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an Baez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안 바에즈는 1950년대 후반 포크 음악 부흥 운동 시기에 등장하여 1959년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 주목받으며 데뷔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1960년 뱅가드 레코드에서 데뷔 앨범을 발매했으며, 이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 15위까지 오르며 140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 이 앨범에는 전통 민요를 편곡한 곡들과 로베르토 칸토랄의 곡 등이 수록되었으며, 재발매 보너스 트랙도 포함되었다.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으로 중요한 음반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음반 - Giant Steps
존 콜트레인이 1960년에 발표한 스튜디오 앨범인 Giant Steps는 그의 독창적인 즉흥 연주 스타일과 콜트레인 체인지로 대표되는 복잡한 코드 진행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Naima〉, 〈자이언트 스텝스〉 등의 곡은 재즈 스탠더드로 인정받고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 1960년 음반 - Rockin' at the Hops
척 베리의 1960년 음반인 Rockin' at the Hops는 1959년부터 1960년 사이 싱글 A/B면 곡들과 신곡들을 담고 있으며, 미국 외 지역에서는 《Rockin' with Chuck》이라는 제목으로, 2010년과 2017년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재발매 CD로도 발매되었다.
| Joan Baez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 |
| 가수 | 존 바에즈 |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 발매일 | 1960년 10월 |
| 녹음 | 1960년 7월 |
| 녹음 장소 | 뉴욕 시 맨해튼 타워 호텔 볼룸 |
| 장르 | 민요 |
| 길이 | 46분 02초 |
| 레이블 | 뱅가드 레코드 |
| 프로듀서 | 메이너드 솔로몬 |
| 존 바에즈 연대표 | |
| 이전 음반 | Folksingers 'Round Harvard Square (1959년) |
| 다음 음반 | Joan Baez, Vol. 2 (1961년) |
2. 역사적 배경
조안 바에즈는 1950년대 후반 포크 음악 부흥기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1959년 7월 첫 번째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의 공연으로 주목받았다. 이 공연 이후 컬럼비아를 비롯한 여러 음반사가 계약을 제안했지만, 바에즈는 독립 레이블인 뱅가드를 선택했다.[5] 그녀는 19세였던 1960년 여름, 뱅가드에서 데뷔 앨범을 녹음했다.[7]
앨범 녹음은 대부분 바에즈의 목소리와 기타 연주만으로 이루어졌고, 일부 곡에서는 더 위버스의 멤버였던 프레드 헬러먼이 두 번째 기타 연주를 더했다. 이 앨범은 골드 레코드를 달성했지만,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두 번째 앨범인 ''조안 바에즈, 볼륨 2''가 성공하면서 1962년에야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했다. 데뷔 앨범 ''조안 바에즈''는 빌보드 차트 15위까지 올랐고, 총 140주 동안 차트에 머무르는 기록을 세웠다.
1983년, 바에즈는 음악 잡지 ''롤링 스톤''의 커트 로더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앨범 제작 과정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4일 밤이 걸렸어요. 브로드웨이에 있는 호텔의 크고 냄새나는 무도회장에 있었죠. 강 근처였고요. 수요일 밤에는 빙고 게임 때문에 녹음을 할 수 없었어요. 저는 목소리용 마이크 하나와 기타용 마이크 하나, 이렇게 두 개의 마이크를 놓고 더러운 낡은 카펫 위에 앉아 있었어요. 그냥 제 공연 목록대로 불렀죠. 아마 제가 아는 모든 곡이었을 거예요. 그냥 녹음했어요. "메리 해밀턴"은 한 번 불렀는데, 그게 다였죠. 옛날에는 그렇게 음반을 만들었어요. 개가 방을 뛰어다니지 않는 한 괜찮았죠.[6]
뱅가드는 독일에서 동일한 라이너 노트를 사용했지만 다른 표지로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VSD 8001).
2001년, 뱅가드는 새로운 라이너 노트와 함께 이전에 공개되지 않았던 3곡을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하여 ''Joan Baez'' 앨범을 재발매했다.[7] (뱅가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바에즈가 뱅가드 시절 발표한 13개의 정규 앨범을 리마스터 버전으로 재발매했다.)
2014년에는 Waxtime Records에서 새로운 라이너 노트와 함께, 1959년 컴필레이션 음반 ''Folksingers' Round Harvard Square''에 처음 수록되었던 초기 녹음 2곡을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하여 앨범을 다시 발매했다.
3. 수록곡
이 앨범은 대부분 영국과 미국의 전통 민요를 조안 바에즈가 직접 편곡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곡은 더 위버스의 프레드 헬러먼이 기타 연주를 맡기도 했다. 2001년 재발매 버전에는 3곡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상세한 수록곡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오리지널 앨범
이 앨범은 대부분 영국과 미국의 전통 민요를 조안 바에즈가 직접 편곡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곡은 더 위버스의 프레드 헬러먼이 기타 연주를 맡기도 했다.| 번호 | 곡 제목 | 작곡/편곡 | 길이 |
|---|---|---|---|
| 1 | 은제 단검 (Silver Dagger)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2:32 |
| 2 | 동 버지니아 (East Virginia)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3:44 |
| 3 | 잘 가세요 (10,000마일) (Fare Thee Well (10,000 Miles)) | 전통 민요, 편곡: 데이비드 구드 | 3:22 |
| 4 | 해 뜨는 집 (House of the Rising Sun)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2:56 |
| 5 | 나의 모든 시련 (All My Trials)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4:41 |
| 6 | 와일드우드 플라워 (Wildwood Flower)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2:37 |
| 7 | 도나 도나 (Donna Donna) | 숄롬 세쿤다, 아론 자이틀린, 아서 케버스, 테디 슈워츠 | 3:15 |
| 8 | 존 라일리 (John Riley)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3:54 |
| 9 | 방탕한 사나이 (Rake and Rambling Boy)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1:59 |
| 10 | 작은 모세 (Little Moses)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3:31 |
| 11 | 메리 해밀턴 (Mary Hamilton)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5:58 |
| 12 | 헨리 마틴 (Henry Martin)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4:15 |
| 13 | 엘 프레소 누메로 누에베 (El Preso Número Nueve) | 로베르토 칸토랄 | 2:48 |
'''재발매 보너스 트랙'''
| 번호 | 곡 제목 | 작곡/편곡 | 비고 | 길이 |
|---|---|---|---|---|
| 14 | 끊임없는 슬픔의 소녀 (Girl of Constant Sorrow)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1:46 | |
| 15 | 너는 라이더를 안다 (I Know You Rider)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3:46 | |
| 16 | 존 라일리 (John Riley)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확장 버전 | 4:23 |
3. 2. 재발매 보너스 트랙
2001년 재발매 버전에 추가된 보너스 트랙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비고 | 길이 |
|---|---|---|---|---|
| 14 | 끊임없는 슬픔의 소녀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1:46 | |
| 15 | 너는 라이더를 안다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3:46 | |
| 16 | 존 라일리 | 전통 민요, 편곡: 조안 바에즈 | 확장 버전 | 4:23 |
4. 평가
음악 평론가 브루스 에더는 올뮤직 리뷰에서 5점 만점에 5점을 부여하며 당시 음색의 순수함이 주목할 만하다고 언급했다.[8] 그는 이 앨범에 대해 "베이즈는 가장 절제되고 덜 대립적인 포크 리바이벌의 측면을 훌륭하게 보여주며, 전통적인 노래(특히 "East Virginia"와 "Mary Hamilton")를 마치 처음 불리는 것처럼 긴급함과 진정성을 담아 제시한다"고 호평했다.[8] ''롤링 스톤 레코드 가이드''는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했다.[9]
이 음반은 로버트 디머리의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포함되었다.[10] 2015년에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음반으로 간주되어 국립 녹음 등기소에 포함되도록 선정되었다.[3]
5. 차트 및 인증
(내용 없음)
5. 1. 차트
wikitext
5. 2. 인증
wikitext| 앨범 | 지역 | 인증 등급 | 발매 연도 | 인증 연도 |
|---|---|---|---|---|
| Joan Baez | 영국 | Silver | 1990 | - (인증 연도 정보 없음) |
| Joan Baez | 미국 | Gold | 1990 | 1991 |
| Joan Baez Vol 1 | 영국 | Silver | 1976 | 1978 |
| Joan Baez | 미국 | Gold | 1960 | 1966 |
참조
[1]
서적
The Album: A Guide to Pop Music's Most Provocative, Influential, and Important Creations
https://books.google[...]
Praeger
2012-10-17
[2]
서적
Please Allow Me to Introduce Myself: Essays on Debut Albums
Ashgate
[3]
웹사이트
New Entries to National Recording Registr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5-10-13
[4]
뉴스
Library of Congress welcomes recordings by the Doors, Righteous Brothers
http://www.latimes.c[...]
2015-03-25
[5]
서적
Popular Is Not Enough: The Political Voice Of Joan Baez: A Case Study in the Biographical Method
https://books.google[...]
Ibidem Press
[6]
간행물
Joan Baez: The Rolling Stone Interview
https://www.rollings[...]
1983-04-14
[7]
서적
1,000 Recordings to Hear Before You Die
https://archive.org/[...]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08
[8]
웹사이트
"''Joan Baez'' > Review"
"{{AllMusic|class=al[...]
AllMusic
2011-08-04
[9]
서적
The Rolling Stone Record Guide
Random House
1979
[10]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10-03-23
[11]
웹인용
"''Joan Baez'' > Review"
"{{올뮤직|class=album|i[...]
Allmusic
2011-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