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찰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찰기는 군사적 목적으로 적의 위치, 활동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기이다.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기구를 활용한 것이 시초이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공기가 정찰 임무에 투입되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정찰기는 임무, 운용 방식, 탑재 장비에 따라 전략, 전술 정찰기, 유인 및 무인 정찰기, 사진/전자 정찰기 등으로 분류된다.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정찰기 개발 경쟁이 벌어졌으며, 현대에는 정찰 위성과 무인 항공기가 정찰기의 역할을 대체하면서도,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도 각국에서 유·무인 정찰기를 운용하며, 스텔스 기능, 인공지능 기반 정보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찰기 - 록히드 U-2
    록히드 U-2는 미 공군과 CIA가 운용하는 고고도 정찰기로, 냉전 시대 정보 수집에 활약하며 파워스 사건으로 논란을 겪었지만, 꾸준한 개량을 거쳐 현재도 운용 중이며 향후 첨단 전투 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예정이나, 장기적인 운용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정찰기 - MQ-9 리퍼
    MQ-9 리퍼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며 정찰, 감시,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공격기로, 다양한 센서와 무장을 탑재하여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여러 파생형과 업그레이드를 통해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다.
정찰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군용기
주요 임무적군 및 시설 관찰
사용 국가다수 국가
분류 기준전술 정찰기
전략 정찰기
무인 정찰기
역사
개발 시기제1차 세계 대전
초기 형태일반 항공기를 이용한 정찰
제2차 세계 대전전문적인 정찰기 개발
냉전 시대고고도 정찰기 및 위성 활용 증가
기술적 특징
장비카메라
적외선 센서
레이더
전자 정보 수집 장비
성능고고도 비행 능력
장시간 체공 능력
빠른 속도
종류
전술 정찰기단거리 작전 지원
전투기 개조형
예: RF-4 팬텀, F-15 이글
전략 정찰기장거리, 고고도 작전
예: SR-71 블랙버드, U-2
무인 정찰기조종사 없이 원격 제어
예: RQ-4 글로벌 호크, MQ-9 리퍼
해상 초계기해상 감시 및 정찰 임무
예: P-3 오라이온, P-8 포세이돈
활용 분야
군사 작전적군 위치 및 이동 파악
포병 사격 관측
폭격 효과 평가
목표물 정보 수집
민간 분야지도 제작
재난 감시
환경 감시
농업 관리
추가 정보
같이 보기감시 항공기
조기 경보기
전자전기
무인 항공기
이미지
전략 정찰기로 사용된 SR-71
전략 정찰기로 사용된 SR-71
전투기를 기반으로 한 정찰기 RF-4, 기수에 정찰용 촬영 장비 장착
전투기를 기반으로 한 정찰기의 RF-4. 기수에 정찰용 촬영 장비를 갖추고 있음.

2. 역사

미 공군의 RC-135U 컴뱃 센트 정찰기 (ELINT)


정찰기의 역사는 항공 기술 발전과 그 궤를 같이 한다. 20세기 이전에는 군사적으로 동력 및 제어가 가능한 비행 장치가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보다 가벼운 비행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동안 프랑스는 기구를 항공 정찰에 사용했다.[2]

1912년 10월 16일 불가리아의 Albatros 비행기는 전장에서 유럽 최초의 정찰비행을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공기는 전투 초기에 지상군을 지원하기 위한 '육군의 눈' 역할로 정찰 임무에 배치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까지 항공 정찰은 대부분 전투기폭격기를 개조하여 필름 카메라를 장착해 수행했다.[3]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적 군함을 찾기 위해 수상기가 사용되기도 했다. 유틀란트 해전에서 수상기 모함의 한계가 드러난 후, 주력함이 관측 수상기를 탑재, 발진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러한 수상기는 함선의 감시 초소의 시야를 넘어 적 군함을 정찰할 수 있었고, 장거리 포격전에서 탄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관측 수상기는 헬리콥터로 대체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기간 동안 미국소련의 핵무기를 감시하기 위해 U-2와 SR-71을 포함한 여러 전용 정찰기를 개발했다.[5] RB-47, RB-57, 보잉 RC-135 및 라이언 모델 147 드론과 같이 신호 정보 및 전자 감시 분야의 특수 임무를 위한 정찰기도 제작되었다.

냉전 이후 전략 정찰기의 역할 상당수는 위성[6]으로, 전술적 역할은 무인 항공기(UAV)로 넘어갔다. 이는 미국이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성공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7]

2000년대 정찰기는 주로 항공사진 및 영상 촬영을 통한 사진정찰기가 대부분이었지만, 전자전기의 일종인 전자정찰기와 같이 신호 정보(SIGINT)를 수집하는 정찰기도 존재했다. 또한, 전략적 정찰 임무에 사용되는 것을 전략정찰기, 전술적 정찰 임무에 사용되는 것을 전술정찰기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냉전 시대에 미소 양국에서 새로운 정찰위성 기술이 개발되었고, 21세기에 들어서는 5대국 외에도 이탈리아, 이스라엘, 인도 등이 발사 기술을 확보했다. 하지만 위성 정찰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국가는 우주 기술 선진국뿐이며, 그 외 국가들은 여전히 항공 정찰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그 수요는 여전히 강하다. 또한 정찰 위성 운용 국가들 사이에서도 장시간 연속 감시, 핵실험 감시 등 샘플링 수집, 거대한 전자 장비 탑재가 필요한 정찰 등에는 여전히 항공 정찰이 유력한 방법이다.

2. 1. 초기 역사

20세기 이전에는 동력 및 제어 가능한 비행 장치가 군사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보다 가벼운 비행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동안 프랑스는 기구를 항공 정찰에 사용했다.[2]

1794년, 프랑스에서 정찰기로 사용된 기구


상공에서 주변을 감시하는 것의 군사적 이점은 명확했다. 따라서 인류 최초의 실용적인 공중 비행체인 기구가 개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18세기 말에는 이미 프랑스에서 정찰 및 관측 목적으로 사용이 시작되었다. 실험적·모험적인 시도를 제외하면, 항공기의 최초 용도는 정찰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기 항공기는 이동이나 유람에 상용하기에는 위험과 불확실성이 너무 높았지만, 군용 정찰의 용도에서는 그 높은 위험에 상응하는 성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19세기 중반에 있었던 미국 남북 전쟁에서도 정찰용으로 수소 기구가 사용되었다. 이후 기구는 열강 각국 군대에서 정찰 및 포병 야포의 착탄 관측용으로 주로 운용되었고, 이는 후일의 항공 부대의 원점이었다. 일본군에서도 메이지 시대 초창기부터 기구 연구가 진행되었고, 1904년(메이지 37년)에 개전한 러일 전쟁에서는 같은 해 편성된 임시 기구대가 여순 포위전 등에 실전 투입되었다.

일본에서는 육군의 위생병이었던 니노미야 츄하치가 러일 전쟁 당시 정찰기로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항공기 연구에 예산을 군으로부터 받고 싶다는 뜻을 나가오카 가쿠시와 오시마 요시마사에게 상신했지만, 둘 다 회의적이었다. 니노미야는 제대하여 자력 개발을 추진했으나 자금난으로 개발이 지체되어 라이트 형제에게 앞질러졌다. 나가오카는 후에 니노미야에게 사과하고, 초대 임시 군용 기구 연구회 회장을 겸임하는 등 보급에 힘써 일본군 항공 분야의 초창기에 기여했다. 연구회 회장에는 육군 차관인 이시모토 신로쿠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이시모토는 항공기에 회의적이어서 사퇴했을 정도로 당시에는 정찰기의 가치가 이해되지 않았다.

초창기 정찰기, 프랑스의 MF.11


정찰·관측용 기구의 전환기를 맞아, 20세기 초, 1914년에 개전한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기구를 대신하여 비행기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비행기는 탄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였지만(라이트 형제에 의한 세계 최초의 유인 동력 비행은 1903년 12월), 그 비행기의 첫 실용 임무가 군용기로서의 정찰기였다. 등장 초기에는 전투상황보고 등의 문서를 수송하는 우편기를 겸임했지만, 무장이 없었기 때문에 적국의 파일럿들이 서로에게 손을 흔드는 등 목가적인 광경도 볼 수 있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공기는 전투 초기에 지상군을 지원하기 위한 '육군의 눈' 역할로 정찰 임무에 배치되었다.[2] 초기 항공기는 무장이 없었기 때문에, 적국의 파일럿들이 서로에게 손을 흔드는 등 목가적인 광경도 볼 수 있었다. 점차 서로의 정찰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권총으로 적기를 공격하는 상황이 되었고, 더 나아가 기관총(항공 기관총)을 탑재한 전투기가 등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적 군함을 찾기 위해 수상기가 사용되기도 했다. 유틀란트 해전에서 수상기 모함의 한계가 드러난 후, 주력함이 관측 수상기를 탑재, 발진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러한 수상기는 함선의 감시 초소의 시야를 넘어 적 군함을 정찰할 수 있었고, 장거리 포격전에서 탄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4]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주로 전투기폭격기를 개조한 정찰기가 사용되었으며, 사진 촬영이 주요 정보 수집 방법이었다.[3] 일본 제국 육군은 고속성과 고고도성을 중시한 전략 정찰기인 구칠식 사령부 정찰기를 개발하여 중일 전쟁과 노몬한 사건에서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전략 정찰에 활용하였다. 구칠식 사령부 정찰기의 성공에 힘입어 일본 육군은 더욱 발전된 일〇〇식 사령부 정찰기를 개발, 채용하였다. 일〇〇식 사령부 정찰기는 당시 다른 국가들의 정찰기나 전투기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으며, 전략 정찰기로서는 이례적으로 1,742기나 대량 생산되었다. 태평양 전쟁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〇〇식 사령부 정찰기는 일본군의 주력 전략 정찰기로서 거의 모든 전선에서 활약했다.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전략 정찰기, 일본 육군의 일〇〇식 사령부 정찰기 삼형 갑(키46-III갑)

2. 4. 냉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 미국소련의 핵무기를 감시하기 위해 U-2와 SR-71을 포함한 여러 전용 정찰기를 개발했다.[5] RB-47, RB-57, 보잉 RC-135, 라이언 모델 147 드론 등 신호 정보 및 전자 감시 임무를 위한 정찰기도 제작되었다.

2. 5. 현대

냉전 이후, 전략 정찰 임무는 정찰 위성이[6], 전술 정찰 임무는 무인 항공기(UAV)가 상당 부분 담당하게 되었다.[7] 미국은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UAV를 성공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변화를 입증하였다.[7]

현대에는 디지털 카메라, 합성 개구 레이더, 데이터 링크 등의 기술 발전으로 정찰기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촬영이 가능하며,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게 되었다.

3. 정찰기의 종류

정찰기는 임무, 운용 방식, 탑재 장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2000년대에는 항공사진 및 영상 촬영을 통한 정찰을 수행하는 사진정찰기가 대부분이었지만, 신호 정보(SIGINT)를 수집하는 전자정찰기(전자전기의 일종)도 있었다. 또한, 전략적 정찰 임무에 사용되는 것을 전략정찰기, 전술적 정찰 임무에 사용되는 것을 전술정찰기라고 구분한다.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 양국에서 새로운 정찰위성 기술이 개발되었고, 21세기에는 5대국 외에도 이탈리아, 이스라엘, 인도 등이 발사 기술을 확보했다. 그러나 위성 정찰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 가능한 국가는 우주 기술 선진국뿐이며, 그 외 국가들은 여전히 항공 정찰에 의존하여 그 수요는 여전히 강하다. 정찰 위성 운용 국가들 사이에서도 정찰 대상의 장시간 연속 감시, 핵실험 감시 등 샘플링 수집, 거대한 전자 장비 탑재가 필요한 정찰 등에는 여전히 항공 정찰이 유력한 방법이다.

정찰기는 계획 단계부터 정찰기로 개발되거나(주로 전략 정찰기. 예: 미국 공군의 U-2, SR-71), 다른 군용기(전투기, 폭격기 등) 또는 민간기를 개조, 혹은 다른 군용기에 정찰 포드(정찰용 장비가 수납된 성형 용기)를 외부 장착하여(주로 전술 정찰기) 운용하기도 한다. 정찰기는 그 임무 특성상 연락기, 관측기, 초계기(해상 감시기), 전자전기, COIN기, 경공격기, 경폭격기 등과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

미국 공군의 U-2. 전용 설계의 정찰기.


미국 공군의 무인 정찰기, RQ-4 글로벌 호크


현재는 승무원이 필요 없는 '''무인 정찰기'''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미군영국군을 필두로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무인 정찰기는 기체의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하여 레이더에 탐지되기 어렵게 한다. 또한 승무원의 피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더 긴 시간의 정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격추 등에 의한 전사, 부상, 포로도 방지할 수 있다.

3. 1. 임무에 따른 분류

전략 정찰기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정보를 수집하는 정찰기로, SR-71과 U-2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전술 정찰기는 특정 지역에서 단기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정찰기로, RF-4C, F-14와 정찰 포드를 함께 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특별한 장비 없이 소형 항공기나 복좌형 전투기의 후방석에 카메라를 가진 사진사가 탑승하여 목표물 등을 촬영했다.[1] 이러한 형태의 정찰기는 고가의 개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하게 갖출 수 있으며, 기존 전투기와 부품, 정비 등을 공유하여 운용 유지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전자전 첩보기는 적군의 통신 및 레이다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한다.[2] 적군의 전자 정보(ELINT)를 수집하여 효과적인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적 통신망 감청 임무도 수행한다.[2] 이러한 항공기들은 대부분 정규군에 편제되지만, 실제 작전 운용은 해당국의 정보부서에서 관할하는 경우가 많다.[2] 대표적인 기종으로 미국의 RC-135, EP-3 등이 있다.[2]

3. 2. 운용 방식에 따른 분류

유인 정찰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정찰기이다. 기존의 전투기를 개량하거나 별도의 고해상도 카메라를 장착한 정찰용 포드를 기존 전투기의 동체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소형 항공기나 복좌형 전투기의 후방석에 카메라를 가진 사진사가 탑승하여 목표물 등을 촬영하기도 했다. 이러한 형태의 정찰기는 고가의 개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하게 갖출 수 있고, 기존 전투기와 보급 및 부품, 창정비를 공유하여 운용 유지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기종은 다음과 같다.

  • RB-47H
  • RF-4C
  • Mig-25R
  • 제네럴 더이내믹스 RF16


무인 정찰기는 조종사 없이 원격 조종 또는 자동 비행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정찰기이다. 이스라엘군이 베카 계곡 전투에서 사용한 이래 기체가 작아 적의 대공방어망 회피에 유리하고, 대형 전투기가 접근할 수 없는 곳도 접근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선진국에서 채용이 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무인 항공기 문서를 참조하라.

3. 3. 탑재 장비에 따른 분류

사진 정찰기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한다. 기존 전투기를 개량하거나, 정찰용 포드를 전투기 동체 하부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소형 항공기나 복좌형 전투기 후방석에 카메라를 가진 사진사가 탑승하여 목표를 촬영했다. 이러한 방식은 저렴한 비용과 기존 전투기와의 부품 공유 등으로 운용 유지 비용이 절약되어 여전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RB-47H, RF-4C, Mig-25R, 제네럴 더이내믹스 RF16 등이 있다. 처음부터 정찰 전용기로 개발된 형태로는 미국의 SR-71과 U-2 등이 있다.

전자전 첩보기는 적의 통신 및 레이다 주파수 등 전자 정보(ELINT)를 수집하여, 효과적인 대응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적 통신망 감청 임무를 수행한다. 이 항공기들은 정규군에 편제되지만 실제 작전 운용은 정보부서에서 관할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기종으로 미국의 RC-135 (동해에서 북한 공군에 의해 격추된 적이 있다), EP-3 (지난 2001년 중국 공군의 F-8II 전투기와 충돌한 기체이다) 등이 있다. 이들은 중형 수송기를 개조한 것으로, 장시간 체공하며 정보를 수집해야 하므로 적당한 항속거리와 체공능력을 갖추면서도 지나치게 크지 않은 항공기를 선택한 결과이다. RC-135의 원형인 C-135도 수송기이며, EP-3는 P-3 오라이언 대잠전기를 전자전 용도로 개조한 것이다.

  • EC-1영어 (일본)

4. 한국의 정찰기

주변 강대국에 의한 안보 위협 때문에 한국은 독자적인 정보 획득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찰기 도입과 개발에 힘쓰고 있다.

5. 현재 사용

이스라엘,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많은 나라에서 다수의 UAV(Unmanned aerial vehicle) 정찰기가 최근에 실전 배치되었거나 개발 중에 있다.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U-2기를 닮은 고고도 제트 추진 비행기인 RQ-4 글로벌 호크와 좀 더 작은 크기의 중고도 RQ-1 프레데터가 있다.

정찰 위성 기술이 발전했지만, 위성 정찰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국가는 5대국 외에 이탈리아, 이스라엘, 인도 등 우주 기술 선진국뿐이다.[1] 그 외 국가들은 여전히 항공 정찰에 의존하고 있으며, 정찰 위성 운용 국가들도 장시간 연속 감시, 핵실험 감시, 대형 전자 장비 탑재가 필요한 정찰 등에는 여전히 항공 정찰을 활용한다.[1]

현재는 승무원이 필요 없는 '''무인 정찰기'''가 주목받고 있으며, 미군영국군을 필두로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3] 무인 정찰기는 기체를 소형화하여 레이더 탐지가 어렵고, 승무원의 피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장시간 정찰이 가능하며, 격추 시 인명 피해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

6. 미래 발전 방향



현재 무인 정찰기가 주목받고 있으며, 미군영국군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무인 정찰기는 조종사나 정찰 임무 수행 승무원이 탑승할 필요가 없어 기체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는 레이더 탐지를 어렵게 한다. 또한, 승무원의 피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시간 정찰이 가능하며, 격추 시 전사, 부상, 포로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기존 유인 정찰기는 소형 무인 정찰기의 모기로 활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couting and Early Attacks from Midway, 3–4 June 1942 http://www.history.n[...] United States Naval Historical Center 2010-06-18
[2] 웹사이트 Air Power:Aerial Reconnaissance in World War I http://centennialoff[...] 2018-03-16
[3] 웹사이트 During World War II, "F-Planes" Weren't Fighters - Defense Media Network http://www.defenseme[...] 2018-03-16
[4] 논문 Eyes of the Battle Fleet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5] 웹사이트 Air Power:Aerospace Power and the Cold War http://www.centennia[...] 2018-03-16
[6] 웹사이트 Satelite.Com Spy Satellites http://satelite.com/[...] 2018-03-16
[7] 웹사이트 Tactical Reconnaissance: UAVs versus Manned Aircraft https://fas.org/irp/[...] Air Command and Staff College 1997-03-00
[8] 웹사이트 旧海軍偵察機、静かに歴史語る「彩雲」の垂直尾翼展示 三沢航空科学館 http://www.kahoku.co[...] 河北新報オンラインニュース 2018-01-25
[9] 웹사이트 レイテ沖“史上最大の海戦” 迫る無数の魚雷の影、沈みゆく艦に敬礼…“囮”重巡洋艦「最上」乗員の証言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8-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