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포시는 조선 시대 삼화현의 작은 어촌이었으나, 1897년 개항 이후 급속히 성장했다.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병참 기지였으며, 1906년 진남포부로 개칭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남포직할시로 승격되었고, 2010년 남포특별시로 변경되었다가 2016년 평안남도 남포시로 재편되었다. 현재 항구구역, 와우도구역, 강서구역, 대안구역, 천리마구역, 온천군, 룡강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해갑문, 고구려 고분군 등 역사 유적과 와우도 유원지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직할시와 특별시 - 개성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 현재 개성공업지구와 고려 유적이 남아있는 황해북도 소재의 특별시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직할시와 특별시 - 라선시
    라선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중국, 러시아와 접경하며 라진·선봉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국제 무역 거점 개발이 추진되고 있고, 철도와 도로를 통해 국내외와 연결되는 습윤 대륙성 기후 지역이다.
  • 남포시 -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0년 김일성의 지휘 아래 창설되어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현재는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 남포시 - 표본실의 청개구리
    1979년 KBS 문예극장에서 방영된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단막극이다.
남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남포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반 정보
공식 명칭남포특별시
원어 명칭남포시 (조선어)
조선어 표기남포특별시 (조선글)
한자 표기南浦特別市
로마자 표기Nampo Teukbyeolsi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언평안 방언
해당 정보 없음
나무해당 정보 없음
해당 정보 없음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행정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행정 구역 종류특별​​시
하위 행정 구역5개 구역, 2개 군
당 책임비서리재남
인민위원회 위원장리길춘
면적
총 면적1281 km²
인구
총 인구 (2014년)983660명
도시 인구703317명
농촌 인구280343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도시 인구 밀도자동 계산
농촌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이미지
남포 몽타주
남포 전경 (위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서해갑문, 남포 시가지, 청산리 협동농장, 기념비)
기타
각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통계국: 2008 인구 조사 보고서 (2009년 발행)

2. 역사

조선 시대까지 남포는 삼화현의 작은 어촌이었다. 1894년 청일 전쟁으로 일본군의 병참기지가 되었고, 1897년에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삼화부로 승격되어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증남포는 진남포로 이름이 바뀌었다.

1906년 삼화부는 '''진남포부'''로 개칭되었고, 1914년에는 개항장 일대만 진남포부로, 나머지 지역은 룡강군으로 편제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진(鎭)'자를 떼고 '''남포시'''로 이름을 변경하였다.[82] 1950년에는 룡강군 대대면·양곡면 일부가 남포시에 편입되었다.

1979년 12월, 남포시는 대안시와 룡강군을 포함하여 '''남포직할시'''로 승격되었고, 기존 남포시는 남포구역으로 개편되었다.[78] 1983년에는 남포구역이 항구구역와우도구역으로, 대안시는 대안구역, 강서구역, 천리마구역으로 분리되었다.

2004년 1월, 남포직할시는 폐지되고 '''남포특급시'''로 변경되어 평안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이때 룡강군, 대안구역, 강서구역, 천리마구역은 각각 군으로 분리되었고,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은 폐지되었다.[70]

2010년, 남포특급시는 다시 룡강군, 대안군, 강서군, 천리마군, 온천군을 포함하여 '''남포특별시'''로 승격되었고, 시의 인구는 100만 명에 육박하게 되었다.[76][77] 그러나 2016년에 다시 '''평안남도 남포시'''로 격하되었다.

남포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사건
1950년진남포부 → 남포시 개칭.[70] 룡강군 대대면·양곡면 일부 편입.
1952년 12월룡강군 다미면·오신면·양곡면 일부 편입.[70] (16동 7리)
1960년대두동, 비석동, 신흥동 분할.[70] 삼화동·뉴동동 → 룡정동, 해안동 → 한두동, 화산동·남산동 → 룡수동 편입. 마산동 → 마산리 강등. (15동 8리)
1963년 3월룡강군 갈천리·우산리·덕해리, 온천군 대대리·화도리 편입.[70] 후포동·룡수동 일부 → 남산동, 하비석동·한두동 일부 → 항구동, 해안동 발족. 마산리 → 마산동 승격. (19동 12리)
1965년상비석동 일부 → 문화동, 서흥동·마산동 일부 → 세길동, 류사리·마산동 일부 → 회창동, 류사리 잔부·상대두동 일부 → 류사동 발족. 도지리 → 도지동 승격. 한두동 일부 → 역전동 발족.[70] (25동 10리)
1967년화도리 일부 → 진도동, 남산동 일부 → 선창동 발족.[70] (27동 10리)
1972년도지동 → 도지노동자구 강등.[70] (26동 1노동자구 10리)
1974년 5월온천군 소강리·령남리·신녕리 편입. 고령리 → 대대리, 한학리·도지노동자구 → 도지동, 문애리 → 신흥리 편입/합병.[70] (27동 10리)
1977년대대리 → 대대동 승격.[70] (28동 9리)
1979년 12월평안남도 남포시·대안시·룡강군 → 남포직할시 (1구역 1시 1군).[70] 남포시 → 남포구역 (28동 9리)
1981년억량기동 → 진수동 개칭. 대대동 일부 → 와우도동 발족.[70] (1구역 1시 1군, 남포구역 29동 9리)
1983년남포구역 → 항구구역·와우도구역, 대안시 → 강서구역·대안구역·천리마구역.[70] (5구역 1군)
1984년룡강군 일부 (오신리·다미리·월매리) → 대안구역, 룡강군 일부 (지사리·검산리·동전리) → 항구구역 편입. 도지동 분할(건국동·도지리).[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29동 13리)
1987년평안남도 대동군 일부 (대보산리 및 팔청리 일부) → 강서구역 편입.[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29동 13리)
1988년 7월황해남도 은률군 일부 (송관리) → 와우도구역 편입. 령남리·소강리 일부 → 갑문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0동 14리)
1993년 12월세길동 일부 → 체육촌동, 대대동 일부 → 옥천대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2동 14리)
1995년건국동 분할(건국1동·건국2동). 신흥리 일부 → 문애동, 중대두동 일부 → 은덕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5동 14리)
1996년황해남도 과일군 일부 (초도리) → 항구구역 편입.[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5동 15리)
1999년 6월갑문동 → 갑문1동 개칭. 송관리 일부 → 갑문2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6동 15리)
2004년 1월 9일남포직할시 폐지, 평안남도로 편입. 항구구역·와우도구역 →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강서구역 → 평안남도 강서군, 대안구역 → 평안남도 대안군, 천리마구역 → 평안남도 천리마군, 룡강군 → 평안남도 룡강군.[70] (36동 15리)
2010년평안남도 남포특급시·강서군·대안군·온천군·룡강군·천리마군 → 남포특별시 신설.[70] (5구역 2군) 남포특급시 폐지, 항구구역, 와우도구역 설치. 강서군 → 강서구역, 대안군 → 대안구역, 천리마군 → 천리마구역.


2. 1. 고대 ~ 조선 시대

남포는 고조선에 속해 있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에 편입되었다. 이 시기부터 고려 왕조 때까지 소경(현재의 평양)의 일부였으며, 묘청의 난 이후 소경이 6개 군으로 분할되었는데, 현재의 남포를 구성하는 지역은 강서현, 룡강현, 삼화현이다.[5] 고려 말에는 중산군 남쪽에 위치한 포구 마을을 따라 충남포로 불렸다.[6] 조선 건국 후 이 지역은 평안도에 속했다.[5]

조선 시대까지 '''삼화현'''(三和縣)의 작은 어촌에 지나지 않았지만,[7] 1894년 청일 전쟁으로 인해 한때 일본군의 병참기지가 되었었다. 1897년 개항장으로 지정되어 '''삼화부'''(三和府)로 승격한 후 급속히 성장했다.

2. 2. 개항과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까지 남포는 삼화현에 속한 작은 어촌이었다. 1894년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병참기지가 되었고, 1897년 개항하면서 '''삼화부'''로 승격되어 급속히 성장했다. 이때 증남포가 진남포로 개칭되었다.[7] 러일 전쟁 당시에도 일본군이 남포에 상륙했다.

  • 1906년: 삼화부가 '''진남포부'''로 개칭되었다.
  • 1910년: 평안남도 소속의 '''진남포부'''가 설치되었다.
  • 1914년 4월: 개항장 일대만 진남포부로, 나머지 지역은 룡강군으로 편제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진남포'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이후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남포로 명칭이 환원되었다.[5]

2. 3. 광복 이후 ~ 현재

1897년 조선은 삼화군 증남포(甑南浦)를 개항장으로 하고 삼화항 감리서를 설치하였으며, 이때 증남포가 진남포로 개칭되었다.[70] 1906년 삼화부가 '''진남포부'''(鎭南浦府)로 개칭되었다.[70] 1914년 4월 개항장 일대만 진남포부로 편제하고, 나머지 지역은 룡강군으로 이관되었다.[70]

1945년 광복 당시에는 "진남포"로 불렸으며, 1950년 진남포부가 '''남포시'''로 개칭되었다.[70]

1979년 12월, 남포시는 대안시[78]룡강군을 관할하는 '''남포직할시'''가 되었고, 기존 남포시는 남포구역으로 개편되었다.[70] 1983년 남포구역은 항구구역와우도구역으로, 대안시는 대안구역, 강서구역, 천리마구역으로 각각 개편되었다.[70] 1988년 7월 서해갑문 남단의 송관리가 은률군에서 와우도구역으로 편입되었다.[79][80]

2004년 1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정령에 따라 남포직할시는 폐지되고 '''남포특급시'''로 변경되면서 평안남도 관할로 변경되었다. 이때 룡강군과 대안구역, 강서구역, 천리마구역은 각각 룡강·대안·강서·천리마군으로 떨어져 나갔고,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은 폐지되었다.[70]

2010년 다시 직할시 때 관할했던 룡강군, 대안군, 강서군, 천리마군과 온천군[81]까지 편입시켜 '''남포특별시'''가 되었고, 시의 전체 인구가 100만 명에 육박하게 되었다.[76][77]

2016년 '''평안남도 남포시'''로 재차 격하되었다.

2020년 9월, '지역 도시를 특색 있는 마을로 건설'하려는 국가 정책에 따라 해안 테마를 주제로 도시의 대대적인 개선이 완료되었다. 파란색, 주황색 및 갈색으로 개조된 건물과 함께 강력한 현지 유리 산업을 통해 아파트 건물을 덮는 유리를 생산했다. 전기, 물, 대중교통의 공급이 개선되었으나, 수돗물 공급은 '지형 조건'으로 인해 여전히 '불충분'하다고 언급되었다.[10]

남포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50년진남포부가 남포시로 개칭.[70] 룡강군 대대면·양곡면 각 일부 편입.
1952년 12월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평안남도 룡강군 다미면·오신면·양곡면 각 일부가 남포시에 편입. (16동 7리)[70]
1960년대두동, 비석동, 신흥동 분할. 삼화동·뉴동동 → 룡정동, 해안동 → 한두동, 화산동·남산동 → 룡수동 편입. 마산동 → 마산리 강등.[70] (15동 8리)
1963년 3월룡강군 갈천리·우산리·덕해리, 온천군 대대리·화도리 편입.[70] 후포동·룡수동 일부 → 남산동, 하비석동·한두동 일부 → 항구동, 해안동 발족. 마산리 → 마산동 승격. (19동 12리)
1965년상비석동 일부 → 문화동, 서흥동·마산동 일부 → 세길동, 류사리·마산동 일부 → 회창동, 류사리 잔부·상대두동 일부 → 류사동 발족. 도지리 → 도지동 승격. 한두동 일부 → 역전동 발족.[70] (25동 10리)
1967년화도리 일부 → 진도동, 남산동 일부 → 선창동 발족.[70] (27동 10리)
1972년도지동 → 도지노동자구 강등.[70] (26동 1노동자구 10리)
1974년 5월온천군 소강리·령남리·신녕리 편입. 고령리 → 대대리, 한학리·도지노동자구 → 도지동, 문애리 → 신흥리 편입/합병.[70] (27동 10리)
1977년대대리 → 대대동 승격.[70] (28동 9리)
1979년 12월평안남도 남포시·대안시·룡강군 → 남포직할시 (1구역 1시 1군).[70] 남포시 → 남포구역 (28동 9리)
1981년억량기동 → 진수동 개칭. 대대동 일부 → 와우도동 발족.[70] (1구역 1시 1군, 남포구역 29동 9리)
1983년남포구역 → 항구구역·와우도구역, 대안시 → 강서구역·대안구역·천리마구역.[70] (5구역 1군)
1984년룡강군 일부 (오신리·다미리·월매리) → 대안구역, 룡강군 일부 (지사리·검산리·동전리) → 항구구역 편입. 도지동 분할(건국동·도지리).[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29동 13리)
1987년평안남도 대동군 일부 (대보산리 및 팔청리 일부) → 강서구역 편입.[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29동 13리)
1988년 7월황해남도 은률군 일부 (송관리) → 와우도구역 편입. 령남리·소강리 일부 → 갑문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0동 14리)
1993년 12월세길동 일부 → 체육촌동, 대대동 일부 → 옥천대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2동 14리)
1995년건국동 분할(건국1동·건국2동). 신흥리 일부 → 문애동, 중대두동 일부 → 은덕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5동 14리)
1996년황해남도 과일군 일부 (초도리) → 항구구역 편입.[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5동 15리)
1999년 6월갑문동 → 갑문1동 개칭. 송관리 일부 → 갑문2동 발족.[70] (5구역 1군, 항구·와우도구역 36동 15리)
2004년 1월 9일남포직할시 폐지, 평안남도로 편입. 항구구역·와우도구역 →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강서구역 → 평안남도 강서군, 대안구역 → 평안남도 대안군, 천리마구역 → 평안남도 천리마군, 룡강군 → 평안남도 룡강군.[70] (36동 15리)
2010년평안남도 남포특급시·강서군·대안군·온천군·룡강군·천리마군 → 남포특별시 신설.[70] (5구역 2군) 남포특급시 폐지, 항구구역, 와우도구역 설치. 강서군 → 강서구역, 대안군 → 대안구역, 천리마군 → 천리마구역.


3. 지리

남포의 위성사진. 동서로 흐르는 것이 대동강, 강 북안이 남포 시가지, 왼쪽 끝에 있는 댐은 서해갑문


대동강을 따라 펼쳐진 남포의 시골 풍경


대동강 하구 북쪽에 있는 항만 도시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른다. 동쪽으로는 평양시, 서쪽으로는 황해, 북쪽으로는 평안남도,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대동강을 경계로 황해남도황해북도와 접한다. 주로 대륙성 기후를 띠며,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지만 강수량이 적어 농업에 유리한 환경은 아니다.

한반도 서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의 82%가 해발 50m 이하의 저지대이다. 남쪽과 동쪽에는 산이 주로 분포하며, 해발 100m 미만으로 물결 모양의 평야를 형성한다. 도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오석산맥에 위치하며, 오석산(566m)과 국사봉(506m)이 있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많은 강과 하천은 농업에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도시 지하에는 철, 망간, 티타늄과 함께 금, 은을 포함한 귀금속이 매장되어 있다.

금성 갯벌에는 약 5,000마리의 조류가 찾아오며, 서해갑문으로 조성된 호수에는 76,000마리의 물새가 찾아오는데, 여기에는 멸종 위기 및 취약 조류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34] 대동강 하구에서 39km 상류에 있는 항만 도시이다. 북쪽은 평양직할시, 남쪽은 황해북도와 접한다.

4. 기후



남포는 대동강 하구 북쪽에 위치한 항만 도시로, 대륙성 기후를 띠지만 온화한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10.3°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6.8°C, 8월 평균 기온은 25.1°C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19년 8월에 기록된 37°C이고, 최저 기온은 1917년 1월에 기록된 -23°C이다. 연 강수량은 944mm로,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수량이 적어 농업에 유리한 환경은 아니다.

남포 (1991–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0.52.68.916.522.526.428.529.125.518.99.91.815.8
평균 기온 (°C)-4.4-1.73.910.816.721.224.324.820.413.75.7-1.811.1
평균 최저 기온 (°C)-7.9-5.40.06.412.417.721.421.716.69.52.0-5.07.5
강수량 (mm)9.212.917.336.867.082.0202.2166.272.438.538.819.6762.9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4.23.53.75.06.57.010.88.25.55.36.86.072.5
평균 강설일수5.23.21.60.10.00.00.00.00.00.02.15.617.8
평균 상대 습도 (%)72.170.069.266.671.178.485.884.677.272.473.672.574.5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83]


5. 행정 구역

남포시는 5구역 2(항구구역, 와우도구역, 강서구역, 온천군, 천리마구역, 대안구역, 룡강군)으로 구성되어 있다.[28] 2004년평안남도 관할의 특급시로 변경되었고, 2구역 내의 36동 15리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2010년 강서군, 천리마군, 대안군은 각각 구역으로 개편되었다.



서해갑문

동/리
상대두동(上大頭洞)중대두동(中大頭洞)하대두동(下大頭洞)한두동(漢頭洞)역전동(驛前洞)
문화동(文化洞)도지동(島智洞)류사동(柳沙洞)상비석동(上碑石洞)중비석동(中碑石洞)
하비석동(下碑石洞)후포동(後浦洞)해안동(海岸洞)항구동(港口洞)선창동(仙倉洞)
건국1동(建國一洞)건국2동(建國二洞)은덕동(恩德洞)문애동(文艾洞)검산리(劍山洞)
동전리(東箭里)초도리(椒島里)신흥리(新興里)어호리(漁湖里)지사리(芝沙里)
갈천리(葛川里)덕해리(德海里)우산리(羽山里)


동/리
지산동(芝山洞)마사동(麻沙洞)남흥동(南興洞)룡정동(龍井洞)룡수동(龍水洞)
남산동(南山洞)진수동(進水洞)서흥동(西興洞)체육촌동(體育村洞)새길동(새길洞)
마산동(馬山洞)회창동(會倉洞)와우도동(臥牛島洞)진도동(鎭島洞)대대동(大代洞)
갑문1동(閘門一洞)갑문2동(閘門二洞)옥천대동(玉泉臺洞)화도리(花島里)신령리(新寧里)
소강리(蘇康里)령남리(嶺南里)송관리(松觀里)


6. 인구

200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포시의 인구는 366,815명이었다.[29] 이 중 310,864명은 도시 지역에, 55,951명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였다.[30]

7. 산업

일제강점기부터 평양의 외항으로서 북한 최대의 무역항이었으며, 무역액은 부산, 인천에 이어 3위였다.[11] 정련소를 시작으로 유리, 조선, 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 어업도 번성했다.[11] 현재는 유리, 기계, 유색 금속류가 중심 산업이다.[11] 합작기업인 평화자동차에서 승용차를 생산하고 있고,[11] 1990년대 중후반에 대우그룹남포공단에서 의류봉제공장을 운영하였다.[11]

대동강 하구에는 서해갑문으로 불리는 거대한 하구 댐이 건설되어 있다.[11] 댐 호수 내부는 담수화되어 있고 제방 위에는 철도와 도로가 만들어져 맞은편을 연결하며 남포항으로 들어가는 대형 선박이 통과하기 위한 갑문도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11] 제방은 치수와 수운·교통을 위해서 건설된 것으로, 1980년대에 조선인민군 등을 투입하여 대대적으로 공사가 진행되어 1986년에 완성했다.[11] 이 거대한 공사는 김일성의 인솔을 대신한 김정일의 지도 덕분으로 여겨져, 조선중앙방송의 텔레비전 뉴스에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11]

광복 이전 남포는 경제의 97%를 농업에 의존했지만, 일본이 현지에서 재배된 쌀을 약탈하면서 매우 낙후된 상태였다.[12]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상황이 급속히 개선되어 현대적인 농촌 경제와 수산업으로 전환되었다.[12] 남포의 수산업은 서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12]

해방 이전, 산업은 일본 제국주의의 군사적 요구에 전적으로 매달렸으며 탄약 수송의 중요한 항구였다.[17] 일본이 건설한 산업은 현재 와우도구역과 흥구구역에 집중되어 있었다.[17] 그 이후 남포는 경제가 강력하게 발전했으며, 철리마구역, 강서구역 또는 태안구역과 같이 남포에서 평양까지의 회랑에서 일부 산업이 철거되고 재건되었다.[12][33]

남포 제련소는 핵심 생산 단지이며 다양한 구리 제품을 생산한다.[12] 또한 아연과 납을 제련하지만, 아연 제련소는 오염 문제로 인해 2001년에 해체되었다고 한다.[18] 도시의 다른 4개의 중요한 산업은 철리마 제철소, 태안친선유리공장, 금성트랙터공장 및 태안중기계복합기업이다.[33] 이 도시는 또한 다양한 경공업을 갖추고 있지만, 주요 기업은 모두 다양한 형태의 중공업에 투자하고 있다.[33]

이 도시의 입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으며,[19] 통일교와 북한 정부 간의 합작 회사인 평화자동차가 그 예이다.[20] 이곳에서 약 340명의 노동자가 주로 다양한 중국 자동차와 피아트(Fiat)를 조립 키트로 생산했다.[33]

7. 1. 개요

남포시는 원래 작은 어촌이었으나 1897년 외국 무역항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에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했다. 국가 투자가 급증하면서 이 도시의 산업 능력이 성장했다. 이 도시의 산업 시설로는 제련 복합 단지, 유리 공사, 조선 복합 단지, 수산 복합 단지, 기타 중앙 및 지방 공장 등이 있다. 남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산업의 중심지이다. 도시 북쪽에는 화물 운송, 수산물 및 어업 시설, 그리고 제염 공장이 있다. 도시의 룡강군에서 재배되는 사과는 유명한 지역 특산품이다.[11]

1981년 5월, 김일성은 이 도시에 대한 계획을 수립했으며 여기에는 세 가지 목표가 포함되었다.[33]

  • 국제적인 항구 도시로 개발
  • 수출 물량을 늘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역항으로 개발
  • 북한 서부 지역 최대의 산업 지역으로 개발하고 중공업에 집중


일제강점기부터 평양의 외항으로서 조선 북부 최대의 무역항이었으며, 무역액은 부산, 인천에 이어 3위였다. 정련소, 유리, 조선, 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 어업도 성행했다. 현재는 유리, 기계, 비철금속류가 중심이 되고 있다.

시내의 공업 단지에는 한국 통일교 계열 기업과의 합작 기업인 평화자동차의 공장이 있으며, 승용차가 생산되고 있다.[72]

대동강 하구에는 "서해 갑문"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하구 이 건설되어 있다. 댐 호수 내부는 담수화되었으며, 제방 위에는 철도(서해갑문선)와 도로가 만들어져 맞은편을 연결하고, 남포항에 들어가는 대형 선박이 통과하기 위한 갑문도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방은 치수와 수운·교통을 위해 건설된 것으로, 1980년대에 조선인민군 등을 투입하여 대대적으로 공사가 진행되어 1986년에 완성되었다. 이 거대한 공사는 김정일 서기(당시)의 지도 덕분으로 여겨지며, 조선중앙방송의 텔레비전 뉴스 배경에도 종종 등장하고 있다.

7. 2. 주요 산업

일제강점기부터 평양의 외항으로서 북한 최대의 무역항이었으며, 무역액은 부산, 인천에 이어 3위였다.[11] 정련소를 시작으로 유리, 조선, 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 어업도 번성했다.[11] 현재는 유리, 기계, 유색 금속류가 중심 산업이다.[11] 합작기업인 평화자동차에서 승용차를 생산하고 있고,[11] 1990년대 중후반에 대우그룹남포공단에서 의류봉제공장을 운영하였다.[11]

대동강 하구에는 서해갑문으로 불리는 거대한 하구 댐이 건설되어 있다.[11] 댐 호수 내부는 담수화되어 있고 제방 위에는 철도와 도로가 만들어져 맞은편을 연결하며 남포항으로 들어가는 대형 선박이 통과하기 위한 갑문도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11] 제방은 치수와 수운·교통을 위해서 건설된 것으로, 1980년대에 조선인민군 등을 투입해 대대적으로 공사가 진행되어 1986년에 완성했다.[11] 이 거대한 공사는 김일성의 인솔을 대신한 김정일의 지도 덕분으로 여겨져, 조선중앙방송의 텔레비전 뉴스에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11]

광복 이전에는 경제가 주로 농업에 의존하여 97%를 차지했지만, 매우 낙후된 상태였다.[12] 이는 일본이 현지에서 재배된 쌀을 약탈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12]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상황이 급속히 개선되어 현대적인 농촌 경제와 수산업으로 전환되었다.[12]

남포의 수산업은 서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12] 해방 이전, 산업은 일본 제국주의의 야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군사적 요구에 전적으로 매달렸으며 탄약 수송의 중요한 항구였다.[17] 편의상 일본이 건설한 산업은 현재 와우도구역과 흥구구역에 집중되어 있었다.[17] 그 이후 남포는 경제가 강력하게 발전했으며, 철리마구역, 강서구역 또는 태안구역과 같이 남포에서 평양까지의 회랑에서 일부 산업이 철거되고 재건되었다.[12][33]

남포 제련소는 핵심 생산 단지이며 다양한 구리 제품을 생산한다.[12] 또한 아연과 납을 제련하지만, 아연 제련소는 오염 문제로 인해 2001년에 해체되었다고 한다.[18] 도시의 다른 4개의 중요한 산업은 철리마 제철소, 태안친선유리공장, 금성트랙터공장 및 태안중기계복합기업이다.[33] 이 도시는 또한 다양한 경공업을 갖추고 있지만, 주요 기업은 모두 다양한 형태의 중공업에 투자하고 있다.[33]

이 도시의 입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으며,[19] 그 예로 통일교와 북한 정부 간의 합작 회사인 평화자동차가 있는데,[20] 이곳에서 약 340명의 노동자가 주로 다양한 중국 자동차와 피아트(Fiat)를 조립 키트로 생산했다.[33]

7. 3. 외국인 투자

남포시는 1897년 외국 무역항이 되었고,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했다. 국가 투자가 급증하면서 도시의 산업 능력이 성장했으며, 주요 산업 시설로는 제련 복합 단지, 유리 공사, 조선 복합 단지, 수산 복합 단지 등이 있다. 남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산업의 중심지이다.[11]

1981년 5월, 김일성은 남포를 국제적인 항구 도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역항, 북한 서부 지역 최대의 산업 지역으로 개발하고 중공업에 집중한다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진 도시 계획을 수립했다.[33]

남포 제련소는 다양한 구리 제품을 생산하는 핵심 생산 단지이다.[12] 도시의 다른 주요 산업 시설로는 철리마 제철소, 태안친선유리공장, 금성트랙터공장, 태안중기계복합기업이 있다. 이 도시는 다양한 경공업도 갖추고 있지만, 주요 기업은 모두 중공업에 투자하고 있다.[33]

이러한 도시의 입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으며,[19] 그 예로 통일교와 북한 정부 간의 합작 회사인 평화자동차가 있다.[20] 이곳에서 약 340명의 노동자가 주로 다양한 중국 자동차와 피아트(Fiat)를 조립 키트로 생산했다.[33]

8. 교통

1998년 청년영웅도로(평양-남포간 고속도로)가 착공되어 평양과 연결된다. 남포항은 해상교통의 중심지이며, 평남선 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평양과 남포를 잇는 '영웅 청년 고속도로'


평양의 해상 관문으로서 해운, 하천 항로, 철도, 도로가 발달했으며, 북한의 해외 무역 중심지이다. 이전부터 남포와 다롄을 잇는 항로가 운행되었으며, 현재도 다롄, 톈진을 잇는 국제 화물 항로가 지속되고 있다.[73]

1982년경 남포시에 무궤도 전차 시스템이 개통되었다. 이 시스템은 남포 경기장에서 도시 북동부로 이어지는 주 노선과, 도시 서쪽 염전 근처로 이어지는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에는 서비스가 간헐적으로 운행되거나 아예 운행되지 않았고, 평일에만 운행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2021년 8월 24일부터 시 당국의 대중교통 개선 추진으로 무궤도 전차 운행이 정상화되었으며, 약 20대의 방치된 버스가 수리되어 다시 운행되었다.

2015년 11월, 남포시 과학기술위원회가 개발한 태양광 패널 전기 버스가 시범 운행되었다. 이 버스는 32개의 100와트 태양광 패널로 전력을 공급받아 50개의 대동강 배터리를 충전, 95kW DC 모터를 구동하여 최대 140명의 승객을 시속 40km로 수송하며, 북한의 에너지 부족 문제 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남포시의 유일한 공항은 온천군에 있는 군사 공항인 온천 공군기지이다.[41]

8. 1. 도로

1998년 12월에 청년영웅도로(평양-남포간 고속도로)가 착공되어 2000년 10월 완공되었으며, 평양시와 남포를 연결한다.[35] 이 고속도로는 주로 젊은이들이 건설했으며, 그들의 노고를 기리기 위해 평양-남포 고속도로에서 청년영웅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5]

8. 2. 철도

1998년 12월에 청년영웅도로(평양-남포간 고속도로)가 착공되어 평양시를 연결하고 있다. 철도는 평남선이 연결되어 있다.[42]

진남포-평양 철도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 노선은 1895년 일본군에 의해 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이는 약 53.34cm 궤도를 가진 인력으로 움직이는 88km 길이의 노선이었지만, 운행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해체되었다.[42]

남포시 일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의해 밀집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평남선, 룡강선, 서해갑문선, 포산선, 남포항선 및 태안선의 전체 구간과 율리선의 한 개 역이 남포특별시 경계 내에 위치해 있다. 남포역에서 평남선에서 분기되는 지선은 특히 남포제련소와 남포전극공장을 운행한다.[4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명구간
평남선평양 - 평남온천
남포지선신남포역 - 남포역
잠진리선강선역 - 잠진리역
보산선강서역 - 보산역
대안선강서역 - 평남대안역
룡강선룡강역 - 마영역
후산선후산역 - 양막역
남동선평남온천역 - 안석역
도지리선남포역 - 도지리역
서해갑문선한이천역 - 신령리역


8. 3. 해상

남포항은 해상교통의 중심이다. 대동강에 위치해 있어, 하천 운송이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여객선은 남포항에서 소해리, 송림시, 은천군 및 평양직할시로 운행된다. 유람선은 와도와 서해갑문 사이, 그리고 와도와 만경대 사이를 운행한다.[43]

서해갑문은 8km 길이의 방조제를 건설하여 만들어졌으며, 5만 톤급 선박이 통과할 수 있는 갑문 3개와 수문 36개를 갖추고 있다. 남포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외국 식량 원조 물품을 받는 주요 항구로 자주 사용된다. 2만 톤급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현대적인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겨울에는 얼어붙는다.[44] 남포는 황해에 위치한 평양의 항구 역할을 한다.[45] 대부분의 항구와 달리, 남포항에서 하역된 컨테이너는 운송되지 않고, 대신 내용물만 제거되어 화물 트럭으로 운송되며, 컨테이너는 상품이 선적될 때까지 항구에 남아 있다.[46]

남포항의 화물선


2008년, 남포항은 여러 차례 곡물 수송을 받았다. 6월에 인도된 첫 번째 물량은 미국에서 보낸 3만 8천 톤이었다. 같은 해 10월, 대한민국에 기반을 둔 구호 단체인 함께하는 사랑밭이 약 500톤의 밀가루를 기증했다.[47]

차량 운반선은 남포항과 황해남도 사이를 서해갑문을 통해 트럭을 수송하며, 이는 더 먼 거리를 운전하는 것보다 시간과 연료를 절약해준다.[48]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남포 석탄항의 교통량은 눈에 띄게 감소했으며, 보이는 선박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다.[49] 2016년에 부지 공사가 완료된 후, 2020년에 석유 또는 기름 탱크 2기가 건설되었으며, 다른 탱크 부지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별도의 석유 터미널도 2020년에 새로운 해상 부두를 포함하여 건설을 시작했다.[50] 창고로 가는 길을 표시하고 항구를 화물 보관 구역으로 나누는 데 사용되는 운송 컨테이너로 벽이 세워졌지만, 그 목적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코로나19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51] 남포항은 주로 콘크리트와 석탄 무역을 취급한다.[18]

평양의 해상 관문으로서 해운, 하천 항로, 철도, 도로가 발달했으며, 북한의 해외 무역의 중심지이다. 이전부터 남포와 다롄을 잇는 항로가 운행되었으며, 현재도 다롄, 톈진을 잇는 국제 화물 항로로 지속되고 있다.[73]

8. 4. 항공

남포시의 유일한 공항은 온천군에 있는 군사 공항인 온천 공군기지이다.[41]

8. 5. 대중교통

남포시에는 1982년경에 개통된 무궤도 전차 시스템이 있다.[36] 이 시스템은 남포 경기장에서 도시 북동부로 이어지는 주 노선과 주 노선에서 도시 서쪽, 염전 근처로 이어지는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선은 경기장 방향에서만 운행이 가능했으며, 가공 전선이 더 이상 팽팽하게 펴지지 않는 등 상태가 좋지 않아 2011년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2015년에는 서비스가 간헐적으로 운행되거나 아예 운행되지 않으며, 평일에만 운행된다는 보고가 있었다.[37] 2021년 8월 24일부터 시 당국이 대중교통 개선을 추진하면서 무궤도 전차 운행이 정상화되었다. 이 추진의 일환으로 약 20대의 방치된 버스가 수리되어 다시 운행되었다.[38]

2015년 11월, 남포시 과학기술위원회가 개발한 태양광 패널 전기 버스가 시범 운행되었다. 이 버스는 50개의 대동강 배터리를 충전하는 32개의 100와트 태양광 패널로 전력을 공급받아 95kW DC 모터를 구동하여 최대 140명의 승객을 시속 40km로 수송하며, 북한의 에너지 부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39][40]

9. 문화 및 관광

남포는 서해안에서 관광객이 드나들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로, 시는 와우도에 신시가지를 건설하여 관광 도시로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다. 와우도 해수욕장은 원산의 송도원 해수욕장과 함께 북한이 개방하고 있는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꼽히지만, 아직 외국인의 출입은 자유롭지 않다.


  • 와우도 유원지: 시내 중심에서 서남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산이다. 과거에는 섬이었지만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정상에는 정자가 있고, 보트 선착장, 휴양소, 화초원, 배구장, 농구장 등이 마련되어 있다.
  • 서해 갑문: 1986년에 완공된 갑문으로, 서해 해역 8km를 막아 건설되었다. 제방 위에는 철도, 차도, 보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갑실을 통해 5만 톤급 선박이 통과할 수 있다.
  • 대성호: 평양에서 서쪽으로 30여 km 떨어진 산속에 있는 호수이다. 골프장, 소년단 야영장, 휴양소 등이 갖춰져 있다.
  • 남포 아동 교통 공원
  • 수산리 계급 교양관

9. 1. 역사 유적

남포에는 신석기 시대의 거석묘와 고구려 시대의 벽화 고분, 산성이 남아 있다.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관광객이 드나들 수 있는 지역으로, 남포를 관광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와우도에 신시가지를 건설했다. 와우도 해수욕장은 원산의 송도원 해수욕장과 함께 북한이 개방하고 있는 대표적인 해수욕장이나 외국인의 출입은 아직 자유롭지 않다.

유물·유적으로는 고구려 벽화 무덤인 덕흥리 고분(강서구역), 대안리 제1호 벽화 고분, 강서대묘, 황룡산성 등이 있다.

세계 문화 유산에 등재된 고구려 고분군의 일부가 룡강군에 위치해 있으며, 5세기에 건축되어 고구려의 사회, 건축, 회화, 성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벽화는 퇴색되었지만 초상화와 지도가 여전히 남쪽 벽에 남아있다.[55]

초기 고려 시대의 화강암 불상이 김일성종합대학과 사회과학원에 의해 발굴되어 2019년 국보 목록에 등록되었다.[56] 철 화살촉, 금속 화폐, 도자기 등 다양한 유물도 함께 발굴되었다.[57] 이는 양손으로 약탕기를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를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58][59]

황룡산성고구려 시대에 축조되었으며 고려 시대인 919년에 보수되었다. 원래 목적은 서남쪽의 침략자로부터 평양을 방어하는 것이었다. 성의 북쪽, 동쪽, 남쪽, 서쪽의 봉우리는 평시에는 관측소로 사용되며, 전시에는 지휘소로 사용될 수 있다.[60]

남포에는 3개의 고대 무덤이 있으며, 모두 고구려 시대에 건축되었다.[61][62][63]

강서구역 · 룡강군의 벽화 고분은 2004년에 지정된 유네스코세계 유산 "고구려 고분군"의 일부를 구성한다. 유네스코 자료에서는 다음 고분들이 "남포"(Nampho) 지구에 소재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74], 이에 따라 남포시에 소재한다고 기재되는 경우가 있지만, 직할시의 해체로 인해 현재는 시역 외에 있다.

  • 강서삼묘 (강서구역) - 덕흥리 고분에서 서쪽으로 7km 지점에 있는 7세기 중엽의 고구려 고분 벽화. 현재까지 알려진 고분 중 가장 뛰어난 벽화이다.
  • 수산리 고분 (강서구역)
  • 약수리 고분 (강서구역)
  • 룡강대묘 (룡강군)
  • 쌍영총 (룡강군)

9. 2. 관광 명소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관광객이 드나들 수 있는 지역으로 남포를 관광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와우도에 신시가지를 건설했다. 와우도 해수욕장은 원산의 송도원 해수욕장과 함께 북한이 개방하고 있는 대표적인 해수욕장이나 외국인의 출입도 아직은 자유롭지 않다. 유물·유적으로는 고구려 벽화 무덤인 덕흥리 벽화 고분과 대안리 제1호 벽화 고분, 강서대묘, 황룡산성 등이 있다.

  • 와우도 유원지: 시내 중심에서 서남쪽으로 10km 지점에 있는 작은 산. 이전에는 섬이었으나, 지금은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정상에 정자가 있으며, 보트 선착장, 휴양소, 화초원, 배구 코트, 농구 코트 등이 있다.
  • 서해 갑문: 조선 서해 해역 8km를 막아 건설한 세계적인 갑문. 1986년에 완공되었다. 제방 위에는 철도, 차도, 보도가 놓여 있다. 갑실을 통해 5만 톤급 선박이 통과할 수 있다.
  • 대성호: 평양에서 서쪽으로 30여 km 떨어진 산속의 호수. 골프장, 소년단 야영장, 휴양소가 있다.
  • 남포 아동 교통 공원
  • 수산리 계급 교양관

10. 교육

남포대학교, 서해대학교, 삼광대학, 선화대학, 남포의학대학[14], 남포농업대학[52], 남포해운공업대학, 남포건재대학, 남포수산대학, 강선공업대학[53], 남포교육대학[54], 남포외국어학원, 남포기술대학이 남포시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남포시학생청소년궁전, 남포혁명학원, 남포중학교는 남포시의 중등 교육기관이다.

11. 자매 도시


  • 형태의 템플릿은 제거하고, 이미지와 링크는 유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ourism http://www.naenara.c[...] 2021-10-11
[2] 웹사이트 Rodong Sinmun http://rodong.rep.kp[...] Rodong Sinmun 2020-08
[3]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North Korean Leadership https://www.unikorea[...] Political and Military Analysis Divis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Bureau; Ministry of Unification 2018-01
[4] 간행물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
[5]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6]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7] 문서 Ryonggang County http://encykorea.aks[...]
[8] 문서 meaning 'to suppress, hold down'
[9] 웹사이트 Newstream https://kcnawatch.or[...]
[10] 웹사이트 Seaside town gets a fresh facelift http://www.pyongyang[...]
[11] 백과사전 North Korea https://www.britanni[...]
[1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13] 웹사이트 Hospital improves service quality http://www.pyongyang[...]
[14] 웹사이트 Blind man works his way through college to become doctor http://www.pyongyang[...]
[15] 웹사이트 Doctor develops diagnostic device beyond call of duty http://www.pyongyang[...]
[16] 웹사이트 Local hospital improves maternity service http://www.pyongyang[...]
[17] 웹사이트 진남포시 https://terms.naver.[...]
[18] 서적 Minerals Yearbook, Volume 3 Bureau of Mines
[19] 웹사이트 N. Korea Permits Foreign Capital Investment for Developing Nampo Port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 문서 Now 100% controll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fter the death of the founder of Unification Church
[21] 웹사이트 New North Korean Helicopter Frigates Spotted https://www.38north.[...] 2014-05-15
[22] 웹사이트 Nampo Naval Shipyard: Second Submersible Test Stand Barge Likely Operational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19-09-26
[23] 웹사이트 Nampho Naval Shipyard: Second Submersible Test Barge Still Out of Water https://www.38north.[...] 2021-07-29
[24] 웹사이트 North Korean Navy – Light Frigates https://warsearcher.[...] 2020-12-19
[25] 웹사이트 North Korean Navy – Corvettes and Patrol Ships https://warsearcher.[...] 2020-12-19
[26] 웹사이트 Exclusive: Revealing Kangson, North Korea's First Covert Uranium Enrichment Site https://thediplomat.[...]
[27] 웹사이트 Much Ado About Kangson https://www.38north.[...] 2018-08-03
[28] 웹사이트 North Korea Splits No. 38 and 39 Departments Up Again http://www.dailynk.c[...] 2011-02-15
[29] 문서 Does not include Ryonggang County or Onchon County
[30] 웹사이트 D P 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http://unstats.un.or[...] 2010-03-31
[31]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3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33] 웹사이트 Profiles of the cities of DPR Korea – Nampho https://dnk.univie.a[...]
[34] 웹사이트 《조선의 오늘》 https://dprktoday.co[...]
[35] 웹사이트 Pyongyang-Nampo Motorway Completed http://www.korea-np.[...]
[36] 잡지 North Korean Surprises – Part 3 National Trolleybus Association 2002-11-01
[37] 웹사이트 Nampho [KP] - Nur wenig Verkehr https://www.trolleym[...] 2021-10-12
[38] 웹사이트 당결정관철에 떨쳐나선 도당위원회들의 소식-무조건적인 복무정신을 지니고 실천적인 대책을-남포시당위원회에서 http://rodong.rep.kp[...] 2021-08-24
[39] 웹사이트 북 '태양광 버스' 운행..."140명 태우고 시속 40km" https://www.ytn.co.k[...] 2021-10-12
[40] 웹사이트 Nampho, electric bus # 103 https://transphoto.o[...] 2021-10-12
[41] 웹사이트 Onchon Air Base (KP-0023) @ OurAirports https://ourairports.[...] 2021-10-12
[42] 웹사이트 Pyongyang's first rail system https://www.koreatim[...] 2021-10-13
[4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12
[44] 웹사이트 Nampo - 36°43'N 125°23'E https://www.globalse[...] 2021-10-12
[45]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7-12-15
[46] 웹사이트 Construction Resumes at Nampho Port https://www.38north.[...] 2021-10-12
[47] 간행물 KINU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ttp://www.kinu.or.k[...] 2009-01-01
[48] 웹사이트 For the development of river transport http://www.pyongyang[...] 2021-10-11
[49] 웹사이트 Nampo: A Tale of Two Ports https://www.38north.[...] 2021-10-11
[50] 웹사이트 Nampho Container Port Remains Active Despite Continued Border Closures https://www.38north.[...] 2021-10-11
[51] 웹사이트 Unusual Container Walls at the Nampho Container Port https://www.38north.[...] 2021-10-12
[52] 웹사이트 University does good job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http://www.pyongyang[...] 2021-10-13
[53] 웹사이트 College student helps war veteran grandma http://www.pyongyang[...] 2021-10-13
[54] 웹사이트 University students conduct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in Samjiyon County http://www.pyongyang[...] 2021-10-13
[55] 웹사이트 Large tomb in Ryonggang http://www.pyongyang[...] 2021-10-13
[56]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s newly registered http://www.pyongyang[...] 2021-10-13
[57] 웹사이트 Stone Buddhist image from early Koryo period unearthed http://www.pyongyang[...] 2021-10-13
[58] 문서 Yaksayorae in Korean
[59] 웹사이트 Stone Buddha unearthed, presumed dating back to early Koryo period http://www.pyongyang[...] 2021-10-13
[60] 웹사이트 Fort site highlights Korea's ancient wall- http://www.pyongyang[...] 2021-10-13
[61]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31
[6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31
[6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31
[64]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31
[65] 웹사이트 http://kvs.gov.spb.r[...] Committee for External Relations of Saint-Petersburg 2017-10-22
[66] 웹사이트 Sister cities between DPRK and Mexico http://kcna.co.jp/it[...] KCNA 2017-12-03
[67] 웹사이트 Friendly Ties Opened between DPRK and Ecuadorian Cities http://kcna.co.jp/it[...] KCNA 2017-12-03
[68] 웹사이트 南浦(ナムポ)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8-08-24
[69] 웹사이트 ナンポ(南浦)市(ナンポ)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8-08-24
[70] 웹사이트 남포시 역사 http://www.cybernk.n[...]
[71] 서적 時事年鑑・昭和14年版 社団法人・同盟通信社 1938
[72] 뉴스 統一グループ、北朝鮮と合弁の平和自動車から撤退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2-11-27
[73] 뉴스 南浦が外貨稼げず大ピンチに 中国企業へ投資を呼びかけ打開を模索(1/2) https://www.koreawor[...] 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19-11-26
[74] 웹사이트 Maps - Complex of Koguryo Tombs http://whc.unesco.or[...]
[75] 문서 옛 남포직할시와 온천군을 합한 면적
[76] 웹사이트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년>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http://kosis.kr/bukh[...] 2018-10-07
[77] 문서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 인구, 대안군·강서군·천리마군 인구, 룡강군 인구, 온천군 인구
[78] 웹사이트 남포시 옛이름 대안시 https://terms.naver.[...] 2017-08-06
[79] 웹사이트 황해남도 은률군 지도 http://www.cybernk.n[...] 2017-08-07
[80] 웹사이트 남포시 와우도구역 송관리 http://www.cybernk.n[...] 2017-08-07
[81] 웹사이트 온천군 https://terms.naver.[...] 2017-08-06
[82] 웹사이트 남포특별시 https://terms.naver.[...] 2017-08-07
[83]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