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LG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LG그룹은 전자, 화학, 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30개 이상의 계열사를 거느린 대한민국의 지주회사이다. 1931년 구인회상점으로 시작하여,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와 1958년 금성사(현 LG전자) 설립을 통해 성장했다. 1995년 럭키금성에서 LG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현재 구광모가 회장직을 맡고 있다. LG는 전자, 화학, 통신, 서비스, 사회 공헌, 스포츠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GS그룹, LS그룹, LX그룹 등이 과거 계열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인터내셔널 렉티파이어
    인터내셔널 렉티파이어는 반도체 소자를 개발, 생산해 온 회사로, 2014년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에 인수되어 현재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일부이다.
  • 194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번스 (기업)
    번스는 1947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트림팟" 발명으로 기술 혁신을 이룬 전자 부품 제조 기업으로, 다양한 기업 인수 합병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여 현재는 과도 차단 장치, 압력 센서, 저항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세계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1996년 LG텔레콤으로 설립되어 유무선 통신, IPTV, B2B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통신 회사로, 2010년 LG데이콤, LG파워콤을 흡수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이 되었으며 5G, LTE, CDMA 등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는 대한민국의 전력 생산, 송전, 변전, 배전 및 판매를 담당하는 공기업으로, 한성전기회사로 시작하여 여러 합병과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및 해외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나, 에너지 정책 변화와 요금 인상 논란, 적자 문제가 과제로 남아 있다.
LG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부터 사용된 로고
회사명LG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LG Corporation
이전 회사명럭키 (1947–1983)
럭키금성 (1983–1995)
설립일1947년 1월 5일 (럭키)
럭키금성 설립일1983년 1월
LG 설립일1995년 1월 4일
창립자구인회
본사 위치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서비스 지역전 세계
주요 인물구광모 (회장 겸 최고경영자)
권영수 (부회장)
산업 분야전자 제품
화학 제품
통신
엔지니어링
정보 기술
발전
매출액83조 5천억 원 (약 623억 2천만 달러) (2023년)
소유주구씨 가문 (45.9%)
NPS (8.03%)
미래에셋 (5.5%)
직원 수222,000명 (2023년)
주요 자회사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유플러스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제니스 일렉트로닉스
웹사이트LG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그룹 형태대규모 기업집단
슬로건Life's Good, LG
이전 슬로건LuckyGoldstar in today/Having a good day
본사 건물LG트윈타워
주요 사업전기 제품
화학
유무선 통신
관련 정보
기업 정보LG 기업 정보
사업 소개LG 사업 소개
일본 기업 정보LG 일본 기업 정보
차세대 배터리 사업LG화학-GM 배터리 사업 협력
가족 간 분쟁LG 가족 내 상속 분쟁

2. 역사

LG그룹의 역사는 창업주 구인회1931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포목상 '구인회상점'을 연 것에서 시작되었다. 해방 이후 사업 기반을 부산으로 옮겨 1947년 그룹의 모태인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를 설립했다.[4] 초기에는 사돈 관계였던 허만정 가문(현 GS그룹)과 동업 관계를 맺었으며, 이 동업은 이후 계열 분리 전까지 60년 이상 이어졌다. 1958년에는 금성사(현 LG전자)를 설립하여 전자 산업에 진출, 한국 최초의 라디오 등을 생산하며[5]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락희(Lucky)와 금성사(GoldStar)는 각각 화학/생활용품과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1983년 그룹명을 '럭키금성(Lucky-Goldstar)'으로 통합했다.[5] 창업주 구인회는 '인화(人和)'를 경영 이념으로 삼아 그룹 성장의 기틀을 다졌다.

1969년 구인회 회장 별세 후 아들 구자경이 2대 회장으로 취임했고, 1995년에는 구자경의 아들 구본무가 3대 회장으로 경영권을 승계했다. 구본무 회장은 취임과 함께 그룹명을 'LG'로 변경하고 "Life's Good"이라는 슬로건을 도입하며 글로벌 기업으로의 혁신을 추진했다.[5] LG는 도메인 이름 LG.com을 2009년부터 소유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GS그룹(2005년), LS그룹, LX그룹(2021년) 등이 LG그룹에서 계열 분리되어 나갔다. 2018년 5월 20일 구본무 회장이 뇌종양으로 별세한 후[6], 그의 양자인 구광모가 그룹의 "남성 후계 전통"[8]에 따라 4대 회장으로 취임하여[7] 현재 LG그룹을 이끌고 있다.

2. 1. 창업과 성장 (1947~1969)

창업주인 연암 구인회 회장은 1931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구인회상점'이라는 포목상을 열며 사업을 시작했다. 1940년에는 주식회사 구인상회로 발전시켜 운수와 무역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해방 이후 기존 사업을 정리하고 부산으로 기반을 옮겼다. 초기에는 동생 구철회(훗날 LIG그룹 초대 회장)와 함께 사업을 했으며, 사업이 확장되면서 1941년에는 사돈 관계였던 허만정(현재 GS그룹의 기반) 김해 허씨 일가와 6대 4의 지분으로 동업을 시작했다. 이는 이후 60년 이상 이어진 동업 관계의 시작이었다.[5]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조선흥업사(朝鮮興業社)를 설립하기도 했다.

1947년 LG그룹의 직접적인 모태가 되는 락희화학공업사(樂喜化學工業社, 현 LG화학)가 설립되었고[4], 같은 해 첫 제품으로 화장품 '럭키크림'을 생산했다. 1952년에는 락희화학이 한국 기업 최초로 플라스틱 산업에 진출했다.[4] 플라스틱 사업이 확장되면서 1958년에는 금성사(GoldStar Co. Ltd., 현 LG전자)를 설립했다.[4][5] 금성사는 한국 최초의 라디오를 생산했으며[5], 이후 다양한 소비자 가전 제품을 금성사 브랜드로 판매했다. 락희 브랜드는 주로 비누, 하이티 세탁세제, 럭키치약, 페리오치약 등 위생용품에 사용되었다.[5]

창업주 구인회는 국가에 기여하는 사업을 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플라스틱, TV 등 당시 한국에 없던 새로운 산업 분야를 개척하며 회사를 키워나갔다. 그는 '인화(人和)' 즉, 사람들 사이의 화합을 중요시하는 경영 이념을 강조했는데, 이는 LG그룹의 핵심 정신이 되어 세계적으로도 드문 63년간의 동업 관계를 유지하는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경영 철학은 외국 기업에도 신뢰를 주어, 세계적인 전자기업 필립스가 LG필립스를 공동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구인회 회장은 1969년 별세할 때까지 회사를 이끌었다.[5]

'''LG그룹 창업 및 성장기 주요 연혁 (1947~1969)'''
연도주요 내용
1947년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 설립, 첫 제품 럭키크림 생산
1952년락희화학, 대한민국 최초 플라스틱 생산 개시
1953년락희산업(현 LG상사) 설립
1954년락희화학, 대한민국 최초 연고 형태 럭키 치약 개발 및 합성수지 성형제품 생산 개시
1956년락희화학, 대한민국 최초 PVC 파이프 생산
1958년금성사(현 LG전자) 설립
1962년금성사, 서독 후어마이스터사와 차관 도입 계약 체결
락희비니루공업 설립
1964년금성사, 대한민국 최초 자동전화교환기 생산 개시
1966년금성사, 대한민국 최초 흑백 TV 생산 개시
1967년호남정유(현 GS칼텍스) 설립
1968년한국콘티넨탈카본 설립
1969년금성사, 대한민국 최초 펌프 및 가스레인지 개발 생산
호남정유(현 GS칼텍스) 여수공장 준공
금성통신(현 LG전자) 설립
락희개발(현 GS건설) 설립
락희화학, 민간기업 최초 기업공개
창업주 구인회 회장 별세


2. 2. 럭키금성그룹 시대 (1970~1994)

1970년 2대 회장으로 구자경이 취임했다. 같은 해 세방석유를 설립하고, 반도상사(현 LF)의 의류공장을 준공했으며, 금성사 (현 LG전자)는 전자업계 최초로 기업공개를 단행했다. 또한 범한화재해상보험(현 KB손해보험)을 인수하고, 금성 알프스전자(현 LG이노텍)를 설립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1973년에는 국제증권(현 NH투자증권)을 설립했고, 1974년에는 주력 기업인 럭키화학공업의 상호를 주식회사 럭키로 변경하며 그룹 명칭도 '럭키그룹'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같은 해 반도패션(현 LF)이 의류업에 진출했고, 금성계전(현 LS산전)이 설립되었다.

1976년 반도상사(현 LG상사)는 1억불 수출의 탑과 동탑산업훈장을 받았으며, 1977년 금성사(현 LG전자)는 국내 최초로 전자식 금전등록기를 생산했다. 1978년에는 금성통신이 MFC식 전화기를 개발했고, 1979년에는 금성반도체 (구 LG반도체, 1999년 현대전자에 매각)를 설립하여 반도체 사업에 진출했다.

1980년대 들어서도 그룹은 성장을 지속했다. 1980년 희성산업(현 GS리테일)이 럭키체인(주)을 흡수 합병했고, 1981년에는 연암공업대학의 전신인 연암공업전문대학을 설립했다. 금성사(현 LG전자)는 칼라 VTR 생산을 시작했으며, 호남정유 (현 GS칼텍스)는 제1원유부두를 준공했다. 서울 여의도 신사옥인 트윈타워 기공식도 같은 해에 열렸다. 1982년 금성사는 국내 최초로 8시간용 VCR을 개발했으며, 금성투자금융(현 하나은행)이 설립되었다. 결정적으로 1982년 금성사와 럭키그룹이 합병되었고[22], 1983년 그룹 명칭을 럭키금성그룹으로 공식 변경하였다.[23]

럭키금성그룹 시대에는 기술 개발과 사업 다각화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1983년 럭키(현 LG화학)는 국내 최초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개발했고, 금성사(현 LG전자)는 매트릭스 프린터 개발, 디자인연구소 및 시험연구소 설립, CI 변경 등을 단행했다. 같은 해 럭키 인도지사 설립, 금성하니웰(현 LG엔시스)의 국내 최초 UNIX 사업 개시, 한국마이크로닉스(현 LG마이크론) 설립,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 (현 FC 서울) 창단 등 사업 영역을 다양한 분야로 넓혔다. 1984년에는 회장단 개편(통할부회장 허준구, 부회장 구평회, 허신구 취임)과 함께 금성반도체가 CMOS 게이트어레이 제조공정을 세계 3번째로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럭키개발(현 GS건설)은 사우디아라비아 킹사우드대학 건설공사를 준공했으며, 럭키금성 황소 씨름단도 창단되었다.

이후에도 1986년 럭키경제연구소(현 LG경제연구소), 1987년 STM(현 LG CNS)과 금성히타치시스템(현 LG히타치), 1988년 럭키화재해상보험(현 KB손해보험), 1989년 금성일렉트론(1999년 현대전자에 매각) 등을 설립하며 성장을 이어갔다. 1989년에는 안진제약(현 LG화학)을 인수하여 제약 사업에 진출했으며, 1990년 이를 럭키제약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프로야구단 LG 트윈스를 창단하였다. 1994년에는 LG백화점 (현 롯데백화점)과 한국홈쇼핑(현 GS홈쇼핑)을 설립하며 유통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 3. LG그룹 출범과 혁신 (1995~2004)

1969년 창업주 구인회가 별세한 후 그의 아들 구자경이 회장직을 이어받았다. 이후 1995년에는 구자경의 아들인 구본무에게 경영권이 승계되었으며, 구본무는 같은 해 그룹 명칭을 기존의 '럭키금성'에서 'LG'로 변경하였다.[5] 이는 그룹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래 성장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2. 4. 계열 분리 이후 (2005~현재)

3. 역대 총수

wikitext


4. 지배 구조

LG그룹은 1997년 계열사 간 상호 의존적인 결합 방식에서 벗어나 법인 단위의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했다. 이후 2003년에는 GS그룹을 계열 분리하면서 재계에서 처음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이러한 지주회사 체제는 계열사 간 중복 투자를 줄이고 각 계열사가 핵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LG그룹은 이후에도 LS그룹, LIG넥스원, LX그룹 등을 계열 분리하며 지배 구조를 지속적으로 조정해왔다.

4. 1. 기업 지배 구조

(Silchester International Investors)6.03%
영국
구본식4.48%
대한민국
김영식4.20%구본능3.05%구연경2.92%LG연암재단2.13%구본준2.04%LG연암문화재단1.12%구연수0.72%김선혜0.69%구미정0.69%이욱진0.61%구형모0.60%LG에버그린재단0.48%구자영0.34%LG복지재단0.23%


4. 2. 법인 단위 경영과 지주회사

LG그룹은 1997년, 계열사들이 서로에게 의존하는 기존의 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각 법인이 독립적으로 책임을 지는 '법인 단위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했다. 이후 2003년에는 GS그룹을 계열 분리하면서 예상되는 매출 감소에 대응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계에서는 처음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LG그룹은 기존 사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은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계열사 간에 중복되는 투자를 줄여 조직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었으며, 각 계열사는 출자와 같은 복잡한 재무 및 관리 문제를 지주회사에 맡김으로써 본연의 사업에 더욱 집중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다음은 2023년 9월 기준 LG그룹의 주요 주주 현황이다.

주주지분 (%)국기
구광모15.95%
국민연금공단6.83%
실체스터 인터내셔널 인베스터스(Silchester International Investors)6.03%
구본식4.48%
김영식4.20%
구본능3.05%
구연경2.92%
LG연암재단2.13%
구본준2.04%
LG연암문화재단1.12%
구연수0.72%
김선혜0.69%
구미정0.69%
이욱진0.61%
구형모0.60%
LG에버그린재단0.48%
구자영0.34%
LG복지재단0.23%


5. 사업 부문

(주)LG지주회사로 하여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30개 이상의 계열사를 통해 전자 및 디지털 가전제품, TV, 휴대전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보안 장치, 반도체 등을 제조 및 판매한다. 화학 분야에서는 화장품, 산업용 섬유, 충전식 배터리, 토너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의약품, 표면 장식재 등을 다루며, 통신 분야에서는 장거리 및 국제전화, 이동통신, 광대역 통신 서비스와 컨설팅, 텔레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10]

주요 사업 부문은 다음과 같다. 각 부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그룹 차원의 사회공헌 활동을 위해 LG공익재단(LG연암문화재단, LG복지재단, LG연암학원, LG상록재단, LG상남언론재단 포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 스포츠 구단 운영을 위해 LG스포츠(LG 트윈스, 창원 LG 세이커스)를 두고 있다. 또한 부동산 관리, 경영 컨설팅 등의 사업도 수행한다.[10]

5. 1. 전자

5. 2. 화학

LG그룹의 화학 부문은 LG화학LG생활건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화학 산업 분야에서는 화장품, 산업용 섬유, 충전식 배터리 및 토너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의약품, 표면 장식재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자회사들을 두고 있다.[10]

주요 화학 부문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회사주요 자회사 및 관련 사업
LG화학기초소재, 첨단소재, 생명과학 사업 등.
2020년 전지사업부문이 LG에너지솔루션으로 분사되었다.
* 씨텍
팜한농작물보호제, 비료, 종자 등 농화학 사업
LG생활건강화장품, 생활용품, 음료 사업
* 코카-콜라 음료
LG-TOSTEM알루미늄 창호 등 건축자재 관련 사업


5. 3. 통신·서비스


LG 그룹의 통신·서비스 부문은 이동통신, 미디어, IT 서비스, 에너지, 금융자동화, 교육 및 연구, 광고 등 다양한 사업 영역을 포함한다. 주요 계열사로는 이동통신 및 광대역 통신, 장거리 및 국제전화, 컨설팅, 텔레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LG유플러스와 그 자회사 미디어로그가 있다.[10] 또한, 케이블TV 사업자인 LG헬로비전, IT 서비스 기업인 LG CNS와 자회사 유세스파트너스, 비즈테크파트너스, 이차 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LG에너지솔루션, 금융자동화시스템 관련 기업, 그룹의 인재 양성 및 경영 연구를 담당하는 LG 경영개발원(LG인화원, LG경영연구원), 광고 대행사 HSAD 등이 이 부문에 속해 있다.[10]

6. 스포츠

LG는 한국 프로야구LG 트윈스의 구단주이며, 프로농구창원 LG 세이커스의 메인 스폰서이다. 또한 미국 프로 야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텍사스 레인저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4]

과거 여러 해외 축구 클럽을 후원하기도 했다. 주요 후원 클럽과 기간은 다음과 같다.

후원 기간클럽명리그/국가
1999년 ~ 2000년보르도프랑스
2001년 ~ 2003년레스터 시티잉글랜드
2004년 ~ 2006년올림피크 리옹프랑스
2006년 ~ 2009년AEK 아테네그리스
2007년 ~ 2010년풀럼잉글랜드
2013년 ~ 2016년바이엘 레버쿠젠독일


7. 과거 계열사

8. 브랜드 및 슬로건



LG의 로고는 영어 L자와 G자를 합성한 것이다.

이전의 럭키금성 시절에는 럭키를 상징하는 영문 'L'을 물결 모양으로 형상화한 로고와 금성사의 왕관 로고를 조합하여 사용했다. 이는 럭키와 금성이 하나의 회사임을 의미하는 로고로 1995년까지 사용되었다. 럭키는 단독으로 L자 물결 로고를 사용했고, 금성사는 왕관 로고에 '금성'이라는 서체를 사용한 단독 로고를 사용하다가, 1995년 LG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현재의 LG 로고로 통합하였다.

1995년 LG그룹 출범과 함께 도입된 첫 CI는 2008년 로고가 추가되기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2008년부터는 새로운 로고와 병행하여 2014년까지 사용되었다. 2015년부터는 새로운 CI를 주 로고로 사용하고 있는데, 심볼마크 자체는 변화가 없으나 서체가 'LG스마트체'로 변경되었고 서체 크기도 이전보다 커졌다.[25] 2023년 5월부터는 기존 로고와 함께 새로운 디자인의 로고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5년에 GS그룹이 분리 독립되었을 때도 LG는 기존 로고를 그대로 유지했다.

기업의 핵심 가치를 표현하는 브랜드 슬로건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한편 LG전자는 '기술이 깊을수록 사랑입니다'라는 브랜드 슬로건을 사용하여 기업 이미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LG의 징글인 'G-E-F-D-E-C-C' 음은 2008년에 만들어졌다. 이 징글은 Musikvergnuegen|무지크페어누크겐eng에서 제작하고, 이전에 인텔 봉을 작곡했던 Walter Werzowa|발터 베르조바eng가 작곡했다. 이 징글은 LG 광고 및 기기에서 사용되며 널리 알려져 있다. [http://musikv.s3.amazonaws.com/audio-links/lg-mnemonic.mp3 징글 듣기] [0:03]

9. 기타

LG그룹은 걸프스트림 항공우주의 G550기를 전용기로 소유하고 있다.

2021년에는 LG전자가 113년 전통의 미국 월풀을 제치고 글로벌 가전 부문에서 매출 27.2조을 달성하며, 단일 브랜드 기준 세계 1위 브랜드가 되었다.

참조

[1] 보도자료 LG Electronics LG Announces 2022 Financial Results https://www.lgcorp.c[...] LG Communication Center 2023-01-30
[2] 웹사이트 https://comp.wiserep[...] FnGuide n.d.
[3] 웹사이트 Corporate information https://www.lg.com/g[...] LG Global n.d.
[4] 웹사이트 HISTORY — The Official Site of LG Group http://www.lg.net/ab[...]
[5] 뉴스 LG founder bequeaths principle of harmony, sustainable growth http://www.koreahera[...] 2017-02-12
[6] 웹사이트 LG Chair Koo Bon-moo, Who Ran Company for 23 Years, Dies at 73 http://fortune.com/2[...] 2018-05-20
[7] 뉴스 LG Chair Koo Bon-Moo Dies, Leaves Company to Adopted S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8-05-20
[8] 웹사이트 LG's Koo Bon-joon prepares to depart http://www.theinvest[...] 2018-07-10
[9] 뉴스 LG updates global brand identity to appeal to Gen Z https://www.campaign[...] 2023-04-12
[10] 웹사이트 Our Businesses – The Official Site of LG Group http://www.lgcorp.co[...]
[11] 웹사이트 http://www.lghitachi[...] n.d.
[12] 뉴스 LG Display shares drop 5.4 percent on Philips stake sale https://www.reuters.[...] 2009-03-11
[13] 뉴스 LG and Magna announce billion dollar joint venture in electric car gear https://www.cnbc.com[...] CNBC 2020-12-23
[14] 보도자료 Texas Rangers, LG Twins announce partnership agreement https://www.mlb.com/[...] Major League Baseball 2018-02-21
[15] 웹사이트 About LG Business https://www.lg.com/g[...]
[16] 웹사이트 企業情報 https://www.lg.com/j[...]
[17] 뉴스 世界トップシェアの韓国LG化学、米GMとの車載電池事業本格化。2023年までに900億円投資 https://www.business[...] 2020-05-25
[18] 기타
[19] 기타
[20] 뉴스 和の経営76年、韓国LGでも家族内紛争 相続巡り4代目会長に母妹3人が訴訟 https://jbpress.isme[...] 2023-03-15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서적
[25] 뉴스 20년 만에 CI 서체(폰트) 바꾸는 LG, "맑고 부드러운 LG 구현한다" https://news.nave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