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28185 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28185 b는 HD 28185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2001년에 발표되었으며, 공전 주기는 1.04년으로 궤도는 비교적 원형에 가깝다. 최소 질량은 목성의 5.7배 이상이며, 생물권 내에 위치하여 위성계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가스 행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상층 대기에 물의 구름이 있다면 창백한 푸른색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다누스자리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에리다누스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2001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2001년 발견한 외계 행성 - 글리제 876 c
글리제 876 c는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공전하며 글리제 876 b와 궤도 공명 관계를 가지고, 목성 질량의 0.62배 이상인 가스 행성이지만, 모항성이 어두워 생물권 내에 위치하여 거대 위성이 있다면 생명체 존재 가능성도 있다는 외계 행성이다. - 골디락스 존의 목성형 행성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13.8배이고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여 'Majriti'라는 이름을 얻었다. - 골디락스 존의 목성형 행성 - 케플러-16b
케플러-16b는 케플러-1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두 개의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연성 행성이며,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위성을 거느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 HD 28185 b | |
|---|---|
| 기본 정보 | |
![]() | |
| 발견 | Santos 외 |
| 발견 장소 | 라 실라 천문대 |
| 발견 날짜 | 2001년 4월 4일 |
| 발견 방법 | 시선 속도 (CORALIE) |
| 항성 | HD 28185 |
| 궤도 정보 | |
| 궤도 참조 | Feng 2022 |
| 궤도 긴반지름 | 1.035 ± 0.042/0.046 AU |
| 궤도 이심률 | 0.055 ± 0.004/0.003 |
| 공전 주기 | 1.056 ± 0.0002 년 (385.776 일) |
| 근성점 통과 시간 | 2452262.394 ± 3.714/3.315 |
| 근성점 인수 | 356.596 ± 3.495/3.155 도 |
| 반진폭 | 163.657 ± 0.653/0.533 |
| 물리적 특성 | |
| 물리적 특성 참조 | Feng 2022 |
| 질량 | ≥5.837 ± 0.486/0.510 목성 질량 |
| 평형 온도 | 250 K |
| 식별 정보 | |
| 다른 이름 | HIP 20723 b SAO 149631 b BD-10 919 b SD-10 919 b TYC 5317-00733-1 b 2MASS J04262631-1033028 b WISE J042626.37-103303.4 b |
| 위치 정보 | |
| 원기 | J2000.0 |
| 거리 | 129 광년 (39.4 pc) |
| 추가 정보 | |
| 참고 문헌 | Minniti et al. (2009), The Astrophysical Journal, 693, 1424 Jones, B.W., Sleep, P.N., & Underwood, D.R. (2006), The Astrophysical Journal, 649, 1010-1019 |
2. 발견
다른 외계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HD 28185 b는 행성 질량이 어머니 별을 좌우로 흔드는 도플러 효과를 통해서 발견되었다. 2001년 어머니 항성 HD 28185가 383일의 주기로 흔들리고 있음을 감지했고 여기서 적어도 목성 질량의 5.72배에 이르는 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15][16][10][3] 이 행성의 발견은 행성의 중력에 의한 항성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도플러 분광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방법은 도플러 효과에 의한 항성의 스펙트럼 변화로부터 행성의 존재를 추론한다.
HD 28185 b는 다른 외계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행성 질량이 어머니 별을 좌우로 흔드는 도플러 효과를 통해서 발견되었다. 2001년 어머니 항성 HD 28185가 383일의 주기로 흔들리고 있음을 감지했고 여기서 적어도 목성 질량의 5.72배에 이르는 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15][16]
HD 28185 b는 질량이 매우 커서 고체 표면이 없는 거대 가스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이 행성은 항성의 떨림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조성, 온도와 같은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근성점(0.959 AU), 긴반지름(1.031 AU) 및 원성점(1.102 AU)에서의 복사 조도는 지구의 112%, 96.6% 및 84.5%이다.[4]
3. 궤도 및 질량
HD 28185 b의 공전 주기는 1.04년이다. 이심률이 큰 예전 외계 행성들과는 달리 b의 궤도는 상대적으로 원형에 가깝다. b의 이심률은 0.07로 이는 화성과 비슷하다.[17] b의 공전 궤도는 생물권 내에 존재한다.[14]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이 행성의 질량은 최소 목성의 5.7배이다. 그러나 시선 속도법은 지구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공전 궤도 기울기를 관측하는 것으로, 행성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b의 질량은 이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높다.
4. 특징
4. 1. 생명체 존재 가능성
HD 28185 b는 질량이 커서 가스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이 행성은 항성의 떨림을 통해 간접적으로 존재가 밝혀졌기 때문에 반지름, 구성 물질, 표면 온도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수다르스키의 외계 행성의 겉모습 이론에 따르면, b의 상층대기에 물의 구름이 형성된다면 창백한 푸른 빛을 띠는 흰 공처럼 보일 것이다.
HD 28185 b는 생물권 내를 돌고 있다. 따라서 일부 천문학자들은 HD 28185 b가 거느리는 위성계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18] 가스행성이 생명체가 살 환경이 되는지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기조력 시뮬레이션 결과 HD 28185 b는 지구 질량 정도 위성을 수십억 년 동안 안정적으로 거느릴 수 있음이 밝혀졌다.[19] 만약 그런 위성이 존재한다면 액체 물이 존재할 온도가 조성될 것이다. 그러나 처음으로 행성들이 생겨날 때 가스행성 주위에 지구와 같은 크기의 천체가 동시에 생겨날 수 있는지는 검증되지 않았다.[20] 이와는 별개로 가스행성 뒤를 따라다니는 트로이 천체에 작은 행성이 존재한다면, 오랫동안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21] HD 28185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여섯 배 가까이 되므로 상기 시나리오가 발생할 가능성은 현 목성 질량 정도일 경우에 비해 높다.
참조
[1]
논문
Low-Mass Companions for Five Solar-Type Stars From the Magellan Planet Search Program
2009
[2]
논문
Habitability of Known Exoplanetary Systems Based on Measured Stellar Properties
2006
[3]
논문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VI. New long-period giant planets around HD 28185 and HD 213240
http://www.edpscienc[...]
2001
[4]
문서
From Star radius is 1.15 times solar, temperature is 5609 K compared to the [[sun]] 5777 K. Irradiance is given by bolometric luminosity divided by square of distance, flux divided by [[Solar Constant]], ratio relative to Earth.
[5]
웹사이트
Extrasolar Planets with Earth-like Orbits
http://nai.nasa.gov/[...]
2006-07-22
[6]
논문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2002
[7]
논문
A common mass scaling for satellite systems of gaseous planets
2006
[8]
논문
Survey of the stability region of hypothetical habitable Trojan planets
2007
[9]
논문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10]
간행물
Exoplanets: The Hunt Continue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2-12-27
[11]
논문
3D Selection of 167 Substellar Companions to Nearby Stars
2022-08
[12]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http://www.aanda.org[...]
[13]
논문
Low-Mass Companions for Five Solar-Type Stars From the Magellan Planet Search Program
http://iopscience.io[...]
[14]
논문
Habitability of Known Exoplanetary Systems Based on Measured Stellar Properties
[15]
간행물
Exoplanets: The Hunt Continue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2-12-27
[16]
논문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VI. New long-period giant planets around HD 28185 and HD 213240
http://www.edpscienc[...]
2006-04-26
[17]
논문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iopscience.io[...]
[18]
웹인용
Extrasolar Planets with Earth-like Orbits
http://nai.nasa.gov/[...]
2006-07-22
[19]
논문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20]
논문
A common mass scaling for satellite systems of gaseous planets
http://www.nature.co[...]
[21]
논문
Survey of the stability region of hypothetical habitable Trojan plan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