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M-65 아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M-65 아틀라스는 1946년 미국에서 개발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냉전 시대에 미국의 핵 억지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다. 컨베어사가 개발을 주도했으며, XB-65, SM-65, CGM-16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아틀라스는 다양한 파생형을 거쳐 실전 배치되었으며, 1959년부터 1965년까지 D, E, F형이 운용되었다. 기술적 특징으로는 1.5단 로켓, 벌룬 탱크, 액체 연료 엔진을 사용했으며, 1963년 LGM-30 미니트맨의 실전 배치로 인해 점차 구식이 되어 1965년에 퇴역했다. 퇴역 후에는 우주 발사체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베어 - RIM-2 테리어
    RIM-2 테리어는 미국 해군이 개발하여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운용되었던 함대공 미사일로, 고고도에서 빠르게 접근하는 적 항공기를 방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빔 라이딩 방식에서 반능동 레이다 유도 방식으로 발전했고, 핵탄두 탑재 모델도 존재했으나, RIM-67 스탠다드 미사일로 대체되어 퇴역했다.
  • 컨베어 - 컨솔리데이티드 에어크래프트
    컨솔리데이티드 에어크래프트는 1923년부터 1940년대까지 군용 및 민간 항공기를 제작했으며, B-24 리버레이터, PBY 카탈리나 등의 대표 기종을 생산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군용 항공기를 공급했다.
  •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HGM-25A 타이탄 I
    HGM-25A 타이탄 I은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미국의 최초 다단계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지하 사일로에 배치되어 냉전 초기 미국의 핵 억지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기술적 문제와 고체 연료 ICBM의 등장으로 짧은 기간 운용된 후 퇴역했다.
  •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LGM-25C 타이탄 II
    LGM-25C 타이탄 II는 미국이 개발한 2단 액체 연료 추진 방식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저장성 추진제를 사용하여 신속한 발사가 가능하며 W53 핵탄두를 탑재하여 미국의 핵 억지력에 기여했고, 일부는 우주 발사체로 개조되거나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 1960년 우주 개발 - PGM-17 토르
    PGM-17 토르는 미국이 개발하여 영국에 배치, 소련 핵 공격 임무를 수행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후에 델타 로켓으로 발전하여 우주 발사체 개발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로켓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 1960년 우주 개발 - 코로나 (위성)
    코로나(CORONA)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72년까지 미국이 소련 군사력 감시를 위해 운용했던 위성 정찰 프로그램이며, 필름을 지구로 반환하여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하고 기밀 해제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SM-65 아틀라스
미사일 정보
아틀라스 미사일 발사
1958년 2월 20일 SM-65A 아틀라스가 발사되고 있다.
유형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운용1959년–1964년
사용 국가미국 공군
참전냉전
개발 정보
설계 시기1953년 (XB-65)
제작사컨베어 / 2012년 록히드 마틴
생산 시기1959년-1965년
생산 수량약 350기 생산됨. 최대 배치 수량 129기 (30 D, 27 E, 72 F).
파생형아틀라스 A, B/C, D, E/F (ICBM), SLV-3/3A/3C (NASA 사용)
제원
무게발사 시 최대 117934 kg
길이23.11 m (ICBM 사양 26.08 m)
직경3 m (부스터 제외)
추진 방식액체 연료
고도ICBM으로 약 1448 km
속도인공위성 발사체로 약 28163 km/h, ICBM으로 약 25750 km/h
탄두 정보
탄두Mk 2 또는 Mk 3 재진입체에 1.44 Mt W49 탄두 (아틀라스 D), Mk 4 재진입체에 3.75 Mt W38 탄두 (아틀라스 E&F)
정확도원형 공산 오차(CEP) 1402 m

2. 역사

아틀라스 미사일 개발은 1946년 컨베어(Consolidated Vultee Aircraft Corporation, Convair)가 미 육군 항공대에 제출한 장거리 미사일 연구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그리스 신화아틀라스와 계약업체의 모회사인 아틀라스 코퍼레이션(Atlas Corporati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1947년 예산 문제로 초기 계약이 취소되었지만, 컨베어는 자체 자금으로 연구를 계속하여 풍선 탱크와 짐벌 방식 로켓 엔진의 가능성을 입증했다.[3]

1951년 컨베어는 미 공군과 새로운 계약을 맺고 ICBM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54년 미국의 핵탄두 소형화와 소련의 핵무기 개발 가속화는 아틀라스 개발을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틀라스는 미국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자 최초의 대형 액체 연료 로켓 중 하나였다. 1959년 10월 31일부터 1965년 4월 12일까지 실전 배치되었다.[5] 1963년 초 고체 연료 로켓인 LGM-30 미니트맨이 실전 배치되면서 아틀라스는 급격히 구식이 되어 1964년 10월까지 모든 아틀라스 D 미사일이, 1965년 4월에는 아틀라스 E/F가 퇴역했다.[38][39]

1965년 ICBM 운용에서 퇴역한 후, 아틀라스 미사일은 개조되어 우주 발사체 부스터로 거의 40년 동안 사용되었다.[3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발사 로켓인 아틀라스 로켓 시리즈로 발전하여, 아틀라스 LV-3B1959년부터 머큐리 계획에서 유인 우주선(프렌드십 7 외 총 4기)을 궤도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다.

2. 1. 개발

1951년 1월 23일, 컨베어는 미 공군과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고 MX-1593으로 불리는 ICBM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2] 초기 설계는 매우 컸으나, 1954년 초 미국의 핵탄두 소형화 기술 발전으로 탄두 중량 예측치가 약 3628.74kg에서 약 1360.78kg로 줄어들면서 미사일 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1953년, 소련의 조 4 건식 연료 열핵무기 실험 성공과 정보 당국의 소련 ICBM 개발 진전 정보는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에 토머스 D. 화이트 장군은 1954년 5월 14일 아틀라스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지정하여 개발을 더욱 가속화했다.[2]

1955년 1월 14일, 컨베어는 직경 약 3.05m, 무게 약 약 113398.00kg의 미사일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4] 미 공군 탄도 미사일 부서(이전의 서부 개발부)는 아틀라스 개발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탄두, 유도, 추진 관련 계약은 별도로 처리했다.

1958년 11월 28일, 고도로 계측된 아틀라스 미사일은 최초로 완전 사거리 비행에 성공했다.[5] 아틀라스 ICBM은 1959년 10월 31일부터 1965년 4월 12일까지 실전 배치되었다.[5]

테오도어 폰 카르만(왼쪽)은 아놀드 공군 기지의 고속, 고고도 풍동에서 사용된 두 개의 모델(AGARD-B와 아틀라스 B형)을 검사하는 동안 공군 및 NASA 관계자들과 함께하고 있다. (1959)

2. 2. 실전 배치

1959년 9월, 최초로 실전 배치된 아틀라스 ICBM 비행대가 F.E. 워렌 공군 기지[33], 와이오밍주에 배치되어 지상 발사기에 배치된 6기의 SM-65D 아틀라스 미사일로 무장하게 되었다. F.E. 워렌 공군 기지 근처 2곳과 오프UT 공군 기지, 네브래스카주에 있는 1곳 등 세 개의 아틀라스 D 비행대는 5psi의 과압력에 대한 방호만 제공하는 지상 발사기에 배치되었다.[33]

이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389 전략 미사일 비행단
  • 프랜시스 E. 워렌 공군 기지, 와이오밍주 (1960년 9월 2일 – 1964년 7월 1일)
  • 제564 전략 미사일 비행대 (미사일 6기)
  • 제565 전략 미사일 비행대 (미사일 9기)
  • 제385 폭격 (후에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오프UT 공군 기지, 네브래스카주 (1961년 3월 30일 – 1964년 10월 1일)
  • 제549 전략 미사일 비행대 (미사일 9기)


워렌 기지의 제564 전략 미사일 비행대의 첫 번째 기지는 6개의 발사기를 함께 묶어 2개의 발사 운영 건물로 제어하고 중앙 유도 통제 시설을 중심으로 배치했다. 이는 3 × 2 구성이라고 불렸다. 즉, 각각 3기의 미사일로 구성된 2개의 발사 단지가 1개 비행대를 구성했다.[34]

제565 전략 미사일 비행대의 워렌 기지 두 번째 기지와 제549 전략 미사일 비행대의 오프UT 공군 기지에서는 미사일이 3 x 3 구성으로 배치되었다. 3개의 발사기와 1개의 통합 유도 통제/발사 시설이 1개 발사 단지를 구성하고 3개의 단지가 1개 비행대를 구성했다. 이후 기지에서는 통합 유도 및 통제 시설의 크기가 약 32.61m X 약 36.88m였으며 부분적인 지하실이 있었다. 또한 1개의 강력한 핵탄두가 여러 발사 기지를 파괴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발사 단지를 약 32.19km 간격으로 분산시키는 기술이 사용되었다.[34]

SM-65E 아틀라스는 25psi까지의 과압에 대비하여 미사일을 보호하는 수평 "세미-하드" 또는 "관" 시설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배치에서 미사일, 지원 시설 및 발사 작전 건물은 지하에 묻힌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에 수용되었으며, 지면 위로는 지붕만 노출되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35]

  • 제92폭격(후 전략우주)비행단
  • 페어차일드 공군 기지, 워싱턴 (1961년 9월 28일 – 1965년 2월 17일)
  • 제567전략미사일대대, (미사일 9기)
  • 제21전략우주사단
  • 포브스 공군 기지, 캔자스 (1961년 10월 10일 – 1965년 1월 4일)
  • 제548전략미사일대대, (미사일 9기)
  • 제389전략미사일비행단
  • 프랜시스 E. 워렌 공군 기지, 와이오밍 (1961년 11월 20일 – 1965년 1월 4일)
  • 제566전략미사일대대 (미사일 9기)


6개의 SM-65F 아틀라스 비행대대는 지하 사일로에 수직으로 보관된 최초의 ICBM이었다.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대한 사일로는 100psi까지의 과압으로부터 미사일을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36] 이 부대는 다음과 같다:[37]

  • 제310 폭격(후에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실링 공군 기지, 캔자스주 (1962년 9월 9일 – 1965년 2월 1일)
  • 제550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 제98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링컨 공군 기지, 네브래스카주 (1962년 9월 15일 – 1965년 3월 10일)
  • 제551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 제11 폭격(후에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알투스 공군 기지, 오클라호마주 (1962년 10월 9일 – 1964년 12월 30일)
  • 제577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 제96 폭격(후에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다이스 공군 기지, 텍사스주 (1962년 11월 15일 – 1964년 12월 1일)
  • 제578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 제6 폭격(후에 전략 항공우주) 비행단
  • 워커 공군 기지, 뉴멕시코주 (1962년 11월 30일 – 1965년 1월 5일)
  • 제579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 제820 공군(후에 전략 항공우주) 사단
  • 플래츠버그 공군 기지, 뉴욕주 (1962년 12월 20일 – 1965년 3월 12일)
  • 제556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 (미사일 12기)


아틀라스 F의 배치는 저장된 액체 로켓 연료의 가연성 때문에 위험했다. 액체 산소가 누출되어 화재가 발생하면서 추진제 탑재 훈련(PLX로 알려짐) 중에 4개의 기지와 미사일이 파괴되었다. 1963년 6월 1일 로즈웰의 579-1 기지가 폭발과 화재로 파괴되었다. 1964년 2월 13일 로즈웰의 579-5 기지가 파괴되었고, 한 달 후인 1964년 3월 9일 579-2 기지도 폭발과 화재로 파괴되었다. 마지막으로 1964년 5월 14일 오클라호마주 프레데릭의 알투스 공군 기지 577-6 기지도 PLX 중 폭발과 화재로 파괴되었다. 다행히 승무원들은 모두 생존했다. 손상된 기지는 수리되거나 다시 운용되지 않았다.

전략 공군 사령부(Strategic Air Command)는 1959년부터 1962년까지 13개의 운영 아틀라스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비행대를 배치했다. 아틀라스 D, E, F 시리즈의 세 가지 미사일 변형은 점차 더 안전한 발사대에 배치되었다.[34]

각 연도 말, 배치된 아틀라스 대륙간 탄도 미사일 수:[28]

날짜CGM-16D
(아틀라스 D)
CGM-16E
(아틀라스 E)
HGM-16F
(아틀라스 F)
1959600
19601200
196130270
1962302772
1963202772
19640072


2. 3. 퇴역과 유산

1963년 초 고체 연료 로켓인 LGM-30 미니트맨이 실전 배치되면서 아틀라스는 급격히 구식이 되었다.[38] 1964년 10월까지 모든 아틀라스 D 미사일이 단계적으로 퇴역했고, 1965년 4월에는 아틀라스 E/F가 퇴역했다.[39]

1965년 ICBM 운용에서 퇴역한 후, 아틀라스 미사일은 개조되어 우주 발사체 부스터로 거의 40년 동안 사용되었다.[3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발사 로켓인 아틀라스 로켓 시리즈로 발전하여, 아틀라스 LV-3B1959년부터 머큐리 계획에서 유인 우주선(프렌드십 7 외 총 4기)을 궤도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다.

아제나 로켓 또는 센타우르 로켓을 2단으로 사용한 형태가 채택되어 인공위성 발사용 일회용 로켓으로도 성공하였다. 현재는 유나이티드 런치 얼라이언스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1980년대에는 인공위성 발사 전용으로 개량된 아틀라스 II가 개발되었고, 최신형인 아틀라스 V는 현재에도 군민용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수명이 긴 시리즈이다.

아틀라스 개발은 이후 모든 ICBM 프로그램의 길을 열어준 조직, 정책, 절차를 낳았다는 중요한 점이 있다.[39]

3. 파생형

SM-65 아틀라스는 다양한 파생형을 가지고 있으며, 각 파생형은 특정한 목적과 성능을 위해 개발되었다.


  • SM-65A 아틀라스 (Atlas A): 아틀라스 미사일의 첫 번째 실물 크기 프로토타입으로, 구조와 추진 시스템 검증을 위해 설계되었다. 1957년부터 1958년까지 8번의 시험 비행이 수행되었으며, 이 중 4번이 성공했다.[20]
  • SM-65B 아틀라스 (Atlas B): 1.5단 로켓 시스템을 도입한 두 번째 프로토타입으로, 약 10179.08km를 비행하여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21]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총 10번의 비행 중 9번은 준궤도 시험 비행이었고, 5번 성공했다. 나머지 한 번은 SCORE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41]
  • SM-65C 아틀라스 (Atlas C): 세 번째 프로토타입으로, 더 가볍고 개선된 부품과 더 큰 액체 산소 탱크를 갖추고 있었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총 6번의 준궤도 탄도 시험 비행을 거쳤으며, 3번 성공했다.[23]
  • SM-65D 아틀라스 (Atlas D): 최초의 실전 배치 버전으로,[25] 모든 아틀라스 우주 발사체의 기반이 되었다.[25] 1959년부터 1964년까지 운용되었으며, 최대 약 14484.06km의 사거리를 가졌다.[26]
  • SM-65E 아틀라스 (Atlas E): 새로운 전 관성 시스템을 탑재하여 지상 제어 시설 없이 운용 가능하도록 개량되었다.[14] 1961년부터 1965년까지 ICBM으로 운용되었다.[29]
  • SM-65F 아틀라스 (Atlas F): 최종 운용 버전으로, 지하 사일로에 수직으로 보관되어 신속 발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30] 1962년부터 1965년까지 ICBM으로 배치되었다.[30]


각 파생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SM-65A 아틀라스 (Atlas A)

Convair의 X-11/SM-65A 아틀라스/아틀라스 A는 아틀라스 미사일의 첫 번째 실물 크기 프로토타입으로, 1957년 6월 11일에 처음 비행했다.[20] 구조와 추진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시험 모델이었으며, 서스테이너 엔진이나 분리 가능한 단계는 없었다. 처음 세 번의 아틀라스 A 발사에는 원뿔형 추력 챔버와 약 61234.92kg 추력을 가진 초기 로켓다인 엔진 설계가 사용되었다. 네 번째 아틀라스 시험에서는 종 모양의 추력 챔버와 약 68038.80kg 추력을 가진 향상된 엔진 설계로 교체되었다.

1957년부터 1958년까지 8번의 아틀라스 A 시험 비행이 수행되었으며, 이 중 4번이 성공했다. 모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발사 단지 12 또는 발사 단지 14에서 발사되었다.[20]

8번의 아틀라스 A 발사 기록은 다음과 같다.[40]

(SM-65A)
날짜
시간
(GMT)
발사대일련 번호원지점결과
1957-06-1119:37LC-144A2km실패
1957-09-2519:57LC-146A3km실패
1957-12-1717:39LC-1412A120km성공
1958-01-1015:48LC-1210A120km성공
1958-02-0719:37LC-1413A120km실패
1958-02-2017:46LC-1211A90km실패
1958-04-0517:01LC-1415A100km성공
1958-06-0321:28LC-1216A120km성공



아틀라스의 첫 번째 시험형인 XSM-65A(아틀라스A)는 1단 반 로켓의 부스터 부분 개발 시험기였다. LR-89 로켓 엔진 2기를 동체 양 측면에 탑재하고 있으며, 주 엔진과 분리 기구가 없어 1단만의 기체였다. 아틀라스A는 3기가 정적 시험에 사용된 후, 4호기부터 발사 시험이 시작되었다. 1957년 6월 11일에 발사된 4호기는 케ープ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에 실패하여 상공에서 명령 파괴되었다. 첫 발사 성공은 1957년 12월 17일의 세 번째 기체(아틀라스 12A)였다. 아틀라스A는 1958년 6월까지 8기가 발사 시험되었고, 이 중 4기가 성공했다.

3. 2. SM-65B 아틀라스 (Atlas B)

150x150px


컨베어 X-12/SM-65B는 아틀라스 로켓 프로그램의 특징인 1.5단 로켓 시스템을 도입한 두 번째 프로토타입 버전이다. 이 버전은 약 10179.08km를 비행하여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서 간주될 수 있는 비행 거리를 달성한 최초의 미국 로켓이었다.[21]

아틀라스 B는 1958년 7월 19일에 처음 비행했다. 총 10번의 비행 중 9번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서의 아틀라스의 준궤도 시험 비행이었으며, 5번은 성공하고 4번은 실패했다. 나머지 한 번의 비행은 SCORE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 모든 발사는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11, 13, 14에서 수행되었다.[20] SM-65B(Atlas B)는 총 10번 발사되었다.[41]

(SM-65B)
날짜
시간
(GMT)
발사대일련 번호원지점결과비고
1958-07-1917:36LC-113B10km실패
1958-08-0222:16LC-134B900km성공
1958-08-2904:30LC-115B900km성공
1958-09-1405:24LC-148B900km성공
1958-09-1821:27LC-136B100km실패
1958-11-1804:00LC-119B800km실패
1958-11-2902:27LC-1412B900km성공최초의 완전한 거리 시험 비행
1958-12-1822:02LC-1110BN/A성공SCORE 위성
185km x
1484km x 32.3° 궤도에 진입
1959-01-1604:00LC-1413B100km실패
1959-02-0408:01LC-1111B900km성공



XSM-65B 아틀라스B는 엔진 3기를 탑재한 1단 반 로켓으로, 아틀라스A에 메인 엔진을 추가하고 부스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실용형 추진 기관 배치에 더 가까워졌다. 1958년 7월 19일에 첫 발사되었으나 실패했고, 1959년 2월까지 9번 발사하여 6번 성공했다. 수평 도달 거리는 9,000km를 넘었다.

3. 3. SM-65C 아틀라스 (Atlas C)

발사대에 있는 아틀라스 C 미사일.


'''SM-65C 아틀라스''' 또는 '''아틀라스 C'''는 아틀라스 미사일의 세 번째 프로토타입 버전이다. 더 개선되고 가벼운 부품, 더 큰 액체 산소 탱크, 더 작은 연료 탱크를 갖추고 있었다. 1958년 12월 24일에 처음 비행했으며, 최종 개발 버전이었다. 원래 아틀라스-에이블 로켓의 1단계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1959년 9월 24일 정적 시험 중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아틀라스 D로 대체되었다.[22]

SM-65C는 총 6번의 시험 비행을 거쳤으며, 모두 아틀라스의 준궤도 탄도 시험 비행이었다. 이 중 3번의 시험이 성공하고 3번은 실패했다.[23] 모든 발사는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발사 단지 12에서 수행되었다.[24]

날짜시간
(GMT)
발사대일련 번호원지점결과
1958-12-2404:45LC-123C900km성공
1959-01-2723:34LC-124C900km실패
1959-02-2005:38LC-125C100km실패
1959-03-1900:59LC-127C200km실패
1959-07-2105:22LC-128C900km성공
1959-08-2415:53LC-1211C900km성공


3. 4. SM-65D 아틀라스 (Atlas D)

SM-65D 아틀라스(Atlas D)는 1959년에 처음 등장한 아틀라스 미사일의 최초 실전 배치 버전이자[25] 모든 아틀라스 우주 발사체의 기반이었다.[25] 1959년 9월, 미국 공군은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 세 발의 SM-65D 아틀라스 미사일을 개방형 발사대에 배치했다.[27] 이 미사일들은 제576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의 작전 통제를 받았으며, 날씨에 완전히 노출된 채 갠트리 크레인으로 정비되었다.[27] 한 발의 미사일은 항상 작전 대기 상태였으며,[27] 1964년 5월 1일까지 유지되었다.[28]

SM-65D 아틀라스 미사일 58-220, F. E. 워렌 공군기지


아틀라스 D의 무게는 약 116096.87kg(탑재물 제외)이며, 공허 중량은 약 5395.02kg에 불과했다.[26] 나머지 95.35%는 추진제였다.[26] 약 3048.14kg의 부스터 엔진과 페어링을 제거하면 건조 중량이 약 2346.89kg으로 줄어, 초기 총 중량(탑재물 제외)의 2.02%에 불과했다.[26] 이러한 낮은 건조 중량 덕분에 아틀라스 D는 최대 약 14484.06km의 사거리를 가지거나, 상단 단계 없이 탑재물을 궤도에 올릴 수 있었다.[26] 1959년 4월 14일에 처음 비행했다.

정식 실전배치는 와이오밍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기지부대배치 수
프랜시스 E. 워렌 공군기지564 전략미사일대대6발
프랜시스 E. 워렌 공군기지565 전략미사일대대9발
오펏 공군 기지549 전략미사일대대9발



핵탄두 폭발 위험 때문에 각 미사일은 20마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다.

아틀라스는 1.5단식 액체 연료 로켓으로, 2축 짐벌을 갖춘 추력 1,200 hp 유도 엔진[50]과 3기의 추력 1,590 kN 엔진을 갖추고 있다.

항목내용
명칭CGM-16D 아틀라스 D
종류미국 공군 소속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1.5단식 액체 연료 로켓)
배치/퇴역1959년 실전 배치, 1964년 퇴역
배치 방식지상 발사대 배치 (발사는 수직으로 세운 후), 핫 런치 방식
연료등유, 액체 산소
유도 방식관성 유도 (지상에서의 무선 관제 가능)
탄두1 (Mk.3, Mk.4 재돌입체 (RV) 에 W49 핵탄두 (1.44Mt))
전장23.11m
주 엔진LR-105 액체 연료 로켓 1기
부스터LR-89 액체 연료 로켓 2기
버니어LR-101 액체 연료 로켓 2기
발사 중량120200kg
사정 거리14000km


3. 5. SM-65E 아틀라스 (Atlas E)

'''SM-65E 아틀라스''' 또는 '''아틀라스-E'''는 아틀라스 미사일의 개량형으로, 1960년 10월 11일에 처음 비행했다. 1961년 9월부터 1965년 3월까지 ICBM으로 운용되었다.[29]

아틀라스-E 미사일 (s/n 5E), 케이프 커내버럴 LC-11


아틀라스 E는 이전 모델과 달리 새로운 전 관성 시스템을 탑재하여 지상 제어 시설이 필요 없게 되었다.[14] 이에 따라 미사일을 더 넓은 간격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게 되었고, 각 비행대에는 9개의 미사일이 할당되어 각 발사장에 미사일 사일로가 1개씩 배치되었다.[14]

아틀라스-E는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발사 단지 11 및 13, 그리고 반덴버그 공군 기지의 여러 시설에서 발사되었다.[20]

아틀라스-E는 등유/액체산소를 연료로 사용했으며, 1965년에 퇴역하고 사산화질소/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LGM-25C 타이탄 II로 교체되었다.

아틀라스 E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명칭CGM-16E 아틀라스 E
배치 시기1961년 ~ 1965년
유도 방식관성 유도
탄두Mk.4 재돌입체(RV)에 W38 핵탄두 (핵출력 3.75 Mt)
전장25.15 m
발사 중량122,470 kg
명중 정밀도3,700 m (CEP)
주 엔진LR-105 액체 연료 로켓 1기
부스터LR-89 액체 연료 로켓 2기
버니어LR-101 액체 연료 로켓 2기
사정 거리14,000 km


3. 6. SM-65F 아틀라스 (Atlas F)

'''SM-65F 아틀라스''' 또는 '''아틀라스-F'''는 아틀라스 미사일의 최종 운용 버전이었다. 1961년 8월 8일에 첫 비행을 했으며, 1962년 9월부터 1965년 4월까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으로 배치되었다.[30]

아틀라스 F는 기본적으로 아틀라스 E의 신속 발사 버전으로, 지하 콘크리트 및 강철 사일로 내부에 수직으로 보관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F형의 지하 사일로 방식 및 연료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외하면 E형과 거의 동일했다.[30] 미사일은 엘리베이터 위에 놓인 채로 보관되었다. 경보가 발령되면 RP-1(등유) 액체 연료가 주입되었고, 이는 미사일 내부에 장기간 보관될 수 있었다. 발사 결정이 내려지면 액체 산소가 주입되었다. 액체 산소 주입이 완료되면 엘리베이터가 미사일을 지상으로 올려 발사했다.[31]

이러한 보관 방식 덕분에 아틀라스 F는 약 10분 만에 발사될 수 있었다.[32] 이는 수평으로 보관되어 연료 주입 전에 수직으로 세워야 했던 아틀라스 D 및 아틀라스 E보다 약 5분이 단축된 것이다.[32] 아틀라스-F는 액체산소를 지하 사일로에서 주입하면 폭발 위험이 크다는 점이 입증되어, 지상으로 엘리베이터로 올린 다음에 액체산소를 주입해야만 했다.

아틀라스-F 발사는 케네디 우주 센터의 발사 단지 11 및 13번과 반덴버그 공군 기지의 OSTF-2, 반덴버그 공군 기지 발사 단지 576 및 반덴버그 공군 기지 우주 발사 단지 3에서 수행되었다.[20]

1965년 등유/액체산소를 사용하는 아틀라스-F가 퇴역하고, 사산화질소/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LGM-25C 타이탄 II로 교체되었다.

컨베어 SM-65F 아틀라스 532 550 SMS 사이트 02 애빌린 KS.


HGM-16F 아틀라스 F 제원
항목내용
명칭HGM-16F 아틀라스 F
실전 배치1962년
퇴역1965년
배치 방식사일로 배치 (발사는 엘리베이터로 지상에 나온 후), 핫 런치 방식
유도 방식관성 유도
탄두1 (Mk.4 재돌입체 (RV)에 W38 핵탄두 (핵출력 3.75 Mt))
전장25.15 m
발사 중량122,470 kg
명중 정밀도3,700 m (CEP)
주 엔진LR-105 액체 연료 로켓 1기
부스터LR-89 액체 연료 로켓 2기
버니어LR-101 액체 연료 로켓 2기
사정 거리14,000 km


4. 기술적 특징

아틀라스는 복잡하고 특이한 설계로 인해 초기에는 많은 발사 실패를 겪었다. 거스 그리섬은 아틀라스 시리얼 7D가 발사 직후 폭발하는 것을 보고 "우리가 정말 저런 것 위에 올라탈 수 있을까?"라고 말했을 정도였다.[8] 하지만 1965년까지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되어 신뢰할 수 있는 발사체가 되었다.

아틀라스 미사일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발사 로켓인 아틀라스 로켓 시리즈로 발전했으며, 아틀라스 LV-3B머큐리 계획에서 유인 우주선을 궤도에 올리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최신형 아틀라스 V는 군용 및 민간용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장수 시리즈이다.

아틀라스는 RP-1(케로신)을 연료로, 액체 산소산화제로 사용하며, 비행 제어는 2기의 버니어 엔진으로 수행한다. 초기 ICBM은 액체 산소(LOX)를 산화제로 사용했으나, LOX는 극저온이라 보관 및 취급이 어려워 발사 준비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 때문에 LOX를 사용하는 ICBM은 짧은 기간 동안만 배치되었고, 상온 보존이 가능한 추진제를 사용하는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초기 아틀라스 미사일(A형부터 D형)은 무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미사일은 자신의 관성 시스템에서 얻은 정보를 지상 기지에 전송하고, 지상 기지에서는 진로 수정 정보를 미사일에 전송했다. 아틀라스 E형과 F형은 완전 자율 관성 유도 시스템을 갖추었다.[29]

아이작 L. 아우어바흐가 설계한 Burroughs 유도 컴퓨터는 아틀라스 ICBM 미사일의 핵심 부품이었다. 이 컴퓨터는 최초의 트랜지스터 컴퓨터 중 하나였으며, 24비트 데이터를 18비트 명령어 집합으로 처리했다.

4. 1. 1.5단 로켓

아틀라스는 비공식적으로 '1.5단' 로켓으로 분류된다. 이는 발사 시 중앙의 서스테이너 엔진과 두 개의 부스터 엔진이 모두 점화되는 독특한 구조 때문이다.[11][12] 대부분의 다단 로켓은 다음 단계 엔진을 점화하기 전에 엔진과 연료 탱크를 동시에 버리지만, 아틀라스 미사일 개발 당시에는 로켓 엔진을 공중에서 시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11] 따라서 아틀라스는 모든 엔진을 발사 시 점화하고, 부스터 엔진만 버리고 서스테이너 엔진은 계속 연소하는 방식을 택했다.[11]

액체 추진 로켓의 한 단계는 일반적으로 추진제 탱크와 엔진으로 구성되므로, 하나 이상의 엔진만 버리는 것은 '반 단계'와 같다. 스테이징 시 부스터 엔진이 꺼지고, 일련의 기계적 및 유압 메커니즘이 부스터 엔진으로 연결되는 배관을 닫는다. 그런 다음 부스터 섹션은 일련의 유압 클램프(초기 시험 모델인 아틀라스 B는 폭발 볼트를 사용했음)에 의해 분리되어 두 개의 트랙 위에서 미사일에서 미끄러져 나온다. 이후에는 서스테이너와 버니어가 자체적으로 작동한다. 부스터 스테이징은 발사 후 약 2분 후에 이루어졌지만, 정확한 시점은 아틀라스 모델과 특정 임무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었다.

이 "1.5단" 설계는 극도로 가벼운 벌룬 탱크 덕분에 가능했다.[12] 탱크는 전체 부스터 무게의 매우 작은 비율을 차지했기 때문에 궤도에 올리는 데 드는 질량 손실은 비행 중 절반을 버리는 데 필요한 기술적 및 질량 손실보다 적었다. 그러나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고, 아틀라스 설계 작업이 완료된 직후, 컨베이어 경쟁사인 마틴은 공중 시동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아틀라스의 백업으로 개발된 타이탄 I 미사일은 일반적인 2단 설계를 가지고 있었다.[13]

4. 2. 벌룬 탱크

아틀라스는 벌룬 탱크를 사용했는데, 이는 매우 얇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졌다.[9] 탱크 내부 압력은 비행에 필요한 구조적 강성을 제공했다. 아틀라스 로켓은 압력을 유지하지 않으면 자체 무게로 붕괴될 수 있었으며, 연료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도 탱크 내에 5psi의 질소를 유지해야 했다.[10]

이 "1.5단" 설계는 극도로 가벼운 벌룬 탱크 덕분에 가능했다.[12] 탱크는 전체 부스터 무게의 매우 작은 비율을 차지했기 때문에 궤도에 올리는 데 드는 질량 손실은 비행 중 절반을 버리는 데 필요한 기술적 및 질량 손실보다 적었다.

연료 탱크는 경량화를 위해 매우 얇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졌지만, 너무 얇아서 그대로는 자중을 지탱할 수 없었다. 그래서 풍선처럼 연료 내압으로 강도를 유지하는 방식(벌룬 탱크)을 채택했다. 연료가 들어 있지 않을 때는 질소 가스로 가압하여 형태를 유지했다.

아틀라스C는 얇은 벌룬 탱크를 채용하고 있다.

4. 3. 엔진

아틀라스 미사일은 RP-1(등유)을 연료로, 액체 산소산화제로 사용한다. 비행 제어는 2기의 버니어 엔진으로 수행했다. 엔진은 1.5단식으로, 주 엔진에 분리식 부스터 엔진을 조합했다.[11][12]

부스터 엔진은 두 개의 대형 추력실로 구성되었다. 아틀라스 A/B/C/D는 부스터 엔진을 구동하는 단일 터보펌프 어셈블리와 가스 발생기를 가지고 있었고, A/B/C는 추력이 낮은 임시 엔진을, D 시리즈는 약 137438.38kg의 추력을 내는 완전한 엔진을 가지고 있었다.[12] 아틀라스 E/F에서는 각 부스터 엔진이 별도의 펌프와 가스 발생기를 가지고 있었다. 아틀라스의 후기 우주 발사체는 각 부스터 엔진에 트윈 터보펌프가 있고, 공통 가스 발생기에 의해 구동되는 MA-5 추진 시스템을 사용했다.[11] 부스터는 서스테이너 엔진보다 강력했고, 비행 처음 2분 동안 대부분의 상승을 담당했다. 피치 제어 외에도 버니어 고장 시 제어도 수행할 수 있었다.

모든 아틀라스 변종의 서스테이너 엔진은 자체 터보펌프와 가스 발생기를 갖춘 단일 추력실로 구성되었으며, 이 엔진은 두 개의 소형 압력 공급 버니어 엔진에도 동력을 공급했다.[12] 버니어는 제어와 최종 속도 조정을 제공했다.

표준 아틀라스 D의 경우, 모든 다섯 개의 추력실의 총 해수면 추력은 약 163293.12kg (1600kN)이었다. 아틀라스 E/F는 약 170097.00kg의 추력을 가지고 있었다. 3개 엔진을 가진 아틀라스 E와 F의 총 해수면 추력은 약 176447.29kg (1730kN)였다.[14] 아틀라스 발사기 변종은 종종 엔진의 성능 향상을 겪었다.[12]

4. 4. 유도 시스템

초기 아틀라스 미사일(A형부터 D형)은 무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미사일은 자신의 관성 시스템에서 얻은 정보를 무선으로 지상 기지에 전송하고, 그 대가로 진로 수정 정보를 받았다. 아틀라스 E형과 F형은 완전 자율 관성 유도 시스템을 갖추었다.[29]

아이작 L. 아우어바흐는 아틀라스 ICBM 미사일을 위한 Burroughs 유도 컴퓨터를 설계했는데, 이는 지상 기반 유도 컴퓨터가 미사일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기 전까지 미사일 시스템의 핵심 부품이었다. Burroughs 유도 컴퓨터는 최초의 트랜지스터 컴퓨터 중 하나로, 24비트 데이터를 18비트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여 처리했다. 총 17대가 인도된 이 지상 컴퓨터는 나중에 아틀라스-에이블, 머큐리 계획 및 기타 초기 우주선에도 사용되었다.

5. 문제점 및 한계

아틀라스는 복잡하고 특이한 설계로 인해 초기에는 디버깅이 어려웠고, 수십 번의 발사 실패를 겪었다. 거스 그리섬은 아틀라스 시리얼 7D가 야간 발사 직후 폭발하는 것을 보고 "우리가 정말 저런 것 위에 올라탈 수 있을까?"라고 말하기도 했다.[8]

하지만 컨베어(Convair) 엔지니어들은 아틀라스 비행 시 모든 부품의 오작동을 파악하여 해결했으며, 같은 고장이 세 번 이상 반복된 적이 없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꼈다. 1965년까지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되어 아틀라스는 신뢰할 수 있는 발사체가 되었다.

5. 1. 액체 산소 사용

초기 아틀라스 미사일은 산화제액체 산소(LOX)를 사용했다. 액체 산소는 극저온이기 때문에 증발을 고려해야 했고, 미사일에 탑재한 채로 보관할 수 없었다. 발사 명령이 내려진 후 단열 처리된 내압 탱크에 보관된 액체 산소와 연료를 미사일에 주입하여 발사하기 까지는 시간이 걸렸다.[36]

액체 산소는 지하 사일로에서 주입하면 폭발 위험이 커서, 지상으로 미사일을 올린 후에 주입해야 했다. 이 때문에 발사 시간이 더욱 지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액체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아틀라스 ICBM은 짧은 기간만 배치되었고, 상온 보존이 가능한 액체 연료나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2세대 미사일로 교체되었다.[37]

5. 2. 불안정한 엔진 추력

아틀라스는 복잡하고 특이한 설계로 인해 초기에는 디버깅이 어려웠고, 수십 번의 발사 실패를 겪었다. 극복해야 할 가장 큰 문제점은 불안정한 엔진 추력이었는데, 이로 인해 1960년에는 시리얼 51D와 48D, 1961년에는 시리얼 27E 등 세 대의 아틀라스 미사일이 발사대에서 폭발하기도 했다.[8]

5. 3. 제한적인 즉응성

액체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아틀라스 미사일은 고체 연료 미사일에 비해 즉응성이 떨어졌다. 발사 명령 후 연료 주입과 발사 준비에 수십 분이 소요되어, 기습 공격에 취약했다. 아틀라스-F는 대통령의 발사명령 직후 10분만에 발사할 수 있었지만, 이전의 아틀라스-D, 아틀라스-E는 15분이 걸렸다.[8]

초기 ICBM은 액체산소 (LOX)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액체 연료 로켓을 채택했지만, LOX는 극저온이라 증발을 고려해야 했고, 미사일에 탑재한 채로 배치할 수 없었다. 발사 명령이 내려진 후 LOX와 연료를 미사일에 주입하여 실제로 발사되기까지는 수 시간의 작업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LOX를 산화제로 하는 ICBM의 배치는 짧았다.

참조

[1] 웹사이트 San Diego's Missile https://www.sandiego[...] 2023-03-17
[2]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Ballistic Missiles in the United States Air Force 1945-1960 https://apps.dtic.mi[...] 2023-03-12
[3] 문서 RTV-A-2 Hiroc http://themilitaryst[...]
[4] 서적 To Reach the High Frontier - Ch 2: Stage-and-a-Half, The Atlas Launch Vehic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07-11
[5] 문서 Blazing the Trail AIAA, Reston Virginia 2004
[6] 웹사이트 Atlas https://www.centenni[...]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2023-03-11
[7]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d40.com/abou[...] WD-40
[8] 서적 Seeking Success: A Memoir https://www.academia[...]
[9] 웹사이트 Rocket R-5 https://www.energia.[...] S. P. Korolev RSC Energia 2023-11-10
[10] 웹사이트 SM-65 Atlas – United States Nuclear Forc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3-07-19
[11] 웹사이트 Variants of the "stage and a half" drive system (MA) of the Atlas rocket http://www.b14643.de[...] 2022-09-04
[12] 웹사이트 Part 5: The Atlas Missile https://www.enginehi[...] 2022-09-04
[13] 웹사이트 The Military Standard - Titan I Missile Overview http://www.themilita[...] 2023-03-10
[14] 웹사이트 Atlas SM-65 http://www.warrenmus[...] FE Warren Museum
[15] 문서 Burroughs Guidance Computer Historical Summary https://afspacemuseu[...] 2012
[16] 웹사이트 Missile, Reentry Vehicle, Mark 2 https://www.si.edu/o[...]
[17] 웹사이트 Missile, Reentry Vehicle, Mark 4 https://airandspace.[...]
[18] 웹사이트 Fairchild had a missile squadron… Who knew? https://www.fairchil[...] 2023-03-11
[19] 웹사이트 https://ria.ru/20200[...] 2020-06-26
[20] 웹사이트 Encyclopedia Astronautica – Atlas A http://www.astronaut[...] Astronautix.com 2013-07-19
[21] 웹사이트 Cape Canaveral Launch Chronology https://www.spacelin[...] 2021-02-27
[22] 웹사이트 The Pioneer lunar orbiters: a forgotten failure https://www.thespace[...] 2023-03-12
[23] 웹사이트 Atlas C http://www.astronaut[...] 2023-03-11
[24] 웹사이트 Launch Complex 12 http://mail.afspacem[...] Air Force Space and Missile Museum 2023-03-11
[25] 문서 Atlas D, Historical Essay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3
[26] 문서 The Evolution of ROCKET TECHNOLOGY Native Planter, SLC 2012
[27] 웹사이트 The ICBM turns 60 https://www.afgsc.af[...] 2023-03-11
[28] 간행물 US-USSR/Russian Strategic Offensive Nuclear Forces https://nuke.fas.org[...] National Resources Defense Council, Inc. 2023-03-11
[29] 문서 Nuclear Weapons of the United States, An Illustrated History Schiffer Publishing Ltd., Atglen, PA 1996
[30] 간행물 Atlas ICBM Geared to Total Deployment https://archive.org/[...]
[31] 웹사이트 How the Air Force Got the ICBM https://www.airandsp[...] Air and Space Forces Magazine 2023-03-11
[32]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Project, "SM-65 Atlas https://missilethrea[...] Missile Threat,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3-03-11
[33] 웹사이트 Atlas D Locations http://www.siloworld[...]
[34] 간행물 To Defend and Deter: The Legacy of the United States Cold War Missile Program https://apps.dtic.mi[...] Department of Defense Legacy Resource Management Program Cold War Project 2023-03-12
[35] 웹사이트 Atlas E Locations http://www.siloworld[...]
[36] 웹사이트 Historical Vignette 032 - The Corps Built the Launch Sites for Atlas ICBM https://www.usace.ar[...]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1-08
[37] 웹사이트 Atlas F Locations http://www.siloworld[...]
[38] 웹사이트 Air Force history of ICBM development, safeguarding America https://www.afgsc.af[...] 2012-03-05
[39] 웹사이트 Directory of U.S. Military Rockets and Missiles - Convair B-65/SM-65/CGM-16/HGM-16 Atlas https://www.designat[...]
[40] 웹사이트 Atlas A http://www.astronaut[...] 2023-03-13
[41] 웹사이트 Atlas B http://www.astronaut[...] 2023-03-13
[42] 웹사이트 Atlas C http://www.astronaut[...] 2023-03-13
[43] 뉴스 7 artifacts you can't see at the Air Force Museum: A peek inside the storage building https://www.daytonda[...] 2020-06-12
[44] 웹사이트 United States Air Force Museum https://books.google[...] 1987
[45] 웹사이트 Topic Atlas Displays https://forum.nasasp[...] 2023-03-10
[46] 웹사이트 Air and Space Annex, Gillespie Field https://m.sites.goog[...] 2023-03-12
[47] 웹사이트 Convair Atlas 2D - NASA https://www.airliner[...] 2023-03-12
[48] 웹사이트 Historic Spacecraft Atlas Rockets Overview#Atlas-F ICBM https://historicspac[...] 2023-03-11
[49] 웹사이트 Atlas Rocket at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dismantled http://ottawa.ctvnew[...] 2015-02-25
[50] 문서 打ち上げの写真を参照
[51] 웹사이트 globalsecurity http://www.globalsec[...]
[52] 웹사이트 Directory of U.S. Military Rockets and Missiles http://www.designa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