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앙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앙스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 근동, 인더스 문명 등에서 제작된 유약을 바른 도자기 구슬, 조각상 등 다양한 물건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서양에서는 무어인에 의해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 기술이 전파되었고, 이탈리아에서 마이올리카로 발전하여 14세기부터 16세기 초에 절정을 이루었다. 이후 파이앙스는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유럽 각지로 확산되었으며,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빅토리아 마이올리카의 부활과 함께 파이앙스의 가치가 재평가되었고, 현재까지도 다양한 지역에서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예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도예 - 식기
    식기는 음식 섭취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와 도구를 총칭하는 용어로, 재료와 형태가 다양하며 각 문화권의 식사 문화를 반영하고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파이앙스
기본 정보
파이앙스 접시, 프랑스 느베르에서 제작, 17세기 후반
파이앙스 접시, 프랑스 느베르에서 제작, 17세기 후반
종류주석 유약 도기
기원메소포타미아
발명 연대기원전 5천년 경
제작 시기1000 C (1830 F)
역사 및 지역별 특징
고대 이집트이집트 파이앙스
이슬람 세계이스닉 도자기, 다마스쿠스 도자기
유럽마요리카 도기(이탈리아)
델프트 도기(네덜란드)
파이앙스(프랑스)
サン・ポルシエール 도자기(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도자기(프랑스)
뉘른베르크 도자기(독일)
재료
주 재료진흙
유약주석
용도
일반적 용도장식용, 식기류

2. 역사

파이앙스라는 용어는 기원전 4000년경 선왕조 이집트를 비롯하여 고대 근동, 인더스 문명, 유럽 등지에서 발견된, 정교하게 유약을 바른 도자기 구슬, 조각상 및 기타 작은 물건들을 포괄한다. 그러나 이 재료는 점토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도기가 아니라, 자기 유약 처리나 유약 처리가 된 프릿이다.[10] 케르마 원주민들은 이집트의 기술과는 독립적으로 파란색 파이앙스를 개발했다.[11][12][13] 미노아 문명의 크노소스 유적에서도 고대 파이앙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집트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4]

이집트 파이앙스 샤브티


서양에서 파이앙스는 무어인이 알 안달루스에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 기술을 도입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금속 유약을 사용한 광택 도자기 기술이 이 지역에서 완성되었다. 말라가, 발렌시아 등 안달루시아에서 생산된 히스파노-무어식 도자기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경유하거나 직접 이탈리아와 유럽 각지로 수출되었다.[2]

마요르카 섬에서 유래한 "마졸리카"와 "마이올리카"는 중세 아라곤 왕국에서 이탈리아로 가는 주석 유약 도자기의 환적지였다. 이러한 도자기는 대부분 무어인의 유산을 물려받았다.[2]

이탈리아에서는 14세기부터 현지에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마이올리카'라는 이름으로 절정에 달했다. 1600년경 이후 엘리트 고객들의 관심이 줄면서 회화 품질이 저하되고, 복잡한 장면 대신 기하학적 디자인과 단순한 형태가 등장했다. 그러나 생산은 여러 중심지에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영어로는 "파이앙스"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어로는 여전히 '마이올리카'라고 불린다). 파엔차에서 제작된 도자기를 지칭하는 "파이앙스"는 프랑스어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이후 영어로 전파되었다.[3]

로코코 튜린, 마르세유, 1770년경


뤼네빌 파이앙스


프랑스 파이앙스 제조소의 제품은 'faïence blanche'(장식되지 않은 흰색 슬립), 'faïence parlante'(장식 레이블이나 배너에 모토), 알바렐로를 포함한 약제사용품 등이 있다.

18세기 후반, 도자기와 크림색 도자기 같은 스태퍼드셔 도기에서 개발된 정제된 도기류가 파이앙스 시장을 장악했다. 프랑스 산업은 1786년 조시아 웨지우드가 로비한 영국과의 통상 조약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5] 19세기 초, 고급 스톤웨어는 전통적인 제조업자들의 공방을 닫게 했다.

19세기에 민턴은 두 가지 유약 기술을 부활시켰다. 첫 번째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마이올리카 스타일의 주석 유약 도자기였고, 두 번째는 저부조로 성형된 무유약 토기에 색색의 유약을 입혀 장식하는 기법이었다. 이 두 기법은 1851년 만국 박람회와 1862년 만국 박람회[6]에서 전시되었으며, 오늘날 빅토리아 마이올리카로 알려져 있다.[7] 이후 색상 유약 마이올리카 제품은 웨지우드(Wedgwood)와 벌슬럼 및 스토크온트렌트 주변의 수많은 소규모 스태퍼드셔 도자기 공방에서도 제작되었다. 19세기 말, 윌리엄 드 모건은 빛나는 파이앙스 기법을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 재발견했다.[8]

187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탐미주의 운동으로 인해 파이앙스 도자기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민턴이나 웨지우드와 같은 대형 제토 업체들이 다시 파이앙스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2. 1. 고대 파이앙스



"파이앙스"라는 용어는 기원전 4000년경의 선왕조 이집트를 비롯하여 고대 근동, 인더스 문명, 유럽에서 발견된 정교하게 유약을 바른 도자기 구슬, 조각상 및 기타 작은 물건을 광범위하게 포괄한다. 그러나 이 재료는 점토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도기가 아니라, 자기 유약 처리나 유약 처리가 된 프릿이다.[1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이집트 메이르에서 발견된 "파이앙스 하마 윌리엄"이라고 알려진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데, 이 작품은 이집트 제12왕조 기원전 1981년에서 1885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와 다른 누비아 케르마 문화 왕국의 유물은 방대한 양의 파란색 파이앙스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케르마 원주민들이 이집트 기술과 독립적으로 개발한 것이다.[11][12][13] 고대 파이앙스의 예는 또한 이집트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미노아 문명의 미노아 크레타에서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파이앙스 재료가 크노소스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굴되었다.[14]

"파이앙스 도자기"라는 용어는 확대 해석되어 기원전 4000년의 고대 이집트인더스 문명에서 볼 수 있는 유약을 사용한 도제 비즈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에도 이와 유사한 출토품이 있으며, 크노소스 유적에서도 발견되고 있다.[16]

2. 2. 서양 파이앙스 발전

무어인이 알 안달루스에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 기술을 도입하면서 서양에서 파이앙스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에서 금속 유약을 사용한 광택 도자기 기술이 완성되었다. 안달루시아의 말라가, 발렌시아 등지에서 생산된 히스파노-무어식 도자기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경유하거나 직접 이탈리아와 유럽 각지로 수출되었다.[2]

"마졸리카"와 "마이올리카"는 마요르카 을 뜻하는 "Maioric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섬은 중세 아라곤 왕국에서 이탈리아로 가는 주석 유약 도자기의 환적지였다. 이러한 도자기는 대부분 무어인의 유산을 물려받았다.[2]

이탈리아에서는 14세기부터 현지에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마이올리카''라는 이름으로 절정에 달했다. 1600년경 이후 엘리트 고객들의 관심이 줄면서 회화 품질이 저하되고, 복잡한 장면 대신 기하학적 디자인과 단순한 형태가 등장했다. 그러나 생산은 여러 중심지에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영어로는 "파이앙스"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어로는 여전히 ''마이올리카''라고 불린다). 북부 이탈리아의 파엔차에서 제작된 도자기를 지칭하는 "파이앙스"는 프랑스어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이후 영어로 전파되었다.[3]

프랑스 파이앙스 제조소의 제품은 거의 표시되지 않으며, 바디의 특징, 세라믹 유약의 특징과 팔레트, 장식 스타일과 같은 일반적인 세라믹 감식 방법으로 식별된다. ''faïence blanche''는 장식되지 않은 흰색 슬립 상태로 남겨진다. ''faïence parlante''는 종종 장식 레이블이나 배너에 모토를 새긴다. 약사를 위한 용품은 알바렐로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라틴어로 내용물의 이름을 표시하거나, 교육받지 않은 사람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약자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협회 및 단체의 모토는 18세기에 인기를 얻어 프랑스 혁명 시대의 특산품이었던 ''faïence patriotique''로 이어졌다.

18세기 후반, 도자기와 크림색 도자기 같은 스태퍼드셔 도기에서 개발된 정제된 도기류가 파이앙스 시장을 장악했다. 프랑스 산업은 1786년 조시아 웨지우드가 로비한 영국과의 통상 조약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5] 19세기 초, 고급 스톤웨어는 전통적인 제조업자들의 공방을 닫게 했다.

2. 2. 1. 이슬람 세계의 영향

무어인들은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 기술을 알 안달루스로 가져왔으며, 이곳에서 금속 유약을 사용한 광택 도자기 기술이 완성되었다. 적어도 14세기부터 안달루시아의 말라가와 이후 발렌시아는 이러한 "히스파노-무어식 도자기"를 직접 또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통해 이탈리아와 유럽의 나머지 지역으로 수출했다.[2] 이후 이 산업은 기독교 영주 아래서 계속되었다.

"마졸리카"와 "마이올리카"는 마요르카 을 뜻하는 "Maiorica"의 잘못된 버전인데, 중세 말기에 아라곤 왕국에서 이탈리아로 운송된 정제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의 환적 지점이었다. 이러한 유형의 도자기는 무어인의 유산을 크게 물려받았다.[2]

이탈리아에서 현지에서 생산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는 14세기에 시작되어, 현재는 ''마이올리카''라고 불리며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절정에 달했다. 약 1600년 이후, 이것들은 엘리트 고객들에게 매력을 잃었고, 회화의 품질은 저하되었으며, 복잡하고 정교한 최고의 시기의 장면 대신 기하학적 디자인과 단순한 형태가 등장했다. 생산은 현재까지 여러 중심지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이 도자기는 영어로 다시 "파이앙스"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어로는 보통 여전히 ''마이올리카''라고 불린다). 어느 시점에서 북부 이탈리아의 파엔차에서 제작된 도자기를 지칭하는 용어인 "파이앙스"는 프랑스어로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이후 영어로 전파되었다.[3]

2. 2. 2. 이탈리아 마욜리카

무어인들은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 기술을 알 안달루스로 가져왔으며, 이곳에서 금속 유약을 사용한 광택 도자기 기술이 완성되었다. 적어도 14세기부터 안달루시아의 말라가와 이후 발렌시아는 이러한 "히스파노-무어식 도자기"를 직접 또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통해 이탈리아와 유럽의 나머지 지역으로 수출했다. 이후 이 산업은 기독교 영주 아래서 계속되었다.[2]

"마졸리카"와 "마이올리카"는 마요르카 을 뜻하는 "Maiorica"의 잘못된 버전인데, 중세 말기에 아라곤 왕국에서 이탈리아로 운송된 정제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의 환적 지점이었다. 이러한 유형의 도자기는 무어인의 유산을 크게 물려받았다.[2]

이탈리아에서 현지에서 생산된 주석 유약을 바른 토기는 14세기에 시작되어, 현재는 ''마이올리카''라고 불리며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절정에 달했다. 약 1600년 이후, 이것들은 엘리트 고객들에게 매력을 잃었고, 회화의 품질은 저하되었으며, 복잡하고 정교한 최고의 시기의 장면 대신 기하학적 디자인과 단순한 형태가 등장했다. 생산은 현재까지 여러 중심지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이 도자기는 영어로 다시 "파이앙스"라고 불린다 (이탈리아어로는 보통 여전히 ''마이올리카''라고 불린다). 어느 시점에서 북부 이탈리아의 파엔차에서 제작된 도자기를 지칭하는 용어인 "파이앙스"는 프랑스어로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이후 영어로 전파되었다.[3]

이탈리아 라테르차의 파이앙스

2. 2. 3. 네덜란드 델프트웨어

네덜란드는 이탈리아에서 수입된 주석 유약을 바른 도자기를 북부에서 처음으로 모방하였다. 파이앙스의 일종인 델프트웨어는 홀란트 델프트 주변의 도예 공장에서 16세기 초부터 생산되었다. 델프트웨어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장식된 것이 특징인데, 초기에는 이탈리아의 마이올리카를 모방했지만, 1580년경부터는 유럽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중국청화백자일본고이마리 소메츠케(염부)의 영향을 받아 흰색 바탕에 푸른 그림을 그렸다. 17세기 후반부터 네덜란드는 동아시아 도자기를 모방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인식 가능한 네덜란드 스타일(Dutch décor)로 대량 생산하여 수출했다.

영국에도 델프트 도자기가 전해져 16세기 후반 런던 템스강 남안의 램버스 등에서 생산되었다. 약국에서 약을 보관하는 단지 등을 만들었는데, 런던에서 도예 공방을 연 사람 대부분은 플랑드르인이었다.[17] 18세기 전반에는 저렴한 크림웨어가 도입되면서 델프트웨어 생산이 서서히 대체되었다.

네덜란드인들은 독일에도 파이앙스 도자기를 정착시켰다. 최초의 공방은 1661년에 하나우에, 1662년에는 호이젠슈탐에 세워졌고, 곧 인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도 확산되었다.

2. 2. 4. 프랑스와 북유럽 파이앙스

이탈리아에서 수입된 주석 유약을 바른 도자기를 모방한 최초의 북유럽 사람들은 네덜란드인들이었다. 델프트웨어는 네덜란드 델프트 주변의 도예 공장에서 만들어진 파이앙스의 일종으로, 흰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장식된 것이 특징이다. 16세기 초에 비교적 작은 규모로 시작하여 이탈리아의 마이올리카를 모방했지만, 1580년경부터 유럽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청화백자인 중국 수출용 도자기를 모방하기 시작했으며, 곧 일본 수출용 도자기가 뒤를 이었다. 17세기 후반부터 네덜란드인들은 동아시아 도자기를 모방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인식 가능한 네덜란드 스타일로 대량 생산하여 수출했다.

프랑스에서 파이앙스 최초의 유명 화가는 1530년대 루앙에 정착한 마세오 아바케스네였다. 뇌베르 파이앙스와 루앙 파이앙스는 17세기에 파이앙스 제조의 주요 프랑스 중심지였으며, 모두 궁정과 귀족이 요구하는 수준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뇌베르는 약 1650년까지 인물 주제로 그려진 이탈리아의 ''istoriato'' 마이올리카 스타일을 계속했다. 18세기 초부터 많은 다른 중심지가 개발되었으며, 1690년에 브르타뉴의 캥페르가 이끌었고, 그 뒤를 무스티에 파이앙스, 마르세유 파이앙스, 스트라스부르 파이앙스 및 뤼네빌 파이앙스와 많은 소규모 중심지가 따랐다. 남부의 공장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혁신적이었고, 라인강 근처의 스트라스부르와 다른 중심지들은 독일 도자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8세기 중반에 많은 프랑스 공장들은 프랑스 도자기 공장의 로코코 스타일을 따르는 작품을 제작했으며, 종종 이에 근접하는 품질의 작품을 생산할 기술을 가진 화가를 고용하고 훈련시켰다.

16세기 후반부터 런던의 램버스와 다른 중심지에서 생산된 "영국 델프트웨어"는 다양한 제품 중에서도 약사들에게 습식 및 건식 약품을 담을 용기를 제공했다. 런던의 초기 도예가 중 다수는 플랑드르인이었다.[4] 18세기 전반에는 저렴한 크림색 도자기가 도입되면서 생산이 서서히 대체되었다.

북부 독일의 네덜란드 도공들은 독일 파이앙스 중심지를 설립했다. 독일 최초의 제조소는 하나우(1661년)와 호이센슈탐(1662년)에 문을 열었고, 곧 인근 프랑크푸르트로 이전했다.

18세기 후반에 더 저렴한 도자기와 크림색 도자기와 같은 스태퍼드셔 도기에서 처음 개발된 정제된 도기류가 정제된 파이앙스 시장을 장악했다. 프랑스 산업은 1786년 조시아 웨지우드가 적극적으로 로비한 영국과의 통상 조약으로 거의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5] 19세기 초, 소성 온도가 높아 유약이 발리지 않은 몸체가 유리화되는 고급 스톤웨어는 심지어 맥주잔에 대해서도 전통적인 제조업자들의 마지막 공방을 닫게 했다.

2. 2. 5. 파이앙스 쇠퇴와 부흥

19세기에 민턴은 두 가지 유약 기술을 부활시켰다. 첫 번째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마이올리카 스타일의 주석 유약 도자기였고, 두 번째는 저부조로 성형된 무유약 토기에 색색의 유약을 입혀 장식하는 기법이었다. 이 두 기법은 1851년 만국 박람회와 1862년 만국 박람회[6]에서 전시되었으며, 오늘날 빅토리아 마이올리카로 알려져 있다.[7] 이후 색상 유약 마이올리카 제품은 웨지우드(Wedgwood)와 벌슬럼 및 스토크온트렌트 주변의 수많은 소규모 스태퍼드셔 도자기 공방에서도 제작되었다. 19세기 말, 윌리엄 드 모건은 빛나는 파이앙스 기법을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 재발견했다.[8]

187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탐미주의 운동으로 인해 파이앙스 도자기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민턴이나 웨지우드와 같은 대형 제토 업체들이 다시 파이앙스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3. 지역별 파이앙스

전통적인 제조 중심지가 많이 있으며, 몇몇 개별 ''아틀리에''도 있다. 부분적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지역주요 파이앙스
유럽
영국
덴마크
오스트리아
북아메리카



가마에서 굽기 전 접시를 그림, 귈셰히르, 카파도키아, 터키

참조

[1] 서적 The Ceramics Reade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 문서 "the larger one" in Medieval Latin and Italian, as opposed to [[Menorca]], "the smaller one" of the [[Balearic Islands]]
[3] 서적 Tin-Glazed Pottery Faber and Faber
[4] 웹사이트 English Delftware Storage Jars http://www.rpsgb.org[...]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2007-10-06
[5] 서적 The Art of Ceramics: European Ceramic Design, 1500-183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Art Journal Catalogue, Exhibited Class XXXV, no.6873, D78. https://archive.org/[...]
[7] 서적 Dictionary of Minton ACC Art Books
[8] 문서 Carnegy, p.65
[9] 웹사이트 Combined Foreparts of a Lion and Apis Bull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10] 문서 Metropolitan Museum of Art Guide, 2012
[11] 문서 The Science & Archaeology of Materials ROutledge
[12] 간행물 Glazed Faience Tiles found at Kerma in the Sudan
[13] 서적 Nubian Faience Thames & Hudson
[14] 웹사이트 Knossos fieldnotes http://www.themodern[...]
[15] 서적 Tin-Glazed Pottery Faber and Faber
[16] 웹사이트 Knossos fieldnotes http://www.themodern[...]
[17] 웹사이트 English Delftware Storage Jars http://www.rpsgb.org[...]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