 23일부터 2004년 4월 1일까지 듀얼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Match1Match2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김정민 vs 박경락박용욱 vs 변길섭박용욱 vs 김정민변길섭 vs 박경락김정민 vs 변길섭
B조김성제 vs 나경보최수범 vs 조정현김성제 vs 최수범조정현 vs 나경보최수범 vs 조정현
C조이윤열 vs 조병호이병민 vs 베르트랑이병민 vs 이윤열조병호 vs 베르트랑이윤열 vs 조병호
D조한동욱 vs 박태민조용호 vs 이재훈한동욱 vs 조용호박태민 vs 이재훈박태민 vs 조용호
E조변은종 vs 최인규최연성 vs 성학승최연성 vs 변은종성학승 vs 최인규변은종 vs 성학승
F조박정석 vs 박성준임요환 vs 전상욱박정석 vs 임요환박성준 vs 전상욱박성준 vs 임요환


4. 1. 4. 16강

종족이름
테란8김정민, 나도현, 서지훈, 이병민, 이윤열, 최수범, 최연성, 한동욱
저그3박성준, 박태민, 변은종
프로토스5강민, 김성제, 박용욱, 박정석, 전태규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른다.

A조B조C조D조
강민1승 2패전태규2승 1패나도현2승 1패서지훈2승 1패
최연성3승 0패박성준3승 0패이윤열2승 1패박용욱3승 0패
박정석2승 1패한동욱1승 2패박태민1승 2패변은종1승 2패
이병민0승 3패최수범0승 3패김성제1승 2패김정민0승 3패

5. 사용 맵

이번 스타리그에서는 머큐리, 레퀴엠, 남자 이야기, 노스탤지아 총 4개의 맵이 사용되었다. 모든 맵은 4인용 맵이다.

5. 1. 맵별 전적

종족Gillette MercuryRequiemNamja IyagiNostalgia
인원4444
P vs Z0:10:10:22:1
Z vs T2:21:33:02:1
T vs P3:33:43:41:3
Z vs Z0번0번0번0번
T vs T3번1번1번4번
P vs P0번0번0번1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