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색소폰은 1840년대 초 벨기에 출신 악기 제작자 아돌프 삭스에 의해 발명된 악기이다. 금관악기의 투사력과 목관악기의 민첩성을 결합하고자 개발되었으며, 1846년 오케스트라용과 군악대용으로 특허를 받았다. 20세기 초 재즈와 대중음악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는 클래식, 재즈,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한국에는 개화기 이후 유입되어 군악대와 대중음악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 이정식, 강태환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색소폰은 마우스피스, 넥, 본체, 벨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음높이는 악기 본체를 따라 있는 음공을 열고 닫아 진동하는 기주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조절된다. 음공은 키에 연결된 가죽 패드로 막히는데, 대부분은 연주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한다.[4]
2. 역사
색소폰은 1840년대 초 파리에서 활동하던 벨기에 출신의 악기 제작자이자 플루트와 클라리넷 연주자였던 아돌프 삭스가 발명했다. 삭스는 군악대에서 사용될 클라리넷과 금관악기를 조화롭게 연결하는 음색을 가진 악기를 만들고자 했으며, 클라리넷과 비슷하지만 한 옥타브 올려불기가 가능한 악기를 만들려고 하였다.
삭스는 1846년에 자신이 발명한 악기를 오케스트라용과 군악대용 두 그룹으로 나누어 특허를 획득하였다. 1866년 삭스의 특허가 만료된 이후, 많은 악기 제조사들이 색소폰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개량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색소폰은 황동으로 만들어졌지만, 금관악기처럼 입술을 진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리드(전통적으로는 목재의 대나무로 만들어짐)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기 때문에 목관악기로 분류된다.[57]
색소폰은 클래식 음악(콘서트 밴드, 실내악, 독주 레퍼토리, 때로는 오케스트라 등), 군악대, 마칭 밴드, 재즈(빅 밴드나 재즈 콤보 등), 현대 음악에서 사용된다. 또한 독주 악기 및 선율 악기로서, 록 음악이나 팝 음악 등에서도 사용된다.
현대 색소폰은 B♭ – E♭ 계열의 악기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색소폰은 소프라노, 알토, 테너, 그리고 바리톤 색소폰이다.번호 색소폰 조성 옥타브 위 옥타브 아래 1 소프라니시모 B♭ 소프라노 2 소프라니노 E♭ 알토 3 C 소프라노 C C 멜로디 4 소프라노 B♭ 소프라니시모 테너 5 메조소프라노 F 6 알토 E♭ 소프라니노 바리톤 7 C 멜로디 C C 소프라노 8 테너 B♭ 소프라노 베이스 9 바리톤 E♭ 알토 콘트라베이스 10 베이스 B♭ 테너 서브콘트라베이스 11 콘트라베이스 E♭ 바리톤 12 서브콘트라베이스 B♭ 베이스
색소폰은 1840년대 벨기에의 관악기 제작자 아돌프 삭스가 바스크라리넷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고안한 악기로, 1846년에 특허를 취득하였다. 색소폰(Saxophone)이라는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원래는 관악단에서 목관악기와 금관악기의 중간 역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구조상으로는 목관악기로 분류되지만 주로 황동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59][60]
클래식 음악부터 팝, 록, 재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음악에 사용된다. 특히 관악단과 빅밴드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며, 오케스트라에서도 곡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 1. 초기 개발과 채택
벨기에의 악기 제작자이자 플루트와 클라리넷 연주자였던 아돌프 삭스는 1840년대 초 파리에서 색소폰을 발명하였다.[58] 삭스는 군악대에서 사용될 클라리넷과 금관악기를 조화롭게 연결하는 음색을 가진 악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그는 또한 클라리넷과 비슷하나 한 옥타브 올려불기가 가능한 악기를 만들려고 하였다. 삭스는 당시 유행하던 한 개의 리드가 달린 취구를 사용하는 오피클라이드와 같은 모양을 상상하였고, 이는 결국 색소폰으로 실현되었다.
삭스는 1846년 자신이 발명한 악기를 오케스트라용과 군악대용 두 그룹으로 나누어 특허를 획득하였다. 삭스의 특허는 1866년 만기되어 많은 악기 제조사들이 색소폰을 만들기 시작했다. 삭스가 만든 최초의 색소폰은 키 운용이 단순하였으나 이후 악기제조사들은 다양한 연주법을 실현하기 위해 색소폰에 많은 변형을 주기 시작하였다.
색소폰은 클래식 음악(콘서트 밴드, 실내악, 독주 레퍼토리, 때로는 오케스트라 등), 군악대, 마칭 밴드, 재즈(빅 밴드나 재즈 콤보 등), 현대 음악에서 사용된다.
2. 2. 20세기 초 성장과 발전
아돌프 색스가 1840년대 초 벨기에에서 최초의 색소폰을 발명한 이후,[58] 색소폰 계열은 조옮김 및 조율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했다. 색스는 1846년 6월 28일에 색소폰 특허를 취득했는데, 두 그룹(각각 7종류)으로 구성되었다. 각 그룹은 음고에 따라 악기를 나열했고, 조는 번갈아 배치했다. B♭과 E♭이 표준 음고인 그룹이 주류가 되었고, 오늘날 대부분의 색소폰이 여기에 속한다. C와 F가 표준 음고인 악기는 색스가 제작한 일부에만 머물렀다.
A = 440 Hz (콘서트용) 기준보다 높게 조율된 "하이 피치"("H" 또는 "HP") 색소폰은 야외에 적합한 음색으로 20세기 초까지 생산되었지만, 현대 조율로는 연주할 수 없어 시대에 뒤떨어졌다. "로우 피치"("L" 또는 "LP") 색소폰은 현대 악기와 조율이 같다. C 소프라노 및 C 멜로디 색소폰은 20세기 초에 응접실 악기로 생산되었다. F관 색소폰은 1920년대 후반에 도입되었지만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2. 3. 현대 색소폰의 등장
1930~40년대에 걸쳐 현대 색소폰의 배열이 등장했다. 1948년, 셀머는 좌우 키가 오프셋된 슈퍼 액션 색소폰을 출시하며 현대 색소폰 디자인의 표준을 제시했다.[58] 한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퓨전 재즈,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가 인기를 얻으면서 색소폰의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최근에는 K팝, 퓨전 국악 등에서도 색소폰이 사용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3. 구조
소프라노 및 소프라니노 색소폰은 곧은 원뿔형 관(보어)으로, 마우스피스 반대쪽 끝에는 넓어지는 ‘벨’(종)이 있다. 알토 및 그보다 큰 색소폰은 가장 높은 음공 위에 탈착 가능한 굽은 ‘넥’(목)이 있는데, 이는 마우스피스를 연주자의 입가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U자형 ‘보우’(bow)는 관을 위로 향하게 하고, 벨의 목 부분 곡선은 벨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벨 부근의 곡선은 색소폰 계열의 고유한 특징이며, 소프라노와 소프라니노조차도 이러한 곡선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은 관의 길이에 대응하기 위해 본체와 마우스피스 사이에 추가적인 보우와 직각 굽힘을 사용한다.
왼손은 몸통 위쪽 부분의 키를, 오른손은 아래쪽 부분의 키를 조작한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썸 후크’(thumb hook) 아래에 위치하고, 왼손 엄지손가락은 ‘썸 레스트’(thumb rest) 위에 놓여 색소폰을 안정시키고 균형을 잡거나 옥타브 키를 조작한다.
키는 음공 위 패드(탄포)의 위치를 제어하는 컵, 레버, 피벗으로 구성된다. 작동하지 않을 때 열려 있는 키도 있고 닫혀 있는 키도 있다. 이들은 스프링에 의해 각 위치에 고정되며, 손가락 또는 손(팜 키의 경우)의 압력으로 조작된다. 키는 패드 컵에 직접, 또는 ‘린케이지’(linkage)라고 불리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레버를 사용한 ‘키 터치’(key touch)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작동한다. 키 컵과 피벗 사이의 레버는 ‘키 암’(key arm)이라고 불린다.
색소폰의 운지는 오보에의 운지와 베옴 시스템의 조합이며[61], 플루트의 운지 또는 클라리넷의 고음역 운지와 유사하다.
색소폰은 다양한 크기의 악기이지만, 각 악기는 거의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색소폰의 관은 마우스피스 쪽에서 벨 쪽으로 갈수록 거의 일정한 비율로 두께가 증가하는 원뿔 모양이다. 이 때문에 색소폰은 정수배의 배음을 낼 수 있으며, 개관 악기로 분류된다.
3. 1. 재료
색소폰의 본체와 키 컵은 주로 황동 판재로 만들어진다. 키 메커니즘은 다른 종류의 황동 판재로 제작된다. 킹은 1930년대부터 1960년대 초까지 목관과 벨에 스털링 실버를 사용한 색소폰을 제작했다. 야나기사와는 1980년대에 이 아이디어를 부활시켰고, 이후에는 전적으로 스털링 실버로 만들어진 악기를 출시했다.[6]
카일베르트와 P. 모리아는 니켈 실버를 일부 색소폰 모델의 본체에 사용했다.[7] 야나기사와는 902 및 992 시리즈 색소폰을 인산 청동으로 제작하여 황동 901 및 991 모델보다 더 어둡고 빈티지한 음색을 얻었다.[8]
손가락이 키에 닿는 부분의 버튼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진주층으로 만들어진다. 로드, 나사 핀,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블루잉 처리된 강철이나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3. 2. 마우스피스와 리드
색소폰은 클라리넷과 유사한 단일 리드 마우스피스를 사용한다.[10] 색소폰의 크기(알토, 테너 등)에 따라 리드와 마우스피스의 크기가 다르다.
대부분의 색소폰 연주자는 ''갈대''(Arundo donax)로 만든 리드를 사용하지만,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유리섬유 또는 기타 복합 재료로 만든 리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10] 색소폰 리드는 같은 길이라도 클라리넷 리드보다 약간 더 넓게 만들어진다. 시판되는 리드는 경도와 디자인이 다양하며, 단일 리드 연주자는 자신의 마우스피스, 입술 모양(엠부슈어), 연주 스타일 등에 적합한 리드를 찾기 위해 여러 종류의 리드를 사용해 본다.
마우스피스 디자인은 음색에 큰 영향을 미친다.[10] 다양한 마우스피스 디자인 특징과 기능은 다양한 연주 스타일에 따라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초기 마우스피스는 클래식 연주를 위해 "따뜻하고" "둥근" 소리를 내도록 설계되었다. 클래식 마우스피스 중에서는 오목한("파인") ''챔버''를 가진 마우스피스가 아돌프 색스의 원래 디자인에 더 충실하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는 라셰르파 클래식 연주에서 선호되는 부드럽거나 덜 날카로운 음색을 제공한다. 마르셀 뮬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파 클래식 연주를 따르는 색소폰 연주자들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고조파를 가진 다소 "밝은" 소리를 내기 위해 챔버가 작은 마우스피스를 사용한다. 1920년대 이후 댄스 오케스트라와 재즈 앙상블에서 색소폰의 사용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투사력을 강조했고, 마우스피스 디자인의 혁신으로 이어졌다. 클래식 마우스피스와 정반대인 것은 작은 챔버와 팁과 챔버 사이의 리드 위쪽의 간격이 좁은, 소위 하이 ''바플''을 가진 마우스피스이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는 증폭된 악기들 사이에서도 소리가 두드러지도록 하는 데 적합한, 최대의 투사력을 가진 밝은 소리를 생성한다.
마우스피스는 가황 고무(때로는 경질 고무 또는 에보나이트라고 함), 플라스틱, 청동 또는 외과용 강철과 같은 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덜 일반적인 재료로는 목재, 유리, 수정, 도자기 및 뼈가 있다. 최근에는 델린이 마우스피스 재료 목록에 추가되었다.
색소폰 음색에 대한 마우스피스 재료의 영향은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래리 틸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재료는 음색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물리적 치수가 마우스피스에 음색을 부여한다.[11] 어두운 소리를 내는 금속 마우스피스와 밝은 소리를 내는 경질 고무 마우스피스의 예가 있다. 경질 고무를 사용할 때 팁 근처에 필요한 추가적인 두께는 입의 위치와 공기 흐름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4. 종류
색소폰은 음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1840년대 초 벨기에의 악기 제작자 아돌프 색스가 최초의 색소폰을 발명한 이래,[58] 여러 종류의 색소폰이 만들어졌다. 색소폰은 조옮김 및 조율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B♭과 E♭조 악기들이다. 현대에는 B♭ – E♭ 계열의 악기들만 주로 사용되며,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색소폰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번호 | 색소폰 | 조성 | 옥타브 위 | 옥타브 아래 |
---|---|---|---|---|
1 | 소프라니시모 | B♭ | ## | 소프라노 |
2 | 소프라니노 | E♭ | ## | 알토 |
3 | C 소프라노 | C | ## | C 멜로디 |
4 | 소프라노 | B♭ | 소프라니시모 | 테너 |
5 | 메조소프라노 | F | ## | ## |
6 | 알토 | E♭ | 소프라니노 | 바리톤 |
7 | C 멜로디 | C | C 소프라노 | ## |
8 | 테너 | B♭ | 소프라노 | 베이스 |
9 | 바리톤 | E♭ | 알토 | 콘트라베이스 |
10 | 베이스 | B♭ | 테너 | 서브콘트라베이스 |
11 | 콘트라베이스 | E♭ | 바리톤 | ## |
12 | 서브콘트라베이스 | B♭ | 베이스 | ## |
현재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색소폰의 4종류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소프라니노 색소폰이나 베이스 색소폰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클래식에서는 알토가, 재즈·대중 음악에서는 알토와 테너가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 소프라니시모(피콜로) (Sopranissimo (piccolo) saxophone): 조성은 변라(B♭)조이다. 연주되는 기회는 매우 드물다.
- 소프라니노 (sopranino saxophone): 조성은 변호(E♭)조이며, 연주되는 기회는 적지만, 색소폰 앙상블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소프라노 (soprano saxophone): 조성은 알토보다 완전5도 높은 변라(B♭)조이다. 색소폰 4중주에서는 리더적인 존재가 된다.
- 알토 (alto saxophone): 조성은 변호(E♭)조이다. 색소폰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악기라고 할 수 있다. 클래식 색소폰을 위한 독주곡, 협주곡은 거의 모두 알토 색소폰을 위해 쓰여졌다.
- 테너 (tenor saxophone): 조성은 알토보다 완전4도 낮은 변라(B♭)조이다. 알토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악기이며, 연주자도 많다.
- 바리톤 (bari(y)tone saxophone): 조성은 변호(E♭)조이며, 알토보다 1옥타브 낮다. 관악합주에서는 색소폰 및 목관 섹션의 베이스 성부(저음부)를 담당한다.
- 베이스 (bass saxophone): 조성은 테너보다 1옥타브 낮은 변라(B♭)조이다. 대편성의 관악합주나 색소폰의 앙상블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콘트라베이스 (contrabass saxophone): 조성은 바리톤보다 1옥타브 낮은 변호(E♭)조이다.
- 서브 콘트라베이스 (Subcontrabass saxophone): 조성은 베이스보다 1옥타브 낮은 변라조이다.
5. 용도
색소폰은 클라리넷과 비슷한 단일 리드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며, 각 크기의 색소폰은 크기가 다른 리드와 마우스피스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색소폰 연주자는 대나무로 만든 리드를 사용하지만, 20세기 중반부터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나 기타 복합 재료로 만든 리드도 제작되고 있다.
마우스피스의 설계는 음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연주 스타일에 따라 선호되는 마우스피스 설계 특성이 다르다. 초기 마우스피스는 클래식 연주를 위해 "따뜻한", "둥근" 소리를 내도록 설계되었지만, 1920년대 이후 댄스 밴드나 재즈 앙상블에서 색소폰을 사용하면서 "다이내믹 레인지"와 투사력(프로젝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마우스피스 챔버 형상, 끝단 디자인, 금속 구조 등에 혁신이 일어났다.
마우스피스는 가황 고무(에보나이트), 수지, 청동 또는 Surgical stainless steel|외과용 스테인리스강영어과 같은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Larry Teal|래리 틸영어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재료는 음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물리적 치수가 음색을 결정한다.[69]
색소폰은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군악대에서 처음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 군악대에서도 행진곡, 의식곡 등 다양한 연주에 활용된다.
- 콘서트 밴드, 실내악, 독주 등 다양한 클래식 음악에서 사용된다.
- 재즈, 팝, 록, R&B 등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한국 대중음악에서도 색소폰은 트로트, 발라드 등 서정적인 장르에서 그 매력을 발산한다.
5. 1. 군악대
색소폰은 군악대에서 처음 인기를 얻었다. 독일에서는 처음에는 무시되었지만, 프랑스와 벨기에 군악대는 곧 색소폰을 앙상블에 포함시켰다. 대부분의 프랑스와 벨기에 군악대는 적어도 E♭ 바리톤, B♭ 테너, E♭ 알토, B♭ 소프라노로 구성된 4중주 편성을 갖추고 있다. 이 네 가지 악기는 삭스가 만든 악기 중 가장 인기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E♭ 콘트라베이스와 B♭ 베이스는 너무 크고 E♭ 소프라니노는 출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 영국 군악대는 보통 알토와 테너 색소폰 연주자를 최소 두 명 이상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군악대에서도 색소폰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행진곡, 의식곡 등 다양한 연주에 활용된다.
5. 2. 클래식 음악
색소폰은 콘서트 밴드, 실내악, 독주 등 다양한 클래식 음악에서 사용된다. 콘서트 밴드에는 보통 알토 색소폰 두 대, 테너 색소폰 한 대, 바리톤 색소폰 한 대가 포함될 수 있다. 때로는 B♭ 소프라노 색소폰도 사용되며, 이 경우 첫 번째 알토 색소폰 연주자가 연주한다. B♭ 베이스 색소폰은 일부 콘서트 밴드 음악, 특히 퍼시 그레인저의 음악에서 사용된다.[23]
색소폰은 색소폰 4중주와 같은 실내악에서 사용된다. 클래식 색소폰 4중주는 B♭ 소프라노 색소폰, E♭ 알토 색소폰, B♭ 테너 색소폰, E♭ 바리톤 색소폰(SATB)으로 구성된다. 때때로 소프라노 대신 두 번째 알토 색소폰(AATB)이 사용되기도 한다.
19세기부터 특히 아돌프 삭스를 알았던 프랑스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클래식 작곡과 편곡 레퍼토리가 존재한다. 그러나 색소폰을 위한 실내악 작품의 대부분은 1928년 마르셀 뮬(Marcel Mule)에 의해 시작된 클래식 색소폰의 현대 시대부터이다. 시구르트 라셰르(Sigurd Raschèr)는 1931년부터 오케스트라 작품의 독주자로 활동하며 현대 클래식 색소폰 레퍼토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세기와 21세기에 색소폰은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더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악기는 오페라와 합창 음악에도 사용되었으며, 뮤지컬 극장 악보에도 색소폰 파트가 포함될 수 있다.
주요 클래식 색소폰 작품
- ''Fantasie sur un thème original'' (1860) - 쥘 데메르세만(Jules Demersseman)
- 관현악과 색소폰을 위한 라프소디 [Rhapsody for orchestra and saxophone] (1901) -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 알토 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E♭ 장조 협주곡 (1934)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Alexander Glazunov)
- 실내 협주곡(Concertino da camera) (1935) - 자크 이베르(Jacques Ibert)
- 알토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스카라무슈(Scaramouche)'' (1937) - 다리우스 미요(Darius Milhaud)
- 알토 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작품 26 (1944) - 폴 크레스톤(Paul Creston)
- 알토 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49) - 앙리 토마지(Henri Tomasi)
- 색소폰 협주곡 (1958) - 에를란드 폰 코흐(Erland von Koch)
- 알토 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2013) - 존 아담스
주요 색소폰 4중주 작품
- 제1번 사중주곡, 작품번호 53 (1857) — 장-바티스트 싱겔레(Jean-Baptiste Singelée)
- B♭장조 사중주곡, 작품번호 109 (1932) — 알렉산더 글라주노프(Alexander Glazunov)
- 색소폰 변주곡 (1939) – 페르낭드 드크뤼크(Fernande Decruck)
- XAS (1987) — 이아니스 크세나키스(Iannis Xenakis)
색소폰이 포함된 기타 실내악 작품
- 9중주 (1923) – 에이토르 빌라-로보스(Heitor Villa-Lobos)
- 클라리넷, 테너 색소폰,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사중주, 작품 22 (1930) – 안톤 베베른(Anton Webern)
한국의 클래식 색소폰한국 클래식 음악계에서도 색소폰은 점차 그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다양한 연주자와 작곡가들이 색소폰을 위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주요 한국 클래식 색소폰 연주자
- 적송지로(赤松二郎)
- 아라이 야스시(新井靖志)
- 우에노 코헤이(上野耕平)
- 오모리 요시모토(大森義基)
- 코구시 토시히사(小串俊寿)
- 쿠모이 마사토(雲井雅人)
- 시모지 케이지(下地啓二)
- 스가와 노부야(須川展也)
- 타나카 야스토(田中靖人)
- 나카타 마모루(仲田守)
- 히코사카 신이치로(彦坂眞一郎)
- 히라노 코우스케(平野公崇)
5. 3. 재즈와 대중음악
색소폰은 재즈, 팝, 록, R&B 등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20세기 초 미국에서 색소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래그타임 음악이 부상했는데, 래그타임의 싱코페이션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리듬의 영향을 받은 밴드들은 미국 문화계의 흥미로운 새로운 특징이었으며, 새로운 춤 스타일의 기반을 마련했다.[28] W. C. 핸디와 제임스 R. 유럽이 이끄는 밴드는 색소폰을 사용하는 가장 유명한 래그타임 브라스 밴드였다. 유럽의 제369 보병 연대 밴드는 1918년 순회 공연 중 프랑스에서 래그타임을 대중화했다.[28]1920년대에는 래그타임의 인기에 힘입어 댄스 밴드가 등장했고, 같은 시기에 색소폰은 보드빌 엔터테인먼트에도 사용되었다. 래그타임, 보드빌, 댄스 밴드는 많은 미국인들에게 색소폰을 소개했다. 루디 위도프트는 1920년대 "색소폰 열풍"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에 가장 유명한 색소폰 스타일리스트이자 비르투오소가 되었다.[29]
색소폰이 재즈 악기로 부상한 것은 1920년대 초 댄스 밴드에서 널리 채택된 이후였다. 1923년 결성된 플레처 헨더슨 오케스트라는 즉흥 연주를 위한 편곡을 특징으로 하여 대형 댄스 밴드 형식에 최초의 재즈 요소를 도입했다.[30] 플레처 헨더슨 오케스트라의 혁신에 이어 듀크 엘링턴 오케스트라와 진 골드케트의 빅터 레코딩 오케스트라는 색소폰과 다른 악기로 재즈 솔로를 선보였다. 댄스 밴드와 재즈의 연관성은 1930년대 스윙 음악으로 정점에 달했다.
콜맨 호킨스는 1923년부터 1934년까지 플레처 헨더슨과 함께 활동하는 동안 테너 색소폰을 재즈 솔로 악기로 확립했다. 호킨스의 밴드 동료 베니 카터와 듀크 엘링턴의 알토 색소폰 연주자 조니 호지스는 스윙 시대 알토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으며, 해리 카니는 듀크 엘링턴 오케스트라에서 바리톤 색소폰을 유명하게 만들었다.
1920년대 뉴올리언스 재즈에서 시카고 스타일 재즈가 발전하면서, 그 특징 중 하나는 앙상블에 색소폰을 추가한 것이었다. 소규모 시카고 앙상블은 뉴올리언스 또는 대형 밴드 형식보다 더 많은 즉흥 연주 자유를 제공하여 색소폰 연주자 지미 도르시 (알토), 프랭키 트럼보어 (C 멜로디), 버드 프리먼 (테너), 스텀프 에반스 (바리톤)의 혁신을 촉진했다.[5]
1930년대 후반 카운트 베이시 오케스트라에서 레스터 영의 영향과 1939년 호킨스의 "바디 앤 소울" 녹음의 인기는 색소폰을 뉴올리언스에서 시작된 이후 재즈의 결정적인 악기였던 트럼펫과 동등한 재즈에 대한 영향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색소폰이 재즈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몇 년 후 알토 색소폰 연주자 찰리 파커가 여러 세대의 재즈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친 비밥 혁명의 아이콘이 되었을 때 발생했다.
1950년대에는 주요 알토 연주자로 소니 스티트, 캐논볼 애덜리, 재키 맥린, 루 도널드슨 등이 있었고, 주요 테너 연주자로는 레스터 영, 콜맨 호킨스, 덱스터 고든, 존 콜트레인, 소니 롤린스 등이 있었다. 세르주 샬로프, 제리 멀리건 등은 바리톤 색소폰을 솔로 악기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스티브 레이시는 현대 재즈 맥락에서 소프라노 색소폰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했고, 존 콜트레인은 1960년대에 이 악기의 인기를 높였다. 스무스 재즈 음악가 케니 지도 소프라노 색소폰을 주요 악기로 사용한다.[31]
존 콜트레인, 오넷 콜먼 등과 같은 색소폰 연주자들은 1960년대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창작 탐구의 최전선을 정의했다.
1940년대의 "점프 스윙" 밴드는 리듬 앤 블루스를 낳았으며, 호른 섹션과 풍부하고 강렬한 음색, 리듬이 강한 색소폰 연주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일리노이 자케, 샘 부테라 등은 R&B 테너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고, 루이스 조던, 에디 "클린헤드" 빈슨 등은 알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니어 워커, 킹 커티스, 매시오 파커는 영향력 있는 소울과 펑크 색소폰 스타일리스트가 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에서도 색소폰은 빼놓을 수 없는 악기로, 특히 트로트, 발라드 등 서정적인 장르에서 그 매력을 발산한다. 1990년대 이후 퓨전 재즈, 스무스 재즈 등이 인기를 얻으면서 색소폰의 활용 범위는 더욱 넓어졌다.
6. 한국의 색소폰 문화
한국에서 색소폰은 일제강점기부터 유입되어 대중음악의 주요 악기로 자리 잡았다.[85] 해방 이후에는 미8군 무대를 중심으로 재즈가 유행하면서 색소폰이 더욱 인기를 얻게 되었다.[87]
1960~70년대에는 트로트, 블루스 등 대중가요에서 색소폰이 널리 사용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1980년대 이후에는 퓨전 재즈,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가 인기를 얻으면서 색소폰의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최근에는 K팝, 퓨전 국악 등에서도 색소폰이 사용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는 이정식, 강태환, 손성제 등 세계적인 수준의 색소폰 연주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7. 특이한 변종
색소폰이 처음 발명된 이후로 여러 실험적인 색소폰과 그와 관련된 악기들이 등장했지만, 대부분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사라졌다. 1920년대 초, 시카고의 Reiffel & Husted사는 슬라이드 소프라노 색소폰을 제작했다.[89][90][91] 같은 시기, 뷰셔는 몇몇 직선형 알토 및 테너 색소폰을 생산했지만, 다루기 어렵고 운반하기 불편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뷰셔는 보드빌 공연자를 위해 특별 주문 제작으로 직선형 바리톤 색소폰을 만들기도 했다.[92]
C.G. 콘(C.G. Conn)은 1928년부터 1929년까지 'Conn-O-Sax'와 F조 메조소프라노 색소폰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변종을 선보였다. Conn-O-Sax는 잉글리시 호른의 음색을 모방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저음 A부터 고음 G까지의 음역을 가졌다. 콘의 메조소프라노는 대공황으로 인해 시장이 축소되어 생산 기간이 짧았고, 대부분 콘 사의 수리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1920년대의 특이한 디자인 중 가장 성공적인 것은 킹의 'Saxello'였다. 기본적으로 직선형 B♭ 소프라노이지만, 약간 굽은 목관과 끝부분에 벨을 가지고 있었으며, H. N. 화이트 회사에서 제작되었다. 이러한 악기들은 현재 4000USD가 넘는 고가에 거래된다. 여러 회사들이 직선형 보어와 경사진 벨을 가진 소프라노 색소폰을 Saxello(또는 "Saxello 소프라노")로 판매하고 있다.
1920년대 두 변종에 대한 관심은 재즈 음악가 라산 롤랜드 커크에 의해 다시 살아났다. 그는 뷰셔의 직선형 알토를 "스트리치"(stritch), Saxello를 "만젤로"(manzello)라고 불렀다. 만젤로는 특별 주문 제작된 큰 벨과 개조된 키 장치를 가진 Saxello였다.[93] 최근에는 메조소프라노 또는 그 현대적인 변종이 재즈 음악가 앤서니 브랙스턴, 제임스 카터, 비니 골리아, 조 로바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독일 뮌헨의 베네딕트 에펠스하임은 색소폰 음역의 상한과 하한에 혁신을 도입했다. 소프릴로 색소폰은 B♭ 소프라노 색소폰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으로 연주되는 피콜로 크기의 색소폰이다. 1999년 에펠스하임이 개발한 튜박스[95]는 E♭ 콘트라베이스 색소폰과 동일한 음역과 지판을 사용하지만, 보어가 더 좁아 "더 리드적인" 음색을 낸다. 에펠스하임은 C와 B♭ 조의 서브콘트라베이스 튜박스도 제작했는데, 후자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낮은 음역의 색소폰이다.
2000년대 개발 중에는 벨기에 악기 제작자 프랑수아 루이가 2001년에 발명한 이중 소프라노 색소폰인 오울로크롬이 있다.[42]
8. 관련 악기
20세기에 하와이, 자메이카, 태국, 인도네시아, 에티오피아, 아르헨티나 등지의 악기 제작자들은 대나무로 만든 저렴한 민속 색소폰을 개발했다.[49] 1970년대에 발명된 하와이 악기인 자푼은 "대나무 색소폰"으로도 판매되지만, 원통형 관은 클라리넷과 더 유사하며, 키가 없다는 점에서는 리코더와 비슷하다. 자메이카에서는 멘토 음악가이자 악기 제작자인 '슈거 벨리'(Sugar Belly, William Walker)가 수제 대나무 "색소폰" 연주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49]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의 미나하사족 지역에는 대나무 "색소폰"[50]과 다양한 크기의 "금관" 악기로 구성된 밴드가 있는데, 이 악기들은 현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유럽 악기의 모방품이다. 태국에서도 비슷한 악기가 제작된다.[51] 아르헨티나에서는 앙헬 삼페드로 델 리오(Ángel Sampedro del Río)와 마리아나 가르시아(Mariana García)가 1985년부터 다양한 크기의 대나무 색소폰을 제작해 왔다.[52]
EWI(Electronic Wind Instrument)와 같이 많은 신디사이저 윈드 컨트롤러는 색소폰처럼 연주하고 손가락으로 조작한다.
참조
[1]
서적
The Saxophone (Yale Musical Instrument Series)
Yale Musical Instrument Series
[2]
서적
Oxford Thesaurus of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Saxophone
http://www.oxfordmus[...]
2019-04-06
[4]
웹사이트
Jay Easton's unusual saxophones
http://www.jayeaston[...]
2021-05-16
[5]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2002
[6]
웹사이트
T9937
https://web.archive.[...]
Yanagisawa website
2008-01-06
[7]
웹사이트
PMST-60NS
https://web.archive.[...]
Paul Mauriat website
2008-08-22
[8]
웹사이트
Yanagisawa Saxophones
https://web.archive.[...]
2014-05-19
[9]
웹사이트
The Horn
http://www.jazzbaris[...]
JazzBariSax.com
[10]
웹사이트
Discussions
https://web.archive.[...]
2016-04-27
[11]
서적
The Art of Saxophone Playing
Summy-Birchard
[12]
웹사이트
Adolphe Sax
http://www.basssax.c[...]
BassSax.com
2007-05-07
[1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saxophone
http://www.the-saxop[...]
The-Saxophone.com
2008-01-06
[14]
문서
Noyes, p. 119
[15]
서적
Rossini: A Biography
Knopf
[16]
문서
Noyes, Chapter II
[17]
문서
Noyes, Chapter III
[18]
문서
Noyes, Chapter IV
[19]
문서
Noyes, Chapter V
[20]
논문
The saxophone music of Thierry Escaich
https://iro.uiowa.ed[...]
University of Iowa
2018
[21]
웹사이트
The Selmer Balanced Action
http://www.saxpics.c[...]
2019-04-09
[22]
웹사이트
Best Colleges to Study Classical Saxophone
https://insidemusics[...]
2020-06
[23]
웹사이트
A Talk On Modern Band Music
http://trove.nla.gov[...]
The Mercury
1930-03-26
[24]
웹사이트
James Fei: DVD
https://web.archive.[...]
2007-05-07
[25]
서적
The Saxophon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11-05
[26]
웹사이트
Recommended Saxophone Repertoire Alto Saxophone Level III
http://music.indiana[...]
[27]
웹사이트
Selected Repertoire
http://www.ithaca.ed[...]
Ithaca.edu
2014-05-19
[28]
서적
Scott's Official History of the American Negro in the World War
https://archive.org/[...]
Homewood Press
[29]
웹사이트
How Rudy Wiedoeft's Saxophobia Launched the Saxual Revolution
http://www.garfield.[...]
[30]
웹사이트
Fletcher Henderson
http://musicians.all[...]
Musicians.allaboutjazz.com
2018-12-04
[31]
웹사이트
Kenny G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2-17
[32]
뉴스
Hamiet Bluiett, Baritone Saxophone Trailblazer, Dies at 78 (Published 2018)
https://www.nytimes.[...]
2018-10-07
[33]
웹사이트
Slide saxophone in C by Reiffel & Husted, c. 1922–1925
https://emuseum.nmmu[...]
University of South Dakota
[34]
웹사이트
Slide sax picture
https://web.archive.[...]
2006-10-23
[35]
비디오
Slide sax: Come Sunday, Duke Ellington
https://www.youtube.[...]
Vandoren TV
2017-06-07
[36]
논문
column
http://www.contrabas[...]
1993
[37]
웹사이트
The Keilwerth straight alto
http://www.john-robe[...]
2019-04-08
[38]
웹사이트
Workbench review, Keilwerth SX90 straight alto saxophone
http://www.shwoodwin[...]
2019-04-08
[39]
웹사이트
L.A. Sax Straight Models
http://www.lasaxopho[...]
2007-05-07
[40]
웹사이트
Jim Schmidt's Contralto
http://cvip.fresno.c[...]
2007-05-07
[41]
웹사이트
Tubax E♭ saxophone
http://www.eppelshei[...]
Benedikt Eppelsheim Wind Instruments
2007-05-07
[42]
웹사이트
Aulochrome
https://www.aulochro[...]
2023-03-16
[43]
웹사이트
The Grafton Plastic Saxophone | Sax Gourmet
http://www.saxgourme[...]
saxgourmet.com
2019-03-28
[44]
웹사이트
Repairman's Overview: Vibrato Plastic Saxophone – YouTube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9-03-28
[45]
웹사이트
The Fabulous Leblanc Saxophones
http://www.saxgourme[...]
[46]
웹사이트
Vito Leblanc System 35 (Johnny Hodges) alto saxophone review
http://www.shwoodwin[...]
2019-07-27
[47]
웹사이트
Saxophones with Linear Fingering System – Flutes and Saxes – JSengineering
https://web.archive.[...]
2014-12-17
[48]
웹사이트
Jim Schmidt demonstrates his unique saxophone
https://www.youtube.[...]
2009-01-20
[49]
웹사이트
Mento Music: Sugar Belly
http://www.mentomusi[...]
2007-05-07
[50]
웹사이트
Culture & Arts in North Sulawesi, Indonesia
https://web.archive.[...]
2007-05-07
[51]
웹사이트
A bio-aesthetic offspring of single reed woodwinds-Dieter Clermont and his Thai partner Khanung Thuanthee build bamboo saxophones in North Thailand since the late 1980s
https://web.archive.[...]
2008-07-31
[52]
웹사이트
Un Mundo de Bambú
http://www.unmundode[...]
2007-05-07
[53]
웹사이트
Photo Gallery :: SaxPics.com
http://www.saxpics.c[...]
[54]
웹사이트
Photo Gallery
http://www.saxpics.c[...]
SaxPics.com
2014-05-19
[55]
웹사이트
Photo Gallery :: SaxPics.com
http://www.saxpics.c[...]
[56]
웹사이트
Saxophone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2-05-25
[57]
서적
The Saxophone (Yale Musical Instrument Series)
Yale Musical Instrument Series
[58]
사전
Saxophone
http://www.oxfordmus[...]
2019-04-06
[59]
웹사이트
YAMAHA楽器解体全書PLUS
http://www.yamaha.co[...]
[60]
문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만든 악기 사용 사례
[6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2002
[62]
웹사이트
Review, Buescher True Tone tenor sax
http://everythingsax[...]
2019-04-09
[63]
웹사이트
T9937
https://web.archive.[...]
Yanagisawa website
2008-01-06
[64]
웹사이트
PMST-60NS
https://web.archive.[...]
Paul Mauriat website
2008-08-22
[65]
웹사이트
Yanagisawa Saxophones
https://web.archive.[...]
2014-05-19
[66]
웹사이트
The Horn
http://www.jazzbaris[...]
JazzBariSax.com
2020-09-24
[67]
웹사이트
サクソフォーン・クエスチョンズ
http://www.cybersax.[...]
2021-03-02
[68]
웹사이트
Discussions
https://web.archive.[...]
2016-04-27
[69]
서적
The Art of Saxophone Playing
Summy-Birchard
[70]
웹사이트
Product description, Delrin mouthpiece with shank weight
https://www.nationof[...]
2019-02-17
[71]
웹사이트
Bari mouthpieces, product descriptions
https://www.bariwood[...]
2019-02-17
[72]
웹사이트
Adolphe Sax
http://www.basssax.c[...]
BassSax.com
2007-05-07
[7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saxophone
http://www.the-saxop[...]
The-Saxophone.com
2008-01-06
[74]
서적
Noyes, p. 119
[75]
서적
Noyes, Chapter II
[76]
서적
Noyes, Chapter III
[77]
서적
Noyes, Chapter IV
[78]
서적
Noyes, Chapter V
[79]
웹사이트
The Selmer Balanced Action
http://www.saxpics.c[...]
2019-04-09
[80]
뉴스
A Talk On Modern Band Music
http://trove.nla.gov[...]
The Mercury
1930-03-26
[81]
웹사이트
James Fei: DVD
http://music.columbi[...]
2007-05-07
[82]
웹사이트
Recommended Saxophone Repertoire Alto Saxophone Level III
http://music.indiana[...]
Ithaca.edu
2014-05-19
[83]
문서
S,A,A,T,B의 5중주 편성의 색소폰이 사용되고 있다.현재도 연주 기회에 풍부한 오케스트라 작품으로는 이례적인 규모이다.
[84]
웹사이트
Writing for saxophones : a guide to the tonal palette of the saxophone family for composers, arrangers, and performers
http://www.baxtermus[...]
2020-08-24
[85]
서적
Scott's Official History of the American Negro in the World War
https://archive.org/[...]
Homewood Press
[86]
웹사이트
How Rudy Wiedoeft's Saxophobia Launched the Saxual Revolution
http://www.garfield.[...]
[87]
웹사이트
Fletcher Henderson
http://musicians.all[...]
Musicians.allaboutjazz.com
2019-02-23
[88]
웹사이트
Kenny G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2020-06-17
[89]
웹사이트
The Royal Holland Bell Ringers Collection and Archive
https://emuseum.nmmu[...]
2019-03-28
[90]
웹사이트
Slide sax picture
http://www.gs.kunita[...]
2006-10-23
[91]
웹사이트
Slide sax picture
http://www.jasonharr[...]
2006-10-23
[92]
학술지
column
http://www.contrabas[...]
1993
[93]
웹사이트
The Keilwerth straight alto
http://www.john-robe[...]
2019-04-08
[94]
웹사이트
Jim Schmidt's Contralto
http://cvip.fresno.c[...]
2007-05-07
[95]
웹사이트
Tubax E♭ saxophone
http://www.eppelshei[...]
Benedikt Eppelsheim Wind Instruments
2007-05-07
[96]
웹사이트
The Grafton Plastic Saxophone
http://www.saxgourme[...]
saxgourmet.com
2019-03-28
[97]
Youtube
Repairman's Overview: Vibrato Plastic Saxophone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9-03-28
[98]
웹사이트
The Fabulous Leblanc Saxophones
http://www.saxgourme[...]
2021-11-14
[99]
웹사이트
Vito Leblanc System 35 (Johnny Hodges) alto saxophone review
http://www.shwoodwin[...]
2019-07-27
[100]
웹사이트
Saxophones with Linear Fingering System
http://www.jsenginee[...]
2021-11-14
[101]
Youtube
Jim Schmidt demonstrates his unique saxophone
https://www.youtube.[...]
2009-01-20
[102]
웹사이트
Mento Music: Sugar Belly
http://www.mentomusi[...]
2007-05-07
[103]
웹사이트
Culture & Arts in North Sulawesi, Indonesia
http://www.north-sul[...]
2007-05-07
[104]
웹사이트
A bio-aesthetic offspring of single reed woodwinds-Dieter Clermont and his Thai partner Khanung Thuanthee build bamboo saxophones in North Thailand since the late 1980s
http://www.indochina[...]
2008-07-31
[105]
웹사이트
Un Mundo de Bambú
http://www.unmundode[...]
2007-05-07
[106]
웹사이트
Photo Gallery :: SaxPics.com
http://www.saxpics.c[...]
2021-11-14
[107]
웹사이트
Photo Gallery
http://www.saxpics.c[...]
SaxPics.com
2014-05-19
[108]
웹사이트
Photo Gallery :: SaxPics.com
http://www.saxpics.c[...]
2021-11-14
[109]
웹사이트
分類「楽器略記号」に含まれる用語
https://www.hibino.c[...]
ヒビノ
2021-11-15
[110]
서적
JAZZ — CDで聴く名盤・名演658
日本文芸社
1990-06-11
[111]
웹사이트
2002년 파리의 라디오 프랑스에서의 연주회, 이어 2003년 브뤼셀의 아르스 무지카 현대음악제에서 공개됨.
http://www.aulochrom[...]
[112]
웹사이트
Junior Walker
https://www.allmusic[...]
2018-09-24
[113]
문서
스카타라이츠
[114]
문서
하렘 녹턴의 연주로 유명함.
[115]
뉴스
Veteran Saxophone "Honker" Big Jay McNeely Can Still Blow Them Away
http://www.laweekly.[...]
LA Weekly
2021-03-01
[116]
문서
스택스 레코드의 하우스 밴드
[117]
문서
머슬 쇼얼스
[118]
문서
멤피스 호른스
[119]
문서
모타운의 색소폰 연주자
[120]
문서
브래스 록의 시카고의 멤버
[121]
문서
브루스 스프링스틴
[122]
문서
색소폰과 베이스를 연주함. 크루세이더스의 멤버였음.
[123]
웹사이트
セルマー、ヤマハと並ぶ世界三大メーカー“柳澤”のサックスが中国へ
https://wedge.ismedi[...]
2012-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