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SRU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RU(자원 활용 우주 탐사)는 우주 자원을 활용하여 우주 탐사 및 개발을 지원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ISRU는 물, 로켓 연료, 태양 전지판,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자원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물은 식수, 식량 재배, 산소 생산 등에 사용된다. 로켓 연료는 달 표면에서 얼음을 처리하여 생산하거나, 화성 대기에서 메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태양 전지판은 달 토양에서 생산하여 달 표면 작업 및 지구 전력 공급에 활용될 수 있으며, 레골리스와 같은 건축 자재를 통해 행성이나 달의 식민지화를 지원할 수 있다. ISRU 기술은 화성, 달, 소행성 등 다양한 천체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MOXIE 실험과 같은 시제품 개발을 통해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연 자원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천연 자원 - 자연 자본
  • 우주 이민 - 행성 보호
    행성 보호는 우주 탐사 시 지구 미생물에 의한 외계 행성 오염 방지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보호를 위한 노력으로, 국제적인 논의와 우주조약을 통해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었으며, 국제우주연구위원회가 관련 권고안을 제시한다.
  • 우주 이민 - 우주 엘리베이터
    우주 엘리베이터는 지구 표면과 정지 궤도를 연결하여 화물을 수송하는 혁신적인 구조물로, 기술적 과제와 경제성, 환경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달 탐사 - 달 착륙
    달 착륙은 지구 외 천체에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것으로, 여러 국가가 무인 및 유인 탐사를 통해 성공했으며 특히 1969년 아폴로 11호는 인류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을 이루었다.
  • 달 탐사 - 더 문
    더 문은 석유 위기 이후 달에서 헬륨-3를 채굴하는 기지에서 근무하는 우주 비행사 샘 벨이 자신의 복제인간을 만나 루나 인더스트리사의 비밀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2009년 SF 영화이다.
ISRU
개요
분야우주 탐사
목표탐사 비용 절감
현지 자원 활용
지속 가능한 우주 활동 지원
주요 기술자원 탐사 및 추출
자원 처리 및 변환
현지 자원 기반 건설 및 제조
에너지 생산
생명 유지
역사
초기 개념1970년대, 제럴드 오닐의 우주 식민지 구상에서 시작
본격적인 연구 시작1980년대, NASA를 중심으로
주요 임무화성
달 탐사
소행성 탐사
활용 분야
탐사 기지 건설, 화성 기지 건설에 필요한 자원 확보
추진제 생산물을 분해하여 수소산소 생산, 로켓 연료로 사용
건설 재료 생산현지 흙 또는 암석을 가공하여 건축 자재로 사용
생명 유지물, 공기 생산 및 재활용
에너지 생산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에 필요한 자원 확보
기술적 과제
자원 탐사정확한 자원 위치 및 매장량 파악
자원 추출효율적인 추출 기술 개발 (예: 채굴, 정제)
자원 처리추출된 자원을 목적에 맞게 가공 (예: 물 분해, 금속 제련)
장비 개발극한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장비 개발 (예: 방사선, 극저온)
경제성 확보초기 투자 비용 회수 및 경제적 이점 확보
주요 연구 기관
미국NASA, 에임스 연구 센터, 케네디 우주 센터
유럽ESA
일본JAXA
관련 용어
자원물, 레골리스, 이산화탄소, 금속 등
장비채굴 로봇, 정제 장치, 3D 프린터 등
기술전기분해, 사바티에 반응, 용융염 전기분해 등
전망
장기적인 목표우주 탐사의 지속 가능성 확보
우주 경제 활성화
지구 자원 고갈 문제 해결 기여

2. 역사

(주어진 `source`에는 `title`인 ISRU에 대한 내용 중 `section-title`인 역사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음)

3. 활용



현지 자원 활용(ISRU)은 우주 탐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이를 통해 우주선 발사 비용을 절감하고, 장기간 우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 물: 화성 탐사차 퍼서비어런스 (탐사차)에 실린 MOXIE는 화성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산소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현지에서 생산한 물은 식수, 식량 재배, 산소 생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레골리스, 얼음, 영구 동토층에서 물을 얻을 수 있지만, 채굴이 쉽지 않다.
  • 로켓 연료: 달 남극의 얼음을 처리하여 로켓 추진제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극저온 환경과 레골리스 추출 문제가 있다.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만들고, 이를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화성에서는 사바티에 반응을 통해 메탄 추진제를 제조할 수 있다. 스페이스X는 이 기술을 활용하여 화성에 추진제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8]
  • 태양 전지판: 달 토양의 실리콘, 알루미늄, 유리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를 생산할 수 있다.[9] 달 표면의 진공 상태는 태양 전지 박막 재료 증착에 유리하다.[10] 달에서 생산된 태양 전지판은 달 표면 작업과 달 궤도 위성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건축 자재: 행성이나 달의 식민지화를 위해서는 레골리스와 같은 현지 건축 자재가 필요하다.[12] 소행성 채굴을 통해 얻은 금속은 지구, 달, 화성에서 추출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3. 1. 물

미국의 화성 탐사차 퍼서비어런스 (탐사차)에 실린 MOXIE라는 장비에서, 현지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산소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현지에서 생산한 물은 직접 식수, 식량 재배, 산소 생산, 기타 여러 가지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레골리스, 얼음, 영구 동토층에서 획득한 얼음을 가열하여 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얼음과 영구 동토층은 종종 평범한 암석보다 더 단단하여 힘든 채굴 작업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보기만큼 쉽지는 않다. ISRU(자원 활용 우주 탐사)의 맥락에서 물은 연료 또는 연료 생산을 위한 원료로 가장 자주 직접적으로 탐구된다. 적용 분야로는 음용수, 식량 재배, 산소 생산 또는 기타 다양한 산업 공정에 직접 사용되는 생명 유지 시스템이 있으며, 이 모든 것은 환경에서 즉시 물을 공급하고 추출할 수 있는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외계 물은 태양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여러 잠재적인 물 추출 기술이 연구되었다. 레골리스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 고체 얼음 또는 일종의 영구 동토층의 경우 충분한 가열로 물을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얼음과 영구 동토층이 일반 암석보다 더 단단할 수 있어 번거로운 채굴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보이는 것만큼 쉽지 않다. 화성과 같이 어느 정도 대기가 있는 곳에서는 WAVAR와 같은 간단한 공정을 사용하여 공기에서 직접 물을 추출할 수 있다. 물의 또 다른 가능한 공급원은 화성의 잠재 지열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되는 깊은 대수층으로, 물과 지열을 모두 제공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3. 2. 로켓 연료

달 남극에서 탐지된 얼음을 처리하여 달 표면에서 로켓 추진제 생산을 할 수 있다. 극복해야 할 과제는 극저온에서 작업해야 한다는 점, 레골리스에서 추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계획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산소를 생성하고 극저온으로 액체로 저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장비와 전력이 필요하다. 핵 또는 태양 열 로켓에서 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4] 이는 동일한 장비로 훨씬 낮은 비추력에도 불구하고 달에서 낮은 지구 궤도(LEO)로 많은 양의 물질을 운반할 수 있을 것이다.[5]

단일 추진제인 과산화 수소(H2O2)는 화성과 달의 물에서 만들 수 있다.[6]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도 달 자원을 사용하여 로켓 추진제로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43] 알루미늄을 물과 반응시키는 방안이 포함된다.[7]

화성의 경우, 사바티에 반응을 통해 메탄 추진제를 제조할 수 있다. 스페이스X는 이 과정을 사용하여 지하 얼음과 대기에서 메탄과 액체 산소를 생산하는 추진제 공장을 화성에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8]

3. 3. 태양 전지판

달 토양에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태양 전지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 전지 생산에 필요한 세 가지 주요 재료인 실리콘, 알루미늄, 유리는 달 토양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태양 전지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9] 달 표면의 기본 진공은 태양 전지용 박막 재료의 직접 진공 증착을 위한 우수한 환경을 제공한다.[10] 달 표면에서 생산한 태양 전지판은 달 표면 작업과 달 궤도 밖 위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달에서 얻은 태양 전지판의 또 다른 잠재적 응용 분야는 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원래 형태인 태양광 발전 위성으로 알려진 이 제안은 지구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의도되었다. 태양 전지는 지구 궤도로 발사되어 조립되고, 생성된 전력은 마이크로파 빔을 통해 지구로 전송될 것이다.[11]

3. 4. 건축 자재

행성이나 달의 식민지화를 위해서는 레골리스와 같은 지역 건축 자재를 확보해야만 한다.[12]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및 테트라에톡시실란을 혼합한 인공 화성 토양을 사용한 연구에서는 강도, 저항, 유연성 매개 변수 값이 충분히 높았다.[12]

소행성 채굴을 통해 우주에서 건축 자재를 위한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지구, , 화성에서 추출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금속성 소행성은 귀금속을 포함하여 엄청난 양의 친철성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4. 위치

ISRU (현지 자원 활용)는 탐사 대상 천체의 현지 자원을 활용하여 우주 탐사 및 개발에 필요한 물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ISRU는 활용 위치에 따라 그 방안이 달라진다.

4. 1. 화성

화성을 위한 ISRU 연구는 주로 유인 또는 시료 반환 임무를 위한 지구 귀환 여정이나 화성에서의 연료 사용을 위해 로켓 추진제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제안된 많은 기술은 잘 특성화된 화성 대기를 공급 원료로 사용한다.[13] 이는 지구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구현하기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미국 항공우주국(NASA) 또는 유럽 우주국(ESA)이 더 일반적인 직접 임무보다 이 접근 방식을 선호할지는 확실하지 않다.[14]

ISRU의 전형적인 제안은 사바티에 반응(CO2 + 4H2 → CH4 + 2H2O)을 사용하여 화성 표면에서 메탄을 생성하여 추진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산소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물에서 해리되고 수소는 사바티에 반응으로 재활용된다. 2008년 당시 화성의 물 가용성이 과학적으로 덜 입증되었을 때, 이 반응의 유용성은 오직 수소(가벼움)만이 지구에서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되었다는 것이다.[15]

2018년, 스페이스X는 이전 단락에 설명된 내용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X 화성 추진제 공장의 기술을 신제품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밝혀왔다. 메탄과 산소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소를 지구에서 운송하는 대신, 지하 수 얼음에서 필요한 물을 채굴하고, 사바티에 반응물을 생성 및 저장한 다음, 2023년보다 빨리 스타쉽의 귀환 비행에 추진제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16][17] 그러나 2023년 현재 스페이스X는 ISRU 기술에 대한 설계나 사양을 생산하거나 발표하지 않았다.[18]

화성에 제안된 유사한 반응은 역 수성 가스 변환 반응(CO2 + H2 → CO + H2O)이다. 이 반응은 400°C에서 철-크롬 촉매가 존재할 때 빠르게 일어나며, NASA에 의해 지구 기반 테스트 베드에서 구현되었다.[19] 다시, 수소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물에서 재활용되며, 이 반응은 지구에서 소량의 수소만 필요로 한다. 이 반응의 순 결과는 로켓 연료의 산화제 성분으로 사용될 산소의 생산이다.

산소와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제안된 또 다른 반응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전기 분해이다.[21]

: \overset{대기 \atop {이산화탄소}}{2CO2} ->[\text{energy}] {2CO} + O2[22]

또한, 화성 적철광 퇴적물로부터 산소, 수소 및 CO를 2단계 열화학적 /H2O 분해 과정을 통해, 특히 자철광/우스타이트 산화 환원 주기로 ''현장'' 생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23] 비록 열 분해가 분자를 분해하는 가장 직접적인 1단계 과정이지만, H2O 또는 CO2의 경우 실용적이지도 효율적이지도 않다. 이는 유용한 해리율을 얻기 위해 매우 높은 온도(> 2,500 °C)가 필요하기 때문이다.[24] 이는 적절한 반응기 재료를 찾는 데 문제, 강력한 제품 재조합으로 인한 손실 및 집중된 태양열을 사용할 때 과도한 구멍 방사 손실을 야기한다. 자철광/우스타이트 산화 환원 주기는 나카무라에 의해 지구에서 태양열 응용을 위해 처음 제안되었으며,[25] 태양광 구동 2단계 물 분해에 처음 사용된 것 중 하나였다. 이 주기에서 물은 우스타이트(FeO)와 반응하여 자철광(Fe3O4)과 수소를 형성한다. 이 2단계 분해 과정의 요약된 반응은 다음과 같다.

: Fe3O4 ->[\text{energy}] {3FeO} + \overbrace{1/2O2}^{\underset{(\operatorname{부산물})}{산소}}

그리고 얻어진 FeO는 물 또는 CO2의 열 분해에 사용된다.

: 3FeO + H2O → Fe3O4 + H2

: 3FeO + CO2 → Fe3O4 + CO

이 과정은 분자를 분해하는 가장 직접적인 1단계 과정과 비교할 때 에너지의 열 투입을 실질적으로 줄인다.[26]

그러나 이 과정은 주기를 시작하기 위해 우스타이트(FeO)가 필요하지만, 화성에는 우스타이트가 없거나 적어도 상당한 양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스타이트는 화성에 풍부한 물질인 적철광(Fe2O3)의 환원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테라 메르디아니에 위치한 강한 적철광 퇴적물이 눈에 띈다.[27] 화성에서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철광에서 얻은 우스타이트의 사용은 지구에서 잘 알려진 산업 공정이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환원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 3Fe2O3 + H2 → 2Fe3O4 + H2O

: 3Fe2O3 + CO → 2Fe3O4 + CO2

2001년 화성 탐사선 착륙선은 화성 대기에서 산소 제조를 시연하고,[28] 태양 전지 기술과 동력 시스템에 대한 화성 먼지의 영향을 완화하는 방법을 시험할 예정이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29] 화성 2020 로버 임무에는 대기에서 CO2를 추출하고 O2를 생성하는 ISRU 기술 시연기(화성 산소 ISRU 실험)가 포함되어 있다.[30]

화성의 건물은 단열성이 좋은 현무암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지하 구조는 생명체를 방사선 노출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31]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자원은 화성에 존재한다.[32][33] 이러한 복잡한 반응 중 다수는 화성 대기에서 수집한 가스로 완성될 수 있다. 미량의 자유 산소, 일산화탄소, 물 및 메탄이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수소와 산소는 물의 전기 분해로 만들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와 산소는 이산화탄소의 전기 분해로, 메탄은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사바티에 반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반응은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는 보다 복잡한 반응 계열의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에틸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일산화탄소와 수소로 만들 수 있다.[36]

: 2CO + 4H2 → C2H4 + 2H2O

4. 2. 달

미국의 화성 탐사차 퍼서비어런스 (탐사차)에 실린 MOXIE라는 장비에서, 현지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산소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현지에서 생산한 물은 직접 식수, 식량 재배, 산소 생산, 기타 여러 가지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레골리스, 얼음, 영구 동토층에서 획득한 얼음을 가열하여 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얼음과 영구 동토층은 종종 평범한 암석보다 더 단단하여 힘든 채굴 작업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보기만큼 쉽지는 않다. 달 남극에서 탐지된 얼음을 처리하여 달 표면에서 로켓 추진제 생산을 할 수 있다. 극복해야 할 과제는 극저온에서 작업해야 한다는 점, 레골리스에서 추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계획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고 극저온으로 액체로 저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장비와 전력이 필요하다. 핵 또는 태양열 로켓에서 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일 추진제인 과산화수소(H2O2)는 달의 물에서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과 다른 금속은 달의 자원을 사용하여 만든 로켓 추진제로 사용할 수 있다.

달 토양에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태양 전지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 전지 생산에 필요한 세가지 주요 재료인 실리콘, 알루미늄, 유리는 달 토양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태양 전지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 달 표면의 기본 진공은 태양 전지용 박막 재료의 직접 진공 증착을 위한 우수한 환경을 제공한다. 달 표면에서 생산한 태양 전지판은 달 표면 작업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달 표면에서 떨어져있는 위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달은 미래의 다양한 응용 분야와 관련된 풍부한 원자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달에서의 인간 활동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달 물질에서 시작하여 지구-달 시스템 내의 미래 산업 능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는 달 자원까지 발전할 수 있다.[37] 천연 자원에는 태양 에너지, 산소, 물, 수소 및 금속이 포함된다.[38][39][40]

달 고지대의 물질인 사장석알루미늄 광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련소는 사장석으로부터 순수한 알루미늄, 칼슘 금속, 산소 및 실리카 유리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사장석은 유리 섬유 및 기타 유리 및 세라믹 제품을 만드는 데에도 적합하다.[41]

달 레골리스에서 산소를 추출하는 데 20가지가 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43] 산소는 철이 풍부한 달 광물과 유리에서 산화철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산소는 물질을 900°C 이상으로 가열하고 수소 가스에 노출시켜 추출할 수 있다. 기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eO + H2 → Fe + H2O. 이 과정은 최근 클레멘타인 우주선이 달의 극지방 근처에서 상당량의 수소를 포함하는 레골리스를 발견하면서 훨씬 더 실용적으로 되었다.[44]

달 물질은 소결, 열간 압착, 액화 및 주조 현무암 방식과 같은 처리 기술을 통해 일반적인 건축 자재로 사용될 수 있다.[45] 유리와 유리 섬유는 달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다.[1] 현무암 섬유도 달 레골리스 시뮬레이터로 만들어졌다.

두 개의 달 레골리스 시뮬란트인 MLS-1과 MLS-2를 사용하여 지구에서 성공적인 테스트가 수행되었다.[47] 2005년 8월, NASA는 달 토양을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위해 16톤의 시뮬레이션된 달 토양 또는 달 레골리스 시뮬란트 물질을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48][49]

4. 3. 화성의 위성, 세레스, 소행성

다른 제안들은 포보스데이모스를 기반으로 한다.[50] 이 위성들은 화성 상공의 비교적 높은 궤도에 있으며, 탈출 속도가 매우 낮고, 화성과 달리 표면에서 LEO까지의 귀환 델타-v가 달에서 귀환하는 것보다 적다.

세레스는 화성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델타-v가 더 높지만, 발사 창 및 이동 시간이 더 좋고, 표면 중력은 0.028g에 불과하며, 탈출 속도는 510m/s로 매우 낮다. 연구자들은 세레스의 내부 구조가 암석 핵 위에 물 얼음이 풍부한 맨틀을 포함하고 있다고 추측해 왔다.[51]

근지구 소행성소행성대의 천체 역시 ISRU를 위한 원자재의 원천이 될 수 있다.

4. 4. 행성 대기

로켓 추진을 위해 "채굴"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추진 유체 축적기라고 불린다. 대기 가스인 산소아르곤과 같은 가스는 지구, 화성, 외행성인 거대 가스 행성과 같은 행성의 대기에서 저궤도에 있는 추진 유체 축적기 위성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52]

5. ISRU 기술 개발 및 시제품

화성 탐사선 2001 착륙선은 화성 대기에서 산소를 제조하는 것을 시연하기 위한 시험 탑재체인 MIP(Mars ISPP Precursor)를 화성에 운반할 예정이었으나, 이 임무는 취소되었다.[54]

화성 산소 ISRU 실험(MOXIE)은 화성 2020 로버 ''퍼서비어런스''에 탑재된 1% 규모의 프로토타입 모델로, 화성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CO2)를 사용하여 고체 산화물 전해 전지라는 공정으로 산소를 생성한다.[55][56][57][58] 이 실험은 2021년 4월 20일에 처음으로 5.37g의 산소를 생성했다.[59]

달 ''자원 탐사자'' 로버는 달의 극지방에서 자원을 탐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2022년에 발사될 예정이었다.[30] 이 임무는 사전 기획 단계에 있었으며, 프로토타입 로버가 시험 중이던 2018년 4월에 폐기되었다.[60][61][62] 대신에 이 과학 장비는 NASA의 새로운 상업 달 탑재체 서비스(CLSP) 프로그램에 의해 계약된 여러 상업용 착륙선 임무에 탑재될 예정이며, 이 프로그램은 여러 탑재체를 여러 상업용 착륙선과 로버에 착륙시켜 다양한 달 ISRU 과정을 시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번째 공식 모집은 2019년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63][64] 자원 탐사자의 정신적 후속자는 VIPER (로버)가 되었으나, 2024년에 취소되었다.

참조

[1] 간행물 In-situ resource utilization for lunar and mars exploration 2007-01
[2] 논문 Integration of In-Situ Resource Utilization into lunar/Mars exploration through field analogs 2011-01-04
[3] 웹사이트 In-Situ Resource Utilization https://www.nasa.gov[...] NASA Ames Research Center 2007-01-14
[4] 웹사이트 LSP water truck http://www.neofuel.c[...] 2024-05-15
[5] 웹사이트 steam rocket factor 1000 http://www.neofuel.c[...] 2024-05-15
[6] 웹사이트 Chapter 6: Viking and the Resources of Mars (from a history of NASA) https://history.nasa[...] NASA 2012-08-20
[7] 뉴스 New NASA rocket fuel 'could be made on Moon, Mars' https://www.theregis[...] 2009-08-24
[8] 논문 Making Life Multi-Planetary 2018-03-01
[9] 논문 Materials refining on the Moon 2007-05-01
[10] 논문 Process Demonstration For Lunar In Situ Resource Utilization—Molten Oxide Electrolysis https://ntrs.nasa.go[...] 2017-07-07
[11] 웹사이트 Lunar Solar Power System for Energy Prosperity Within the 21st Century http://www.moonbase-[...] World Energy Council 2007-03-26
[12] 논문 Polymeric composites on the basis of Martian ground for building future mars stations 2016-04
[13] 논문 Mars in situ resource utilization: a review 2020
[14] 웹사이트 Mars Sample Return http://www.esa.int/S[...] esa.int 2008-02-05
[15] 웹사이트 Sizing of a Combined Sabatier Reaction and Water Electrolysis Plant for Use in in Situ Resource Utilization on Mars http://www.clas.ufl.[...] clas.ufl.edu 2008-02-05
[16] 웹사이트 Making Humans a Multiplanetary Species http://www.spacex.co[...] "[[SpaceX]]" 2016-10-09
[17] 뉴스 Elon Musk Shows Off Interplanetary Transport System http://www.spaceflig[...] 2016-10-09
[18] 웹사이트 Elon Musk’s Plan to Send a Million Colonists to Mars by 2050 Is Pure Delusion https://gizmodo.com/[...] 2023-12-26
[19] 웹사이트 The Reverse Water Gas Shift http://spot.colorado[...] 2007-01-14
[20] 웹사이트 Mars In Situ Resource Utilization (ISRU) Testbed http://rtreport.ksc.[...] NASA 2007-01-14
[21] 논문 Mars Rocket Vehicle Using In Situ Propellants 2001-01-01
[22] 웹사이트 Oxygen-Generating Mars Rover to Bring Colonization Closer http://www.space.com[...] 2014-08-01
[23] 문서 On the in situ production of oxygen and hydrogen from Martian hematite deposits via a two-step thermochemical CO2/H2O splitting process 2016
[24] 논문 A New Reactor Concept for Efficient Solar-Thermochemical Fuel Production
[25] 논문 Hydrogen production from water utilizing solar heat at high temperatures
[26] 논문 Materials-Related Aspects of Thermochemical Water and Carbon Dioxide Splitting: A Review
[27] 서적 A Traveler's Guide to Mars: The Mysterious Landscapes of the Red Planet Workman Pub. 2003
[28] 간행물 THE MARS IN-SITU-PROPELLANT-PRODUCTION PRECURSOR (MIP) FLIGHT DEMONSTRATION http://www.lpi.usra.[...] 1999-10-02
[29] 간행물 MATE and DART: An Instrument Package for Characterizing Solar Energy and Atmospheric Dust on Mars http://www.lpi.usra.[...] 2000-07-18
[30] 뉴스 Mars 2020 Rover To Include Test Device To Tap Planet's Atmosphere for Oxygen http://www.spacenews[...] 2013-11-22
[31] 웹사이트 ZA architects designs buildings for Mars https://newatlas.com[...] 2016-12-01
[32] 웹사이트 The Case for Colonizing Mars, by Robert Zubrin http://www.nss.org/s[...] 2016-12-01
[33] 뉴스 3-D printing seen as key to sustaining human colony on Mars http://www.nbcnews.c[...] 2016-12-01
[34] 서적 Biosignatures for Astrobiology 2016-12-01
[35] 웹사이트 Mars http://burro.astr.cw[...] 2017-09-06
[36] 웹사이트 Plastics http://chapters.mars[...] 2016-12-01
[37] 논문 Lunar Resources: A Review 2015
[38] 논문 Lunar Resources: A Review 2015
[39] 간행물 Lunar ISRU 2019: Developing a New Space Economy Through Lunar Resources and Their Utilization 2019-07-15
[40] 논문 Overview of the Lunar In Situ Resource Utilization Techniques for Future Lunar Missions 2023
[41] 웹사이트 Mining and Manufacturing on the Moon http://aerospacescho[...] NASA 2007-01-14
[42] 웹사이트 Refining Lunar Materials for Solar Array Production on the Moon https://ntrs.nasa.go[...] NASA 2007-03-26
[43] 논문 Production and use of metals and oxygen for lunar propulsion https://ntrs.nasa.go[...] 2017-07-07
[44] 논문 The Clementine Bistatic Radar Experiment. 1996-11
[45] 웹사이트 Indigenous lunar construction materials https://ntrs.nasa.go[...] AIAA PAPER 91-3481 2007-01-14
[46] 웹사이트 Cast Basalt http://www.conforms.[...] Ultratech 2007-01-14
[47] conference Processing Glass Fiber from Moon/Mars Resources https://science.nasa[...] 1998-05-11
[48] 웹사이트 NASA Science & Mission Systems Office https://isru.msfc.na[...] 2007-01-14
[49] 웹사이트 bringing commercialization to maturity http://www.planet-ll[...] PLANET LLC 2007-01-14
[50] 문서 Anthony Zuppero and Geoffrey A. Landis, "Mass budget for mining the moons of Mars," Resources of Near-Earth Space, University of Arizona, 1991 (abstract here https://ntrs.nasa.go[...]
[51] 논문 Differentiation of the asteroid Ceres as revealed by its shape 2005
[52] 서적 2010 IEEE Aerospace Conference 2010-03
[53] 웹사이트 NASA Capability Roadmaps Executive Summary https://ntrs.nasa.go[...] NASA 2017-07-07
[54] 문서 D. Kaplan et al., THE MARS IN-SITU-PROPELLANT-PRODUCTION PRECURSOR (MIP) FLIGHT DEMONSTRATION http://www.lpi.usra.[...]
[55] 웹사이트 NASA TechPort -- Mars OXygen ISRU Experiment Project https://techport.nas[...] 2015-11-19
[56] 뉴스 Oxygen-Generating Mars Rover to Bring Colonization Closer http://www.space.com[...] 2014-11-05
[57] 웹사이트 Mars Oxygen In-Situ Resource Utilization Experiment (MOXIE) – NASA https://mars.nasa.go[...] 2024-01-07
[58] 뉴스 Going to the Red Planet http://newsoffice.mi[...] 2014-11-05
[59] 웹사이트 NASA's Perseverance Mars Rover Extracts First Oxygen from Red Planet http://www.nasa.gov/[...] 2021-04-22
[60] 웹사이트 Resource Prospector https://www.nasa.gov[...]
[61] 뉴스 NASA scraps a lunar surface mission – just as it's supposed to focus on a Moon return https://www.theverge[...] 2018-12-29
[62] 뉴스 New NASA leader faces an early test on his commitment to Moon landings https://arstechnica.[...] 2018-12-29
[63] 뉴스 NASA Expands Plans for Moon Exploration: More Missions, More Science http://spaceref.com/[...] 2018-12-29
[64] 웹사이트 Draft 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 - CLPS solicitation https://www.fbo.gov/[...] NASA 201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