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3166-2:K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3166-2:KP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에 할당된 ISO 3166-2 코드이다. 이 코드는 평양직할시, 라선특별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남포특별시, 개성특별시 등 13개의 행정 구역을 포함한다. 2002년, 2010년, 2017년, 2022년에 걸쳐 코드 변경이 있었으며, 뉴스레터를 통해 변경 사항이 공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특별시
특별시는 특정 도시에 특별한 지위와 권한을 부여하여 운영되는 행정구역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유일하며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동급이지만 시장은 장관급으로 더 높은 지위를 갖는다. - ISO 3166 - ISO 3166-1
ISO 3166-1은 국가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숫자 코드, 알파벳 두 글자(alpha-2), 세 글자(alpha-3) 코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유엔의 통계적 분류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코드가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 ISO 3166 - ISO 3166-2:US
ISO 3166-2:US는 ISO 3166-2 표준의 일부로서 미국의 주, 특별구, 해외 영토에 고유한 하위 행정 구역 코드를 "US-"로 시작하는 형식으로 정의하며, 일부 해외 영토는 ISO 3166-1에서 자체 국가 코드를 갖는다.
ISO 3166-2:KP | |
---|---|
개요 | |
![]() | |
ISO 코드 | |
ISO 3166-1 alpha-2 | KP |
ISO 3166-1 alpha-3 | PRK |
ISO 3166-1 숫자 | 408 |
ISO 3166-2 | |
전체 | ISO 3166-2:KP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ISO 3166-2:KP) | |
KP-01 | 평양직할시 (P'yŏngyang-si) |
KP-02 | 함경남도 (Hamgyŏng-namdo) |
KP-03 | 함경북도 (Hamgyŏng-bukto) |
KP-04 | 황해남도 (Hwanghae-namdo) |
KP-05 | 황해북도 (Hwanghae-bukto) |
KP-06 | 강원도 (Kangwŏn-do) |
KP-07 | 평안남도 (P'yŏngan-namdo) |
KP-08 | 평안북도 (P'yŏngan-bukto) |
KP-09 | 자강도 (Chagang-do) |
KP-10 | 량강도 (Ryanggang-do) |
KP-13 | 라선특별시 (Rasŏn-si) |
2. 행정 구역 코드
ISO에서 발행하는 ISO 3166-2:KP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코드를 정의한다. 이 코드는 9개의 도, 1개의 특별시, 그리고 2개의 직할시(특별시 포함 3개)에 할당되어 있다.
코드 | 행정 구역 | 비고 |
---|---|---|
KP-01 | 평양직할시 | 특별시 |
KP-02 | 평안남도 | 도 |
KP-03 | 평안북도 | 도 |
KP-04 | 자강도 | 도 |
KP-05 | 황해남도 | 도 |
KP-06 | 황해북도 | 도 |
KP-07 | 강원도 | 도 |
KP-08 | 함경남도 | 도 |
KP-09 | 함경북도 | 도 |
KP-10 | 량강도 | 도 |
KP-13 | 라선특별시 | 직할시 |
KP-14 | 남포특별시 | 직할시 |
KP-15 | 개성특별시 | 과거 직할시, 현재는 도에 해당 [1] |
아래 표는 코드, 행정 구역 명칭,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매큔-라이샤워 표기법, 1939년),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KPS 11080:2002), 조선어 표기를 나타낸다.
코드 | 행정 구역 명칭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1939)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KPS 11080:2002) | 조선어 표기 |
---|---|---|---|---|
KP-01 | 평양직할시 | P'yǒngyang | Phyeongyang | 평양직할시 |
KP-02 | 평안남도 | P'yǒngan-namdo | Phyeongannamto | 평안남도 |
KP-03 | 평안북도 | P'yǒngan-bukto | Phyeonganpukto | 평안북도 |
KP-04 | 자강도 | Chagang-do | Jakangto | 자강도 |
KP-05 | 황해남도 | Hwanghae-namdo | Hwanghainamto | 황해남도 |
KP-06 | 황해북도 | Hwanghae-bukto | Hwanghaipukto | 황해북도 |
KP-07 | 강원도 | Kangwǒn-do | Kangweonto | 강원도 |
KP-08 | 함경남도 | Hamgyǒng-namdo | Hamkyeongnamto | 함경남도 |
KP-09 | 함경북도 | Hamgyǒng-bukto | Hamkyeongpukto | 함경북도 |
KP-10 | 량강도 | Yanggang-do | Ryangkangto | 량강도 |
KP-13 | 라선특별시 | Nasǒn | Raseon | 라선특별시 |
KP-14 | 남포특별시 | Namp’o | Nampho | 남포시 |
KP-15 | 개성특별시 | Kaesŏng | Kaeseong | 개성특별시 |
2. 1. 도 (9개)
북한의 최상위 행정 구역에는 도가 있다. ISO 3166-2:KP에는 9개의 도가 등재되어 있으며, 각 도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2. 1. 1. 코드 목록
코드 | 분할 이름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매큔-라이샤워 1939한국어 | 분할 이름 (한국어) KPS 11080:2002한국어 | 분할 이름 (한국어)[1] | 분할 이름 (영어)[2] | 분할 카테고리 |
---|---|---|---|---|---|
KP-04 | 자강도 | 자강도 | 자강도 | Chagang | 도 |
KP-09 | 함경북도 | 함경북도 | 함경북도 | North Hamgyong | 도 |
KP-08 | 함경남도 | 함경남토 | 함경남도 | South Hamgyong | 도 |
KP-06 | 황해북도 | 황해북토 | 황해북도 | North Hwanghae | 도 |
KP-05 | 황해남도 | 황해남토 | 황해남도 | South Hwanghae | 도 |
KP-15 | 개성시 | 개성 | 개성시 | Kaesong | 직할시 |
KP-07 | 강원도 | 강원도 | 강원도 | Kangwon | 도 |
KP-14 | 남포시 | 남포 | 남포시 | Nampo | 직할시 |
KP-03 | 평안북도 | 평안북토 | 평안북도 | North Pyongan | 도 |
KP-02 | 평안남도 | 평안남토 | 평안남도 | South Pyongan | 도 |
KP-01 | 평양직할시 | 평양 | 평양시 | Pyongyang | 특별시 |
KP-13 | 라선시 (현지 변형: 나진 선봉) | 라선 | 라선시 | Rason | 특별 |
KP-10 | 량강도 | 량강토 | 량강도 | Ryanggang | 도 |
2. 2. 특별시 (1개)
북한의 최상위 행정 구역 중 하나는 특별시한국어이며, 수도인 평양이 이에 해당한다.2. 2. 1. 코드 목록
코드 | 분할 이름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매큔-라이샤워영어 1939) | 분할 이름 (한국어) (KPS 11080:2002영어) | 분할 이름 (한국어)[1] | 분할 이름 (영어)[2] | 분할 카테고리 |
---|---|---|---|---|---|
자강도 | 자강도 | 자강도 | Chagang | 도 | |
함경북도 | 함경북도 | 함경북도 | North Hamgyong | 도 | |
함경남도 | 함경남토 | 함경남도 | South Hamgyong영어 | 도 | |
황해북도 | 황해북토 | 황해북도 | North Hwanghae | 도 | |
황해남도 | 황해남토 | 황해남도 | South Hwanghae | 도 | |
개성 | 개성 | 개성시 | Kaesong | 직할시 | |
강원도 | 강원도 | 강원도 | Kangwon | 도 | |
남포 | 남포 | 남포시 | Nampo | 직할시 | |
평안북도 | 평안북토 | 평안북도 | North Pyongan | 도 | |
평안남도 | 평안남토 | 평안남도 | South Pyongan | 도 | |
평양 | 평양 | 평양시 | Pyongyang | 특별시 | |
라선 (현지 변형: 나진 선봉영어) | 라선 | 라선시 | Rason | 특별 | |
량강도 | 량강토 | 량강도 | Ryanggang | 도 |
코드 | 행정 구역 명칭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1939영어)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KPS 11080:2002영어) | 조선어 표기 |
---|---|---|---|---|
자강도 | Chagang-do | Jakangto | 자강도 | |
함경북도 | Hamgyǒng-bukto | Hamkyeongpukto | 함경북도 | |
함경남도 | Hamgyǒng-namdo | Hamkyeongnamto | 함경남도 | |
황해북도 | Hwanghae-bukto | Hwanghaipukto | 황해북도 | |
황해남도 | Hwanghae-namdo | Hwanghainamto | 황해남도 | |
강원도 | Kangwǒn-do | Kangweonto | 강원도 | |
라선특별시 | Nasǒn | Raseon | 라선특별시 | |
평안북도 | P'yǒngan-bukto | Phyeonganpukto | 평안북도 | |
평안남도 | P'yǒngan-namdo | Phyeongannamto | 평안남도 | |
평양직할시 | P'yǒngyang | Phyeongyang | 평양직할시 | |
량강도 | Yanggang-do | Ryangkangto | 량강도 | |
남포특별시 | Namp’o | Nampho | 남포시 | |
개성특별시 | Kaesŏng | Kaeseong | 개성특별시 |
2. 3. 직할시 (3개)
북한의 최상위 행정 구역에는 직할시가 있으며, 현재 평양직할시, 라선특별시가 이에 해당한다.[1] 과거에는 여러 직할시가 있었으나 현재는 3개가 남아있다.코드 | 행정 구역 |
---|---|
KP-01 | 평양직할시 |
KP-13 | 라선특별시 |
KP-14 | 남포시 |
2. 3. 1. 코드 목록
코드 | 분할 이름 (ko)[1] | 분할 이름 (en)[2] | 분할 카테고리 |
---|---|---|---|
KP-04 | 자강도 | Chagang | 도 |
KP-09 | 함경북도 | North Hamgyong | 도 |
KP-08 | 함경남도 | South Hamgyong영어 | 도 |
KP-06 | 황해북도 | North Hwanghae | 도 |
KP-05 | 황해남도 | South Hwanghae | 도 |
KP-15 | 개성 | Kaesong | 직할시한국어 |
KP-07 | 강원도 | Kangwon | 도 |
KP-14 | 남포 | Nampo | 직할시 |
KP-03 | 평안북도 | North Pyongan | 도 |
KP-02 | 평안남도 | South Pyongan | 도 |
KP-01 | 평양 | Pyongyang | 특별시 |
KP-13 | 라선 (현지 변형: 나진 선봉) | Rason | 특별 |
KP-10 | 량강도 | Ryanggang | 도 |
ISO 3166-2:KP 코드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3. 코드 변경 이력
2004년 3월 8일에는 ISO 3166-2 뉴스레터 I-6[1]을 통해 목록 출처 머리글의 철자를 수정하였다. 2014년 12월 18일에는 짧은 프랑스어 이름 소문자에서 "de"와 괄호 사이의 공백을 삭제하는 변경이 있었다.
그 외 자세한 변경 이력은 하위 문단을 참고.
3. 1. 2002년 12월 10일 (뉴스레터 I-4)
ISO영어는 2002년 12월 10일에 뉴스레터 I-4[1]를 발행하여 라선특별시(당시 나진선봉시)를 추가하고, 머리글의 하위 구역 범주를 재정렬하는 변경 사항을 발표했다.
3. 2. 2010년 2월 3일 (뉴스레터 II-1)
2010년 2월 3일, ISO 3166-2 뉴스레터 II-1이 발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변경된 각 행정 구역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이전 코드 | 변경된 코드 | 행정 구역 이름 |
---|---|---|
KP-CHA | KP-04 | 자강도 |
KP-HAB | KP-09 | 함경북도 |
KP-HAN | KP-08 | 함경남도 |
KP-HWB | KP-06 | 황해북도 |
KP-HWN | KP-05 | 황해남도 |
KP-KAN | KP-07 | 강원도 |
KP-PYB | KP-03 | 평안북도 |
KP-PYN | KP-02 | 평안남도 |
KP-YAN | KP-10 | 량강도 |
KP-NAJ | KP-13 | 라선시 |
KP-PYO | KP-01 | 평양직할시 |
3. 3. 2017년 11월 23일
2017년 11월 23일, ISO 3166-2:KP 표준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1]- KP-10 (량강도): 철자가 Yanggang-do에서 Ryanggang-do로 변경되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P-13 (라선특별시): 철자가 Nasǒn에서 Rasŏn으로 변경되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KP-14 (남포특별시): 코드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3. 4. 2022년 11월 29일
ISO의 온라인 카탈로그인 온라인 검색 플랫폼에 등재된 2022년 11월 29일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1]변경 효력 발생일 | 변경에 대한 간략한 설명 (en) |
---|---|
2022-11-29 | 광역시 KP-15 추가; 목록 출처 업데이트 |
이 변경으로 개성시 (KP-15) 코드가 추가되었다.
코드 | 행정 구역 명칭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1939) | 조선어 라틴 문자 표기 (KPS 11080:2002) | 조선어 표기 |
---|---|---|---|---|
KP-15 | 개성특별시 | Kaesŏng | Kaeseong | 개성특별시 |
4.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For reference only, Korean name in Korean script not included in the ISO 3166-2 standard.
[2]
문서
For reference only, English name not included in the ISO 3166-2 stand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