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1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N-18은 북한이 개발한 미사일로, 일부 언론에서는 대함탄도미사일로 지칭하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화성-12》형과는 무관하다. 북한 노동신문은 KN-18의 CEP(원형 공산 오차)가 7m라고 주장하지만, 전문가들은 중국의 DF-21D보다 정확도가 높다는 점을 들어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KN-17은 액체연료를 사용하며, 발사대 트럭에서 즉시 발사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기습 발사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CEP 7m 수준의 재래식 미사일은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견고한 군사 시설을 공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킬 체인에 대한 도전으로 이어진다.
일부 언론에서는 KN-17을 대함탄도미사일이라고 지칭하기도 했으나, KN-17은 이미 2017년 4월 6일 시험 발사에 나선 바 있는 《화성-12》형이다. 본 미사일과는 무관하다.
2. 역사
3. 제원
3. 1. 정확도
북한 노동신문은 KN-18의 CEP가 7 m라고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세계 최초의 대함탄도미사일(ASBM)로 알려진 중국의 DF-21D의 CEP가 30 m인 것을 감안하면, 북한의 기술력이 중국을 앞섰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CEP 7 m 수준의 재래식 미사일은 1960년대 전술 핵폭탄 수준의 폭발력을 갖는다. 과거에는 정밀유도 기술이 발전하지 않아 미사일 CEP가 1 km에 달해, 견고한 군사시설 콘크리트 건물을 파괴하기 위해 핵폭탄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CEP 7 m의 재래식 미사일은 정확하게 건물에 명중하여 파괴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는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설되어 미사일 공격에도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CEP가 작은 미사일 여러 발을 동시에 공격하면 원전의 콘크리트 벽도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2007년 이스라엘의 오차드 작전에서 보잉 F-15I 전투기 10대가 CEP 30 m 수준의 레이저 유도 폭탄을 일렬로 투하하여 시리아 원전을 공습한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3. 2. 연료
KN-17은 액체연료를 사용하며, 연료 주입 시간을 단축하여 기습 발사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1] 사거리 1,300 km인 노동 미사일의 연료 주입 시간이 30분 정도이므로, KN-17은 이보다 짧은 시간에 연료 주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1]
2018년 1월 30일, 폴 셀바 미국 합동참모본부 차장은 북한이 미사일 발사대 탑재 기술을 발전시켜, 미사일 발사 경고 시간을 12분 전으로 단축시켰다고 언급했다.[2] 이는 기존의 1시간보다 훨씬 짧아진 것이다.[2]
북한은 연료 주입을 지하 갱도에서 실시하여 지상에서의 포착 시간을 줄였다. 이전에는 30분에서 3시간 동안 지상에서 연료를 주입하여 정찰기나 정찰위성을 통해 탐지가 가능했지만, 갱도 내 연료 주입으로 탐지가 어려워졌다.
KN-17은 발사대 트럭에서 미사일 발사관을 수직으로 세워 즉시 발사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발사관을 세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3분으로, 갱도에서 나온 후 3분 만에 발사가 가능하다. 이는 고체연료 미사일의 발사 준비 시간과 동일하다.
러시아의 SS-18 사탄 ICBM은 저장성 액체 추진제를 미리 주입하여 5년간 발사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저장성 액체 추진제는 지상 저장 탱크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미사일 연료통은 얇아서 부식 방지제를 사용함에도 장기간 보관이 어려웠다. 과거에는 발사 직전에 30분에서 3시간 동안 지상에서 연료를 주입했고, 이 과정이 정찰위성에 포착되어 킬 체인과 같은 선제 타격 전략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SS-18 사탄은 부식 방지제 개선 등의 기술 발전으로 5년간 연료 주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북한이 이러한 기술을 습득했는지는 불분명하다.
4. 군사적 함의
4. 1. 킬 체인에 대한 도전
4. 2. 핵 시설 공격 가능성
북한 노동신문은 KN-18의 CEP가 7m라고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세계 최초의 대함탄도미사일(ASBM)인 중국 DF-21D의 CEP가 30m인 점을 들어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CEP 7m 수준의 재래식 미사일은 1960년대 전술 핵폭탄 수준의 폭발력을 낼 수 있어, 정밀 유도 기술이 발전하기 전 핵폭탄으로 파괴해야 했던 견고한 군사 시설 콘크리트 건물도 파괴 가능하다. 이는 '충격과 공포' 전략과도 관련이 있다.
원자력 발전소는 두꺼운 콘크리트로 건설되어 미사일 공격에도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2007년 이스라엘의 오차드 작전에서 보잉 F-15I 전투기 10대가 CEP 30m 수준의 레이저 유도 폭탄을 시리아 원전의 동일 목표물에 연속 투하하여 파괴한 사례가 있다. 따라서 CEP 7m인 미사일 여러 발을 동시에 원전 한 곳에 집중 공격하면 두꺼운 콘크리트 벽도 파괴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北위성발사장 파괴 불똥 南우주발사체 KSLV-Ⅱ로 튀어
신동아
2018-07-25
[2]
뉴스
'北미사일 발사 12분전에야 파악 가능' 美언급…킬체인 무력화
뉴스1
2018-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