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리그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1은 1983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2013년 승강제 도입과 함께 K리그 클래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8년 K리그1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12개 팀이 참가하며, 정규 라운드 후 상위, 하위 6팀으로 나뉘어 스플릿 라운드를 진행한다. 2025년부터는 외국인 선수 쿼터가 변경되고, 홈그로운 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K리그1은 우승팀, 준우승팀, 3위 팀에게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1 - K리그1 클럽별 통산 기록
  • K리그1 -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 리그 우승 구단은 1964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K리그 출범 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기록과 K리그, K리그1 우승팀, 준우승팀, MVP, 득점왕 정보를 제공하고, 전북 현대 모터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다.
  • 198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리가 ACB
    리가 ACB는 1983년 설립된 스페인의 프로 농구 리그로, 18개 팀이 참가하는 더블 리그전 방식의 정규 시즌과 상위 8개 팀이 우승을 다투는 플레이오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 최고의 리그 중 하나로 꼽힌다.
  • 198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풋볼 리그 (그리스)
    그리스 풋볼 리그는 1954년 지역 리그로 시작하여 베타 에트니키를 거쳐 2010년 풋볼 리그로 명칭을 변경했으나, 2부 리그에서 3부 리그로 격하된 후 2021년 감마 에스니키로 대체되며 폐지된 그리스의 축구 리그이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BO 리그
    KBO 리그는 198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로, 초기 6개 구단에서 현재 10개 구단이 단일 리그 체제로 운영되며 포스트시즌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고 올스타전이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3리그
    K3리그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로, 2007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2020년 내셔널리그와 통합되었으며, K4리그와의 승강제와 더불어 향후 K리그2와의 승강제 도입을 계획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기본으로 다양한 구단들이 참가한다.
K리그1
기본 정보
이름K리그1
로마자 표기K rigeu won
한글 표기K리그 원
영문 표기K League 1
종류축구 리그
국가대한민국
주최한국프로축구연맹
참가 팀 수12팀
최상위 리그없음
하위 리그K리그2
국내 컵 대회한국 FA컵
대륙 컵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투
최근 우승 팀울산 HD (2024)
최다 우승 팀전북 현대 모터스 (9회)
웹사이트K리그 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2025년 K리그1
K리그1 로고
K리그1 로고
방송
국내 방송사JTBC
스카이 스포츠
JTBC 골프&스포츠
IB 스포츠
Coupang Play
Next Level Sports
해외 방송사이지스포츠 (일본)
관련 정보
리그 시스템 등급1

2. 역사

K리그는 1983년 '수퍼리그'라는 이름으로 5개 구단으로 시작하여, 2013 시즌부터 승강제를 도입하며 최상위 리그를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를 'K리그 챌린지'로 명명했다.[28]

승강제 도입은 2012 시즌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 시즌부터 승강제를 실시하기 위해 테스크포스팀을 만들고 외부 컨설팅 업체에 '한국형 승강제' 모델을 의뢰했다. 처음에는 K리그 팀을 12개로 줄이고 4팀을 2부 리그로 강등시키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2팀으로 축소되었다. 결국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을 결정하기로 했다.

상주는 1부 리그 요건을 갖추지 못해 2부 리그로 강등될 예정이었으나, 이에 반발하여 잔여 경기를 보이콧했다. 결국 상주는 2013년 2부 리그 참가가 결정되었고, 광주 FC도 강등되어 2부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2013 시즌에는 리그 13, 14위 팀이 자동 강등되고, 12위 팀은 K리그 챌린지 우승 팀과 승강 경기를 치렀다. 2014 시즌부터는 1부 리그 12팀이 정규 라운드를 진행한 후 상, 하위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리그 종료 후 12위 팀은 자동 강등되고, 11위 팀은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018년 1월 22일, 리그 명칭이 K리그 클래식에서 K리그1으로 공식 변경되었다.

K리그 시즌은 보통 매년 3월경에 시작하여 11월 말까지 진행되며, 경기 수, 구단 수, 시스템은 매년 변동되었다.

회원 구단 중 다수는 대한민국 주요 재벌이 소유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와 통합하려는 노력으로 지역 도시 이름을 채택했다. 그 외 모든 팀은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K리그 우승팀, 준우승팀, 3위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며, 대한민국 FA컵 우승팀도 진출한다. 김천 상무 FC는 군 팀이라는 특성 때문에 예외이다.

2009년 강원 FC가 K리그의 15번째 회원 구단으로 합류하면서, K리그는 대한민국 각 에 한 개 이상의 구단을 보유하게 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발전 (1983년 ~ 1990년대)

1983년 대한축구협회는 '수퍼리그'라는 이름으로 한국 프로축구 리그를 출범시켰다.[11] 초기에는 할렐루야 FC, 유공 코끼리, 포항제철, 대우 로얄즈, 국민은행 5개 구단이 참여했다.[9][10]

당시 한국은 군사정권 시대로, 전두환 대통령은 스포츠를 통해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 했다.[7][8] 이러한 배경에서 대한축구협회 회장 최순영은 프로축구 리그 창설을 추진했고,[6] 전두환 대통령도 재벌들에게 프로축구단 창단을 권유했다.[7][8]

초창기 리그는 프로 구단(할렐루야, 유공)과 아마추어 구단(대우, 포항제철, 국민은행)이 함께 참여하는 불완전한 형태였다.[9][10] 이는 당시 아시안 게임올림픽에는 아마추어 선수만 참가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8] 이후 점차 프로 구단이 늘어나 1987년에는 모든 구단이 프로화되었다.[10]

리그 명칭은 '수퍼리그'(1983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1984년), '축구대제전'(1986년), '한국 프로축구대회'(1987년), '코리안리그'(1994년), '프로축구대회'(1996년)를 거쳐 1998년부터 'K리그'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11]

1990년대 중반부터는 관중 동원을 늘리기 위해 지역 밀착 정책을 강화했다. 1995년 각 구단에 연고지(홈타운)가 정해지고,[10][12] 구단 이름에 지역명을 சேர்த்து 사용하기 시작했다(예: 부산 대우 로얄즈).[12] 1996년에는 서울에 있던 3개 구단(LG 치타스, 일화 천마, 유공 코끼리)이 다른 도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12] 1997년에는 최초의 시민 구단인 대전 시티즌이 창단되었다.

2. 2. K리그의 성장과 변화 (2000년대 ~ 현재)

2008년 11월 9일, K리그는 1983년 리그 시작 이후 통산 1만 골을 달성했다. 흥미롭게도 1만 번째 골은 자책골이었다.[13]

2011년까지 K리그와 내셔널리그 사이에는 승강제가 없었다. AFC는 K리그에 승강제 도입을 권고했고, 이에 따라 K리그 관계자들은 2011년 여름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일본 등의 리그 운영 실태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스코틀랜드의 승강 시스템을 참고하여 2012년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 연간 성적 하위 4팀을 2부 리그로 강등시키고 2013년부터 1부 리그 12팀, 2부 리그 8팀으로 승강제를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모기업 없이 재정 기반이 취약한 인천, 강원, 대전, 광주, 대구, 경남 등 6개 시민 구단들은 이에 반발하여 K리그 탈퇴까지 거론하며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2012년 1월 16일 이사회에서 2012년 리그 성적에 따라 하위 2팀을 먼저 강등시키고, 2013년 리그 종료 후 추가로 2팀을 강등시키는 '2+2 타협안'이 가결되었다.

상주 상무는 군 팀이라는 특성상 AFC가 요구하는 프로 클럽 요건을 충족할 수 없어 승강제 도입 시 우선적으로 2부 리그로 강등될 예정이었다. 상주 측은 강등 시기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는 점을 들어 이의를 제기했으나, 결국 2012년 후기 리그를 보이콧하여 최하위가 확정되면서 강등되었다. 2012년 11월 28일, 광주 FC가 리그 15위로 확정되면서 상주와 함께 강등되었다.

2013년 1월 3일, 1부 리그 '''K리그 클래식'''과 2부 리그 '''K리그'''(이후 '''K리그 챌린지'''로 변경)의 명칭과 새 로고가 결정되었다.

2017년 7월 1일부터 비디오 판독(VAR)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5]

2018년부터 K리그 클래식은 '''K리그1''', K리그 챌린지는 '''K리그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리그 구성

K리그1은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규 라운드와 파이널 라운드를 거쳐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K리그는 승점이 같은 경우 골득실보다 다득점을 우선하여 순위를 정하는 특징이 있다.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순위기준
1승점
2다득점
3득실차
4다승
5승자승
6벌점
7추첨



정규 라운드가 종료되면 1위부터 6위까지는 파이널 A, 7위부터 12위까지는 파이널 B로 나뉜다. 정규 라운드에서 얻은 승점은 스플릿 라운드까지 이어진다. 최종 순위는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을 따르며, 파이널 B 팀이 파이널 A 어느 팀보다 승점이 많더라도 6위 안에 들 수 없다.

2011년 10월 5일, K리그는 2012 시즌부터 강등 시스템을 도입하여 두 팀을 강등시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13년에는 하위 두 팀이 직접 강등되었고, 12위 팀은 새롭게 창설된 K리그2 우승팀과 강등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렀다. 2013 시즌부터 K리그 팀 수가 줄어들면서 12위 팀만 자동 강등되고, 11위 팀은 K리그2 승강 플레이오프 우승팀과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북한 국적 선수는 자국 선수로 간주되어 외국인 선수로 분류되지 않는다. 또한, 외국인 선수를 골키퍼로 등록하거나 출전시킬 수 없다(교체 선수를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 골키퍼가 경고나 부상으로 퇴장당해 필드 플레이어가 골키퍼를 맡는 경우는 제외). 2009년부터 아시아 쿼터제(아시아 쿼터)가 도입되어 일본인 선수가 소속된 클럽도 있다.

3. 1. 리그 방식

K리그1은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그는 정규 라운드와 파이널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된다. 먼저, 모든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33라운드의 정규 라운드를 치른다. 정규 라운드가 종료된 후에는 상위 6개 팀과 하위 6개 팀으로 그룹을 나누어 각각 파이널 A와 파이널 B로 배정하고, 각 그룹 내에서 5라운드의 경기를 추가로 진행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이때, 정규 라운드에서 획득한 승점은 파이널 라운드까지 그대로 유지된다.[13]

정규 라운드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결정된다.[13]

순위기준
1승점
2다득점
3득실차
4다승
5승자승
6벌점
7추첨



K리그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승점이 같은 경우 골득실차보다 다득점을 우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독특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최종 순위는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을 따르며, 파이널 B 그룹의 팀은 아무리 승점이 높아도 파이널 A 그룹의 팀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할 수 없다. 즉, 6위 안에 들 수 없다.[13]

2012년부터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과 유사한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했다.

3. 2. 외국인 선수

K리그1에서 외국인 선수는 필드 플레이어에 한해 최대 5명까지 등록할 수 있다. 단, 5명을 모두 등록하려면 그 중 1명은 AFC 회원국, 또 다른 1명은 AFF 회원국 국적이어야 한다.[18] 외국인 골키퍼는 등록할 수 없다.

2009년부터 아시아 쿼터제(아시아 쿼터)가 도입되어 일본인 선수들이 K리그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2024년까지는 "일반 외국인 선수 쿼터 5명(동시 출전 4명까지) + 아시아 쿼터 1명"으로 운영되었으나, 2025년부터 아시아 쿼터가 폐지되고 "일반 외국인 선수 쿼터 6명(동시 출전 4명까지)"으로 변경된다. 이는 아시아 쿼터 폐지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2023년 말에 결정되었지만 2024년에도 많은 구단에 아시아 쿼터 선수 계약이 남아있어 1년의 유예 기간을 두었다.[18]

북한 국적 선수는 대한민국 헌법상 한국 선수로 간주되어 외국인 선수로 분류되지 않는다.

2025년부터는 홈그로운 제도가 시행되어, 외국 국적 유소년 선수라도 대한민국 내 아마추어 육성팀 등에서 일정 기간 활동하면 한국 국적 선수와 동등하게 간주된다.[18]

4. 구단

K리그1은 1983년 '슈퍼리그'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대한민국 프로축구 최상위 리그로 운영되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일본 J리그와 달리 한국 프로 야구나 동유럽 축구 클럽처럼 스폰서 기업의 이름이 붙은 팀이 많았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기존 클럽들이 도시명을 사용하거나 지역에 기반을 둔 시민 구단이 창설되는 경우가 늘었다.

2002년 월드컵 이후, 인천, 대구, 경남 등 지방 자치 단체가 주축이 된 시민 구단들이 K리그에 참가했다. 2004년에는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10년 만에 수도 서울에 연고지를 둔 축구 클럽 "FC 서울"이 탄생했다. 2006년에는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창단되면서 제주도에도 프로축구팀이 생겼다.

2011년에는 광주 FC가 창단되었고, 광주 상무 FC상주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김천 상무 FC"로 변경되었다. 2013년부터는 2부 리그제가 도입되면서 충청북도 최초의 K리그 클럽인 "충주 험멜 FC"가 참가하기도 했다.

2025 시즌 K리그1에 참가하는 구단은 다음과 같다.


4. 1. K리그1 잔류 시계

K리그1 원년(1983년)부터 현재까지 각 구단의 시즌별 순위를 나타내는 표이다. 우승팀은 금색, 준우승팀은 은색으로 표시한다. 강등된 구단은 K리그2 참가 여부를 K2로 표시한다.

시즌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20242025시즌
부산 아이파크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K2K2K2K234K2K2K2K2K2부산 아이파크
제주 유나이티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K23839404142제주 유나이티드
포항 스틸러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포항 스틸러스
FC 서울-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FC 서울
울산 HD-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울산 HD
성남 FC------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K2K229303132K2K2K2성남 FC
전남 드래곤즈------------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K2K2K2K2K2K2K2전남 드래곤즈
전북 현대 모터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bgcolor="WHITE"|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K2K2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전 하나 시티즌--------------1234567891011121314151617K218K2K2K2K2K2K2K2192021대전 하나 시티즌
대구 FC--------------------1234567891011K2K2K21213141516171819bgcolor="WHITE"|대구 FC
인천 유나이티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K2인천 유나이티드
경남 FC-----------------------123456789K2K2K21011K2K2K2K2K2K2경남 FC
강원 FC--------------------------12345K2K2K267891011121314강원 FC
광주 FC----------------------------12K2K2345K2K267K28910광주 FC
수원 FC------------------------------K2K2K21K2K2K2K223456수원 FC
김천 상무--------------------------------------K21K223김천 상무
FC 안양------------------------------K2K2K2K2K2K2K2K2K2K2K2K21FC 안양
할렐루야123----------------------------------------할렐루야
국민은행12-----------------------------------------국민은행
한일은행-123---------------------------------------한일은행
상무--1----------------------------------------상무
전북 버팔로-----------1-------------------------------전북 버팔로
광주 상무--------------------12345678---------------광주 상무
상주 상무----------------------------12K23K245678-----상주 상무
시즌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20242025시즌


4. 2. K리그1 총 시즌 수


4. 3. 2025 시즌 참가 구단


5. 경기장



2025 시즌 K리그1 참가 구단들의 홈구장 위치를 나타낸 지도이다.

5. 1. 경기장 목록

강원 FC광주 FC김천 상무대구 FC대전 하나 시티즌FC 서울
강릉종합운동장
춘천송암스포츠타운
광주축구전용구장김천종합운동장DGB대구은행파크대전월드컵경기장서울월드컵경기장
수용 인원: 22,333
20,000
수용 인원: 10,051수용 인원: 25,000수용 인원: 12,415수용 인원: 40,903수용 인원: 66,704

수원 FCFC 안양울산 HD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포항 스틸러스
수원종합운동장안양종합운동장울산문수축구경기장전주월드컵경기장제주월드컵경기장포항 스틸야드
수용 인원: 11,808수용 인원: 17,143수용 인원: 44,102수용 인원: 36,781수용 인원: 29,791수용 인원: 17,443


6. 우승

K리그1은 대한민국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1983년 '슈퍼리그'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기업의 후원을 받는 팀들이 주를 이루었다. 2000년대 이후 지역 연고를 기반으로 하는 시민 구단들이 창단되면서 변화를 맞이했다.

1990년대까지 K리그 클럽명은 '지역명 + 닉네임' 형태보다는 한국 프로 야구동유럽 축구 클럽처럼 스폰서기업의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았다.

2000년대 들어 기존 클럽들이 도시명을 사용하도록 개명하거나, 지역에 기반을 둔 시민 구단 창설이 늘어났다. 2002년 월드컵 이후 인천, 대구, 경남 등의 시민 구단이 K리그에 참가했다. 2004년 FC 서울로 팀명을 변경하고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10년 만에 수도 서울에 연고를 둔 클럽이 탄생했다. 2006년에는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창단되어 제주도에 처음으로 프로축구팀이 생겼다.

2011년 광주 FC가 창단되고, 광주 상무상주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김천 상무 FC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는 충청북도 최초의 K리그 클럽인 충주 험멜이 K리그에 합류했다.

6. 1. 시즌별 우승 구단

#시즌팀수대회 방식우승준우승
119835단일 리그할렐루야 독수리대우 로얄즈
219848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대우 로얄즈유공 코끼리
319858단일 리그럭키금성 황소포항제철 아톰즈
419866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포항제철 아톰즈럭키금성 황소
519875단일 리그대우 로얄즈포항제철 아톰즈
619885단일 리그포항제철 아톰즈현대 호랑이
719896단일 리그유공 코끼리럭키금성 황소
819906단일 리그럭키금성 황소대우 로얄즈
919916단일 리그대우 로얄즈현대 호랑이
1019926단일 리그포항제철 아톰즈일화 천마
1119936단일 리그일화 천마LG 치타스
1219947단일 리그일화 천마유공 코끼리
1319958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일화 천마포항 아톰즈
1419969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울산 현대 호랑이수원 삼성 블루윙즈
15199710단일 리그부산 대우 로얄즈전남 드래곤즈
16199810단일 리그 + 4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울산 현대 호랑이
17199910단일 리그 + 4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부산 대우 로얄즈
18200010단일 리그 + 4강 PO안양 LG 치타스부천 SK
19200110단일 리그성남 일화 천마안양 LG 치타스
20200210단일 리그성남 일화 천마울산 현대 호랑이
21200312단일 리그성남 일화 천마울산 현대 호랑이
22200413전•후기 리그 + 4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포항 스틸러스
23200513전•후기 리그 + 4강 PO울산 현대 호랑이인천 유나이티드
24200614전•후기 리그 + 4강 PO성남 일화 천마수원 삼성 블루윙즈
25200714단일 리그 + 6강 PO포항 스틸러스성남 일화 천마
26200814단일 리그 + 6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FC 서울
27200915단일 리그 + 6강 PO전북 현대 모터스성남 일화 천마
28201015단일 리그 + 6강 POFC 서울제주 유나이티드
29201116단일 리그 + 6강 PO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0201216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
31201314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포항 스틸러스울산 현대
322014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332015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342016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
352017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
362018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경남 FC
372019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82020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92021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402022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울산 현대전북 현대 모터스
412023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울산 현대포항 스틸러스
422024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울산 HD강원 FC


6. 2. 구단별 우승 횟수


7. 강등


8. 선수 육성 시스템

과거 K리그에서는 유럽과 같은 체계적인 육성 조직이 많지 않았고, 우수한 선수들은 주로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서 선발되었다. 선수들은 대학교 졸업 후 K리그 클럽에 입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박지성처럼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J리그 교토 퍼플 상가에 입단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1] 그러나 J리그의 발전에 자극을 받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K리그 클럽에 유소년 팀 구성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등, 선수 육성 시스템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1]

신인 선수 획득과 관련하여 오랫동안 드래프트 제도가 시행되었다.[1] 일반 지명 제도와 연고 제휴 고등학교에서의 지명 제도가 있었지만, 2002년에 폐지되었다.[1] 그러나 선수 연봉 상승으로 인한 구단 경영난 등을 이유로 2006년부터 드래프트 제도가 다시 도입되었다.[1] 하지만 "시대에 역행한다"는 비판 여론과 함께, 유력 선수들의 해외 유출을 가속화할 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1] 실제로 유망한 젊은 선수들이 J리그 팀으로 이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K리그보다 J리그의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고, 일본 입장에서도 유망한 한국 선수를 저렴하게 영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었다.[1] 2부 리그제 도입의 영향으로 2015년부터 드래프트 제도는 다시 폐지되었다.[1]

한국에는 병역 제도가 있어, 병역 기간 동안 선수 경력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1] 병역 기간 중에도 뛸 수 있는 상무와 경찰청 축구단이 있지만, 정원이 제한되어 모든 선수가 뛸 수 있는 것은 아니다.[1] 한국 축구 협회는 선수들의 조기 은퇴를 막고 경기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군팀을 3개로 늘릴 것을 주장했지만, 정부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1] 또한, 군 관련 팀 입단에는 연령 제한이 있어, 상무는 27세, 경찰청은 30세를 넘으면 입단할 수 없다.[1]

9. 기타

K리그 시즌은 일반적으로 매년 3월경에 시작하여 11월 말까지 진행된다. 경기 수, 구단 수 및 사용되는 시스템은 매년 변동되어 왔다.

회원 구단 중 다수는 대한민국 주요 재벌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 구단들은 지역 사회와 더 통합하려는 노력으로 지역 도시의 이름을 채택했다. 그 외 모든 팀은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K리그 우승팀, 준우승팀 및 3위 팀은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며, 김천 상무 FC는 군 팀이라는 특수한 지위로 인해 예외이다. 대한민국 FA컵 우승팀이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할 수 없거나 이미 진출 자격을 얻은 경우, 4위 팀도 참가할 수 있다.

2009년 강원 FC가 K리그의 15번째 회원 구단으로 합류하면서, K리그는 대한민국 각 에 한 개 이상의 구단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9. 1. **K리그 관련 논란**

2011년 K리그에서 승부 조작 사건이 발생하였다.[24] 2015년에는 경남 FC의 심판 매수 사건이 드러났고, 경남 FC는 2016년 시즌 승점 10점 감점 및 제재금 7000만의 징계를 받았다. 금품을 수수한 심판 2명과 브로커 역할을 한 심판 2명은 영구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25] 2016년에는 2013년 전북 현대 모터스의 심판 매수 사건이 검찰에 적발되었다. 매수된 심판 2명은 2015년에 적발된 경남 FC 심판 매수 사건과 동일한 인물들이었다.[25]

10. 중계 방송사

K리그1 경기는 대한민국 내외의 여러 방송사를 통해 중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JTBC Golf&Sports, 스카이 스포츠, IB Sports, KBS1 (지상파), 쿠팡플레이 등에서 중계하며[3][4], 해외에서는 옵터스 스포츠, 아레나 스포츠, K-볼, TV 스타트, TVB, TVRI 스포츠, 마카오 케이블 TV, 아스트로 슈퍼스포츠, 팬듀얼 TV, K리그 TV 등에서 중계한다.[5]

10. 1. 대한민국

방송사개요참고
JTBC Golf&Sports대부분의 경기를 생중계한다.[3]
스카이 스포츠 (대한민국)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각각 한 경기를 생중계한다.
IB Sports매주 토요일 한 경기를 생중계한다.
KBS1 (지상파)매주 일요일 오전 1시에 한 경기를 방송한다.
쿠팡플레이OTT 서비스를 통해 모든 경기를 생중계한다.[4]


10. 2. 해외

2024년 기준 해외 중계 방송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5]

국가/지역방송사
오스트레일리아옵터스 스포츠
발칸아레나 스포츠
중국K-볼
독립 국가 연합TV 스타트
홍콩TVB
인도네시아TVRI 스포츠
마카오마카오 케이블 TV
말레이시아아스트로 슈퍼스포츠
미국팬듀얼 TV
전 세계K리그 TV


참조

[1] 웹사이트 AFC Champions League winners: Saudi Arabia's Al-Hilal have maximum titles - full roll of honour https://olympics.com[...] 2023-05-06
[2] 뉴스 프로축구연맹, 클래식→K리그1, 챌린지→K리그2 대회명 변경 http://www.kleague.c[...] K League Official Website 2018-01-22
[3] 웹사이트 K League announces domestic broadcasters for season start https://media.sportb[...] 2020-05-04
[4] 웹사이트 K리그, 쿠팡플레이서도 생중계된다...포괄적 파트너십 체결 (Coupang Play will broadcast K-League on live.) https://www.edaily.c[...] Edaily 2022-04-12
[5] 웹사이트 📍 Where will you be watching from? Let us know! 👇 https://www.instagra[...] K LEAGUE International 2024-02-29
[6] 서적 日韓キックオフ伝説 ワールドカップ共催への長き道のり 集英社 2002
[7] 서적 日韓サッカー―反目から共生へ 新幹社 2001
[8] 웹사이트 第2部 Kリーグの過去と現在 第1回 アジア初のプロサッカーリーグの誕生 http://soccer.cplaza[...]
[9] 문서 事実上セミプロ、あるいはプロ・アマオープン大会
[10] 웹사이트 Kリーグ > インフォメーション http://www.kfa.or.kr[...]
[11] 웹사이트 Kリーグ > 歴代記録 http://www.kfa.or.kr[...]
[12] 웹사이트 第2部 Kリーグの過去と現在 第3回 Kリーグ人気低迷の原因を探る http://soccer.cplaza[...]
[13] 뉴스 26年間待った‘1万号ゴール’がオウンゴールとは…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14] 웹사이트 프로축구 2부리그 추진… 현행 승격제 폐지 http://www.donga.com[...] 2008-03-07
[15] 뉴스 韓国も“誤審ゼロ”に向けVAR導入! 地元紙は期待「Kリーグから誤審消える」 https://www.football[...]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7-06-30
[16] 문서 2012년 당초 한국의 출전枠은 「3.5」로 상위 3위는 동리그 출전 플레이오프에 돌아가게 되어 있었지만, 후에 「4」로 개정되었다
[17] 웹사이트 대韓民国サッカー協会 Kリーグ・クラシック、3月2日開幕。9カ月間熱戦 http://www.kfa.or.kr[...]
[18] 뉴스 Kリーグ、2025年シーズンより「アジア枠」撤廃。ほか「ホームグロウン制度導入」「U-22選手義務出場規定緩和」など https://sports.yahoo[...] スポーツナビ
[19] 문서 チャンピオンシップのみ「ソナタKリーグチャンピオンシップ」として開催
[20] 문서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でレギュラーシーズンを2回戦総当たりに短縮
[21] 웹사이트 Korea Football Association http://en.kfa.or.kr/[...]
[22] 웹사이트 http://kfa.or.kr/k_l[...]
[23] 웹사이트 South Korea - K-League Awards http://www.rsssf.com[...]
[24] 문서 K리그八百長事件
[25] 뉴스 <サッカー>Kリーグチャンピオンの全北、2013年に審判買収…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6] 뉴스 K리그 공식 명칭, 2013년부터 'K리그 클래식' http://v.sports.medi[...] 베스트일레븐 2013-01-03
[27] 뉴스 K리그 명칭 변경, 팬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선택 http://www.spotvnews[...] 스포티비뉴스 2018-01-22
[28] 뉴스 위원석의 하프타임-K리그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자 https://sports.v.dau[...] 스포츠서울 2013-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