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세미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X세미콘은 팹리스 반도체 기업으로, 반도체 판매를 통해 매출의 대부분을 올린다. 생산 설비 없이 파운드리에 위탁 생산하며, 풍부한 현금과 높은 배당 성향을 보인다. 2014년 코스닥 상장 기업 중 69위를 차지했으며, LG그룹에 편입되었다가, 2021년 LX홀딩스로 최대 주주가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X그룹 - LX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은 1953년 락희산업㈜로 설립되어 2021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자원 개발, 트레이딩, 프로젝트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석탄, 석유, 비철금속 등의 자원 개발과 팜오일 플랜테이션 운영,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산업재 트레이딩, 헬기 도입 및 수출 사업을 진행한다. - LX그룹 - LX하우시스
LX하우시스는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로 설립되어 LG화학을 거쳐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 2021년 해체된 기업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2021년 해체된 기업 - 희원엔터테인먼트
희원엔터테인먼트는 1992년 설립되어 일본 애니메이션 하청 제작으로 시작해 2000년 법인 전환 후 《장금이의 꿈》 성공을 통해 대기업으로 성장, 《터닝메카드》, 《공룡메카드》 시리즈 등 인기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며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KBS, SBS, MBC 등 주요 방송사 및 넷플릭스와 협력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진출하는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제작 및 배급 회사이다. - 대전광역시의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기업 - KT&G
KT&G는 대한제국에서 시작된 담배 전매제도의 역사를 이어받아 한국전매공사를 거쳐 민영화된 기업으로, 담배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면서 인삼, 제약, 호텔, 문화 사업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과거 인종차별적 광고 논란이 있었다.
LX세미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LX세미콘 |
원어 이름 | LX Semicon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실리콘웍스) | 1999년 11월 |
창립 (LX세미콘) | 2021년 6월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탑립동) |
대표이사 | 이윤태 |
산업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부품 |
자본금 (2020년) | 8,132,150,000원 |
매출액 (2020년) | 1,161,896,286,020원 |
영업이익 (2020년) | 94,226,639,156원 |
순이익 (2020년) | 72,528,910,564원 |
자산총액 (2020년) | 750,602,338,873원 |
주주 | 주식회사 LX홀딩스 외 특수관계인: (33.11%) |
종업원 수 (2020년) | 1,026명 |
웹사이트 | LX세미콘 |
![]() | |
창립주 | 한대근 |
2. 사업
LX세미콘은 생산 설비가 없는 팹리스 업체로, 생산은 전량 반도체 전문생산업체(파운드리)에 위탁 생산한다.
2. 1. 팹리스 모델
LX세미콘은 생산 설비가 없는 팹리스 업체로, 생산은 전량 반도체 전문생산업체(파운드리)에 외주를 준다. 매출의 99.9%는 반도체 판매에서 발생한다.LX세미콘은 현금이 풍부하고 배당 성향이 높다. 이는 팹리스 업체의 특성상 생산 시설이 없어 시설 투자 비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영업활동으로 발생하는 현금은 배당을 제외하면 기업 내에 쌓이게 된다.[2]
3. 지분 구성 및 주가
LX세미콘은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 시가총액은 1조~1조 4,000억 원 규모이며, 2014년 코스닥 상장 기업 중 69위를 차지한 바 있다. 비교적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 왔으며 주가의 움직임이 매우 기복이 적은 편이다.
3. 1. 주가 동향
주가 변동성이 매우 낮은 편으로, 2013~2014년에는 삼성전자보다도 주가 변화가 적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4년 5월 23일 LG그룹에 편입이 결정되어 LG로 최대주주가 변경되었다. 2021년 5월, ㈜LG의 인적분할에 따라 최대주주가 ㈜LG에서 ㈜LX홀딩스로 변경되었다.[1]3. 2. 최대 주주 변경
2014년 5월 23일 LG그룹에 편입이 결정되면서 최대 주주가 LG로 변경되었다.[1] 2021년 5월, LG의 인적분할에 따라 최대 주주가 LX홀딩스로 변경되었다.[1]4. 재무
LX세미콘은 재무 구조가 탄탄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현재 원본 소스에 구체적인 재무 데이터가 없어 재무 상태를 명확히 제시하기 어렵다. (추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부채비율 등의 정보 추가 필요)
4. 1. 높은 배당 성향
LX세미콘은 현금이 풍부하고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이다. 이는 팹리스 업체의 특성상 생산 시설이 없어 시설 투자에 따른 현금 유출이 없고, 영업활동으로 유입되는 현금은 배당을 제외하면 기업 내에 쌓이는 구조이기 때문이다.[2]참조
[1]
문서
[2]
뉴스
LX세미콘, 풍부한 현금과 높은 배당성향..'매수'
대우, 이데일리
2014-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