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리그 구단 수상 내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 구단 수상 내역은 K리그에서 구단에게 수여되는 다양한 상들의 연도별, 시기별 수상 내역을 정리한 문서이다. 페어플레이상, 유소년 클럽상, 풀 스타디움상, 그린 스타디움상, 팬 프렌들리 클럽상, 사랑 나눔상, 그린 위너스상, 공로상 등 시즌별 시상과, 풀 스타디움상, 플러스 스타디움상, 그린 스타디움상, 팬 프렌들리 클럽상 등 분기별 시상, 라운드 베스트팀, 라운드 베스트매치와 같은 주별 시상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올해의 베스트팀 상, 팬 테이스티 팀과 같은 시상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2. 시즌별 시상 항목

2. 1. 올해의 페어플레이상

올해의 페어플레이상은 페어플레이 정신을 가장 잘 실천한 팀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과거 명칭은 "올해의 페어플레이팀"이었으며, 스포츠 정신에 입각한 정정당당한 경쟁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시즌클럽비고
2001전남 드래곤즈
2002?
2003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4광주 상무 불사조
2005광주 상무 불사조
2006부산 아이파크
2007대구 FC
2008성남 일화 천마
2009강원 FC
2010강원 FC
2011FC 서울
2012울산 현대
2013FC 서울
2014FC 서울
2015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6제주 유나이티드
2017FC 서울
2018상주 상무
2019상주 상무


2. 2. 올해의 유소년 클럽상

K리그 구단 산하 유소년 클럽 중 최고의 성과를 거둔 클럽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한국 축구의 미래를 이끌어갈 유소년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체계적인 시스템과 지원을 통해 성장하는 클럽을 격려한다.


2. 3. 올해의 풀 스타디움상

올해의 풀 스타디움상은 최다 관중을 유치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1] K리그1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시즌클럽비고
2012FC 서울
2013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4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5전북 현대 모터스
2016FC 서울
2017FC 서울
2018전북 현대 모터스
2019FC 서울
2020미시상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2021
2022FC 서울


2. 4. 올해의 플러스 스타디움상

K리그 구단에 작년 대비 최다 관중 증가를 기록하면 주어지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0~2022 시즌에는 시상하지 않았다.

2. 5. 올해의 그린 스타디움상

올해의 그린 스타디움 상은 홈구장 잔디 관리를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경기력 향상과 선수 부상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잔디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시즌클럽비고
2012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3울산 현대
2014포항 스틸러스
2015포항 스틸러스
2016포항 스틸러스
2017포항 스틸러스
2018안산 그리너스
2019안산 그리너스


2. 6. 올해의 팬 프렌들리 클럽상

마케팅과 팬 서비스 활동을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1과 K리그2로 나누어 시상한다.(2021년부터) 팬들과의 소통 및 교류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팬심을 사로잡은 구단을 선정한다.

2. 7. 사랑 나눔상

K리그 22개 구단의 사회공헌 활동 횟수, 수혜자 수, 재능기부 참가인원 등 사회공헌활동 관련 지표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한 구단에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 구단들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지역 사회와의 유대 강화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노력을 장려한다.

시즌클럽비고
2013대구 FC
2014전북 현대 모터스
2017
전남 드래곤즈
안산 그리너스
성남 FC
부천 FC 1995
포항 스틸러스
대전 하나 시티즌
안산 그리너스
대전 하나 시티즌
충남 아산 FC


2. 8. 그린 위너스상

2021시즌에 신설된 상으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펼친 구단에게 수여된다.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K리그 구단들의 노력을 강조하며,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시즌클럽비고
2021수원 삼성 블루윙즈


2. 9. 공로상

K리그 발전에 특별한 공헌을 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에게 수여되기도 하였다.

시즌클럽비고
2009포항 스틸러스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12울산 현대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3. 분기별 시상 항목

3. 1. 풀 스타디움상

풀 스타디움상은 K리그에서 분기별로 가장 많은 관중을 유치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1과 K리그2로 나누어 시상한다. 2012시즌 처음으로 풀 스타디움상이 제정되었으며, 2013시즌 K리그 클래식 2차(13~25라운드)에서는 FC 서울이 풀 스타디움상을 수상하였다. 2020시즌과 2021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무관중 및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시상하지 않았다.

시즌차수K리그1 클럽K리그2 클럽비고
2013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FC 서울
3차 (26~38라운드)
2015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N/AN/A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2021N/A
20231차
2차
3차


3. 2. 플러스 스타디움상

플러스 스타디움상은 분기별 최다 관중 증가를 기록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1과 K리그2로 나누어 시상한다. 2020 시즌과 2021 시즌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무관중 및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시상하지 않았다.

시즌차수클럽비고
2013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FC 서울
3차 (26~38라운드)
2015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N/A미시상
2021
시즌차수클럽비고
20151차
2차
3차
20171차
2차
3차
20191차
2차
3차
2020N/A미시상
2021
20231차
2차
3차


3. 3. 그린 스타디움상

그린 스타디움상은 분기별 홈구장 잔디 관리를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1과 K리그2로 나누어 시상한다.

시즌차수클럽비고
2013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5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1
시즌차수클럽비고
20151차
2차
3차
20171차
2차
3차
20191차
2차
3차
2021
20231차
2차
3차


3. 4. 팬 프렌들리 클럽상

팬 프렌들리 클럽상은 분기별 마케팅과 팬서비스 활동을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K리그1과 K리그2로 나누어 시상한다.

시즌차수클럽비고
2014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6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8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
2022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시즌차수클럽비고
20151차
2차
3차
20171차
2차
3차
20191차
2차
3차
2021
20231차
2차
3차


4. 주별 시상 항목

4. 1. 라운드 베스트팀

2007년 공격 축구를 유도하기 위해 라운드 베스트팀 제도가 신설되어 현재까지 시상되고 있다.[3]

4. 2. 라운드 베스트매치

2010년 매 라운드 가장 흥미진진했던 경기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라운드 베스트매치가 신설되었다.[4]

5. 폐지된 시상 항목

5. 1. 시즌별 시상 항목

5. 1. 1. 올해의 베스트팀 상

시즌클럽비고
2007경남 FC
2008성남 일화 천마
2009전북 현대 모터스우승팀
2010FC 서울우승팀
2011전북 현대 모터스우승팀
2012FC 서울우승팀



매 라운드별 베스트팀을 선정하고 시즌 종합 베스트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2007년에 제정되었다.[5] 주로 우승팀에게 상이 수여되었으며, 2012년에 폐지되었다.

5. 2. 월별 시상 항목

5. 2. 1. 팬 테이스티 팀

2017년에 신설되었고 2019년에 폐지되었다.

참조

[1] 뉴스 울산 현대, 정규 리그서 가장 많은 관중 증가 기록 http://sports.news.n[...]
[2] 문서 ‘스페셜올림픽코리아 K리그 통합축구 Unified Cup‘은 K리그 10개 구단의 통합축구단이 참가한 대회로, 올해 8월과 10월 충북 제천에서 열렸다. 통합축구는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팀을 이뤄 참가하는 축구경기다. 통합축구의 취지에 맞게 팀 성적은 1위, 2위가 아닌 ‘첫번째 승리자’, ‘두번째 승리자’ 등으로 표시한다.
[3] 뉴스 K리그, 공격 축구 위한 '베스트팀' 선정한다 http://sports.news.n[...]
[4] 뉴스 K리그 개막특집-새 시즌 앞둔 K리그, ‘환골탈태’를 외치다 http://sports.news.n[...]
[5] 뉴스 경남 ‘돌풍’ 실속도 만점…K리그 하우젠 베스트팀 종합 1위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2007-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