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성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고려 시대에는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상업 중심지였다.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에 속하며, 개성특별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황해북도 개성시로 격하되었다. 개성은 경공업과 농업이 발달했으며, 고려 시대부터 내려온 다양한 문화유적과 음식 문화가 존재한다. 주요 유적지로는 개성 남대문, 개성 성균관, 선죽교, 왕건릉 등이 있으며, 개성 요리는 독특한 맛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개풍군
    개풍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에 속했던 군으로, 개성시에 편입되었다가 개풍구역과 판문구역으로 분리되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동비홀 등으로 불리다가 개풍군으로 개칭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직할시와 특별시 - 남포시
    남포시는 대동강 하구에 위치한 북한의 항만 도시로, 평양의 외항으로 기능했으며 현재는 서해갑문을 통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고구려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직할시와 특별시 - 라선시
    라선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중국, 러시아와 접경하며 라진·선봉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국제 무역 거점 개발이 추진되고 있고, 철도와 도로를 통해 국내외와 연결되는 습윤 대륙성 기후 지역이다.
  • 개성시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개성시 - 기정동
    기정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전 목적으로 건설한 비무장지대 내 마을로, 북한은 200가구가 거주하는 집단 농장이라고 주장하나, 대한민국은 무인 마을로 대남 선전, 탈북 방지,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된다고 본다.
개성시
지도 정보
개성 위치 (북한 내)
기본 정보
이름개성
한국어 고유 이름개성시
한국어 한자 이름開城市
공식 명칭개성특별시
별칭송도 (松都)
로마자 표기법 (매큔-라이샤워)Kaesŏng-T'ŭkpyŏlsi
로마자 표기법 (개정 로마자 표기법)Gaeseong-Teukbyeolsi
국가북한
행정 구역특별시
하위 행정 구역24개 동, 3개 리
설치서기 700년경
면적179.26 km²
인구 (2009년)192,578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경기 방언
시간대평양 시간 (UTC+9)
기타 정보1951년 경기도에서 분리;
2003년 황해북도에 편입, 2019년 황해북도에서 분리되어 특별시로 승격
역사
분리1951년 경기도에서 분리
황해북도 편입2003년 황해북도에 편입
특별시 승격2019년 황해북도에서 분리되어 특별시로 승격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2개 구역, 31개 동, 39개 리
관련 정보
경찰 최고 책임자 교체북한, 경찰 최고 책임자 교체, 개성시는 특별시로 승격
사진 모음
고려 성균관
가을 단풍
공민왕릉
숭양서원
개성 시가지
개성 시가지

2. 역사

개성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는 유서 깊은 지역이다. 오성산과 개성 남성 등지에서 즐문토기, 돌그릇, 돌도끼 등이 발굴되었다.[3] 개성은 수 세기 동안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여러 번 바뀌었다. 마한의 영역에 속했으며, 고구려 지배 시대에는 '부소갑'으로 불렸다. 475년 백제의 세력이 정녕, 문경새재, 아산만 남서쪽으로 후퇴하기 전까지, 이 지역은 약 100년 동안 백제의 영토였다. 555년 (신라 진흥왕 16년)에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송악군'으로 개칭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694년 (신라 효소왕 3년)에 이곳에 성을 쌓았을 때 개성은 "송악(松嶽)"으로 불렸다.[3]

9세기 후반 신라가 쇠퇴하면서 궁예태봉을 건국하고, 919년에는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개성은 고려의 수도가 되었다. 고려 광종 때 개경으로, 고려 선종 때 "개성부"로 승격되었다. 1010년 고려-거란 2차 전쟁으로 궁궐과 민가가 거의 전소되기도 했다.[3] 1198년에는 만적이 개경에서 노비 봉기를 일으켰으나 최충헌에 의해 진압되었다.[4]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1394년 수도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옮기면서 개성은 수도의 지위를 잃었다.[3]



한국 전쟁 이전까지 개성은 경기도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38선으로 한국이 분단되었을 때, 개성은 38선 이남의 대한민국 영토였다. 그러나 한국 전쟁 초기 개성-문산 전투에서 조선인민군이 승리하면서 개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다. 1950년 인천 상륙 작전 이후 UN군이 개성을 탈환하기도 했지만,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UN군은 임진강으로 후퇴하면서 개성을 다시 포기해야 했다.[3] 1951년 개성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으나,[6] 판문점으로 장소가 변경되었다. 1953년 한국 정전 협정 체결로 개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전쟁 결과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통제권이 변경된 유일한 도시가 되었다.

전후 개성과 점령된 경기도 일부는 "개성지구"로 편성되었다가 1957년 "개성직할시"가 되었다. 2002년 개성공업지구가 조성되었고, 2003년 개성의 나머지 지역은 황해북도의 일부가 되었다. 2019년 개성은 다시 특별시가 되었다.[7]

2. 1.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개성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토였으며, 청목령(靑木嶺)이라고 불렸다. 나중에는 고구려의 영토로서 동비홀(冬比忽)과 부소갑(扶蘇岬)으로 불리는 지역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동비홀은 개성(開城)으로, 부소갑은 송악군(松岳郡)으로 각각 고쳐졌다.[36]

개성 지역의 최초 고고학적 거주 흔적은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즐문토기, 돌그릇, 돌도끼와 같은 유물들이 개성의 이중 성곽인 오성산과 개성 남성에서 발굴되었다. 개성은 수 세기 동안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바뀌었다. 마한의 영역에 속했으며, 고구려 지배 시대에는 '부소갑'으로 불렸다. 475년 백제의 세력이 정녕, 문경새재, 아산만 남서쪽으로 후퇴하기 전까지, 이 지역은 약 100년 동안 백제의 영토였다.

그러나 555년(신라 진흥왕 16년)에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그 시대에 '송악군'으로 개칭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694년(신라 효소왕 3년)에 이곳에 성을 쌓았을 때 개성은 "송악(松嶽)"으로 불렸다. 따라서 송악이라는 이름은 적어도 그 이전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백제가 이 주변까지 지배했던 시대에는 “동비홀(冬比忽, Tongbihol)” 성이라 불렸으며, 고구려 시대를 거쳐 통일 신라 757년( 경덕왕 16년)에 지명을 “개성군”으로 중국식 한자 두 글자로 고쳤다. 시가지에는 송악군이 설치되어 있었고, 삼국사기에 따르면 개성군과 송악군은 별개의 군이었다.[36]

2. 2. 고려의 도읍

개성은 바다와 밀접하게 연관된 호족들의 본거지였으며, 그 중 왕씨 일가는 대표적인 존재였다. 궁예철원후고구려의 도읍으로 확정하기 전에는 한때 이곳을 임시 도읍으로 삼기도 했다. 918년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우면서 개성은 본격적으로 고려의 도읍이 되었다(919년).[3] 고려 왕성이 위치한 곳은 신라 시대의 송악군이었고, 개성현은 그에 속한 현이었다. 919년에 개주가 설치되었고, 995년에 개성부로 개칭되어 송악현을 비롯한 수도 내를 관장하다가 1018년(현종 9) 개성부가 없어지면서 송악현은 중앙 정부의 직속이 되었고 개성현은 분리되었다. 1062년에 개성현이 개성부로 바뀌었고, 1308년에 개성부가 수도 내까지 관장하게 되면서 개성의 지위가 역전되어, 마침내 옛 송악군의 자리도 개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개성은 인접한 항구 도시벽란도와 함께 국제 상업 도시로 발달하였다. 이후 조선 왕조가 들어서 1394년 한양으로 천도할 때까지 489년간 고려와 조선 두 왕조의 도읍이었다.

왕건의 릉


신라 말기(후삼국 시대) 개성(松嶽)을 근거지로 삼았던 호족 왕건은 궁예에게 항복하여 그의 부하가 되었고, 궁예를 맞이했다. 궁예는 901년에 개성(松嶽)에서 후고구려(後高句麗) 왕을 칭했다. 이후 궁예는 수도를 철원으로 옮겼으나 폭정을 거듭하여, 918년 왕건이 반란을 일으켜 그를 죽이고 그의 세력을 계승하여 고려(高麗)를 건국했다. 왕건은 이듬해인 919년 수도를 고향인 개성(松嶽)으로 천도하고 개주로 개칭했다. 개주에는 왕이 거주하는 수창궁(寿昌宮)을 비롯하여 인덕궁(仁徳宮), 수덕궁(寿徳宮) 등의 궁궐이 있었다. 1015년 북송(北宋)에 사신으로 파견된 곽원(郭元)은 “3,500호 이하가 아닌 백성이 있다”고 말했는데, 고려 후기 몽골의 고려 침공으로 강화도로 천도해야 했던 30년을 제외하고 약 500년 동안 고려의 수도였다.

2. 3. 조선

조선 태조가 1392년 조선을 개국한 후 잠시 수도 지위를 유지하다가, 1394년에 한양으로 수도가 옮겨졌다. 이후 잠시(1399년 - 1405년) 수도가 개경으로 돌아온 것을 제외하고는, 개성은 정치적 중심으로서의 기능은 상실하였다. 그러나 조선 왕조에서도 개성은 중요한 도시 가운데 하나였다. 1438년 개성에는 개성부(開城府)가 설치되어, 황해도 영속의 개성 유수(留守)가 파견되었다. 또한 개성은 특히 상업의 중심지로 이름을 떨쳤다. 이 시기에 개성은 송도(松都), 송경(松京), 중경(中京)이라고도 불리었다. 1895년 6월 23일 23부제가 실시되면서 도제(道制)가 폐지되어 개성부가 잠시 설치되었다가, 1896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면서 경기도 영속으로 재차 환원되었다.[3]

2. 4. 일제 강점기

개성부 휘장


개성의 구시가지


1914년 4월 1일 개성군과 풍덕군을 통폐합하여 개성군을 설치하였다.[43] 이때, 송도면 안의 12개 리(里)는 13개 정(町)으로 개편되었다. 1930년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고, 개성군은 개풍군으로 개칭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 병합 이후 1930년에는 개성부가 설치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반도의 사회 기반 시설 정비에 주력하였다. 한성(漢城)이 경성(京城)으로 개칭되면서 근대적인 도시로 개발됨에 따라, 경의선 철도 부설로 개성은 경성 도시권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경성과 개성 사이는 철도 부설과 도시화로 형성된 통근·통학권으로서 강한 유대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고려인삼 산지로서 지역 주민의 소득이 높았기 때문에, 개성의 조선 여성들은 화장이나 의복 등 외모에 신경 쓰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화장품 사업에 유리한 환경이었으며, 미용액이나 크림 등이 잘 팔렸다.[37]

2. 5. 대한민국

광복 후, 개성은 북위 38도선 바로 남쪽에 위치하여 미군정 지역이 되었고, 1949년에 개성시가 되면서 대한민국의 최전방 도시가 되었다. 시가지 북쪽의 송악산 정상(488고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쪽의 475고지는 대한민국 관할이어서, 1949년 5월 4일 송악산 5·4 전투를 비롯한 크고 작은 전투가 발생했다.

개성은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경기도에 속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단되었을 때, 개성은 38선 이남, 즉 대한민국 영토에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전쟁 초기 개성-문산 전투에서 조선인민군이 승리하면서 개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다. 1950년 10월 9일, 인천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이어진 조선인민군 추격 작전 과정에서 UN군이 개성을 탈환하기도 했다. 하지만 1950년 12월 16일,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UN군은 임진강으로 후퇴하면서 개성을 포기해야 했다.[3]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으나,[6] 1951년 10월 25일 판문점으로 장소가 변경되었다.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 정전 협정에 따라 개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전쟁 결과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통제권이 넘어간 유일한 도시가 되었다.

2.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국 전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으며, 정전협정으로 편입되었다.[44] 1955년 1월개풍군판문군이 개성시에 속하게 되었고, 1957년 6월 1일(道)급인 '''개성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60년 3월 황해북도에 속해있던 장풍군이 개성직할시에 편입되었다.

1961년 3월 장풍군 내 옛 개풍군 영남면·영북면 지역(룡흥리, 삼거리, 산성리)이 개성시에 편입되었다. 1967년 10월 태평동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역전동(驛前洞)을, 남안동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남문동(南門洞)으로 개칭되었다. 1983년 11월에 개성시 손하리가 성남동(城南洞)으로, 산성리가 박연리(朴淵里)로 개칭되었고, 판문군 전재리 일부를 분리하여 개성시 은덕동(恩德洞)을 신설하였다.

2002년 11월 판문군이 폐지되었고, 2003년 6월 개성직할시의 장풍군개풍군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 2003년 9월 직할시에서 해제되고, 개성시가 황해북도로 재편입되어 '''개성특급시'''로 변경되었다. 2005년 9월개풍군과 통합되었다. 2019년 2월 상반기에 황해북도에서 분리되어 '''개성특별시'''로 승격되었고, 구 개풍군 일대와 구 판문군이 각각 개풍구역판문구역이 설치되었다.[44]

그러나 2021년 2월 상반기에 '''황해북도 개성시'''로 재차 격하된 이후, 2023년 2월 상반기에 황해북도 장풍군이 개성시로 편입되었다.

개성-문산 전투에서 조선인민군(KPA)이 승리하여 점령하였다. 이 도시는 1950년 10월 9일, 인천 상륙 작전에 이은 조선인민군 추격 작전 중에 UN군에 의해 재탈환되었다. UN군은 1950년 12월 16일, 중국 중국인민지원군의 전쟁 개입에 따라 임진강으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개성을 포기하였다.[3]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으나,[6] 1951년 10월 25일 개성 남동쪽의 판문점으로 옮겨졌다.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 정전 협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개성 지배를 인정하였고, 이로써 개성은 전쟁 결과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통제권이 변경된 유일한 도시가 되었다.

2002년, 개성의 일부 지역을 이용하여 개성공업지구(Kaesŏng Industrial Region)가 조성되었다. 2003년, 개성의 나머지 지역(개성공업지구 제외)은 황해북도(North Hwanghae Province)의 일부가 되었다. 2019년 10월, 개성은 특별시가 되었다.[7]

3. 지리

개성은 북한 최남단 도시로, 대한민국과 인접해 있다. 조선팔도에서는 경기도에 속했으며, 조선반도의 주요 도시 중에서 판문점에 가장 가깝다. 시가지에서 판문점까지의 거리는 8km이다. 남쪽에는 한강임진강의 하구가 있으며, 강을 사이에 두고 한국 영토인 강화도가 있다.

개성은 역사적으로 상업 도시로 알려진 전형적인 성곽도시이다. 시내에는 고려 시대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유학의 최고 교육 기관이었던 성균관이 남아 있으며, 왕건왕릉, 관음사, 만월대, 개성 남대문 등이 주요 유적지이다. 또한, 정몽주가 암살당한 곳인 도 이 도시에 있다.

개성 시가지 주위는 송악산(해발 489m), 자남산 등 소나무가 많은 에 둘러싸여 있어 '''송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인삼(고려인삼)의 산지로 유명하며, 인삼주는 북한의 주요 수출품이다. 주목할 만한 동식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인 개성백송크낙새가 있다.

개성 시내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협력으로 공업단지 건설이 진행되어 경공업이 발달하였고, 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했다. 그러나 한국과의 관계 악화로 공업단지의 생산이 중단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다.[8]

3. 1. 위치 및 지형

서쪽으로는 황해남도 배천군, 북쪽으로는 황해북도 금천군, 동쪽으로는 장풍군, 남동쪽으로는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경기도 파주시와 접한다. 1953년 7월 27일부로 개성 시가지의 10km 동쪽(판문점)에 군사분계선이 지난다. 개성 시내와 군사분계선 사이에 개성공단이 있으며, 개성공단은 대한민국파주시 문산읍에서 14km 서북쪽에 있다.

개성은 아호비령산맥이 인근에 있어 주변에 산이 많다. 북쪽에 천마산(757m), 성거산, 묘지산(764m), 수룡산(716m), 제석산(749m), 화장산(558m), 오관산 등이 있으며, 도시 지역은 송악산(489m)과 봉명산에 둘러싸여 있다. 도시 중심부는 자남산(103m)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임진강이 도시의 북동쪽 경계를 따라 흐르고, 례성강이 서쪽 경계를 따라 한강으로 흘러든다. 이 두 강 외에도 삼천, 월암천, 축백천, 금성천, 사천 등 크고 작은 하천들이 한강으로 유입된다. 개성 남서쪽에 있는 유역에는 풍덕벌, 신광벌, 삼성벌과 같은 넓은 충적평야가 있다.[8]

지질은 원생대, 신생대, 고생대 지층과 중생대 관입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금, 아연, 구리, 형석, 석회암, 화강암, 카올린 등이 있다. 토양은 대체로 갈색 산림토이며, 례성강, 임진강, 한강 유역은 주로 충적토와 염류토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온난하고 온화하며, 연평균 기온은 약 10°C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5.9°C이고,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은 24.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0~1,400mm이다. 서리 없는 기간은 180일로 북한에서 가장 길다. 개성의 약 55%가 산림으로 덮여 있으며(나무의 80%는 소나무), 40종의 포유류와 250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8]

3. 2. 기후

개성시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a)를 띈다. 서울특별시와 인접하기 때문에 온난화가 지속되면서 Cwa 같은 기후 대역으로 편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냉대 기후를 띄는 것이 보통이다. 개성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에 강수량이 풍부한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를 가지고 있다.

개성 (1991–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6°C4.6°C10.5°C17.3°C22.8°C26.8°C28.1°C29.3°C25.8°C20.1°C11.3°C3.6°C16.8°C
평균 기온 (°C)-3.6°C-0.8°C4.6°C11°C16.7°C21.3°C24.1°C24.9°C20.4°C13.7°C5.9°C-1.3°C11.4°C
평균 최저 기온 (°C)-8.1°C-5.6°C-0.3°C5.6°C11.6°C17.1°C21.1°C21.5°C15.9°C8.3°C1.1°C-5.6°C6.9°C
강수량 (mm)10.9mm19.4mm24.7mm49.9mm95.2mm105.7mm359.9mm285.2mm109.9mm40.9mm40.8mm18.3mm1160.8mm
평균 강수일수 (≥ 0.1 mm)3.33.64.66.37.48.112.811.35.94.76.44.979.3
평균 강설일수4.63.11.60.10.00.00.00.00.00.01.44.915.7
평균 상대 습도 (%)67.264.764.466.772.977.885.381.873.470.170.367.971.9

[45]

4. 행정 구역

개성시는 1945년 해방 당시의 개성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을 합쳐 형성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편입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1955년 개풍군판문군이 개성시에 속하게 되었고, 1957년에는 도(道)급인 개성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60년에는 황해북도에 속해있던 장풍군이 개성직할시에 편입되었다.

1961년, 1967년, 1981년, 1983년, 1988년, 1993년, 1994년에 걸쳐 여러 동과 리의 신설, 분리, 명칭 변경 등의 변화가 있었다.

2002년 판문군이 폐지되었고, 2003년 장풍군개풍군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가, 같은 해 개성시가 황해북도로 재편입되어 개성특급시로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개풍군과 통합되었고, 2019년에는 개성특별시로 승격되었으며, 구 개풍군과 구 판문군은 각각 개풍구역판문구역으로 설치되었다.[44]

그러나 2021년에 다시 황해북도 개성시로 격하되었고, 2023년에는 황해북도 장풍군이 개성시로 편입되었다.

현재 개성시는 시외의 1군(장풍군) 2구역(개풍구역, 판문구역)과 시내의 27동 5리로 구성되어 있다.

구역, 군



각 동과 리의 명칭 변경 및 신설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고려동(高麗洞): 1957년 일부가 해운동으로 분리되었다.
  • 내성동(內城洞): 1981년 태평동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남문동(南門洞): 1967년 남안동 일부 지역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개성 남대문 남쪽에 위치한다.
  • 남산1동(南山1洞), 남산2동(南山2洞): 1993년 남산동에서 분리되었다.
  • 남안동(南安洞): 1957년 수창동, 1958년 서흥동이 흡수 편입되었다. 1967년 일부 지역이 남문동으로 분리되었다.
  • 덕암동(德巖洞): 1994년 덕암리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룡흥동(龍興洞): 1960년 장풍군 룡흥리가 개성시로 편입, 1988년 룡흥동으로 개칭되었다.
  • 방직동(紡織洞): 1983년 부산동 일부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보선동(步仙洞): 1958년 덕암리 일부 지역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부산동(扶山洞): 1983년 일부가 방직동으로 분리되었다.
  • 북안동(北安洞): 개성 남대문 북쪽에 위치한다.
  • 성남동(城南洞): 1983년 손하리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역전동(驛前洞): 1967년 태평동 일부 지역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개성역이 위치한다.
  • 운학1동(雲鶴1洞), 운학2동(雲鶴2洞): 1959년 운학리가 운학동으로 개칭, 1983년 분리되었다.
  • 은덕동(恩德洞): 1983년 판문군 전재리 일부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해운동(海雲洞): 1957년 고려동 일부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박연리(朴淵里): 1960년 장풍군 산성리가 개성시로 편입,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다.
  • 삼거리(三居里): 1960년 장풍군에서 개성시로 편입되었다.
  • 송학동(松鶴洞): 1961년 만월동 일부 지역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5. 인구

2008년 기준으로 30만 8440명이고,[41][42] 2023년장풍군이 편입되어(6만 9104명) 총 37만 7544명이다.

6. 산업

개성은 경공업을 주로 하며, 인근 평야 지대에서는 농업, 특히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쌀 외에도 옥수수, , 수수, 메밀도 생산되며, 축산업, 과수업, 양잠도 이루어진다. 개성시에는 소규모 메기농장, 개성시인삼농장, 개성시인삼가공공장, 개성편집물공장(모직물, 편직물, 각종 의류 생산), 개성수지공장, 개성일용품공장, 개성육류공장, 개성신발공장, 개성목재공장, 개성일용잡화공장 등이 있다.

개성인삼공장은 기업농장을 운영하고 있고, "개성인삼"은 가공 또는 비가공 상태로 평양시로 운송된다. 인삼도자기는 해외로도 수출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개성 지부가 있으며, 2002년 기준 본점은 개성에, 지점은 개풍군판문군에 있었다.[24]

2000년 8월, 김정일정몽헌 현대그룹 회장의 합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토지와 노동력을, 대한민국(현대)은 기술과 자본을 제공하여 개성(구 개풍군 봉동면) 일대에 개성공업지구를 만들었다. 2002년 11월 북한은 "개성공업지구법"을 제정했고, 2003년 6월 약 330만m2 규모의 제1기 공사가 착공되어 2006년 말 완공되었다. 2006년에는 남북한 협상으로 개성공업지구가 설립되어 대한민국 중소기업들이 진출했고, 이곳 근로자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주민들이다. 남북 송전선이나 서울로부터 광섬유 연결 등 큰 진전도 있었지만, 양측 의견 대립 등으로 순탄치만은 않았다.

개성은 지형, 기후, 토양 등 농업 생산에 유리한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있다. 송도저수지 등 18개 저수지와 약 150개 양수장, 수백 개 저수지가 농업 발전을 위해 건설되어 관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경작지는 개성 지역의 27%를 차지하며, 쌀, 옥수수, 콩, 밀, 보리가 주요 작물이다. 쌀 생산량은 전체 곡물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며, 개풍군과 판문군이 쌀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복숭아, 사과, 감 등 과일과 채소 재배, 축산업, 양잠업도 활발하다. 특히 개성 특산물인 흰 복숭아는 전체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개풍군과 판문군은 고려인삼으로 불리는 질 좋은 한국 인삼 재배로도 유명하다.[24]

개성은 북한 경공업 중심지이다. 도시 지역에는 보석 가공 공장, 인삼 가공 공장, 자수 공장이 있다. 고려 시대부터 고려청자 등 수공예품과 상업 중심지였으며, 남북 분단 이후에는 섬유 산업이 식료품, 생활용품, 인삼 제품과 함께 주요 산업이 되었다. 식품 가공업은 섬유 산업 다음으로 중요하며, 장(간장, 된장 등 콩 발효식품), 기름, 통조림, 주류, 청량 음료 등을 생산한다. 수지, 목재, 수공예품, 도자기, 신발, 학용품, 악기, 유리 등도 생산한다. 개성에는 농업 기계 생산 및 트랙터 수리 공장도 있다.

개성공업지구는 북한과 한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산업 단지이다.[25] 2005년경 건설된 이 단지에는 120개 이상 한국 섬유 및 기타 노동 집약적 공장에서 5만 3,400명 이상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26] 2013년 초 약 887명 한국인이 이 단지에서 근무했으며, 2012년에는 약 4.7억달러 상당 상품을 생산했고,[25][26] 개성시 근로자의 6분의 1을 고용했다.[27]

2013년 긴장 고조 속에 개성공업지구는 일시 폐쇄되었고,[6] 2016년에 다시 폐쇄되었다.

7. 문화

개성은 487년 동안 고려의 수도였기 때문에 요리 문화가 매우 발달하였다. 개성 요리는 서울 요리, 전라도 요리와 비교될 정도로 화려한 스타일을 자랑한다.[21] 1950년까지 경기도에 속해 전통적으로 경기도 요리의 일부로 취급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 편입되었다.

대표적인 개성 요리로는 보쌈 김치, 평수(여름 만두의 일종),[22] 신선로, 설렁탕, 추어탕, 조랭이 떡국, 움개(개성주악), 경단 등이 있다.[21] 특히 움개(개성주악)는 찹쌀가루와 밀가루 반죽에 이나 대추를 넣고 튀겨 시럽을 입힌 음식으로, 달콤하고 고소하며 정교한 모양으로 개성의 명절 음식으로 꼽힌다.[23]

개성에는 개성학생소년궁전, 개성체육청소년학교, 개성백화점 등의 사회문화시설이 있다. 개성방송, 조선교육문화텔레비죤방송국, 개성신문사는 지역 방송 및 언론 기관이다. 과거 남성병원이 있던 자리에는 현재 개성시인민병원과 개성시종합진료소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려 박물관


남대문


개성 통일관의 방문객을 위한 식사


박연폭포(Pakyon Falls)

7. 1. 유적지

개성은 고려 왕조 500년의 수도로서, 명승고적이 많다. 시내의 대표적인 역사적 유적 및 명승지는 다음과 같다.

교외(구 개풍군 지역)에도 왕건릉공민왕릉 같은 역사적 유적과 박연폭포(朴淵瀑布) 같은 명승지들이 많다.

개성 성균관


개성 남대문


개성은 세계유산인 개성의 역사유적지의 소재지이다.[20] 고려 송경관 대학교(경공업), 공산주의 대학교, 예술대학이 개성에 위치해 있다. 개성의 옛 유교 사원에 있는 고려 박물관에는 귀중한 고려 시대 예술품과 문화 유물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하지만 많은 것이 복제품이며, 원본은 평양에 있는 조선중앙역사박물관 금고에 보관되어 있다).

고려의 옛 수도였던 개성에는 거의 모든 고려 국왕의 능이 위치해 있지만, 대부분 접근이 불가능하다. 왕조의 창업주인 고려 태조의 왕건릉은 개풍군에 있는 개성 서쪽에 위치하며, 대대적인 복원이 이루어졌다. 다른 주목할 만한 능으로는 고려 혜종 (서릉), 고려 경종 (용릉), 고려 성종 (강릉), 고려 현종 (서릉), 고려 문종 (경릉), 고려 공민왕 (공민왕릉)의 능이 있다. 개성에는 또한 조선 시대의 왕릉 두 곳이 있는데, 이는 북한에서 유일한 조선 시대 왕릉이다. 조선 정종의 흥릉과 조선 왕조의 창업주 이성계의 왕비 신의왕후의 능인 제릉이 그것이다. 이 두 능은 조선 왕실 구성원의 능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조선왕릉 세계유산에서 제외되었다.

고려 시대의 고도인 개성(시가지 등)은 관광지로서도 유망한 곳이며, 오래전부터 외국인 관광에 개방되어 있다. 평양을 관광하는 외국인은 함께 개성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고려 시대의 성벽, 왕릉, 교육기관 등은 2013년에 「개성의 역사적 건조물군과 유적군」으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7. 2. 교육

1950년 당시 개성에는 공립 개성중학교, 개성고등여학교와 사립 송도중학교, 정화여학교, 호수돈여학교가 있었다.[3] 전쟁 후, 사립 학교들은 남한으로 이전하여 다시 개교하였다.[3] 당시 초등학교로는 만월, 동현, 선죽, 고려, 송도, 중경, 남산, 덕암 국민학교가 있었다.

현재 개성시에는 고려성균관대학교, 개성공업대학교, 개성예술대학, 안영애대학교, 개성체육대학교, 개성송도대학교 등이 있다.

개성의 대표적인 전통 교육기관인 성균관선죽교 북쪽 1km 지점에 있다. 992년(고려 성종 때) 국자동 부근에 국자감(國子監)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한국 유교 발전에 기여했다.[3] 충렬왕국학(國學)으로 개칭되었고, '성균관'으로 불리기도 했다.[3] 1367년(공민왕 16년)에는 건물이 개축되었고, 이색정몽주가 교수로 강의했다.[3]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성균관을 김육이 재건했다.[3]

개성에 처음 등장한 근대 학교는 1906년 윤치호가 미국 선교사 왓슨(Wasson)과 캔들러(Candler)의 도움으로 설립한 한영서원(영어-한국어 학교)이었다.[3] 1917년 조선총독부로부터 송도고등학교로 인가받았고, 1950년 송도중학교와 송도약학전문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송도학교재단으로 확장되었으며, 송도약학전문학교는 4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3] 그러나 한국 전쟁으로 재단은 인천으로 이전했고, 1953년 송도중고등학교를 재건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3]

한국 전쟁 당시 송도고등학교처럼 정화여학교와 호수돈여학교도 교사와 학생들 대부분이 남쪽으로 피난하여 현재 서울대전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2002년 기준으로 개성에는 각 리(마을) 단위에 80개의 공립 초등학교, 60개의 중·고등학교, 송도정치대학, 개성교육대학, 개성공산대학 등 3개의 대학이 있었다.[28]

  • 송도정치경제대학

7. 3. 음식



개성은 487년 동안 고려의 수도였기 때문에, 그 요리 문화는 매우 발달하였다. 개성 요리의 화려한 스타일은 종종 서울 요리와 전라도 요리와 비교된다.[21] 1950년까지 개성이 경기도에 속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경기도 요리의 일부로 취급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북한의 행정 구역에 편입되었다. 대표적인 개성 요리로는 보쌈 김치(김치를 쌈으로 싼 요리), 평수(여름 만두의 일종, 네모난 모양),[22] 신선로(궁중 전골), 설렁탕(소뼈 국), 추어탕(미꾸라지탕), 조랭이 떡국(조랭이 떡으로 만든 떡국), 움개(시럽을 묻힌 ), 경단(공 모양의 떡) 등이 있다. 움개는 개성주악이라고도 불리며, 달콤하고 고소한 맛과 정교한 스타일로 유명하여 개성의 명절 음식으로 꼽힌다. 찹쌀가루와 밀가루를 따뜻한 물로 반죽하여 이나 대추를 넣고 공 모양으로 만들어 튀긴 후 시럽을 입혀 만든다.[21][23]

8. 교통

개성은 철도와 고속도로를 통해 평양 및 기타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 도시의 주요 기차역은 평부선에 있는 개성역이다.[29] 철도로는 평부선(경의선) 개성역이 있으며, 그 동쪽으로는 대한민국 경의선 도라산역과 연결되는 판문역, 손하역, 봉동역이 있다.[29]

서울에서 개성으로 가는 철도는 2003년 6월까지 복구되었고, 2007년 5월에는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 같은 해 12월부터 개성공업지구에 인접한 판문역과 한국 측 문산역 사이에서 토요일과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화물열차가 1회 왕복 운행되었다. 그러나 북한 측이 남북 간 열차 운행 중단을 발표하면서 2008년 11월 28일부터 다시 중단되었다. 이후 열차의 정기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여객 열차가 운행된 적도 없다.

9. 자매 도시

10. 출신 인물


  • 마해송: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다.
  • 서경덕: 조선의 학자이다.
  • 양주동: 대한민국의 학자이다.
  • 임동균: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전원주: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원병오: 대한민국의 조류학자이다.
  • 한호: 조선의 서예가이다.
  • 황희: 조선의 재상이다.
  • 의천: 천태종(天台宗)의 창시자이다.
  • 최충헌: 고려 시대의 무신 정권 실세이다.
  • 최의: 고려의 장군이자, 최충헌의 아들이다.
  • 황진이: 유명한 기생이자 시인이다.
  • 이종수: 캐나다 태권도의 아버지이다.
  • 이광우: 한국계 미국인 인쇄 언론인이다.
  • 원병오: 대한민국 동물학자이다.[31]
  • 진병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이다.[31]
  • 윤여정: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아카데미상 수상자이다.
  • 우인희: 북한 배우이자, 김정일의 정부였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 Map: Geographic overview Japan & Korea 1945 AD – 1B http://www.drben.net[...]
[2]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by sex, city and city type http://data.un.org/D[...] United Nations 2013-12-16
[3] 웹사이트 개성시 開城市 (Kaesong) https://web.archive.[...] Nat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1-06-10
[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006
[5] 웹사이트 Bronze statues of great Kim Il Sung and Kim Jong Il unveiled in Kaesong City https://archive.org/[...]
[6] 웹사이트 Kaesŏng | North Kore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7] 뉴스 北, 새 '치안총수'에 김정호…"개성시, 특별시로 승격 https://www.yna.co.k[...] 2020-02-13
[8] 웹사이트 개성직할시 자연환경 (Nature of Kaesong) https://web.archive.[...] Nate/ Britannica 2011-06-10
[9] 간행물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3
[10] 웹사이트 개성시(開城市) – KAESONGSI http://nk.joins.com/[...]
[11] 웹사이트 고려동개요 http://www.cybernk.n[...]
[12] 웹사이트 해운동개요 http://www.cybernk.n[...]
[13] 웹사이트 자남동개요 http://www.cybernk.n[...]
[14] 웹사이트 관훈동개요 http://www.cybernk.n[...]
[15] 웹사이트 만월동개요 http://www.cybernk.n[...]
[16] 웹사이트 내성동개요 http://www.cybernk.n[...]
[17] 웹사이트 남안동개요 http://www.cybernk.n[...]
[18] 웹사이트 남문동개요 http://www.cybernk.n[...]
[19] 웹사이트 북안동개요 http://www.cybernk.n[...]
[20] 웹사이트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http://whc.unesco.or[...] UNESCO 2020-02-16
[21] 웹사이트 향토음식 鄕土飮食 https://web.archive.[...] Nat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1-06-10
[22] 웹사이트 편수 (Pyeonsu) https://web.archive.[...]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1-06-10
[23] 웹사이트 닮은 듯 색다른 매력을 간직한 북한의 음식 문화 https://web.archive.[...] Korea Knowledge Portal 2011-10-09
[24] 웹사이트 개성직할시 산업과 교통 (Industry and transport of Kaesong) https://web.archive.[...] Nate / Britannica 2011-06-10
[25] 뉴스 North Korea Shuts Last Military Hot Lines to South https://www.nytimes.[...] 2013-03-27
[26] 뉴스 North Korea Threatens to Close Factory It Runs With South https://www.nytimes.[...] 2013-03-30
[27] 뉴스 Seoul to Pull Workers out of North Korea https://www.wsj.com/[...] 2013-04-26
[28] 웹사이트 개성직할시 교육과 문화 (Education and Culture of Kaesong) https://web.archive.[...] Nate / Britannica 2011-06-10
[29] 웹사이트 Cities that almost had Trolleys http://www.sfu.ca/pe[...] 2021-02-22
[30] 웹사이트 Ciudades Hermanas https://web.archive.[...] Municipalidad del Cusco 2009-08-03
[31] 웹사이트 모바일 서울대학교병원 :: https://web.archive.[...] 2017-09-26
[32] 웹사이트 지역별 면적 (第一級行政区画の面積一覧) https://kosis.kr/sta[...] 한국統計情報システム 2020-12-28
[33]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units, extended https://web.archive.[...] geohive.com 2016-03-04
[34] 뉴스 北朝鮮が警察トップ交代 開城市は特別市に昇格=韓国統一部資料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0-02-13
[35] 웹사이트 행정구역 수 (第一級行政区画別行政区画の数一覧) https://kosis.kr/sta[...] 한국統計情報システム 2020-12-28
[36] PDF 『三国史記』巻34,35,36,37統合 http://www.dai3gen.n[...]
[37] 웹사이트 세계最高の化粧品会社の一群、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徐成煥 - 徐慶培2代「個性商人の母は化粧品事業の扉を開いた、その息子ソ・ソンファンは、化粧品業界の皇帝になった後、私たちに茶を生かし、孫ソ・ギョンベは、世界の女性を魅了した http://monthly.chosu[...] 2018-08-07
[38] 뉴스 北朝鮮・労働新聞、「金にならない協力だけしようとする」と文政権を揶揄 http://japanese.dong[...] 2018-08-07
[39] 웹사이트 황해북도 개성시 역사 http://www.cybernk.n[...]
[40] 웹사이트 북, 개풍군을 폐지하고 개풍구역과 판문구역 신설 http://www.shinmoong[...] Shinmoongo.net 2021-05-15
[41] 웹사이트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년>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https://kosis.kr/sta[...] 2023-11-29
[42]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by sex, city and city type http://data.un.org/D[...] UN 통계
[43] 법률 부령 제111호 1913-12-29
[44] 뉴스 https://www.yna.co.k[...]
[45]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