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비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비듐(Rubidium)은 은백색의 부드러운 알칼리 금속 원소로, 기호는 Rb, 원자 번호는 37이다. 1861년 로베르트 분젠과 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레피도라이트 광물에서 화염 분광법을 통해 발견했으며, 방출 스펙트럼의 붉은색 선에서 유래하여 루비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루비듐은 85Rb와 87Rb의 두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하며, 87Rb은 암석 연대 측정에 활용된다. 루비듐은 지각에 23번째로 풍부하며, 리시아운모가 주요 상업적 원천이다. 루비듐 화합물은 불꽃놀이, 레이저 냉각, 원자시계, 헬륨-3 편극 등에 사용되며, 루비듐-82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 활용된다. 루비듐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생물학적 환경에서 칼륨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독성은 낮은 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비듐 - 루비듐 동위 원소
    루비듐 동위 원소는 71에서 106 사이의 질량수를 가지며, 두 개의 안정 동위 원소(루비듐-85, 루비듐-87)를 갖고, 루비듐-87은 방사성 동위 원소로서 지질 연대 측정 및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에 활용된다.
  • 알칼리 금속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알칼리 금속 - 나트륨
    나트륨은 반응성이 매우 높은 알칼리 금속 원소로, 자연 상태에서는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식품, 의약품, 산업, 생물학적 기능, 원자로 냉각재, 나트륨 램프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 환원제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환원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루비듐
기본 정보
루비듐
원소 이름루비듐
일본어 이름ルビジウム
원자 번호37
원소 기호Rb
왼쪽 원소크립톤
오른쪽 원소스트론튬
위쪽 원소K
아래쪽 원소Cs
원소 계열알칼리 금속
1
주기5
블록s
겉모습은백색
원자 질량85.4678
원자 질량 주석3
전자 배치[Kr] 5s1
껍질 당 전자 수2, 8, 18, 8, 1
상태고체
밀도 (상온)1.532 g/cm³
밀도 (녹는점)1.46 g/cm³
녹는점312.46 K (39.31 °C, 102.76 °F)
끓는점961 K (688 °C, 1270 °F)
임계점 온도 (추정)2093 K
임계점 압력16 MPa
융해열2.19 kJ/mol
기화열75.77 kJ/mol
열용량31.060 J/mol·K
증기압 (1 Pa)434 K
증기압 (10 Pa)486 K
증기압 (100 Pa)552 K
증기압 (1 kPa)641 K
증기압 (10 kPa)769 K
증기압 (100 kPa)958 K
결정 구조체심 입방정계
산화 상태1 (강염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0.82
이온화 에너지 (첫 번째)403 kJ/mol
이온화 에너지 (두 번째)2632.1 kJ/mol
이온화 에너지 (세 번째)3859.4 kJ/mol
원자 반지름248 pm
공유 반지름220±9 pm
반데르발스 반지름303 pm
자기 정렬상자성
전기 저항 (20 °C)128 nΩ·m
열전도율58.2 W/m·K
음속 (막대, 20 °C)1300 m/s
영률2.4 GPa
부피 탄성 계수2.5 GPa
모스 굳기0.3
브리넬 굳기0.216 MPa
CAS 등록 번호7440-17-7
동위 원소
루비듐-83존재비: syn
반감기: 86.2 d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
붕괴 후 원소: Kr
붕괴 방식 2: γ
붕괴 에너지 2: 0.52, 0.53, 0.55
루비듐-84존재비: syn
반감기: 32.9 d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
붕괴 후 원소: Kr
붕괴 방식 2: β+
붕괴 에너지 2: 1.66, 0.78
붕괴 후 원소 2: Kr
붕괴 방식 3: γ
붕괴 에너지 3: 0.881
붕괴 방식 4: β-
붕괴 에너지 4: 0.892
붕괴 후 원소 4: Sr
루비듐-85존재비: 72.168%
중성자 수: 48
루비듐-86존재비: syn
반감기: 18.65 d
붕괴 방식: β-
붕괴 에너지: 1.775
붕괴 후 원소: Sr
붕괴 방식 2: γ
붕괴 에너지 2: 1.0767
루비듐-87존재비: 27.835%
반감기: 4.88 × 1010 y
붕괴 방식: β-
붕괴 에너지: 0.283
붕괴 후 원소: Sr

2. 역사

루비듐은 1920년대 이전까지는 산업적 가치가 거의 없었다.[21] 이후 루비듐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주로 화학 및 전자 응용 분야의 연구 개발이었다. 1995년에는 루비듐-87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었는데,[38] 이 발견으로 에릭 앨린 코넬, 칼 에드윈 위먼, 볼프강 케터르레는 200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9]

2. 1. 발견

1861년,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로베르트 분젠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레피도라이트 광물에서 화염 분광법을 통해 루비듐을 발견하였다.[31][32] 방출 스펙트럼에서 밝은 붉은색 선이 나타났기에, "진한 빨강"을 의미하는 라틴어 rubidus|루비두스la에서 유래한 루비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왼쪽)와 로베르트 분젠(가운데)은 분광기를 이용하여 루비듐을 발견했다. (오른쪽은 헨리 앤필드 로스코.)


분젠과 키르히호프는 분광기를 발명한 지 1년 후, 세슘에 이어 루비듐을 발견하였다.[33] 이들은 44000L의 광천수로 세슘과 루비듐 화합물의 대규모 분리 작업을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7.3g의 염화 세슘과 9.2g의 염화 루비듐을 얻었다.[31][32]

두 과학자는 염화 루비듐을 사용하여 이 새로운 원소의 원자량을 85.36으로 추정했는데(현재 받아들여지는 값은 85.47이다).[31]

2. 2. 초기 연구

1861년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로베르트 분젠구스타프 키르히호프는 레피도라이트(리티아 운모) 광물에서 분광기를 이용하여 루비듐을 발견했다.[31][32]

루비듐은 레피도라이트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키르히호프와 분젠은 산화루비듐(Rb₂O)을 겨우 0.24%만 포함하는 레피도라이트 150kg을 처리했다. 칼륨과 루비듐은 헥사클로로백금(IV)산에 의해 불용성 염을 생성하지만, 이들 염은 온수에서 용해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 결과, 헥사클로로백금(IV)산칼륨보다 용해도가 낮은 헥사클로로백금산루비듐이 분별 결정법으로 얻어졌다. 수소에 의한 헥사클로로백금산염의 환원 후, 탄산염의 알코올에 대한 용해도 차이에 의해 루비듐의 분리가 성공했다. 이 과정을 통해 추가 연구에 사용할 염화 루비듐 0.51g을 얻었다. 세슘과 루비듐의 최초의 대규모 분리는 키르히호프와 분젠에 의해 44000L의 광천수에서 이루어졌으며, 7.3g의 염화 세슘과 9.2g의 염화루비듐이 분리되었다.[31][32] 루비듐은 키르히호프와 분젠에 의해 분광기가 발명된 지 1년 후, 세슘 바로 뒤에 발견된 두 번째 원소였다.[33]

키르히호프와 분젠은 이렇게 얻어진 염화루비듐을 사용하여 새로운 원소의 원자량을 추정했고, 그 결과 루비듐의 원자량을 85.47로 추정했다(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값과 동일하다).[31] 그들은 용융된 염화루비듐의 전기 분해에 의해 루비듐의 단체를 얻으려고 했고, 육안 관찰에서도 현미경 관찰에서도 금속 물질이라는 미세한 흔적도 보이지 않는 청색의 균일한 물질을 얻었다. 그들은 그것을 아염화물(Rb₂Cl)이라고 했지만, 그것은 아마도 금속 루비듐과 염화루비듐의 콜로이드상 혼합물일 것이다.[34] 금속 루비듐을 얻기 위한 두 번째 실험에서 분젠은 타르타르산루비듐의 소성에 의해 루비듐을 환원할 수 있었다. 증류된 루비듐은 자연 발화성 물질이었지만, 루비듐의 밀도와 융점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1860년대에 수행된 연구의 질은 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수치와 비교하여 밀도의 차이가 0.1g/cm³ 미만이고, 융점의 차이도 1°C 미만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35]

1908년 루비듐의 약간의 방사능이 발견되었지만, 1910년대에 동위 원소 원소의 이론이 확립되기 전이었고, 10¹⁰년을 넘는 긴 반감기로 인해 활성이 낮았기 때문에 설명이 어려웠다. 현재 증명된, 베타 붕괴에 의해 안정적인 ⁸⁷Sr이 되는 ⁸⁷Rb의 붕괴는 1940년대 후반에도 여전히 논쟁 중이었다.[36][37]

3. 특징

루비듐은 아주 부드럽고, 연성을 가진 은백색의 물질이다. 비방사성 알칼리 금속 중 두 번째로 양전기를 띤다. 다른 알칼리 금속과 비슷하게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수은, , , 세슘, 칼륨아말감을 형성하지만, 리튬과는 아말감을 형성하지 않는다. 약한 방사성인 칼륨과 강한 방사성인 세슘처럼, 물과 루비듐의 반응은 수소 기체를 점화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 루비듐은 공기 중에서 자발적으로 점화한다고 보고된 적이 있다.[134] 406 kJ/mol의 아주 작은 이온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135] 루비듐과 칼륨은 불꽃 실험에서 아주 비슷한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분광학이 필요하다.

3. 1. 물리적 성질

은백색의 매우 무른 금속이다.[69] 연성이 크다.[3] 녹는점은 39.3°C이고 끓는점은 688°C이다.[4] 비방사성 알칼리 금속 중 두 번째로 전기양성이 높다. 수은과 아말감을 형성하며, , , 세슘, 나트륨, 칼륨합금을 형성하지만, 리튬과는 형성하지 않는다.[5] 루비듐과 칼륨은 불꽃 시험에서 매우 유사한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두 원소를 구별하려면 분광학과 같은 더 정교한 분석이 필요하다.[6]

앰풀 안에 부분적으로 녹은 루비듐 금속

3. 2. 화학적 성질

루비듐은 아주 부드럽고, 연성을 가진 은백색 금속이다. 전기 양성도가 비방사성 알칼리 금속 중 두 번째로 높으며,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403 kJ/mol로 매우 낮다.[4] 전자 배열은 [Kr]5s1이며, 감광성을 갖는다.[25]

강한 전기 양성 특성으로 인해 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수산화 루비듐수소 기체를 생성한다.[7][25]

: 2 Rb + 2 H₂O -> 2 RbOH + H₂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기체에 불이 붙을 만큼 강력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8] 칼륨보다 밀도가 높은 루비듐은 물에 가라앉으면서 격렬하게 반응하며, 세슘은 물과 접촉하면 폭발한다.[9] 그러나 모든 알칼리 금속의 반응 속도는 물과 접촉하는 금속의 표면적에 따라 달라지며, 작은 금속 방울은 폭발적인 속도를 낸다.[10] 루비듐은 공기 중에서 자연 발화하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3] 따라서 대한민국에서는 소방법에 따라 자연 발화성 물질로 위험물로 지정되어 있다.

수은에는 발열적으로 용해되어 아말감을 형성하고, , , 세슘, 나트륨, 칼륨합금을 형성하지만, 리튬과는 형성하지 않는다.[5][70][71] 루비듐과 칼륨은 불꽃 시험에서 매우 유사한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두 원소를 구별하려면 분광학과 같은 더 정교한 분석이 필요하다.[6]

4. 동위 원소

루비듐은 단일 동위원소 원소이지만, 지구 지각의 루비듐은 안정한 85Rb(72.2%)와 방사성인 87Rb(27.8%)의 두 동위원소로 구성되어 있다.[14] 천연 루비듐은 방사성이며, 약 670 Bq/g의 비활동도를 가지고 있어 110일 이내에 사진 필름을 상당히 노출시킬 수 있다.[15][16] 30개 이상의 추가적인 루비듐 동위원소가 합성되었으며, 반감기는 3개월 미만이다. 대부분은 매우 방사성이 강하며, 활용도가 거의 없다.[17]87Rb은 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년인 우주의 나이의 세 배가 넘는다.[18] 따라서 원시 핵종이다. 이것은 광물에서 칼륨을 쉽게 대체하므로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Rb는 암석 연대 측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87Rb는 안정한 87Sr로 베타 붕괴한다. 분별 결정작용 동안 Sr은 사장석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Rb는 액체 상에 남아 있다. 따라서 잔류 마그마의 Rb/Sr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며, 진행되는 분화 작용은 Rb/Sr 비율이 높은 암석을 생성한다. 가장 높은 비율(10 이상)은 페그마타이트에서 나타난다. 초기 Sr의 양을 알거나 추정할 수 있다면, Rb와 Sr의 농도와 87Sr/86Sr 비율을 측정하여 연대를 결정할 수 있다. 암석이 이후에 변형되지 않았다면( 루비듐-스트론튬 연대 측정 참조) 이 날짜는 광물의 실제 연대를 나타낸다.[19][20]

루비듐의 비천연 동위원소 중 하나인 루비듐-82는 25.36일의 반감기를 가진 스트론튬-82의 전자 포획 붕괴에 의해 생성된다. 76초의 반감기를 가진 루비듐-82는 양전자 방출에 의해 안정한 크립톤-82로 붕괴한다.[14]

5. 존재

루비듐은 지각에서 23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며, 아연과 비슷한 정도로 풍부하고, 구리보다는 약간 더 흔하다.[21][73] 자연에서는 백류석, 폴루사이트, 카날라이트, 진왈다이트 등의 광물에 산화물 형태로 최대 1% 정도 포함되어 있다. 리시아운모는 0.3%에서 3.5%의 루비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루비듐을 얻는 주요 원천이다.[22][74] 일부 칼륨 광물과 염화칼륨에도 상업적으로 중요한 양의 루비듐이 포함되어 있다.[23]

리시아운모 샘플
루비듐의 원천인 리시아운모


해수에는 평균 125μg/L의 루비듐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408mg/L의 칼륨에 비해 훨씬 적고, 0.3μg/L의 세슘에 비해 훨씬 많다.[24][75]

큰 이온 반지름 때문에 루비듐은 "비호환 원소" 중 하나이다.[26][76] 마그마 결정화 과정에서 루비듐은 더 무거운 동족 원소인 세슘과 함께 액체 상에 농축되어 마지막에 결정화된다. 따라서 루비듐과 세슘의 가장 큰 매장지는 이러한 농축 과정으로 형성된 대상 페그마타이트 광체이다. 루비듐은 마그마 결정화 과정에서 칼륨을 대체하기 때문에 세슘에 비해 농축 효율이 훨씬 낮다. 폴루사이트 또는 리튬 광물인 리시아운모와 같이 채굴 가능한 양의 세슘을 함유한 대상 페그마타이트 광체는 부산물로 루비듐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원천이다.[21][73]

루비듐의 두 가지 주목할 만한 원천은 캐나다 매니토바주 베르닉 호수의 풍부한 폴루사이트 매장지와 이탈리아 엘바 섬에서 폴루사이트의 불순물로 발견되는 루비듐 함량 17.5%의 루비클라인 ((Rb,K)AlSi3O8)이다.[27][77] 이 매장지는 모두 세슘의 원천이기도 하다.[28]

6. 생산

루비듐은 세슘보다 지각에 더 풍부하지만, 활용 분야가 제한적이고 루비듐이 풍부한 광물이 부족하여 루비듐 화합물의 연간 생산량은 2ton에서 4ton에 불과하다.[21] 칼륨, 루비듐, 세슘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분별 결정, 염화주석 공정, 페로시안화물 공정 등이 있다.[21][29]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칼륨 생산의 부산물인 알카르브(Alkarb)가 주요 루비듐 공급원이었다. 알카르브는 21%의 루비듐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는 칼륨과 소량의 세슘이었다.[30] 현재는 폴루사이트에서 부산물로 루비듐을 생산한다.[21]

7. 용도

미국 해군 천문대의 루비듐 분수 원자시계


루비듐 화합물은 불꽃놀이에 보라색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40] 또한, 루비듐은 고온의 루비듐 이온이 자기장을 통과하는 자기유체역학 원리를 이용한 열전발전기에 사용될 가능성이 고려되고 있다.[41] 이 이온들은 전기를 전도하고 발전기의 전기자 역할을 하여 전류를 생성한다.

레이저 냉각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원자 종 중 하나는 기화된 87Rb이다. 이 응용 분야에서 바람직한 특징으로는 관련 파장에서 저렴한 다이오드 레이저 광의 용이한 가용성과 상당한 증기압을 얻는 데 필요한 적당한 온도가 있다.[42] 조정 가능한 상호 작용이 필요한 저온 원자 응용 분야의 경우, 풍부한 페슈바흐 공명 스펙트럼 때문에 85Rb이 선호된다.[44]

루비듐은 3He의 편극에 사용되어 핵 스핀이 무작위가 아닌 정렬된 자화된 3He 기체 부피를 생성한다. 루비듐 증기는 레이저에 의해 광펌핑되고, 편극된 Rb는 초미세 구조 상호 작용을 통해 3He를 편극한다.[45] 이러한 스핀 편극된 3He 셀은 중성자 편극 측정과 다른 목적을 위한 편극된 중성자 빔 생성에 유용하다.[46]

원자시계의 공진 요소는 루비듐 에너지 준위의 초미세 구조를 이용하며, 루비듐은 고정밀 시간 측정에 유용하다. 기지국 송신기 및 기타 전자 송신, 네트워킹 및 시험 장비에서 2차 주파수 기준(루비듐 발진기)의 주요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루비듐 표준은 종종 GNSS와 함께 사용되어 세슘 표준보다 정확성이 높고 비용이 저렴한 "1차 주파수 표준"을 생성한다.[47][48] 이러한 루비듐 표준은 종종 통신 산업에서 대량 생산된다.[49]

루비듐의 기타 잠재적 또는 현재 용도에는 증기 터빈의 작동 유체, 진공관게터, 광전지 구성 요소가 포함된다.[50] 루비듐은 또한 특수 유형의 유리 성분, 산소에서 연소하여 초산화물 생산, 생물학에서 칼륨 이온 채널 연구, 원자 자력계의 증기로 사용된다.[51] 특히, 87Rb은 스핀 교환 완화 없는(SERF) 자력계 개발에서 다른 알칼리 금속과 함께 사용된다.[51]

루비듐-82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 사용된다. 루비듐은 칼륨과 매우 유사하며, 칼륨 함량이 높은 조직은 방사성 루비듐도 축적한다. 주요 용도 중 하나는 심근 관류 영상이다. 뇌종양에서 혈액-뇌 장벽의 변화로 인해 루비듐은 정상 뇌 조직보다 뇌종양에 더 많이 축적되어 방사성 동위원소 루비듐-82를 핵의학에서 뇌종양을 찾고 영상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52] 루비듐-82는 반감기가 76초로 매우 짧으며, 스트론튬-82의 붕괴로부터의 생산은 환자 근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53]

루비듐은 조울증과 우울증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실험되었다.[62][54] 우울증을 앓는 투석 환자는 루비듐이 고갈되어 있으므로, 우울증 치료에 보충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55] 일부 실험에서는 최대 720mg/일의 염화루비듐을 60일 동안 투여했다.[56][57]

8. 분석

정성 분석에는 발광 스펙트럼 분석 (420~428nm에서 보라색 이중선 발광) 또는 염색 반응 (보라색 불꽃)이 사용된다.[107] 중량 분석법으로는 황산루비듐 또는 염화루비듐으로 침전시켜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108][109][110] 원자흡광법(AAS) 또는 플레임 광도 분석법이 간편하게 사용되며,[113] 이온화 억제제를 첨가하여 분석한다.[116][114]

루비듐의 정량 분석에는 원자흡광법(AAS) 또는 플레임 광도 분석법이 가장 간편하다.[113] 이들 측정에서 가장 고감도의 흡수 파장은 780.027 nm이다.[114] AAS에서는 일반적으로 공기-아세틸렌 불꽃을 사용한 불꽃 원자흡광법이 사용되지만, 흑연로 원자흡광법을 사용하면 검출 한계 1.6 pg의 고감도 분석이 가능하다.[114][115] 루비듐은 이온화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불꽃 내에서 이온화가 심하여 분석 결과에 음의 오차가 발생하여 정량값이 낮아지므로, 시료액에 이온화 억제제로 고농도의 칼륨이나 세슘 등의 이온화되기 쉬운 원소를 첨가하여 분석한다.[116][114]

식물체 중 루비듐 분석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설명
시료 채취식물체의 건조 분쇄 시료를 채취한다.
추출묽은 염산을 넣고 진탕 추출한다.
여과건조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적절히 희석한다.
이온화 억제제 첨가희석액에 규정량의 세슘을 넣는다.
측정원자흡광으로 78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거나, 플레임 광도계로 780 nm의 발광 강도를 측정한다.


9. 화합물

염화 루비듐(RbCl)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루비듐 화합물이다. DNA를 추출하거나 생체 지표로 사용된다.[11] 다른 일반적인 루비듐 화합물로는 부식성이 있는 수산화 루비듐(RbOH)이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루비듐 기반 화학 공정의 원료로 사용된다. 탄산 루비듐(Rb2CO3)은 일부 광학 유리에 사용된다. 요오드화 은 루비듐(RbAg4I5)는 알려진 이온 결정 중 상온에서 가장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박막 배터리 등에 활용된다.[12]

루비듐은 공기에 노출되면 일산화 루비듐(Rb2O), Rb6O, Rb9O2 등 여러 산화물을 형성한다. 과량의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슈퍼옥사이드인 RbO2를 생성한다. 루비듐은 할로젠 원소와 반응하여 플루오르화 루비듐, 염화 루비듐, 브롬화 루비듐, 요오드화 루비듐 등의 염을 생성한다.[13]

10. 안전성 및 생물학적 영향

루비듐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건조한 미네랄 오일 속에 보관하거나 불활성 기체 분위기의 유리 앰플에 밀봉한다.[59] 루비듐은 오일에 확산된 소량의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과산화물을 형성하므로, 칼륨을 보관할 때와 유사한 주의가 필요하다.[59]

인체는 Rb+ 이온을 칼륨 이온처럼 취급하여 세포내액에 농축시킨다.[60] 루비듐 이온 자체는 독성이 강하지 않아서, 70kg인 사람은 평균 0.36g의 루비듐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값이 50~100배 증가하더라도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61] 루비듐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31~46일이다.[62] 그러나 쥐의 근육 조직 내 칼륨의 50% 이상이 루비듐으로 대체되면 쥐는 죽었다.[63][64]

참조

[1] 논문 Rubidium and Rubidium Compounds
[2] 웹사이트 Rubidium (Rb) https://www.american[...] 2024-03-27
[3] 서적 Analysis, detection and commercial value of the rare metals Mining Science Pub. Co. 1910
[4] 웹사이트 Rubidium https://www.rsc.org/[...] 2024-09-09
[5]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1985
[6] 논문 Association of rubidium and potassium and their abundance in common igneous rocks and meteorites https://dx.doi.org/1[...] 1952-01-01
[7] 서적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a comprehensive text Interscience Publishers 1972
[8] 웹사이트 Information on Alkali Metals – Stanford Environmental Health & Safety https://eh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24-09-12
[9] 웹사이트 Reactions of the Group 1 elements with water https://www.chemguid[...] 2024-09-12
[10] 서적 Alkali Metal Handling and Systems Operating Techniques Gordon and Breach 1968
[11] 서적 Solid state chemistry: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RC Press 1995
[12] 논문 Relationship of structure and ionic mobility in solid MAg4I5 1967
[13]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Butterworth-Heinemann
[14] 논문 The NUBASE evaluation of nuclear and decay properties https://hal.archives[...]
[15] 논문 On the Possible Radioactivity of Erbium, Potassium and Rubidium https://zenodo.org/r[...] 1909
[16]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a ready-reference book of chemical and physical data https://books.google[...] CRC-Press 1995-06
[17] 웹사이트 Universal Nuclide Chart http://www.nucleonic[...] nucleonica 2017-01-03
[18] 논문 Planck 2015 results. XIII. Cosmological parameters (See Table 4 on page 31 of pfd).
[19] 서적 Isotopes in the Earth Sciences Springer 1988
[20] 서적 Essentials of geochemistry Jones & Bartlett Learning 2009
[21] 간행물 Mineral Commodity Profile: Rubidium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12-04
[22] 논문 Trace element chemistry of lithium-rich micas from rare-element granitic pegmatites 1995
[23] 서적 United States mineral resources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2010-09-26
[24] 논문 The distribution of rubidium, cesium and barium in the oceans 1964
[25] 서적 The Chemistry of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esium and Francium https://doi.org/10.1[...] Pergamon 1973
[26] 서적 Cosmochemis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7] 논문 Rubicline, a new feldspar from San Piero in Campo, Elba, Italy 1998
[2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Elements https://onlinelibrar[...] Wiley
[29] 서적 bulletin 585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Bureau of Mines 1995
[30] 논문 Cesium and Rubidium Hit Market 1959
[31] 논문 Chemische Analyse durch Spectralbeobachtungen http://archiv.ub.uni[...] 1861
[32]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III. Some spectroscopic discoveries 1932
[33] 웹사이트 C&EN: It's Elemental: The Periodic Table – Cesium http://pubs.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3
[34] 서적 Colloids and the Ultra Microscope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9-26
[35] 논문 Ueber die Darstellung und die Eigenschaften des Rubidiums https://zenodo.org/r[...] 1863
[36] 논문 The natural radioactivity of rubidium 1952
[37] 논문 The Radioactivity of Rubidium https://archive.org/[...] 1908
[38] 보도자료 The 2001 Nobel Prize in Physics http://nobelprize.or[...] 2010-02-01
[39] 논문 Cornell, Ketterle, and Wieman share Nobel Prize for Bose-Einstein condensates
[40] 논문 Special Materials in Pyrotechnics, Part II: Application of Caesium and Rubidium Compounds in Pyrotechnics http://www.jpyro.com[...] 2010-01-29
[41] 서적 Chemical principles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81
[42] 논문 Bose-Einstein condensation (all 20 articles) http://nvl.nist.gov/[...] 2015-09-14
[43] 논문 Output coupling of a Bose-Einstein condensate formed in a TOP trap 1999
[44] 논문 Feshbach resonances in ultracold gases 2010-04-29
[45] 논문 Polarized 3He spin filters for slow neutron physics http://www.ncnr.nist[...] 2015-08-06
[46] 웹사이트 Neutron spin filters based on polarized helium-3 http://www.ncnr.nist[...] NIST Center for Neutron Research 2002 Annual Report 2008-01-11
[47] 서적 Measurement, control, and communication using IEEE 1588 Springer 2006-04-11
[48] 서적 Data network engineering Springer 1999-07-31
[49] 서적 Advances in electronics and electron physics Academic Press 1977-01-01
[50] 서적 Introduction To Nuclear And Particle Physics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Of India Pvt. Limited 2009
[51] 논문 Parametric modulation of an atomic magnetometer 2006
[52] 논문 Brain tumor evaluation using Rb-82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1982
[53] 서적 Clinical PET and PET/CT Springer 2005
[54] 논문 Rubidium in psychiatry: Research implications 1984
[55] 논문 Depression in dialysis patients: Rubidium supplementation before other drugs and encouragement? 2001
[56] 서적 Textbook of Integrative Mental Health Care https://books.google[...] Thieme Medical Publishers 2006
[57] 논문 Rubidium chloride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1993
[58] 웹사이트 Rubidium 276332 https://www.sigmaald[...]
[59] 서적 Chemical risk analysis: a practical handbook Butterworth-Heinemann 2004-07-01
[60] 논문 The Physiological Behavior of Rubidium and Cesium in Relation to That of Potassium 1956
[61] 논문 Rubidium chloride ingestion by volunteer subjects: Initial experience 1971
[62] 논문 Effects of rubidium chloride on the course of manic-depressive illness 1978
[63] 논문 A pharmacokinetic analysis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rubidium chloride http://jcp.sagepub.c[...] 1991
[64] 논문 Histological effects in rats resulting from adding rubidium or cesium to a diet deficient in potassium https://journals.phy[...] 1943
[65] 서적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http://www-d0.fnal.g[...] CRC press 2012-01-12
[66] 웹사이트 http://www.encyclo.c[...]
[67] 논문 Chemische Analyse durch Spectralbeobachtungen
[68]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III. Some spectroscopic discoveries
[69] 서적 Analysis, detection and commercial value of the rare metals https://books.google[...] Mining Science Pub. Co.
[70]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71]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 (1987)
[72] 서적 Principles of Chemistry: The Molecular Science https://books.google[...] 2009-01-21
[73] 웹사이트 Mineral Commodity Profile: Rubidium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12-04
[74] 논문 Trace element chemistry of lithium-rich micas from rare-element granitic pegmatites
[75] 논문 The distribution of rubidium, cesium and barium in the oceans
[76] 서적 Cosmochemistry https://books.google[...]
[77] 논문 Rubicline, a new feldspar from San Piero in Campo, Elba, Italy http://ammin.geoscie[...]
[78] 서적 bulletin 585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Bureau of Mines
[79] 논문 Cesium and Rubidium Hit Market
[80] 서적 図説地球科学 岩波書店
[81] 논문 Special Materials in Pyrotechnics, Part II: Application of Caesium and Rubidium Compounds in Pyrotechnics http://www.jpyro.com[...]
[82] 서적 Chemical principles https://books.google[...]
[83] 논문 http://nvl.nist.gov/[...]
[84] 논문 Polarized 3He spin filters for slow neutron physics http://nvl.nist.gov/[...]
[85] 웹사이트 Neutron spin filters based on polarized helium-3 http://www.ncnr.nist[...] NIST Center for Neutron Research 2002 Annual Report 2008-01-11
[86] 서적 Measurement, control, and communication using IEEE 1588 https://books.google[...] 2006-04-11
[87] 서적 Data network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1999-07-31
[88] 서적 Advances in electronics and electron physics https://books.google[...] 1977-01-01
[89] 서적 Introduction To Nuclear And Particle Physics https://books.google[...]
[90] 논문 Parametric modulation of an atomic magnetometer
[91] 서적 Clinical PET and PET/CT https://books.google[...]
[92] 논문 Brain tumor evaluation using Rb-82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93] 논문 Effects of rubidium chloride on the course of manic-depressive illness.
[94] 논문 Rubidium in psychiatry: Research implications
[95] 논문 Depression in dialysis patients: Rubidium supplementation before other drugs and encouragement?
[96] 서적 Textbook of Integrative Mental Health Care https://books.google[...] Thieme Medical Publishers
[97] 논문 Chemische Analyse durch Spectralbeobachtungen
[98]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III. Some spectroscopic discoveries
[99] 웹사이트 C&EN: It's Elemental: The Periodic Table – Cesium http://pubs.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0-02-25
[100] 서적 Colloids and the Ultra Microscope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9-26
[101] 논문 Ueber die Darstellung und die Eigenschaften des Rubidiums.
[102] 논문
[103] 논문
[104] 웹사이트 Mineral Commodity Profiles Rubidium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10-13
[105]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2001 Nobel Prize in Physics https://www.nobelpri[...] 2010-02-01
[106] 웹사이트 Cornell, Ketterle, and Wieman Share Nobel Prize for Bose-Einstein Condensates http://www.physicsto[...] Physics Today online 2008-01-26
[107] 문서 シャルロー (1974)
[108] 문서 加藤 (1932)
[109] 문서 加藤 (1932)
[110] 문서 加藤 (1932)
[111] 문서 加藤 (1932)
[112] 문서 加藤 (1932)
[113] 문서 寺島 (1973)
[114] 서적 High-Resolution Continuum Source AAS: The Better Way to Do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John Wiley & Sons
[115] 간행물 グラファイト炉原子吸光法による岩石試料中の微量元素の分析 http://ir.lib.shizuo[...] 静岡大学 2012-01-09
[116] 문서 寺島 (1973)
[117] 서적 ベーシック機器分析化学 化学同人
[118] 서적 Solid state chemist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119] 간행물 Relationship of structure and ionic mobility in solid MAg4I5
[120] 문서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 (1987)
[121] 문서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 (1987)
[122] 간행물 The NUBASE Evaluation of Nuclear and Decay Properties Atomic Mass Data Center
[123] 간행물 On the Possible Radioactivity of Erbium, Potassium and Rubidium
[124]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a ready-reference book of chemical and physical data https://books.google[...] 1995-06
[125] 웹사이트 Seven-Year Wil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WMAP) Observations: Sky Maps, Systematic Errors, and Basic Results http://lambda.gsfc.n[...] nasa.gov 2011-02-01
[126] 서적 Isotopes in the Earth Sci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27] 서적 Essentials of geochemistr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128] 서적 Chemical risk analysis: a practical handbook https://books.google[...] 2004-07-01
[129] 간행물 The physiological behavior of rubidium and cesium in relation to that of potassium http://www.ncbi.nlm.[...]
[130] 간행물 Rubidium chloride ingestion by volunteer subjects: Initial experience
[131] 간행물 A pharmacokinetic analysis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rubidium chloride. http://jcp.sagepub.c[...]
[132] 간행물 Histological Effects in rats resulting from adding Rubidium or Cesium to a diet deficient in potassium http://ajplegacy.phy[...]
[133] 서적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http://www-d0.fnal.g[...] CRC press
[134] 서적 Analysis, detection and commercial value of the rare metals http://books.google.[...] Mining Science Pub. Co.
[135] 서적 Principles of Chemistry: The Molecular Science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