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 Together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oin Together》는 1989년 더 후의 재결합 투어 실황을 담은 라이브 음반으로, 1990년에 발매되었다. 록 오페라 《토미》의 곡들과 더 후의 대표곡들을 수록하고 있으며, 2장의 디스크로 구성되었다. 앨범에는 피트 타운젠드, 로저 달트리, 존 엔트위슬을 주축으로 사이먼 필립스, 스티브 볼턴, 존 번드릭 등이 참여했다. 발매 당시 평가는 좋지 않았으며, 영국 앨범 차트 59위, 빌보드 200 차트 188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후의 라이브 음반 - Live at the Isle of Wight Festival 1970
더 후가 1970년 와이트 섬 페스티벌에서 공연한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인 Live at the Isle of Wight Festival 1970은 1996년 CD로 발매되어 영국과 미국 차트에 진입했고, 2006년에는 추가 영상이 포함된 DVD로 재발매되었다. - 더 후의 라이브 음반 - Who's Last
Who's Last는 더 후가 1982년 고별 투어 중 녹음한 음원, 특히 미국 마지막 콘서트 실황을 담아 1984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이다.
| Join Together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 |
| 아티스트 | 더 후 |
| 발매일 | 1990년 3월 |
| 녹음일 | 1989년 6월 27일 – 8월 24일, 미국 투어 |
| 장르 | 로큰롤 |
| 길이 | 132분 33초 |
| 레이블 | 버진 레코드 |
| 프로듀서 | 밥 클리어마운틴, 클라이브 프랭크스, 빌리 니콜스 |
| 관련 음반 | |
| 이전 음반 | Won't Get Fooled Again EP (1988년) |
| 다음 음반 | Thirty Years of Maximum R&B (1994년) |
| 평가 | |
| AllMusic | https://www.allmusic.com/album/join-together-mw0000206482 |
| 뮤직하운드 | https://archive.org/details/isbn_9781578590612/page/1227 |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https://www.rollingstone.com/music/artists/the-who/albumguide |
| 대중 음악 백과사전 | Colin Larkin |
| 차트 성적 | |
| 영국 | 59위 |
| 미국 | 188위 |
2. 배경
1964년 피트 타운젠드(기타, 보컬), 로저 달트리(리드 보컬), 존 엔트위슬(베이스 기타, 보컬), 키스 문(드럼)의 라인업으로 결성된 더 후는 1978년 키스 문의 사망 이후 케니 존스를 영입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나, 1983년 해체했다.[8][9] 1989년 타운젠드, 달트리, 엔트위슬은 더 후 결성 25주년을 기념하여 'The Kids Are Alright Tour'라는 이름으로 재결합 투어를 발표했다.[10]
이 음반은 1989년 더 후의 재결합 투어 실황을 담고 있으며, 두 장의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어에는 사이먼 필립스(드럼), 존 번드릭(키보드), 스티브 볼턴(기타) 등 추가 연주자들이 참여했다.[11][12][13] 타운젠드는 난청과 이명 문제로 주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으며,[18][19] 볼턴이 일렉트릭 기타 파트를 담당했다. 달트리는 투어 중 위장 문제로 수술을 받기도 했다.[18]
3. 구성
디스크 1은 1969년 록 오페라 《토미》의 재연으로, 로스앤젤레스 유니버설 앰피시어터와 뉴욕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실황을 담고 있다.[22][23] 스티브 윈우드, 빌리 아이돌 등 특별 게스트가 참여한 곡들은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24][25][26]
디스크 2는 피트 타운젠드의 솔로 곡, 신곡 "Dig", 그리고 더 후의 히트곡들로 구성되어 있다.[19] 특히, "사랑의 매직 아이"는 1967년 발표 당시 더 후의 미국 내 최대 히트곡이었으나, 이후 공연에서는 자주 연주되지 않다가[29] 이번 투어에서 다시 연주되었다.[19] 존 엔트위슬은 "Trick of the Light"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
3. 1. 디스크 1: 토미 (Tommy)
이 음반의 디스크 1은 1969년에 발표된 록 오페라 《토미》의 재연을 담고 있다. 1989년 8월 24일 로스앤젤레스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공연 실황이 중심이며, 일부 곡은 6월 27일 뉴욕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실황으로 대체되었다.[22][23] 스티브 윈우드, 빌리 아이돌, 패티 라벨, 엘튼 존, 필 콜린스 등 특별 게스트가 참여한 곡들은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24][25][26]
| 제목 | 길이 | 녹음 날짜 | 작사/작곡 |
|---|---|---|---|
| 서곡/It's a Boy | 5:26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1921 | 2:5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Amazing Journey | 3:07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Sparks | 4:36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Eyesight to the Blind (The Hawker) | 2:18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 |
| 크리스마스 | 4:25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Cousin Kevin | 3:56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존 엔트위슬 |
| The Acid Queen | 3:44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피트 타운젠드 |
| 핀볼 위저드 | 4:21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피트 타운젠드 |
| Do You Think It's Alright? | 0:23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피트 타운젠드 |
| Fiddle About | 1:39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존 엔트위슬 |
| There's a Doctor | 0:21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Go to the Mirror! | 3:2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Smash the Mirror | 1:09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Tommy Can You Hear Me? | 0:58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Im Free | 2:09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Miracle Cure | 0:25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Sally Simpson | 4:18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Sensation | 2:2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 Tommy's Holiday Camp | 0:58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뉴욕 | 피트 타운젠드 |
| Were Not Gonna Take It | 8:44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피트 타운젠드 |
3. 2. 디스크 2: 더 후 명곡
피트 타운젠드의 솔로 곡과 신곡 "Dig", 더 후의 과거 히트곡 등이 수록되었다.[19] "사랑의 매직 아이"는 1967년 발표 당시 더 후의 미국 내 최대 히트곡이었으나, 이후 공연에서는 자주 연주되지 않다가[29] 이번 투어에서 다시 연주되었다.[19] 존 엔트위슬은 "Trick of the Light"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 제목 | 작사/작곡 | 녹음 날짜 |
|---|---|---|
| Eminence Front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7월 27일, 카터–핀리 스타디움, 롤리 |
| Face the Face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Dig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I Can See for Miles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A Little Is Enough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7월 25일, 폰티악 실버돔, 폰티악 |
| 5:15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7월 27일, 카터–핀리 스타디움, 롤리 |
| Love, Reign o'er Me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Trick of the Light | 존 엔트위슬 | 1989년 8월 19일, BC 플레이스, 밴쿠버 |
| Rough Boys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7월 29일, 탬파 스타디움, 탬파 |
| Join Together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You Better You Bet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Behind Blue Eyes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Won't Get Fooled Again | 피트 타운젠드 | 1989년 7월 25일, 폰티악 실버돔, 폰티악 |
4. 곡 목록
《Join Together》는 디스크 1, 2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디스크마다 수록된 곡과 녹음 장소가 다르다.
디스크 1은 유니버설 앰피시어터에서 열린 《토미》 재연 공연 실황을 담고 있다. 원래 22곡이 연주되었으나[24][25], 음반에는 "Eyesight to the Blind", "Cousin Kevin", "The Acid Queen", "핀볼 위저드", "Fiddle About", "Tommy's Holiday Camp"가 제외되고[26],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음원으로 대체되었다.
디스크 2에는 더 후의 과거 곡 외에 신곡 "Dig"[27]와 타운젠드의 솔로 곡[28]이 수록되었다.[19] "사랑의 매직 아이"는 1967년 빌보드 핫 100 차트 9위에 올라 더 후의 미국 내 최대 히트곡이 되었지만, 콘서트에서는 거의 연주되지 않았다.[29] 이번 투어에서 밴드가 트윈 기타 편성이 되면서 세트 리스트에 추가되었다.[19] "Trick of the Light"는 키스 문 재적 시기 마지막 앨범 《후 아 유》(1978년) 수록곡으로, 로저 돌트리 대신 작곡가 존 엔트위슬이 리드 보컬을 불렀다.
4. 1. 디스크 1
|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녹음 날짜 |
|---|---|---|---|
| 서곡/It's a Boy | 피트 타운젠드 | 5:26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1921 | 피트 타운젠드 | 2:5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Amazing Journey | 피트 타운젠드 | 3:07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Sparks | 피트 타운젠드 | 4:36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Eyesight to the Blind (The Hawker) |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 | 2:18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크리스마스 | 피트 타운젠드 | 4:25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Cousin Kevin | 존 엔트위슬 | 3:56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The Acid Queen | 피트 타운젠드 | 3:44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핀볼 위저드 | 피트 타운젠드 | 4:21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Do You Think It's Alright? | 피트 타운젠드 | 0:23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Fiddle About | 존 엔트위슬 | 1:39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There's a Doctor | 피트 타운젠드 | 0:21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Go to the Mirror! | 피트 타운젠드 | 3:2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Smash the Mirror | 피트 타운젠드 | 1:09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Tommy Can You Hear Me? | 피트 타운젠드 | 0:58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Im Free | 피트 타운젠드 | 2:09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Miracle Cure | 피트 타운젠드 | 0:25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Sally Simpson | 피트 타운젠드 | 4:18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Sensation | 피트 타운젠드 | 2:22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Tommy's Holiday Camp | 키스 문 | 0:58 | 1989년 6월 27일, 라디오 시티 뮤직 홀, 뉴욕 |
| Were Not Gonna Take It | 피트 타운젠드 | 8:44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디스크 1은 유니버설 앰피시어터에서 열린 《토미》 재연 공연 실황을 담고 있다. 이 공연에서는 "Cousin Kevin", "Sensation"을 포함한 22곡이 연주되었지만[24][25], 음반에는 "Eyesight to the Blind", "Cousin Kevin", "The Acid Queen", "핀볼 위저드", "Fiddle About", "Tommy's Holiday Camp"가 제외되었고[26], 대신 이 6곡은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음원으로 채워졌다.
4. 2. 디스크 2
| 제목 | 길이 | 녹음일 |
|---|---|---|
| Eminence Front | 5:53 | 1989년 7월 27일, 카터–핀리 스타디움, 롤리 |
| Face the Face | 6:15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Dig | 3:46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I Can See for Miles | 3:43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A Little Is Enough | 5:06 | 1989년 7월 25일, 폰티악 실버돔, 폰티악 |
| 5:15 | 5:48 | 1989년 7월 27일, 카터–핀리 스타디움, 롤리 |
| Love, Reign o'er Me | 6:49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Trick of the Light | 4:49 | 1989년 8월 19일, BC 플레이스, 밴쿠버 |
| Rough Boys | 4:44 | 1989년 7월 29일, 탬파 스타디움, 탬파 |
| Join Together | 5:15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You Better You Bet | 5:40 | 1989년 8월 22일, 잭 머피 스타디움, 샌디에고 |
| Behind Blue Eyes | 3:38 | 1989년 8월 24일, 유니버설 앰피시어터, 로스앤젤레스 |
| Won't Get Fooled Again | 9:30 | 1989년 7월 25일, 폰티악 실버돔, 폰티악 |
별도 표기가 없는 한, 모든 곡은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작곡했다. "Trick of the Light"는 존 엔트위슬이 작곡했다.
디스크 2에는 더 후의 과거 곡 외에도 신곡 "Dig"[27]와 타운젠드의 솔로 명의 곡[28]이 수록되었다.[19] "사랑의 매직 아이"는 1967년 빌보드 핫 100 차트 9위까지 올라 더 후의 미국 내 최대 싱글 히트곡이 되었지만, 콘서트에서는 거의 연주되지 않았다.[29] 이번 투어에서 밴드가 트윈 기타 편성이 되면서 세트 리스트에 추가되었다.[19] "Trick of the Light"는 키스 문이 재적하던 시기의 마지막 앨범 《후 아 유》(1978년) 수록곡으로, 스튜디오 녹음 버전과 달리 로저 돌트리 대신 작곡가 엔트위슬이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
5. 참여 뮤지션
; 더 후 (The Who)
- 로저 달트리 – 리드 보컬, 탬버린, 하모니카, 어쿠스틱 기타, 리듬 기타
- 피트 타운젠드 – 리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리듬 기타, 리드 및 백킹 보컬
- 존 엔트위슬 – 베이스, 백킹 및 리드 보컬
; 추가 연주자
- 사이먼 필립스 – 드럼
- 스티브 "볼츠" 볼턴 – 기타
- 존 번드릭 – 키보드
- 빌리 니콜스 – 백킹 보컬, 음악 감독
- 클리블랜드 왓키스 – 백킹 보컬
- 차이나 고든 – 백킹 보컬
- 조디 린스콧 – 퍼커션
- 사이먼 클라크, 사이먼 가드너, 로디 로리머, 팀 사운더스, 닐 시드웰 – 브라스
; 디자인
- 커버 디자인: 리처드 에반스
- 사진: 찰키 데이비스, 캐롤 스타
5. 1. 더 후 (The Who)
- 로저 달트리 – 리드 보컬, 탬버린, 하모니카, 어쿠스틱 기타, 리듬 기타
- 피트 타운젠드 – 리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리듬 기타, 리드 및 백킹 보컬
- 존 엔트위슬 – 베이스, 백킹 및 리드 보컬
5. 2. 추가 연주자
6. 평가
AllMusic영어에서는 5점 만점에 1.5점을 받았다.[35] MusicHound영어는 5점 만점에 1점을 주었으며,[36]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에서는 5점 만점에 1점을 받았다.[37] 1990년 영국 앨범 차트에서는 59위를 기록했고,[35] 빌보드 200에서는 188위를 기록했다.[35]
| 차트 (1990) | 최고 순위 |
|---|---|
| 영국 앨범 차트 | 59위 |
| 빌보드 200 | 188위 |
더 후의 1989년 투어는 단순한 재결합 공연을 넘어, 대한민국 록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당시 열악했던 국내 록 음악 환경 속에서, 해외 유명 밴드의 내한 공연은 극히 드물었기에, 더 후의 공연 소식은 록 팬들에게 큰 기대를 안겨주었다. 비록 앨범에 수록된 공연은 해외 공연이지만, 더 후의 음악을 사랑하는 국내 팬들에게는 이 앨범이 그들의 음악적 역량과 에너지 넘치는 라이브를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oin Together
http://www.thewho.co[...]
The Who Official Band Website
2011-05-15
[2]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5]
웹 인용
The Who: 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5-09-02
[6]
웹사이트
The Who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7]
웹사이트
The Who -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22-07-28
[8]
문서
타운ゼント、ダルトリー、エントウィッスル、[[:en:Doug_Sandom|ダグ・サンダム]](ドラムス)からなるザ・ディトゥアーズが2月にザ・フーと改名。サンダムが去った後、数人の後任を経て4月にムーンが加入した。つまり厳密には、ザ・フーの歴史の最初の2か月間は、ムーンがいなかったことになる。
[9]
문서
彼等は1985年7月の[[라이ヴ・エイド]]、1988年2月の[[英国レコード産業協会]](BPIアワード)の授賞式で一時的に再結成して数曲を演奏した。
[10]
문서
ザ・フーが1966年に発表したシングル「[[ザ・キッズ・アー・オールライト]]」の曲名に因んだ。
[11]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12]
문서
1985年ロンドンの[[ブリクストン・アカデミー]]で[[デヴィッド・ギルモア]]を迎えて行なったコンサートの音源がアルバム『[[ディープ・エンド・ライブ]]』(1986年)と''[[:en:Live:_Brixton_Academy_'85|Live: Brixton Academy '85]]''(2004年)として発表され、VHSの映像''Pete Townshend's Deep End – The Brixton, England Concert''も発表された。
[13]
문서
バンドリックはザ・フーがジョーンズを迎えて初めて行なった1979年のツアーに参加して以来、ディープ・エンドに至るまでタウンゼントと共に活動してきた。[[:en:Jody_Linscott|ジョディ・リンスコット]](パーカッション)は『[[チャイニーズ・アイズ]]』(1982年)でタウンゼントと初共演。[[:en:Kick_Horns|キック・ホーンズ]]はサイモン・クラーク(アルト・サクソフォーン、バリトン・サクソフォーン)、 ティム・サンダース(テナー・サクソフォーン)、[[:en:Roddy_Lorimer|ロディ・ロリマー]]([[トランペット]])、サイモン・ガードナー(トランペット)、ニール・シドウェル([[トロンボーン]])からなる[[:en:Horn_section|ホーン・セクション]]で、『[[:en:White_City:_A_Novel|ホワイト・シティ]]』(1985年)に参加。コーラスの他に[[音楽監督]]も務めた[[:en:Billy_Nicholls|ビリー・ニコルス]]は1968年にデビュー・アルバム''[[:en:Would_You_Believe_(Billy_Nicholls_album)|Would You Believe]]''を発表したシンガー・ソングライターで、ユニヴァーサル・スピリチュアル・リーグ(Universal Spiritual League)が[[メヘル・バーバー]]に捧げて制作したアルバム『[[アイ・アム (メヘル・バーバー関連のアルバム)|アイ・アム]]』(1972年)と''『[[ウィズ・ラヴ (メヘル・バーバー関連のアルバム)|ウィズ・ラヴ]]』''(1976年)にタウンゼントと共に参加した。[[:en:Cleveland Watkiss|クリーブランド・ワトキス]]はイングランドのシンガー兼俳優。Chynaは、ツアー開始と相前後して発表されたタウンゼントのソロ・アルバムの『アイアン・マン』(1989年)にニコルス、ワトキスと共に参加した。
[14]
웹사이트
Simon Phillips |Credits | AllMusic
http://www.allmusic.[...]
[15]
문서
1972年に[[ロンドン交響楽団]]と[[:en:English_Chamber_Choir|イギリス室内合唱団]]が制作した『[[トミー (ロンドン交響楽団のアルバム)|トミー]]』に父親のウォーカー大佐役で客演したが、今回は伝道師役を務めて、ギターを弾きながら熱唱した上にギター・ソロも披露した。
[16]
문서
1975年に公開された映画『[[トミー (映画)|トミー]]』で、ピンボール・チャンピオンを演じた。
[17]
문서
ユニバーサル・アンフィシアターでのコンサートの模様は1989年にVHS"The Who – Live - Featuring The Rock Opera Tommy"として発売され、現在はDVD"[[:en:Tommy_and_Quadrophenia_Live|Tommy and Quadrophenia Live]]"として入手可能である。
[18]
웹사이트
Flashback: The Who Reunite In '89, Seven Years After Saying 'Farewell'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2015-11-21
[19]
웹사이트
Join Together
http://thewho.com/al[...]
The Who
2015-11-21
[20]
웹사이트
latimes.com
https://www.latimes.[...]
2023-07-01
[21]
문서
幸いにも神経や腱には損傷を受けなかったので、ツアーに参加し続けることができた。この事故の1週間後の8月25日に[[ギブソン・アンフィシアター|ユニバーサル・アンフィシアター]]([[ロサンゼルス]])で開かれたコンサートでは、彼が負傷部位を覆うように右手にバンドを巻いて演奏していることが、映像で確認できる。
[22]
웹사이트
The Who - Join Together (CD) at Discogs
http://www.discogs.c[...]
[23]
문서
タウンゼントは自伝で、これら2つのコンサートはチャリティーだったと記している。
[24]
문서
原作では独立した曲として記載されていた「イッツ・ア・ボーイ」が、本アルバムでは「序曲」の末尾に含まれている為に記載の上では全21曲になっている。原作の収録曲で当日演奏されなかったのは「歓迎」と「アンダーチュア」の2曲。一部の曲は原作とは異なる順番で演奏された。
[25]
문서
映像では、タウンゼントとダルトリーが交互にリード・ボーカルを担当した「サリー・シンプソン」で、途中の歌い出しを間違えてしまったダルトリーにタウンゼントが助け舟を出しているが、本アルバムでは修正されている。
[26]
문서
「ウィア・ノット・ゴナ・テイク・イット」では、客演者全員が登場して"Listening To You.."の合唱に加わり、特にアイドルとラベルの歌声が際立って聞こえるのが映像で確認できるが、本アルバムでは2人の歌声は消去されている。
[27]
문서
タウンゼントの『[[アイアン・マン (ピート・タウンゼントのアルバム)|アイアン・マン]]』にザ・フー名義で収録されたタウンゼント作の新曲。タウンゼント、ダルトリー、エントウィッスル、フィリップスの4人にコーラスとホーン・セクションが加わって録音された。
[28]
문서
ソロ・アルバム『[[:en:Empty_Glass|エンプティ・グラス]]』(1980年)から「[[:en:Rough_Boys|ラフ・ボーイズ]]」と「[[:en:A_Little_Is_Enough|ア・リトル・イズ・イナフ]]」。『[[:en:White_City:_A_Novel|ホワイト・シティ]]』(1985年)から「[[:en:Face_the_Face|フェイス・ザ・フェイス]]」。
[29]
문서
この曲をボーカル、ギター、ベース・ギター、ドラムスだけの編成で再現するのは難しかったからとされている。ムーンの死後、ジョーンズが加入して1979年から1980年にかけて行なわれたツアーは、キーボーディストのジョン・バンドリックが参加し、曲によっては3人編成のホーン・セクションも登場するなど、1989年のツアーの原型とも呼べる編成で行なわれ、この曲も[[セットリスト|セット・リスト]]に加えられた。1979年12月26日から29日までロンドンの[[ハマースミス・オデオン]]で開かれた[[:en:Concerts_for_the_People_of_Kampuchea|カンボジア難民救済コンサート]]の28日の部に出演して、本曲を披露する映像が残っている。
[30]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31]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32]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33]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34]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3-07-01
[35]
올뮤직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36]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37]
웹인용
The Who: 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5-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