량강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량강도는 1954년 함경남도, 함경북도, 자강도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이다. 백두산이 위치하며, 중국과 국경을 접한다. 2개의 시(혜산시, 삼지연시)와 10개의 군(갑산군, 김형권군, 김형직군, 김정숙군, 백암군, 보천군, 풍서군, 삼수군, 대홍단군, 운흥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량강도에는 혜산농림대학, 량강공업대학 등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2004년 김형직군에서 폭발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최근 전력 공급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 - 관서 지방
관서 지방은 한반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현재의 평안북도, 평안남도, 자강도와 평양직할시, 남포특별시 등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고조선의 중심지이자 고구려의 수도 평양이 위치했으며 서북 방언, 평양냉면 등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근대에는 개신교가 일찍 전파되기도 했다. - 량강도 - 제10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0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인민군 육군의 전차 중심 군단으로, 대한민국과의 군사적 대치 상황에서 전선 지역에 배치되어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부대이다. - 1954년 설치 - 황해북도
황해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위치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강원도, 황해남도, 남포특별시,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대한민국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와 접하고, 금, 석회석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고 고려시대 수도였던 개성에 역사 유적이 많은 도이다. - 1954년 설치 - 황해남도
황해남도는 북한 서남부에 위치하며 황해북도와 접하고 대한민국과 군사분계선을 마주하며, 해주시를 도 소재지로 1개 시와 19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넓은 평야와 온화한 기후로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량강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량강도 |
원어 이름 | 량강도 |
원어 이름 (한글) | 량강도 |
원어 이름 (한자) | 兩江道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Ryanggang-do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Ryanggang-do |
유형 | 도 |
소속 국가 | 북한 |
지역 | 관남 |
도청 소재지 | 혜산시 |
하위 행정 구역 | 2개 시, 10개 군 |
당 책임비서 | 리태일 |
인민위원회 위원장 | 김철남 |
지리 | |
면적 | 14,317 km² |
면적 (추가) | 13,880 km² |
인구 | |
총인구 | 719,269명 |
인구 조사 년도 | 2008년 |
인구 밀도 | 52명/km² |
시간대 |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기타 정보 | |
방언 | 함경도 방언 |
ISO 3166-2 | KP-10 |
2. 역사
1896년 전국을 13도로 개편하면서 량강도 지역은 일부는 함경남도, 일부는 함경북도, 나머지 일부는 평안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함경도에 속해 있었다.[1]
내륙에 위치해 있고, 두만강과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에 접해 있다. 백두산이 이 도에 위치해 있다. 함경남도, 자강도, 함경북도에 접해 있다. 북쪽은 지린성 바이산 시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과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접해 있다.
량강도는 개마고원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가 1000m 이상으로 매우 추운 지역이다. 임업이 발달하였고 운모와 마그네사이트 등의 자원도 풍부하다. 중국과의 국경에서는 정식 무역뿐 아니라 밀무역도 활발하다. 한반도의 명산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이 중국-조선 국경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장백산'''이라고 부른다. 김형권군에는 천연기념물 풍산개가 유명하며, 2008년에 김정일이 방문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라고 지시한 오가산 자연보호구가 있다.
1954년 10월 30일 함경남도 혜산시, 운흥군, 보천군, 삼수군, 신파군(현재의 김정숙군), 갑산군, 풍산군(현재의 김형권군), 풍서군, 부전군(함경남도로 이관됨)과 함경북도 삼사군(현재의 백암군) 및 자강도 후창군(현재의 김형직군) 등을 합쳐 량강도가 신설되었다.[4]
1954년 10월 30일 함경남도 혜산시, 운흥군, 보천군, 삼수군, 신파군, 갑산군, 풍산군, 풍서군, 부전군과 함경북도 삼사군 및 자강도 후창군 등을 합쳐 '''양강도'''가 신설되었다.[1] 이때 혜산군은 혜산읍과 춘동리, 위연포로동자구가 혜산시로 개편되었으며, 혜산군의 다른 지역은 운흥군이 되었다.[1] 삼사군은 백암군으로 개칭되었다.[1] 1961년에는 삼지연군이, 1978년에는 대홍단군이 신설되었고, 1965년에 부전군이 함경남도로 이관되었다.[1]
이후 김일성의 가족 이름을 따 1981년 8월에 신파군이 김정숙군으로, 1988년 8월에 후창군이 김형직군으로, 1990년 8월에 풍산군이 김형권군으로 각각 개칭됐다.[1] 김정숙은 김일성의 아내, 김형직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권은 김일성의 숙부이다.[1]
3. 지리
조선의 지붕이라 불리는 개마고원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가 1000m 이상으로 매우 추운 지역이다. 임업이 발달하였고 운모와 마그네사이트 등의 자원도 풍부하다. 중국과의 국경에서는 (정식 무역뿐 아니라) 밀무역도 활발하다. 또한, 한반도의 명산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중국-조선 국경에 위치, 중국에서는 '''장백산'''이라 불림)이 있다.
4. 자원 및 환경
5. 행정 구역
이후 김일성의 가족 이름을 따서 1981년 8월 신파군은 김정숙군으로, 1988년 8월 후창군은 김형직군으로, 1990년 8월 풍산군은 김형권군으로 개칭되었다. 김정숙은 김일성의 아내, 김형직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권은 김일성의 숙부이다.
현재 량강도는 2개 시와 10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4]
5. 1. 시
5. 2. 군
이름 | 조선어 | 한자 | 인구 (2008)[4] |
---|---|---|---|
갑산군 | 갑산군 | 甲山郡 | 70,611 |
김형권군 | 김형권군 | 金亨權郡 | 37,528 |
김형직군 | 김형직군 | 金亨稷郡 | 57,729 |
김정숙군 | 김정숙군 | 金貞淑郡 | 42,618 |
백암군 | 백암군 | 白岩郡 | 67,683 |
보천군 | 보천군 | 普天郡 | 37,225 |
풍서군 | 풍서군 | 豊西郡 | 44,112 |
삼수군 | 삼수군 | 三水郡 | 40,311 |
대홍단군 | 대홍단군 | 大紅湍郡 | 35,596 |
운흥군 | 운흥군 | 雲興郡 | 61,705 |
6. 기타
량강도는 '조선의 지붕'이라 불리는 개마고원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가 1000m 이상으로 매우 추운 지역이다.[1] 임업이 발달하였고 운모, 마그네사이트 등의 자원도 풍부하다.[1] 중국과의 국경에서는 정식 무역뿐 아니라 밀무역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또한, 한반도의 명산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혁명의 성지'로 여기는 백두산(長白山|장백산중국어)이 있다.[1]
6. 1. 2004년 량강도 폭발
2004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56주년 기념일에 량강도 김형직군에서 폭발과 버섯구름이 목격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며칠 후인 9월 12일에 보도되었다.6. 2. 전력 공급 문제
최근 몇 년 동안 량강도에서는 전력 공급 문제가 만연해졌다.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North Korean Leadership
https://www.unikorea[...]
Political and Military Analysis Divis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Bureau; Ministry of Unification
2018-01-00
[2]
웹사이트
KCNA Article Respected Comrade Kim Jong Un Sends Efficient Tractors to Cities and Counties of Ryanggang Province
http://kcna.kp/en/ar[...]
2024-06-01
[3]
뉴스
Tension, Desperation: The China-North Korean Bord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10-22
[4]
간행물
DP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http://unstats.un.or[...]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00-00
[5]
웹사이트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정보 부족)
[6]
간행물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