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V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V3는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무덤으로, 왕족의 매장을 위해 건설되었다. 묘의 구조는 왕비의 계곡에 있는 묘들과 유사하며, 입구를 지나 복도, 방, 그리고 아치형 천장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 내부의 장식은 람세스 3세와 왕자를 묘사한 벽화가 남아 있으며, 과거에는 더 많은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KV3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1912년 해리 버튼에 의해 발굴되었고, 비잔틴 시대에는 기독교 예배당으로 사용된 흔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람세스 3세 - KV11
    KV11은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188m 길이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교적 내용을 담은 벽화와 석관을 특징으로 하며, 1730년대에 존재가 언급되었고, 현재 독일, 이집트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 및 보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1912년 발굴 - 네페르티티 흉상
    네페르티티 흉상은 기원전 14세기에 제작된 이집트 왕비 네페르티티의 흉상으로, 1912년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어 현재 독일 베를린의 노이에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1912년 발굴 - 브란덴부르크 돌
    브란덴부르크 돌은 1912년 오하이오강에서 발견된 입자암 석조 유물로, 중세 웨일스어 비문 주장이 있었으나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으며, 진위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유물이다.
  • 기원전 12세기 건축 - KV2
    람세스 4세를 위해 건설된 KV2 무덤은 왕가의 계곡에 위치하며 직선 축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의 낙서가 많으며 초기 유럽인들과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학자들에 의해 탐사 및 조사되었다.
  • 기원전 12세기 건축 - KV6
    KV6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무덤으로 람세스 9세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독특하고 화려한 벽화 장식과 고대 로마인과 콥트인의 낙서가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KV3
무덤 정보
KV3 입구
KV3 입구
소유자람세스 3세의 아들 (이름 불명)
위치왕가의 계곡 (이스트 밸리)
발견 시기고대에 개방됨
발굴자에드워드 에어턴 (1904년~1906년)
해리 버튼 (1912년)
장식람세스 3세를 따르는 왕자와 여러 신들
구조직선축
이전 무덤KV2
다음 무덤KV4

2. 상세

KV3 묘는 왕가의 계곡 입구 근처 주요 경로에 위치한다.[2] 이 묘의 설계는 왕비의 계곡에 있는 다른 묘들과 유사하다.[2]

묘의 입구를 지나면 내부는 거의 더 깊어지지 않는 구조이며,[3] 여러 복도와 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부는 공사가 중단되어 미완성 상태로 남아있다.[2]

현재 남아있는 장식은 일부 복도에서만 발견되며,[2] 과거에는 더 많은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이 묘가 기독교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던 증거가 남아있다.[2] 1912년에 고고학자 해리 버튼에 의해 제대로 발굴되었다.[1]

2. 1. 구조

왕가의 계곡 입구 근처 큰길가에 있다.[5] KV3의 설계는 여왕의 계곡에 있는 무덤들의 설계와 매우 유사하며, 그 규모는 왕족을 매장하기 위한 노력을 반영한다.[5][2]

KV3의 등각 투영도, 평면도 및 입면도


무덤 입구를 지나면 거의 더 내려가지 않고 완만한 깊이를 이루는데, 이는 람세스 3세가 아들들을 위해 지은 다른 무덤들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6][3] 입구에서 두 개의 복도(A와 B로 표시)가 이어지며, 두 번째 복도(B) 끝 부분 근처 양쪽으로 방이 나 있다. 이 중 남쪽 방(Bb)은 완성되었으나, 북쪽 방(Ba)은 공사가 시작된 직후 무덤 전체가 버려지면서 미완성 상태로 남았다.[5][2]

복도 B 끝에는 네 개의 기둥이 있는 더 큰 방(F)이 있다. 이 방의 양쪽 측면에도 작은 방이 하나씩 연결된다. 북쪽 측면실(Fa)은 완공되었지만, 남쪽 측면실(Fb)은 무덤 공사가 중단되면서 미완성 상태로 남았다.[5][2]

큰 방(F)을 지나 복도 축을 따라가면 세 개의 방(G, H, I)이 더 나타난다. G와 H는 궁륭(아치형 천장) 구조로 되어 있으며,[5][2] 이 두 방 중 하나를 묘실로 사용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4][1]

현재 남아있는 장식은 복도 B의 벽화가 유일하다. 이 벽화는 복도 전체와 끝 부분 측면실 입구까지 이어지며, 이름을 알 수 없는 왕자가 람세스 3세를 따르고, 그 뒤로 여러 신과 여신이 시중드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5][2] 과거에는 더 많은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40년대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의 탐사 기록에 따르면, 아치형 방에 채색된 흔적과 첫 번째 복도에 카르투슈(왕 이름 표기)와 람세스 3세의 그림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4][1]

비잔틴 제국 시대에 이 무덤이 기독교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다는 증거도 남아있다.[2]

2. 2. 장식

남아있는 묘 장식은 복도 B의 길이와 양쪽 끝에 있는 문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는 람세스 3세가 이름을 알 수 없는 왕자를 따르고 있으며, 여러 신과 여신들이 시중드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Karl Richard Lepsius)가 1840년대에 이 묘를 방문했을 때 아치형 방에 페인트 흔적을 기록하고 첫 번째 복도에서 카르투슈와 람세스 3세의 이미지를 언급했기 때문에 더 많은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2. 3. 후대의 역사

동로마 제국 시기에는 이 무덤이 그리스도교 성당으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내부에 남아 있다.[5][2]

KV3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개방된 상태였으나, 제대로 된 발굴 조사는 1912년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 이 조사는 이집트학자 해리 버튼이 주도했으며, 미국의 부유한 변호사였던 시어도어 M. 데이비스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 이는 데이비스가 자금을 지원한 마지막 이집트 무덤 탐사 중 하나였으나, 이 발굴 작업에 대한 보고서는 별도로 출판되지 않았다.[4][1]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Valley of the Kings Thames & Hudson 1997
[2] 웹사이트 KV 3 (Son of Rameses II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3] 서적 The Tomb in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8
[4] 서적 The Complete Valley of the Kings Thames & Hudson 1997
[5] 웹인용 KV 3 (Son of Rameses II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6] 서적 The Tomb in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