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H-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사용된 미국의 정찰위성으로,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을 사용하여 38회 발사되었다. 0.61m에서 0.91m의 해상도를 가진 카메라를 탑재하여, 냉전 시대의 중국과 소련의 군사 시설을 촬영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19,000개에 달하는 KH-7의 이미지들은 2002년 기밀 해제되어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총 8억 6,05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KH-7
개요
KH-7 갬빗 다이어그램
KH-7 갬빗 다이어그램
유형영상 정보
제작 국가미국
운용 주체국가정찰국(NRO)
제작 회사록히드 마틴
발사 장소반덴버그 공군 기지
임무 기간1963년 7월 ~ 1967년 6월
발사 횟수38회
성공 횟수33회
상세 정보
무게3,000 킬로그램
길이5.94 미터
직경1.52 미터
궤도저궤도
궤도 경사74도
해상도0.61 미터
카메라Itek 제조 파노라마 카메라
필름 폭22.9 센티미터
필름 길이9,600 미터
렌즈 초점 거리1.52 미터
수집된 이미지 수164만장 이상

2. 역사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된 미국의 정찰위성이다. 카메라 해상도는 0.61m에서 0.91m 사이였다. 이는 2021년에 발사된 한국의 아리랑 6호의 해상도 0.5m와 비교하면 약 58년의 기술 격차가 있다.[3] 2002년에는 갬빗 위성이 촬영한 사진들이 기밀 해제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KH-7은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을 통해 총 38회 발사되었다. 이 로켓은 미국 최초의 ICBM인 SM-65 아틀라스를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것으로, 무게 155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이다. 이는 한국의 나로호와 유사하며, 무게 1톤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미국의 정찰위성은 "키홀(Keyhole)" 시리즈라고 불리며, KH는 그 명칭의 일부이다. 한국은 군용과 민간용을 구분하지 않고 겸용으로 위성을 발사하며, "아리랑" 시리즈로 불린다.

KH-7 GAMBIT 위성은 길이 약 약 4.57m, 너비 약 1.52m, 무게 약 약 523.45kg였으며, 약 약 914.40m의 필름을 탑재했다.[3]

1966년 2월 19일 KH-7 미션 4025가 촬영한 미국 국회의사당 사진 확대.


KH-7 GAMBIT 광학 정찰 위성.


GAMBIT는 Atlas-Agena 부스터의 표준화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 임무 실패를 줄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맞춤형 Atlas D ICBM 코어를 사용했지만, 1964년 8월부터는 Atlas SLV-3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63년 초, GAMBIT 프로그램은 첫 발사 실패를 겪었다. 1963년 5월 11일, 첫 번째 GAMBIT 위성은 발사 중 LOX 유출로 인해 발사체가 붕괴되는 사고를 겪었다. 그러나 이후 수리를 거쳐 1963년 7월 12일에 최초의 성공적인 GAMBIT 임무가 발사되었다.

Aerospace Corporation은 GAMBIT의 첫 비행 동안 궤도 제어 차량(OCV)을 Agena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차량 바로 아래의 대상에 대한 사진만 촬영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한했다. 임무 4002에서는 OCV와 Agena가 분리되었고, 재진입 차량은 하와이 북서쪽 바다에 떨어졌다. 재진입 차량은 C-130 Hercules 항공기에 의해 공중에서 포획되었고, 필름 카세트는 Eastman Kodak의 ''Hawkeye'' 시설로 운송되어 처리되었다.[16]

GAMBIT 임무 4003(1963년 10월 25일)과 4004(1963년 12월 18일)는 성공적으로 필름 카세트를 회수했다. 4005부터 4007까지의 임무도 성공적이었다.

1964년 5월, 임무 4008은 Agena의 회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일부 이미지를 반환할 수 있었다. 이후 여러 임무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지만, KH-7 GAMBIT는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정보 수집을 제공했다.

KH-7 프로젝트 이후 우주선과 카메라 시스템은 크게 개선되었다.

3. 기술적 특징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된 미국의 정찰위성으로, 카메라 해상도는 0.61m에서 0.91m였다. 이는 2021년 발사된 한국의 아리랑 6호(해상도 0.5m)와 비교하면 58년의 기술 격차를 보인다. 2002년 KH-7의 사진들이 기밀 해제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KH-7은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38회 발사되었다. 이 로켓은 미국 최초의 ICBM인 SM-65 아틀라스를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것으로, 무게 155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이다. 이는 한국의 나로호와 유사하게 무게 140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이며, 무게 1톤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KH-7 GAMBIT-1 발사 구성 (Agena D 서비스 모듈 포함).


KH-7 GAMBIT-1 궤도상 구성 (Agena D 서비스 모듈 제외).


각 GAMBIT-1 위성은 길이 약 약 4.57m, 너비 약 약 1.52m, 무게 약 약 523.45kg였으며, 약 약 914.40m의 필름을 탑재했다.[3] 1960년대 미국의 광학 정찰 위성은 궤도 제어 차량(OCV), 데이터 수집 모듈(DCM), 회수 섹션(RS)의 세 가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며,[4] KH-7의 경우 DCM은 카메라 광학 모듈(COM)이라고도 하며, 5.5m 길이와 1.52m 직경의 OCV에 통합되었다.[5]

미국의 정찰위성은 '키홀'(Keyhole) 시리즈라고 불리며, 앞에 KH가 붙는다. 한국은 군용과 민간용을 겸용으로 발사하는 아리랑 시리즈를 운용한다.

  • KH-5 아르곤
  • KH-7 갬빗, 해상도 0.6 m
  • KH-8 갬빗 3, 해상도 0.1 m
  • KH-9 헥사곤, 해상도 0.6 m
  • KH-11 켄넨, 해상도 0.06 m (얼굴 인식은 힘든 정도)

3. 1. 카메라 광학 모듈 (COM)

KH-7의 카메라 광학 모듈(COM)은 스트립 카메라, 별 카메라, 인덱스 카메라의 세 가지 카메라로 구성된다.[6]

스트립 카메라는 지상 이미지를 조작 가능한 평면 거울을 통해 1.21m 지름의 고정된 오목 거울 주 거울로 반사시킨다. 주 거울에서 반사된 빛은 평면 거울의 구멍을 통과하고 로스 보정기를 거쳐 22cm 폭의 움직이는 필름에 노출된다. 이를 통해 6.3° 폭의 지면을 촬영했다.[6][7] 초기 지상 해상도는 1.2m였으나 1966년에는 0.6m로 개선되었다. 각 위성의 무게는 약 2000kg이었고, 임무당 하나의 필름 버킷을 반환했다. 카메라 및 필름 수송 시스템은 이스만 코닥사에서 제조했다.[7]

인덱스 카메라는 이전 KH-4 및 KH-6 위성에 사용된 카메라 시스템을 복사한 것으로, 위성의 롤 위치 방향으로 지구를 촬영하여 자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별 카메라는 이미지 평면에 레조 그리드를 중첩하여 별 이미지를 촬영했다.[6] 항성/인덱스(S/I) 카메라는 아이테크에서, 수평선 센서는 바네스 엔지니어링사에서 제공했다.[1]

3. 2. 궤도 제어 차량 (OCV) 및 회수 차량 (RV)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은 궤도 제어 차량(OCV) 및 회수 차량(RV)의 주요 계약업체였다.[1] 필름은 특별히 개조된 C-130 허큘리스로 공중 회수될 예정이었다.[8]

필름 캡슐 회수


감비트 정찰 시스템


KH-7 감비트 정찰 위성, 오하이오 주 데이턴에 있는 국립 미국 공군 박물관에서 전시 중


1960년대 미국의 광학 정찰 위성은 궤도 제어부(Orbital Control Vehicle, OCV), 데이터 수집부(Data Collection Module, DCM), 대기권 재진입 캡슐(Recovery Section, Recovery Vehicle, RS 또는 RV)의 3개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0]

KH-7에서 DCM은 광학 촬영 장치부(Camera Optics Module, COM)라고도 불리며, OCV 위에 조립되어 있었다. OCV는 길이 5.5m, 직경 1.52m이었다.[21] OCV 및 RV의 주 계약자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이었다.[18]

3. 3. 성능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되었다. 카메라 해상도는 약 0.61m에서 약 0.91m였다. 2021년 발사되는 한국의 아리랑 6호가 해상도 0.5m이므로, 58년의 기술 격차가 있다.

1967년 5월, 중국 솽청쯔 미사일 기지 A의 KH-7 이미지.


KH-7은 고해상도 장비를 통해 "핫스팟"의 상세한 사진을 촬영했다. 대부분의 사진은 중국과 소련의 핵 및 미사일 시설을 촬영한 것이며, 도시와 항구는 비교적 적게 촬영되었다.[10] 이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19,000개에 달하며, 2002년에 코로나를 기밀 해제한 것과 동일한 미국 대통령령 제12951호에 따라 기밀 해제되었다.[11] 필름 사본은 미국 지질 조사소(U.S. Geological Survey)의 지구 자원 관측 시스템 사무소로 이관되었다.[12] 이스라엘을 촬영한 약 100개의 프레임은 여전히 기밀로 분류되어 있다.[13]

1964년 초, CIA는 GAMBIT을 사용하여 쿠바의 군사 시설을 촬영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위성이 주로 고위도 지역인 소련 영토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고, 미국 정보 기관이 관심을 가질 만한 다른 사항이 거의 없는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에 위성 전체를 낭비하는 것이므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기각되었다. U-2 정찰기 비행으로 쿠바의 활동을 충분히 감시할 수 있다고 결정되었다.

후임 KH-8도 전 모델과 같은 코드네임 "갬빗(Gambit)"을 계속 사용했다.

4. 임무 및 성과

KH-7 위성은 1964년 7월 밴덴버그 공군 기지의 일부가 된 포인트 아르겔로에서 발사되었다. 4001-4038번까지 38번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 중 34번이 필름을 회수했고, 그중 30번이 사용 가능한 영상을 회수했다. 임무 기간은 1일에서 8일이었다.[9] KH-7 위성은 총 170일에 가까운 운용 일수를 기록했다.[1]

고해상도 장비인 KH-7은 "핫 스폿"의 상세한 사진을 촬영했으며, 대부분 중국과 소련의 핵 및 미사일 시설을 촬영한 것이며, 도시와 항구는 비교적 적게 촬영되었다.[10] 이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대부분은 19,000개에 달하며, 코로나를 기밀 해제한 것과 동일한 행정 명령 12951호에 따라 2002년에 기밀 해제되었고,[11] 필름 사본은 미국 지질 조사소(U.S. Geological Survey)의 지구 자원 관측 시스템 사무소로 이관되었다.[12] 이스라엘을 촬영한 약 100개의 프레임은 여전히 기밀로 분류되어 있다.[13]

1964년 초, CIA는 GAMBIT을 사용하여 쿠바의 군사 시설을 촬영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위성이 주로 고위도 지역인 소련 영토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고, 미국 정보 기관이 관심을 가질 만한 다른 사항이 거의 없는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에 위성 전체를 낭비하는 것이므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기각되었다. U-2 정찰기 비행으로 쿠바의 활동을 충분히 감시할 수 있다고 결정되었다.

4009호 임무에는 더 높은 궤도로 발사된 레이더 감시용 ELINT P-11 보조 위성이 포함되었다.[14][15]

5. 발사 기록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운용되었다.[23]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38회 발사되었으며, 발사 기록은 다음과 같다.[23]

이름미션 번호발사 날짜별칭NSSDC ID 번호발사체원지점 (km)근지점 (km)경사각 (deg)
KH7-140011963-07-12OPS-1467[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3-028A 1963-028A]아틀라스-아제나 D16416495.4
KH7-240021963-09-06OPS-1947[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3-036A 1963-036A]아틀라스 아제나 D16826394.4
KH7-340031963-10-25OPS-2196[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3-041A 1963-041A]아틀라스 아제나 D14433299.1
KH7-440041963-12-18OPS-237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3-051A 1963-051A]아틀라스 아제나 D12226697.9
KH7-540051964-02-25OPS-2423[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09A 1964-009A]아틀라스 아제나 D17319095.7
KH7-640061964-03-11OPS-3435[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12A 1964-012A]아틀라스 아제나 D16320395.8
KH7-740071964-04-23OPS-3743[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20A 1964-020A]아틀라스 아제나 D150366103.6
KH7-840081964-05-19OPS-359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24A 1964-024A]아틀라스 아제나 D141380101.1
KH7-940091964-07-06OPS-3684[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36A 1964-036A]아틀라스 아제나 D12134692.9
KH7-1040101964-08-14OPS-380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45A 1964-045A]SLV-3 아제나 D14930795.5
KH7-1140111964-09-23OPS-426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58A 1964-058A]SLV-3 아제나 D14530392.9
KH7-1240121964-10-08OPS-4036[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NNN6402 1964-F11]SLV-3 아제나 D---------
KH7-1340131964-10-23OPS-4384[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68A 1964-068A]아틀라스 아제나 D13927188.6
KH7-1440141964-12-04OPS-4439[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4-079A 1964-079A]SLV-3 아제나 D15835797
KH7-1540151965-01-23OPS-4703[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05A 1965-005A]SLV-3 아제나 D146291102.5
KH7-1640161965-03-12OPS-492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19A 1965-019A]SLV-3 아제나 D931550.0
KH7-1740171965-04-28OPS-4983[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31A 1965-031A]SLV-3 아제나 D18025995.7
KH7-1840181965-05-27OPS-5236[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41A 1965-041A]SLV-3 아제나 D14926795.8
KH7-1940191965-06-25OPS-5501[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50B 1965-050B]SLV-3 아제나 D151283107.6
KH7-2040201965-07-12OPS-581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NNN6502 1965-F07]SLV-3 아제나 D---------
KH7-2140211965-08-03OPS-5698[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62A 1965-062A]SLV-3 아제나 D149307107.5
KH7-2240221965-09-30OPS-7208[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76A 1965-076A]SLV-3 아제나 D9816495.6
KH7-2340231965-11-08OPS-623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5-090B 1965-090B]SLV-3 아제나 D14527793.9
KH7-2440241966-01-19OPS-7253[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02A 1966-002A]SLV-3 아제나 D15026993.9
KH7-2540251966-02-15OPS-1184[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12A 1966-012A]SLV-3 아제나 D14829396.5
KH7-2640261966-03-18OPS-0879[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22A 1966-022A]SLV-3 아제나 D162208101
KH7-2740271966-04-19OPS-091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32A 1966-032A]SLV-3 아제나 D139312116.9
KH7-2840281966-05-14OPS-195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39A 1966-039A]SLV-3 아제나 D133358110.5
KH7-2940291966-06-03OPS-1577[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48A 1966-048A]SLV-3 아제나 D14328886.9
KH7-3040301966-07-12OPS-185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62A 1966-062A]SLV-3 아제나 D13723695.5
KH7-3140311966-08-16OPS-1832[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74A 1966-074A]SLV-3 아제나 D14635893.3
KH7-3240321966-09-16OPS-1686[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83A 1966-083A]SLV-3 아제나 D14833393.9
KH7-3340331966-10-12OPS-2055[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90A 1966-090A]SLV-3 아제나 D15528791
KH7-3440341966-11-02OPS-207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098A 1966-098A]SLV-3 아제나 D15930591
KH7-3540351966-12-05OPS-189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6-109A 1966-109A]SLV-3 아제나 D137388104.6
KH7-3640361967-02-02OPS-4399[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7-007A 1967-007A]SLV-3 아제나 D136357102.4
KH7-3740371967-05-22OPS-4321[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7-050A 1967-050A]SLV-3 아제나 D13529391.5
KH7-3840381967-06-04OPS-4360[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1967-055A 1967-055A]SLV-3 아제나 D149456104.8



KH-7 감빗 계획의 첫 시험 발사는 1963년 5월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아틀라스-아제나 D 발사체로 이루어졌으나, 사고로 실패했다.[23] 1963년 7월 12일, 미션 4001로 명명된 첫 발사가 성공했다. 아틀라스-아제나 D 로켓은 감빗 위성을 약 164.15km의 극궤도에 투입했다.[23]

이후 발사된 KH-7 위성들은 사진 촬영 후 재돌입 캡슐을 통해 필름을 회수했다. 캡슐은 C-130 허큘리스로 공중 회수되었으며, 필름은 코닥 시설에서 현상 처리 후 미국 공군 기술관에게 보내졌다.[31]

1964년 5월 미션 4008에서는 아제나 상단 로켓의 롤링 현상으로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 미션에서도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으며, 일부는 완전 실패하거나 필름 회수에 실패했다.[23]

NRO 장관은 KH-7 감빗 계획이 몇 가지 실패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이었다고 결론 내렸다. 이후 KH-8 GAMBIT 3로 업그레이드되었지만, "감빗"이라는 이름은 계속 사용되었다.[23]

6. 한국과의 관계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되었다. 카메라 해상도는 0.61m에서 0.91m였다. 2021년 발사되는 한국의 아리랑 6호가 해상도 0.5 m인 것을 감안하면 58년의 기술격차가 난다.[1]

2002년 갬빗의 사진들이 기밀해제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3]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38회 발사했다. 이는 미국 최초의 ICBM SM-65 아틀라스를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것이다. 무게 155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으로, 무게 140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인 한국의 나로호와 비슷하다. 무게 1톤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4]

미국의 정찰위성은 앞에 KH가 붙는데, 이것을 키홀(Keyhole)이라고 한다. 즉, 미국 정찰위성을 모두 총칭해서 키홀 시리즈라고 부른다. 반면에 한국은 군용, 민간용을 따로 발사하지 않고 겸용으로 발사하는데, 아리랑 시리즈라고 부른다.[5]

7. 기타

KH-7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5년 동안 사용되었다. 카메라 해상도는 0.61m에서 0.91m였다. 2021년 발사되는 한국의 아리랑 6호는 해상도 0.5 m로, 58년 기술격차가 난다. 2002년 갬빗의 사진들이 기밀해제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38회 발사되었다. 미국 최초의 ICBM SM-65 아틀라스를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것이다. 무게 155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으로, 무게 140톤의 2단 액체연료(액체산소/등유) 로켓인 한국의 나로호와 비슷하다. 무게 1톤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미국의 정찰위성은 앞에 KH가 붙는데, 이것을 키홀이라고 한다. 즉, 미국 정찰위성을 모두 총칭해서 키홀 시리즈라고 부른다. 반면에 한국은 군용, 민간용을 따로 발사하지 않고 겸용으로 발사하는데, 아리랑 시리즈라고 부른다.


  • KH-5 아르곤
  • KH-8 갬빗 3, 해상도 0.1 m
  • KH-9 헥사곤, 해상도 0.6 m
  • KH-11 켄넨, 해상도 0.06 m, 얼굴인식은 힘든 정도
  • 코로나 시리즈: KH-1, KH-2, KH-3, KH-4
  • KH-8 갬빗-3 (동시 운용)
  • KH-9 헥사곤 또는 "빅 버드"
  • KH-10 도리안 또는 유인 궤도 연구소
  • KH-11 케넨, KH-12, KH-13
  • 사모스

7. 1. 비용

1963 회계연도부터 1967 회계연도까지 38회의 KH-7 프로그램의 총비용은 비경상 비용 및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판매된 5대의 GAMBIT 카메라를 제외하고, 1963년 달러로 6.513999999999999억달러였다(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0억 달러).[17] 산업 시설, 개발, 일회성 지원에 대한 비경상 비용은 전체 프로그램 비용의 24.3%인 2.09억달러에 달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프로그램 비용은 1963년 달러로 8.605억달러였다(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0억 달러).[1]

참조

[1] 웹사이트 Summary Analysis of Program 206 (GAMBIT)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1-10-07
[2] 간행물 Flashlights in the dark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3] 웹사이트 Declassified U.S. Spy Satellites from Cold War Land in Ohio http://www.space.com[...] Space.com 2015-10-11
[4]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Final Report: Geodetic Optical Photographic Satellite System, Volume 2 Data Collection System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0-12-19
[5] 웹사이트 Black Apollo http://www.thespacer[...] 2010-12-17
[6] 웹사이트 KH-7 Camera System- Part I http://www.nro.gov/h[...] National Photographic Interpretation Center 2011-09-26
[7] 웹사이트 Ike's gambi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s of the KH-7 and KH-8 spy satellites http://www.thespacer[...] 2009-01-25
[8] 웹사이트 Key Hole (KH) http://www.daviddarl[...] 2015-11-04
[9] 웹사이트 NRO review and redaction guide (2006 ed.) http://www.fas.org/i[...]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10] 문서 'NARA [https://research.archives.gov/search ARC] database description of "Keyhole-7 (KH-7) Satellite Imagery, 07/01/1963 - 06/30/1967", accession number NN3-263-02-011'
[11]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Releases Recently Declassified Satellite Imagery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02-10-09
[12] 간행물 edc.usgs.gov http://edc.usgs.gov/
[13] 웹사이트 Historical imagery declassification http://www.nga.mil/p[...]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14] 웹사이트 1964-036B https://nssdc.gsfc.n[...] NASA 2010-10-08
[15] 웹사이트 Robotic ravens: American ferret satellite operations during the Cold War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2009-04-27
[16] tech report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Review and Redaction Guide https://irp.fas.org/[...]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17] 웹사이트 The GAMBIT story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1-09-25
[18] 웹사이트 Summary Analysis of Program 206 (GAMBIT)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1-10-07
[19] 간행물 Flashlights in the dark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20] 웹사이트 Fesibility Study Final Report: Geodetic Optical Photographic Satellite System, Volume 2 Data Collection System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0-12-19
[21] 웹사이트 Black Apollo http://www.thespacer[...] www.thespacereview.com 2010-12-17
[22] 웹사이트 KH-7 Camera System- Part I http://www.nro.gov/h[...] National Photographic Intepretation Center 2012-06-20
[23] 웹사이트 Ike’s gambi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s of the KH-7 and KH-8 spy satellites http://www.thespacer[...] www.thespacereview.com 2010-11-29
[24] 웹사이트 NRO review and redaction guide (2006 ed.) http://www.fas.org/i[...]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07-07-06
[25] 문서 'NARA [http://research.archives.gov/search ARC] database description of "Keyhole-7 (KH-7) Satellite Imagery, 07/01/1963 - 06/30/1967", accession number NN3-263-02-011 (2011年11月8日access)'
[26]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Releases Recently Declassified Satellite Imagery http://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07-07-10
[27] 간행물 edc.usgs.gov http://edc.usgs.gov/
[28] 웹사이트 Historical imagery declassification http://www.nga.mil/p[...]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07-07-10
[29] 웹사이트 1964-036B https://nssdc.gsfc.n[...]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1-01-16
[30] 웹사이트 Robotic ravens: American ferret satellite operations during the Cold War http://www.thespacer[...] thespacereview.com 2011-01-18
[31] 웹사이트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Review and Redaction Guide: Appendix C - Glossary of Code Words and Terms http://nro.gov/foia/[...]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1-01-07
[32] 웹사이트 The GAMBIT story http://www.nro.gov/f[...]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2011-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