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13966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39664는 황백색으로 빛나는 F형 주계열성 또는 준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1.4배, 반경은 약 1.3배, 유효 온도는 약 6,653 켈빈(K)이며, 광도는 태양의 약 3.7배로 추정된다. 나이는 약 3억 년으로 추정되며, 헤르쿨레스자리-거문고자리 어소시에이션이나 β 화가자리 운동성단에 속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별 주변에 파편 원반이 발견되었으며, 이 원반은 83 천문 단위(AU) 지점에서 먼지 밀도가 가장 높고, 109 AU에서 외부 경계가 나타난다. 또한, IRAS 및 스피처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원적외선 초과 및 저온/고온 먼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행성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리자리 - NGC 5822
- 이리자리 - SSSPM J1549-3544
SSSPM J1549-3544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서베이를 통해 발견되어 초기에는 백색 왜성으로 분류되었으나, 스펙트럼 분석 결과 금속 결핍이 특징인 우리 은하 종족 II의 K형 준왜성으로 재분류된 천체이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글리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글리제 천체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HD 139664 | |
---|---|
명칭 | |
명칭 | HD 139664 |
다른 명칭 | HD 139664 오오카미자리 g별 |
관측 정보 | |
기점 | J2000.0 |
별자리 | 이리자리 |
겉보기 등급 | 4.64 |
특징 | |
분광형 | F3/5V |
U-B 색지수 | -0.03 |
B-V 색지수 | +0.413 |
R-I 색지수 | +0.20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7.08 |
고유 운동 (적경) | -168.70 |
고유 운동 (적위) | -265.69 |
연주 시차 | 57.09 |
절대 등급 | 3.57 |
세부 정보 | |
질량 | 1.368 |
반지름 | 1.26 |
온도 | 6704 |
광도 | 3.31 |
자전 속도 | 71.6 |
표면 중력 | 4.29 |
나이 | 1.11 |
잔해 원반 | |
![]() | |
목록 정보 | |
기타 명칭 | B=g Lupi CD=−44° 10310 CPD=−44° 7529 GC=21070 GJ=594 HD=139664 HIP=76829 HR=5825 LTT=6256 NLTT=40843 PPM=320883 SAO=226064 |
2. 특징
(내용 없음)
2. 1. 물리적 특징
HD 139664는 황백색으로 빛나는 단독 F형 주계열성 또는 준거성이다. 스펙트럼형은 F5 IV-V이다. 질량은 태양의 약 1.4배, 반경은 태양의 약 1.3배, 광구면의 유효 온도는 6,653 K 정도이며, 광도는 태양의 3.7배 정도로 추정된다. 나이의 추정치는 1억 년에서 10억 년 이상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3억 년 정도로 추정된다. HD 139664는 헤르쿨레스자리-거문고자리 어소시에이션의 일원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Beta Pictoris moving group|β 화가자리 운동성단eng에 속한다는 설도 있다.2. 2. 나이 및 운동 성단
나이의 추정치는 1억 년에서 10억 년 이상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3억 년 정도로 추정된다. HD 139664는 헤르쿨레스자리-거문고자리 어소시에이션의 일원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Beta Pictoris moving group|β 화가자리 운동성단eng에 속한다는 설도 있다.3. 잔해 원반
HD 139664 주변에서 파편 원반이 관측되었다. 처음에는 적외선 천문 위성 IRAS가 원적외선 영역에서 적외선 초과 현상을 발견하여 별 주위에 먼지가 있음을 시사했다.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의 ACS에 장착된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빛을 산란시키는 파편 원반의 모습이 직접 포착되었다.
관측된 원반은 중심별로부터 약 60 AU에서 109 AU 사이에 분포하는 좁은 띠 모양이며, 이는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와 유사한 구조로 여겨진다. 원반의 먼지 밀도는 약 83 AU 지점에서 가장 높고, 109 AU 지점에는 날카로운 외부 경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좁은 띠 구조와 날카로운 경계는 원반 안쪽이나 바깥쪽에 존재할 수 있는 외계 행성의 중력적 영향이나 궤도 공명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 분석 결과, 이 원반에는 온도가 다른 두 종류의 먼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된 띠 구조의 상대적으로 차가운 먼지이고, 다른 하나는 원반 안쪽에 분포하는 더 따뜻한 먼지이다.
3. 1. 구조 및 구성
HD 139664 주변에서는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의 관측을 통해 원적외선 영역에서 적외선 초과 현상이 발견되어, 별 주위에 먼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처음 알려졌다.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의 ACS에 장착된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한 관측에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산란시키는 파편 원반의 모습이 직접 포착되었다.관측된 파편 원반은 지구에서 볼 때 거의 가장자리(edge-on) 방향으로 보이며, 띠 모양으로 HD 139664를 둘러싸고 있다. 원반의 먼지 밀도는 중심별로부터 약 83 AU 거리에서 가장 높으며, 바깥쪽으로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다가 약 109 AU 거리에서 급격하게 사라지는 날카로운 외부 경계를 가진다. 원반의 안쪽으로는 약 60 AU까지 먼지가 거의 없는 공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이 원반은 폭이 약 20~30 AU 정도로 좁은 띠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와 유사한 구조로 여겨진다. 이렇게 좁은 띠 모양의 원반이 형성된 원인으로는, 원반의 안쪽이나 바깥쪽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외계 행성과의 중력 섭동 또는 궤도 공명에 의해 먼지의 분포가 제한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그래프 관측에서는 중심별의 빛을 가리는 차광 마스크 때문에 원반의 가장 안쪽 영역을 자세히 볼 수 없지만,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얻은 적외선 스펙트럼과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 분석 결과, 이 원반에는 두 가지 온도의 먼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블 망원경이 관측한 산란광 원반을 구성하는 저온 먼지는 온도가 약 50 K이며, 그 총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0.3% 정도로 추정된다. 이와 별개로, 약 80 K 정도의 비교적 고온인 먼지 성분도 존재하며, 이 먼지는 중심별로부터 약 15 AU 부근에 분포하고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0.04% 정도로 예상된다.
3. 2. 온도 및 질량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획득한 적외선 스펙트럼과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 분석 결과, HD 139664 주변에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진 두 종류의 먼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하나는 온도가 약 50,000인 저온 먼지로, 그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0.3%로 추정된다. 이 먼지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된, 중심별로부터 약 60AU에서 109AU 사이에 분포하는 주요 파편 원반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하나는 온도가 약 80,000인 비교적 고온의 먼지 성분이다. 이 먼지는 중심별로부터 약 15AU 부근에 분포하며,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0.04% 정도로 예상된다. 이는 허블 망원경의 코로나그래프 관측에서는 차광 마스크 때문에 직접 관측되지 않은 원반 안쪽 영역에 해당한다.
4. 행성 존재 가능성
HD 139664는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의 관측에서 원적외선 영역에서 적외선 초과 현상이 발견되어, 별 주위 먼지의 존재가 처음 알려졌다.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의 ACS에 탑재된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한 관측에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빛 산란하는 파편 원반의 모습이 실제로 포착되었다.
관측된 원반은 거의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edge-on)에 가까우며, 띠 모양으로 HD 139664를 둘러싸고 있다. 원반의 먼지 밀도는 중심별로부터 약 83 AU 거리에서 가장 높으며, 그 바깥쪽으로는 지수 함수적으로 밀도가 감소하다가 약 109 AU 지점에서 급격하게 사라지는 날카로운 외부 경계를 가진다. 원반의 안쪽은 약 60 AU 이내에 먼지가 거의 없는 공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결과적으로 이 원반은 폭이 약 20~30 AU 정도로 좁은 띠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태양계의 에지워스-카이퍼대와 유사한 구조로 여겨진다.
이렇게 좁은 띠 모양의 원반 구조가 형성된 원인으로는, 원반의 안쪽과 바깥쪽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외계 행성들의 중력적인 영향, 특히 궤도 공명에 의해 먼지의 분포가 제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즉, 원반의 구조 자체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들의 존재를 강력하게 시사한다.
속성 | 값 |
---|---|
종류 | 잔해 원반 |
내부 경계 (근점 추정) | 60 AU |
밀도 최대 지점 | 83 AU |
외부 경계 (원점) | 109 AU |
궤도 경사 | ~90° |
코로나그래프 관측에서는 중심별의 빛을 가리는 차폐 마스크 때문에 원반의 가장 안쪽 영역을 직접 보기 어렵지만,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얻은 적외선 스펙트럼과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 분석 결과는 다른 정보를 제공한다. 이 데이터는 허블 망원경이 관측한 산란광 원반이 주로 저온의 먼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동시에, 그보다 더 안쪽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또 다른 먼지 성분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스피처 망원경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바깥쪽 원반을 구성하는 저온 먼지의 온도는 약 50,000이며, 그 총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0.3% 정도로 추정된다. 반면, 안쪽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고온 먼지의 온도는 약 80,000이며, 중심별로부터 약 15 AU 부근에 분포하고 질량은 지구 질량의 0.04% 정도로 예상된다. 이러한 내부의 따뜻한 먼지 역시 행성계의 존재와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 Lup -- High Proper Motion Star
https://simbad.cds.u[...]
CDS
2023-11-30
[2]
웹사이트
Dusty Planetary Disks Around Two Nearby Stars Resemble Our Kuiper Belt
https://hubblesite.o[...]
STScI
2023-12-02
[3]
간행물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1995-11
[4]
논문
The Geneva-Copenhagen survey of the Solar neighbourhood. Ages, metallicities, and kinematic properties of ∼14 000 F and G dwarfs
2004-05
[5]
논문
Characterization of Dusty Debris Disks: The IRAS and Hipparcos Catalogs
2007-05
[6]
논문
Debris Disk Results from the Gemini Planet Imager Exoplanet Survey's Polarimetric Imaging Campaign
2020-07
[7]
논문
Spitzer IRS Spectroscopy of IRAS-discovered Debris Disks
2006-09
[8]
논문
First Scattered Light Images of Debris Disks around HD 53143 and HD 139664
2006-01
[9]
논문
Probing for Exoplanets Hiding in Dusty Debris Disks: Disk Imaging, Characterization, and Exploration with HST/STIS Multi-roll Coronagraphy
2014-10
[10]
논문
Binaries among Debris Disk Stars
2012-02
[11]
논문
The Nearest Young Moving Groups
2006-06
[12]
논문
First results from a photometric infrared survey for Vega-like disks around nearby main-sequence stars
1996-11
[13]
논문
Solar System Analogs Around IRAS-Discovered Debris Disks
2009-08
[14]
웹사이트
LTT 6256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2011-02-04
[15]
웹사이트
HR 5825
http://webviz.u-stra[...]
CDS
2011-02-04
[16]
문서
실시등급과 시차로부터 구한 값.
[17]
웹사이트
HR 5825
http://webviz.u-stra[...]
CDS
2011-02-04
[18]
웹사이트
HD 139664
http://webviz.u-stra[...]
CDS
2011-02-04
[19]
웹사이트
HD 139664
http://webviz.u-stra[...]
CDS
2011-02-04
[20]
문서
First Scattered Light Images of Debris Disks around HD 53143 and HD 139664, Paul Kalas et al., ''The Astrophysical Journal'' '''637''', #1 (January 2006), p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