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V2는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 람세스 4세의 무덤으로, 왕가의 계곡에 위치해 있다. 무덤 설계 도면은 두 점이 남아있는데, 이탈리아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 소장 파피루스 도면에는 석관 주변에 4단 동심원 구조가 묘사되어 있으며, 무덤 입구 부근에서 발견된 석회암판 도면은 무덤의 대략적인 문 위치를 나타낸다. KV2는 3개의 복도와 묘실, 부속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의 연도, 동굴의 서 등 벽화로 장식되어 있다. 고대부터 방문객이 찾아 낙서가 많이 남아있으며, 18세기부터 유럽인들의 방문과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V2 | |
|---|---|
| 기본 정보 | |
![]() | |
| 소유자 | 람세스 4세 |
| 위치 | 왕가의 계곡 (이스트 밸리) |
| 개방 시기 | 고대부터 노출 |
| 발굴자 | 에드워드 R. 에어톤 (1905년~1906년) 하워드 카터 (1920년) |
| 이전 | KV1 |
| 다음 | KV3 |
| 장식 | |
| 내용 | 라의 연도 동굴의 서 사자의 서 암두아트의 서 천국의 서 |
2. 조성 계획
KV2는 람세스 4세의 무덤으로, 조성 계획과 관련된 두 가지 도면이 남아 있다. 하나는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에 소장된 파피루스 도면이고, 다른 하나는 무덤 입구 근처에서 발견된 석회암판 도면이다. 이 두 도면은 무덤의 구조와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파피루스 도면은 제례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2. 1. 토리노 파피루스 도면
람세스 4세 무덤의 설계 도면은 두 점이 남아 있다. 하나는 이탈리아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이 소장 중인 파피루스 자료로, 1:28 축척으로 람세스 4세의 무덤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는 모든 통로와 방이 그려져 있으며, 치수는 신관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이 평면도에는 파라오의 석관 주변으로 4단 동심원을 두르는 구조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온전히 발견된 구조와 동일하다.[1]또 다른 도면은 무덤 입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발견된 것으로, 석회암 판에 새겨져 있다. 이는 무덤의 문 위치를 대강 나타낸 평면도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도면을 "인부의 낙서"로 보기도 하지만,[2] 파피루스 도면은 제례상의 목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덤이 완성된 후 봉헌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2. 2. 석회암판 도면
람세스 4세 무덤의 설계 도면은 두 점이 남아 있다. 하나는 이탈리아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이 소장 중인 파피루스 자료로, 1:28 축척으로 람세스 4세의 무덤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모든 통로와 방이 그려져 있으며, 치수는 신관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파피루스 도면에 따르면 파라오의 석관 주변으로 4단 동심원을 두르는 구조는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온전히 발견된 구조와 동일하다.[1]또 다른 도면은 무덤 입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발견된 석회암 판에 새겨져 있다. 이 도면은 무덤의 문 위치를 대강 나타낸 평면도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석회암판 도면을 "인부의 낙서"로 보기도 하지만,[2] 파피루스 도면은 제례상의 목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덤이 완성된 후 봉헌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3. 무덤 구조

KV2는 왕가의 계곡 북서쪽 언덕 기슭에 발굴되었으며, 제20왕조의 다른 무덤과 마찬가지로 직선 축을 따라 배치되었다. 람세스 3세 이후 파라오들은 비슷한 구조와 내부 벽화 장식을 가진 무덤을 만들었다. 무덤의 전체 길이는 88.66m이며,[3] 완만하게 경사진 세 개의 복도, 넓은 방, 묘실, 좁은 복도와 세 개의 부속실로 구성되어 있다.
무덤 내부는 대부분 손상되지 않았으며 라의 연도, 동굴의 서, 사자의 서, 암두아트의 서, 천국의 서를 묘사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다. 석관은 부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무덤 입구에서는 신관문자가 새겨진 오스트라콘이 발견되었는데, 람세스 4세 재위 2년차에 지역 총독과 파라오의 시종장 2명이 무덤 위치를 선정했다는 정보가 담겨 있다. 람세스 4세는 늦은 나이에 왕위에 올라 약 6년이라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큰 무덤을 만들기 위해 데르 엘 메디나의 작업 인력을 두 배(120명)로 늘렸다. KV2는 크기는 크지만 디자인과 장식이 "단순하다"고 평가받는다.[4]
3. 1. 내부 구조
KV2는 왕가의 계곡 북서쪽 언덕 기슭에 있으며, 이집트 제20왕조의 다른 무덤들과 마찬가지로 직선 축을 따라 배치된 구조이다. 람세스 3세 이후 파라오들은 비슷한 구조와 내부 벽화 장식을 가진 무덤을 만들었다.무덤의 총 길이는 88.66m이며,[3] 완만하게 경사진 세 개의 복도 (B, C, D)로 구성된다. 이 복도들을 지나면 넓은 방(E)과 묘실(J)이 나온다. 묘실 뒤에는 좁은 복도(K)와 세 개의 부속실(Ka, Kb, Kc)이 있다.[3]
무덤 내부는 대부분 손상되지 않았고, 라의 연도, 동굴의 서, 사자의 서, 암두아트의 서, 천국의 서를 묘사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다. 석관은 부서진 채 발견되었으며, 고대에 이미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람세스 4세의 미라는 나중에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다.
무덤 입구에서는 신관문자가 새겨진 오스트라콘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람세스 4세 재위 2년차에 지역 총독과 파라오의 시종장 2명이 무덤 위치를 선정했다는 정보가 담겨 있다. 람세스 4세는 늦은 나이에 왕위에 올라, 약 6년이라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큰 무덤을 만들기 위해 데르 엘 메디나의 작업 인력을 두 배(120명)로 늘렸다. KV2는 크기는 크지만, 디자인과 장식은 "단순하다"는 평가를 받는다.[4]
3. 2. 벽화 장식
무덤 내부는 대부분 손상되지 않았으며, 라의 연도, 동굴의 서, 사자의 서, 암두아트의 서, 천국의 서를 묘사한 벽화로 꾸며져 있다.[3] 석관은 부서진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고대에 이미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 람세스 4세의 미라는 이후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다.3. 3. 석관과 미라
석관은 부서진 상태이며 고대에 이미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 람세스 4세의 미라는 후대에 이르러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다.[3]4. 고대 방문
KV2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이 찾았던 11개의 무덤 중 하나로, 무덤 내부에 새겨진 낙서 수는 총 656건으로 왕가의 계곡 내에서 KV9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5] 대부분의 낙서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의 방문객들이 남기고 간 것이며, 콥트어로 쓰여진 낙서도 50여 건으로 파악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입구 통로 우측 벽면에 남겨져 있다.[5] 무덤 자체가 콥트교 수도승들의 거처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데,[5] 그 증거로 콥트교 표식과 십자가가 무덤 벽면에 남아 있다.

1743년 리처드 포코크는 《이집트 조사》 (Observations of Egypt)를 저술하면서 KV2 무덤을 'B 무덤'(Tomb B)으로 명명하였다.[6]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동행한 학자들은 왕가의 계곡을 조사한 뒤 KV2를 '2번 무덤'(IIe Tombeau)으로 명명하였다.[6] 1825년 제임스 버튼이 무덤 평면도를 작성하였으며, 1828년~1829년 프랑스-토스카나 왕국 탐사단이 무덤의 비문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6]
4. 1. 그리스-로마 시대 낙서
KV2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이 찾았던 11개의 무덤 중 하나이다. 무덤 내부에 새겨진 낙서는 총 656건으로, 왕가의 계곡 내에서 KV9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대부분의 낙서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의 방문객들이 남기고 간 것이다.[5] 콥트어로 쓰여진 낙서도 50여 건으로 파악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입구 통로 우측 벽면에 남겨져 있다.[5] 무덤 자체가 콥트교 수도승들의 거처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데,[5] 그 증거로 콥트교 표식과 십자가가 무덤 벽면에 남아 있다.
4. 2. 콥트어 낙서와 흔적
KV2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이 찾았던 11개의 무덤 중 하나이다. 무덤 내부에 새겨진 낙서는 총 656건으로, 왕가의 계곡 내에서 KV9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대부분의 낙서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의 방문객들이 남긴 것이다. 콥트어로 쓰여진 낙서도 50여건으로 파악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입구 통로 우측 벽면에 남겨져 있다. 무덤 자체가 콥트교 수도승들의 거처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증거로 콥트교 표식과 십자가가 무덤 벽면에 남아 있다.[5]4. 3. 유럽인들의 방문
KV2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이 찾았던 11개의 무덤 중 하나였다. 무덤 내부에는 총 656건의 낙서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KV9에 이어 왕가의 계곡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대부분의 낙서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시대의 방문객들이 남긴 것이다.[5] 콥트어로 쓰여진 낙서도 50여 건으로 파악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입구 통로 우측 벽면에 남겨져 있다.[5] 무덤 자체가 콥트교 수도승들의 거처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5] 그 증거로 콥트교 표식과 십자가가 무덤 벽면에 남아 있다.1743년 리처드 포코크는 《이집트 조사》를 저술하면서 KV2 무덤을 'B 무덤'(Tomb B)으로 명명하였다.[6]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동행한 학자들은 왕가의 계곡을 조사한 뒤 KV2를 '2번 무덤'(IIe Tombeau)으로 명명하였다.[6] 이후 1825년에는 제임스 버튼이 무덤 평면도를 작성하였으며, 1828년~1829년에는 프랑스-토스카나 왕국 탐사단이 무덤의 비문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6]
5. 발굴 조사
에드워드 에이턴은 1905년~1906년에 KV2의 무덤 입구를 발굴했고, 1920년에는 하워드 카터가 그 뒤를 이었다.[1] 두 발굴조사에서 모두 우샤브티, 오스트라카와 나무 조각, 유리 조각, 파이앙스 등 원래 무덤 내부에서 나온 마감장식 조각이 발견됐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Tomb of Ramesses IV, Valley of the Kings, Egypt
http://www.touregypt[...]
2009-07-15
[2]
웹사이트
KV 2 (Rameses IV)
https://web.archive.[...]
2018-02-26
[3]
웹인용
KV 2 (Rameses IV)
https://web.archive.[...]
2018-02-26
[4]
웹사이트
The Tomb of Ramesses IV, Valley of the Kings, Egypt
http://www.touregypt[...]
2009-07-15
[5]
웹인용
KV 2 (Rameses IV)
https://web.archive.[...]
2018-02-26
[6]
웹인용
KV 2 (Rameses IV)
https://web.archive.[...]
2018-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