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BV 1806-2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BV 1806-20은 우리 은하 내 H II 영역인 W31 내 1806-20 성단에 속한 별로, 극도로 밝고 질량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 질량의 130~150배에 달하며, 밝기는 태양의 약 5백만 배에 이른다. 가시광선으로는 관측이 어렵지만, 적외선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분광형은 불확실하며, 스펙트럼에서 수소, 헬륨, 철,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방출선을 보인다. LBV 1806-20은 쌍성계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펄서 PSR J1808-2024와 쌍성을 이룰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극대거성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극대거성 - 황색극대거성
    황색 극대거성은 불안정대 위에 위치하며 A0에서 K2 사이의 분광형과 4,000–8,000K의 온도를 가지는 불안정한 별로, 태양 광도의 200,000배에서 600,000배 사이의 밝기를 가지며 높은 질량 손실률과 확장된 대기를 특징으로 한다.
  • 밝은 청색변광성 -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에타는 태양 근처의 극대거성이자 쌍성계로, 과거 두 차례의 폭발을 일으켰으며 미래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밝은 청색변광성 - 피스톨별
    피스톨별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된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태양의 330만 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며 킨투플렛 성단 내에 위치하고 과거 질량 방출로 거대한 성운을 형성했고, 1백만 년에서 3백만 년 후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 2MASS 천체 - 2MASS J09393548-2448279
    2MASS J09393548-2448279는 2005년 발견된 갈색왜성으로, 500K에서 700K 사이의 유효 온도와 25~40 목성 질량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 발견 당시 가장 어두운 갈색왜성이었다.
  • 2MASS 천체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LBV 1806-20
기본 정보
1806-20 성단의 적외선 이미지. 중앙 왼쪽에 보이는 가장 밝은 항성이 LBV 1806-20이다. (제공: 허블 우주 망원경)
별자리궁수자리
명칭LBV 1806-20
기타 명칭2MASS J18084031-2024411
관측 정보
적경 (J2000)18h 08m 40.31s
적위 (J2000)-20° 24′ 41.1″
특징
종류밝은 청색 변광성 후보
분광형O9 - B2+PSR
나이300만 – 450만 년
거리
거리28,300 광년 (8,700 파섹)
물리적 특성
질량36 태양 질량
반지름46.1 - 145.7 태양 반지름
광도~2,000,000 태양 광도
표면 온도18,000 - 32,000 켈빈
겉보기 등급
J 대역13.93
H 대역10.75
K 대역8.89
식별 정보
SIMBADNAME+LBV+1806−20

2. 위치

LBV 1806-20은 전파성운 G10.0-0.3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주로 항성풍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으로 여겨진다.[3] 이 별은 1806-20 산개성단의 구성원이며, 이 성단은 우리 은하 내 매우 큰 규모의 H II 영역 중 하나인 W31의 일부이다. 1806-20 성단은 탄소 울프-레이에별(carbon-rich Wolf-Rayet star) 두 개, 극대거성 두 개, OB형 별 여러 개, 마그네타(SGR 1806-20) 한 개 등 매우 특이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3. 물리적 특징

LBV 1806-20은 단독성인지 쌍성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총 질량은 태양의 130~150배에 이른다. 밝기용골자리 에타피스톨별과 비슷한, 태양의 약 5백만 배 수준으로 추측되며, 이는 현재까지 관측된 우주의 별들 중 가장 밝은 값이다.

현재 항성생성 이론에 따르면 항성의 질량 상한선은 태양의 120배 정도이다. 그러나 LBV 1806-20의 질량은 최소 태양의 130배이며, 천문학자에 따라서는 150~200배로 보기도 한다. 이 때문에 LBV 1806-20이 단독성인지 쌍성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반점화상법을 이용하여 이 별의 밝기를 측정한 결과 단독성이라는 결론이 나왔으나, 최근 고해상도 분광법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쌍성일 가능성이 크며, 두 별을 합친 질량도 태양의 130배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3. 1. 관측의 어려움

LBV 1806-20은 매우 밝지만 지구에서 가시광선으로 관측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이 별과 지구 사이 우주 공간에 있는 성간가스와 먼지가 가시광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 별은 2마이크로미터 적외선 영역으로 관측할 경우 +8등급 정도의 밝기를 보인다.[4] 반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밝기는 +35등급에 불과하여 보이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은하 중심 방향의 중간 먼지는 가시광선 파장에서 약 35등급을 흡수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관측은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광도와 분광형을 바탕으로 LBV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름에도 불구하고 특징적인 광도 및 분광 변화가 아직 관측되지 않아 후보로 남아있다.

LBV 1806-20은 파장 2 μm의 근적외선 파장에서 8등급의 밝기로 보이지만, 가시광선에서의 밝기는 약 35등급으로 계산되어 현재 관측 장비로는 가시광선으로 관측할 수 없다. 은하 중심 방향에 분포하는 먼지는 약 29등급 밝기의 가시광선을 흡수하므로 LBV 1806-20의 대부분 관측은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 광도와 스펙트럼 분류로부터 고광도 청색 변광성(LBV)으로 의심받고 있지만, 지금까지 특징적인 측광 및 분광 변동은 관측되지 않았기에, 명칭에 "LBV"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고광도 청색 변광성의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

4. 분광학적 특징

LBV 1806-20은 매우 밝지만, 지구와 별 사이에 있는 성간가스와 먼지 때문에 지구에서 가시광선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2마이크로미터 적외선 영역에서는 8등급 정도로 관측되지만,[4]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35등급에 불과해 보이지 않는다.

LBV 1806-20의 분광형은 불확실하며 가변적일 수 있다. 적외선 HeI 선 등가 폭을 기준으로 O9와 B2 사이로 제한된다.

4. 1. 스펙트럼

LBV 1806-20의 분광형은 불확실하며, 가변적일 수 있다. 스펙트럼 상의 적외선 He I선의 등가폭에 기초하여 O9형에서 B2형의 범위 내에 있다고 여겨진다.[4] LBV 1806-20의 스펙트럼은 수소의 파셴 계열 및 브라켓 계열에서 강한 휘선을 나타내지만, 헬륨, Fe II, Mg II, Na I의 휘선도 나타난다. 이러한 휘선은 넓고 불균일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일부는 P Cyg 프로파일의 특징도 나타낸다. 고분해능 스펙트럼에서는 He I의 흡수선 일부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이 나타난다.

5. 쌍성계 가능성

LBV 1806-20이 단독성인지 쌍성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반점화상법을 이용하여 이 별의 밝기를 측정한 결과 단독성이라는 결론이 나왔으나, 최근에 고해상도 분광법을 이용한 연구 결과 이 별은 쌍성일 가능성이 크며, 두 별을 합친 질량도 태양의 130배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BV 1806-20의 스펙트럼에서 HeI 선이 두 배로 나타나고 질량, 광도, 나이 추정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LBV 1806-20은 PSR J1808-2024로 명명된 펄서와 쌍성을 이루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방출 선이 하나이므로 고광도 청색 변광성(LBV)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밀도가 높은 별의 바람을 가진 별은 하나로 보인다.

참조

[1] 간행물 PSR J1808-2024 2024-07-12
[2] 간행물 PSR J1808-2024 2024-07-12
[3] 논문 Studying the SGR 1806-20/Cl* 1806-20 Region Using the Fermi Large Area Telescope
[4] 저널 Massive Stars in the SGR 1806-20 Clu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