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V1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V11은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무덤으로, 188m 길이에 다양한 장식과 벽화가 특징이다. 라의 기도문, 관문의 서, 암두아트의 서, 사자의 서 등 종교적 내용을 담은 벽화가 있으며, 석관은 현재 영국과 프랑스에 분리 보관되어 있다. 1730년대에 존재가 언급되었으며, 19세기부터 여러 학자들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2017년부터는 독일, 이집트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 및 보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람세스 3세 - KV3
    KV3는 왕가의 계곡에 있는 고대 이집트 무덤으로, 람세스 3세와 왕자를 묘사한 벽화가 있으며, 비잔틴 시대에는 기독교 예배당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기원전 12세기 완공된 건축물 - KV14
    KV14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무덤으로, 세티 2세와 토스레트, 세트나크트가 사용하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남겨졌다.
  • 기원전 12세기 완공된 건축물 - KV13
  • 왕가의 계곡 - KV2
    람세스 4세를 위해 건설된 KV2 무덤은 왕가의 계곡에 위치하며 직선 축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의 낙서가 많으며 초기 유럽인들과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학자들에 의해 탐사 및 조사되었다.
  • 왕가의 계곡 - KV14
    KV14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무덤으로, 세티 2세와 토스레트, 세트나크트가 사용하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남겨졌다.
KV11
기본 정보
이름KV11
소유자람세스 3세
KV11
KV11
위치왕가의 계곡 이스트 밸리
개방 시기고대에 개방
발굴자불명
이전KV10
다음KV12
장식
장식 내용라의 기도문
관문의 서
암두아트의 서
입 여는 의식
사자의 서
구조
구조 정보알 수 없음

2. 장식

무덤 내부 벽화 중 하나인 두 명의 눈먼 하프 연주자


KV11은 총 188m 길이의 긴 무덤으로, 내부에 아름다운 장식이 그대로 남아 있다. 무덤 내부는 여러 복도와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역마다 다양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2. 1. 복도 및 방의 벽화



두 번째 복도는 《라의 기도문》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이 복도의 끝부분에서 KV10 무덤을 침범하는 바람에 우측으로 복도축이 살짝 틀어져 있다.[1] 세 번째 복도는 《관문의 서》와 《암두아트의 서》로 장식되어 있다. 기둥 4개가 서 있는 중앙실의 벽에도 《관문의 서》가 그려져 있다. 네 번째 복도는 입 여는 의식이 벽화로 그려져 있으며, 전실과 매장실에는 《사자의 서》가 그려져 있다.[1]

2. 2. 매장실

매장실은 기둥 8개 구조에 붉은색 규암으로 제작된 석관이 놓여 있었다. 석관 외부에 암두아트의 서에서 따온 두 장면이 새겨져 있으며,[2] 상단부는 영국 케임브리지의 피츠윌리엄 박물관에, 하단부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매장실 벽에는 《관문의 서》, 《대지의 서》, 신성한 벽화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매장실 너머에는 《관문의 서》가 그려진 별실이 하나 더 있다.

3. 후대의 연구

1959년 이집트 고대유물부는 폴란드 이집트학자 타데우시 안제예프스키에게 무덤 내부 조사 보고서를 의뢰하였다. 안제예프스키는 바르샤바 대학교 폴란드 지중해 고고학센터의 후원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나 머지않아 사망하였다. 1979년 마레크 마르치니아크 (Marek Marciniak) 박사가 연구를 이어받았으나, 1980년 폴란드 계엄사태로 인해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지 못했다.[3] 2017년부터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독일 조사단과 룩소르 대학교, 케나 대학교의 현지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단순한 재조사뿐만 아니라 보존 작업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4]

3. 1. 초기 연구

1730년대 영국의 리처드 포코크가 자신의 여행기에 무덤의 존재를 언급하였으나, 무덤 자체를 상세히 소개한 사람은 1768년 영국의 제임스 브루스가 처음이었다.[3] 19세기 초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함께 이집트를 찾은 프랑스 이집트학자들과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칼 리처드 렙시어스, G. 르페부르 등이 무덤 내부 조사에 참여하였다.[3]

3. 2. 19세기 연구

리처드 포코크는 1730년대 자신의 여행기에서 무덤의 존재를 언급하였으나, 무덤 자체를 상세히 소개한 사람은 1768년 영국의 제임스 브루스였다. 19세기 초 나폴레옹과 함께 이집트를 찾은 프랑스 이집트학자들과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칼 리처드 렙시어스, G. 르페부르 등이 대략적으로 무덤 내부를 조사하였다.

3. 3. 20세기 이후 연구

1959년 이집트 고대유물부는 폴란드 이집트학자 타데우시 안제예프스키에게 무덤 내부 조사 보고서를 의뢰하였다. 안제예프스키는 바르샤바 대학교 폴란드 지중해 고고학센터의 후원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나 머지않아 사망하였다. 1979년 마레크 마르치니아크 (Marek Marciniak) 박사가 연구를 이어받았으나, 1980년 폴란드 계엄사태로 인해 결과 보고서를 발표하지 못했다.[3] 2017년부터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독일 조사단과 룩소르 대학교, 케나 대학교의 현지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단순한 재조사뿐만 아니라 보존 작업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4]

참조

[1] 웹인용 The Ramesses III (KV 11) Publication and Conservation project http://www.ramesses-[...] 2020-08-27
[2] 웹인용 Sarcophagus box of Ramesses III https://www.louvre.f[...]
[3] 웹인용 Dolina Królów, Grobowiec Ramzesa III https://pcma.uw.edu.[...] 2020-08-27
[4] 웹인용 The Ramesses III (KV 11) Publication and Conservation project http://www.ramesses-[...] 2020-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