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KT&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KT&G는 1883년 설립된 순화국에서 시작하여 대한제국, 일제강점기를 거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전매공사, 한국담배인삼공사를 거쳐 2002년 민영화된 대한민국의 담배 및 인삼 제품 제조, 판매 기업이다. 현재 담배 사업, 인삼·한방 사업, 생활건강·화장품 사업, 제약·바이오 사업, 호텔 사업 등을 영위하며, '에쎄', '레종', '정관장'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2006년 칼 아이칸의 적대적 인수 시도가 있었으며, 2013년에는 '디스 아프리카' 담배 광고의 인종차별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루미녹스
    루미녹스는 1989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자체 발광 기술인 LLT를 활용해 어둠 속에서도 시인성이 뛰어난 스위스 시계를 제조하며, 군대 및 특수 부대와의 협력을 통해 성능을 인정받았고, 2006년 몬데인에 인수된 후 육해공 및 우주 라인업으로 확장되었으나 모조품에 주의해야 한다.
  • 1989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미탈 스틸 컴퍼니
    미탈 스틸은 락슈미 미탈에 의해 설립되어 공격적인 인수합병으로 빠르게 성장한 다국적 철강 기업으로, 아르셀로 인수를 통해 아르셀로미탈로 사명을 변경하며 세계 최대 철강 회사로 도약했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점도 안고 있다.
  • 전자담배 - 전자 담배
    전자 담배는 액상, 기화 장치, 전지 등으로 구성된 전자 장치로 액상을 가열해 증기를 흡입하는 방식이지만, 유해 화학 물질 검출 가능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으로 규제되고 있다.
  • 전자담배 -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는 1902년 영국과 미국의 담배 회사 합작으로 설립된 다국적 담배 회사로, 던힐, 켄트, 럭키 스트라이크, 폴 몰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며 스포츠 마케팅과 여러 논란에 직면해왔다.
KT&G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KT&G 로고
로고
설립일1989년 4월
이전 명칭한국담배인삼공사
기업 형태공개 회사
산업담배
전신한국전매공사
본사 도시대전광역시
본사 국가대한민국
주요 인물백복인
(사장 & CEO)
제품궐련
매출액USD 39억 달러
매출액 연도2018년
영업이익USD 10억 7천만 달러
이익 연도2018년
자산USD 101억 달러
자산 연도2018년
자회사KGC
영진약품
웹사이트http://www.ktng.com/
추가 정보
모기업

2. 연혁

1899년 대한제국 시기 궁내부 내장원 산하에 설치된 삼정과[8]를 기원으로 한다.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소속 '''조선총독부 전매국'''으로,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재무부 산하 '''전매국'''을 거쳐 1951년 외청인 '''전매청'''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국영기업인 '''한국담배인삼공사'''가 설립되어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한국담배인삼공사는 담배와 인삼(고려인삼) 사업의 전매권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계기로 민영화 방침이 결정되어, 1999년부터 정부 보유 지분 매각이 시작되었다. 2002년에는 사명을 '''KT&G'''로 변경하고 완전한 민영화를 이루었다.

현재 KT&G는 담배 및 인삼 사업 외에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 분야에서는 여자 배구팀 대전 한국인삼공사 레드 스파이커스와 남자 프로 농구팀 안양 한국인삼공사 레드부스터즈를 운영 중이다. 주요 자회사로는 정관장 브랜드의 한국인삼공사(KGC) 등이 있다.[8]

2. 1. 조선 후기 ~ 대한제국

KT&G의 역사는 1883년 조선 후기에 설립된 국영 연초 제조 회사 ‘순화국’에서 시작된다. 순화국은 국가가 직접 설립한 완전한 국영 기업으로, 서양식 담배 제조와 외국과의 무역을 목적으로 했다.

담배와 인삼 등에 대한 전매 제도(국가나 지정된 기관이 특정 상품의 판매를 독점하는 것)의 역사는 1899년 7월 대한제국 시기 궁내부 내장원 산하에 삼정과가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가 KT&G의 직접적인 기원으로 여겨진다.

2. 2. 일제강점기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에 설립된 '''궁내부 내장원 참정과'''[8]가 그 기원이다. 대한제국일제에 강점되면서 조선총독부 소속 '''조선총독부 전매국'''으로 변경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는 재정 확보를 위해 전매 제도를 강화했다. 1920년 조선총독부 재무국은 홍삼전매령을 공포했고, 이어 1921년 담배전매령, 1942년 소금전매령을 차례로 공포하며 전매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해방 이후 조선총독부 재무국이 담당하던 전매제도는 1945년 해방 직후 미군정 전매국으로 이관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재무부 산하 '''전매국'''이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1951년에는 외청인 '''전매청'''으로 승격되었고,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가에 청사를 마련하였다.

한편, 전매청과는 별개로 1948년 12월 재무부 주도로 반관반민(半官半民) 형태의 한국홍삼공사(韓國紅蔘公社)가 설립되었다. 이는 한국 특산품인 홍삼(紅蔘)의 해외 수출 촉진을 목표로 했으나, 설립 초기부터 윤치창 등 전매국 관련 인사가 주주로 참여하여 논란이 있었다.[15] 결국 1949년 7월 7일,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한국홍삼공사는 폐지되었고, 홍삼 및 인삼 관련 업무는 전매국(이후 전매청)이 전담하게 되었다.[16] 홍삼의 해외 수출은 각국에 대표 회사를 선정하여 책임지고 수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전매청은 담배와 인삼(고려인삼, 조선인삼)의 전매권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했으나, 1989년 국영기업인 '''한국담배인삼공사'''로 전환되었다. 이후 전매권 폐지와 수입 자유화 흐름 속에서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거치며 국회에서 민영화 방침이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부터 정부 보유 주식 매각이 시작되었고, 2002년에는 사명을 '''KT&G'''로 변경하고 외국인 주식 보유 제한을 철폐하며 완전한 민영화를 이루었다.

현재 사명 KT&G는 과거 Korea Tobacco & Ginseng의 약자였으나, 사업 영역 확장을 반영하여 Korea Tomorrow & Global로 설명하고 있다. KT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별개의 기업이다.

KT&G는 프로 스포츠 프로 스포츠 구단 운영에도 참여하고 있다. 여자 배구팀 대전 한국인삼공사 레드 스파이커스(V리그)는 국내 최정상급 실력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스폰서이기도 하다. 또한 2005년 7월에는 SBS로부터 프로 농구팀을 인수하여 안양 KT&G 카이츠(현 안양 한국인삼공사 레드부스터즈)로 한국 프로 농구에 진출했다.

주요 자회사로는 홍삼 제품 중심의 건강식품 브랜드 정관장을 운영하는 한국인삼공사(Korea Ginseng Corporation, KGC)와 홍삼 외 건강식품 및 생활용품을 다루는 KGC라이프앤진 등이 있다.[8] 문화방송(MBC) 드라마 《대장금》에서는 한국인삼공사가 "인삼|인삼한국어"이라는 대사를 통해 간접광고를 진행하기도 했다.

2. 4. 민영화 이후

1997년 10월 1일, 새로 시행된 '공기업의 경영구조 개선 및 민영화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출자기관으로 전환되어 본격적인 민영화 수순을 밟게 되었다. 1999년에는 인삼사업부문이 한국인삼공사로 계열 분할되었으며, 2001년 담배사업법 개정으로 담배 전매권 조항이 폐지되어 전매 제도가 완전히 정리되었다.

2002년 대한민국 정부와 정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이 단계적으로 매각되어 민영화 기준을 충족했다. 같은 해 12월 열린 임시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사명을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주식회사 케이티앤지'''(KT&G Corporationeng)로 변경하고 주식 취득 제한을 폐지함으로써 완전한 민영화를 달성했다. 사명 KT&G는 초기에는 'Korea Tobacco & Ginseng'의 약자였으나, 이후 사업 영역 확장을 반영하여 'Korea Tomorrow & Global'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2006년에는 세계적인 기업사냥꾼으로 알려진 칼 아이칸이 KT&G에 대한 공개 매수를 통한 적대적 인수합병을 시도했다. 2월 23일, 아이칸 측은 KT&G에 주당 6만원에 주식을 공개 매수하겠다는 제안서를 보냈으며, 3월 17일로 예정된 정기 주주총회 개최를 막기 위한 가처분 신청도 제기했다.[18] 그러나 칼 아이칸은 결국 경영권 분쟁을 일으킨 뒤 철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 1500억의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추정된다.[19]

민영화 이후 KT&G는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여 2000년대 중반 영진약품을 인수했고, 2010년에는 소망화장품을 인수하여 KGC라이프앤진(주)를 설립했다.

프로 스포츠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여자 배구팀인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는 V-리그에서 최정상급 실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스폰서를 맡고 있다. 또한 2005년 7월에는 SBS로부터 프로 농구팀을 인수하여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라는 이름으로 한국 프로 농구에 진출했다.

자회사로는 홍삼 제품 중심의 건강식품 브랜드 정관장으로 유명한 한국인삼공사(KGC)와 홍삼 외 건강식품 및 생활용품 분야를 다루는 KGC라이프앤진 등이 있다.[8] 참고로, 통신 기업인 KT와는 이름이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3. 사업 부문

KT&G는 담배와 인삼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나, 사업 영역 확장을 반영하여 기존 사명 Korea Tabacco & Ginseng의 약자에서 '''Korea Tomorrow & Global'''이라는 의미로 확장하여 설명하고 있다. 현재는 담배 사업 외에도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주요 사업 부문은 다음과 같다.


  • 담배 사업: 주력 사업 분야로, 국내외 시장에서 다양한 브랜드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 인삼·한방 사업: 자회사인 한국인삼공사(KGC)를 통해 이루어지며, 대표 브랜드로 '정관장'이 있다.
  • 생활건강·화장품 사업: 자회사 KGC라이프앤진코스모코스 등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제약·바이오 사업: 영진약품을 중심으로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진행 중이다.
  • 기타 사업: 호텔 사업 개발 및 운영, 복합문화공간인 KT&G 상상마당과 전문 공연장 KT&G 상상아트홀 운영 등 문화예술 지원 사업도 하고 있다.

3. 1. 담배 사업

KT&G는 담배의 제조와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담배 시장에서는 약 6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22]

해외 시장에서는 주력 수출 지역인 중동, 중앙아시아, 러시아를 넘어 신시장으로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다. 각 국가별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맞춤형 제품 개발을 통해 현지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특히 대만, 몽골, 인도네시아, 미국 등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대만과 몽골에서는 2016년에 역대 최대 판매량을 달성하기도 했다.

동남아시아 최대 담배 시장이자 세계 4위 규모인 인도네시아에서는 2011년 현지 담배 회사 '트리삭티'를 인수하고 법인을 설립하여 현지화 전략을 추진했다. 현재 인도네시아 시장은 KT&G 전체 해외 판매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으로 성장했다. 세계 최대 담배 시장 중 하나인 미국에서는 100여 개 이상의 담배 회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환경 속에서도, KT&G는 세계 3대 담배 회사 중 하나인 JTI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6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 지역에서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23][24]

주요 생산 브랜드로는 더원, 인디고, 아리랑, 디스, 에쎄, 레종 등이 있으며, 특히 슈퍼슬림 담배인 에쎄는 러시아 및 기타 동유럽 시장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자회사인 태아산업(주)은 담배 제품에 사용되는 판상엽을 제조 및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국내 공급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판매 중인 브랜드'''

브랜드명브랜드명브랜드명
레종타임
에쎄심플매치
더원디스한라산
다비도프라일락(기타 약 80여 종)
시즌보헴
클라우드 나인



'''단종된 브랜드'''

브랜드명브랜드명브랜드명
88라이트비둘기하나로
개나리사슴하루방
거북선삼연
글로리 라이트한강
건설한산도
계명수정협동
겟투승리화랑
공작아리랑환희
남대문연송후파
도라지오마샤리프블랙잭 블랙
도라지 연은하수블랙잭 잭
단오인디고디스 리얼
라일락 멘솔장미
명승장수연
무궁화진달래
백양청자
백합충성
태양
파랑새



3. 2. 인삼·한방 사업

KT&G의 인삼 사업은 1999년 6월, KT&G(옛 한국담배인삼공사)로부터 분할된 자회사 한국인삼공사(KGC)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국인삼공사는 홍삼, 홍삼 제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와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인 홍삼 제품 브랜드로는 '정관장'이 있으며, 이는 100% 계약재배로 관리한 6년근 인삼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국내 1위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이다.[25]

한국인삼공사의 기원은 1899년 대한제국의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 두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전매국, 해방 이후에는 전매청으로 변천하였다. 이후 1989년 설립된 국영기업 한국담배인삼공사를 거쳐 현재의 한국인삼공사로 분리되었다.

자회사로는 천연물 헬스케어 기업인 (주)KGC예본과 홍삼 외 건강식품 및 생활 분야를 다루는 KGC라이프앤진 등이 있다.[8]

또한, 한국인삼공사는 여러 프로 스포츠 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여자 배구팀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옛 대전 KT&G 아리엘즈), 남자 농구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옛 안양 KT&G 카이츠), KGC인삼공사 탁구단(옛 대우탁구단), KGC인삼공사 배드민턴단(옛 전매청 신탄진제조창 배드민턴팀)이 있으며, 이 구단들은 KGC인삼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되고 있다.[26] 과거 문화방송 드라마 대장금에서는 '인삼'이라는 대사만으로 간접광고를 진행하기도 했다.[8]

3. 3. 생활건강·화장품

2003년 9월에 한국인삼공사가 100% 출자하여 세워진 케이지씨판매(주)가 전신인 KGC라이프앤진은 2010년 1월 KT&G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지금의 상호로 변경되었다.[27]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식음료품 등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LLang’과 ‘동인비’라는 대표적인 홍삼 화장품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28]

2011년 6월, 소망화장품은 KT&G 자회사로 편입된 후 2016년 9월,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사명을 '세계', '우주'를 뜻하는 '코스모'(COSMO)와 화장품을 뜻하는 '코스메틱'(COSMETICS)을 결합한 '''코스모코스'''로 변경했다.[29][30] 또한, ‘다나한’, ‘플로르드망’, ‘비프루브’라는 대표적인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31]

3. 4. 제약·바이오

의약품, 바이오의 약품, 의약외품, 의료용품·기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2016년 12월 KT&G의 제약 계열사인 영진약품과 KT&G생명과학은 합병되었다.[23][32]

3. 5. 기타 사업

호텔 사업을 개발하고 운영한다.[33]

KT&G 상상마당은 2007년 9월에 개관한 복합문화공간이다. 비주류 예술가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대중에게 폭넓은 문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공연, 영화, 디자인, 시각예술, 교육 등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프로그램과 아티스트 지원 사업 등을 운영한다. 'KT&G 상상마당 홍대'를 시작으로 2011년 'KT&G 상상마당 논산'과 'KT&G 상상마당 춘천'을 개관했다.[34]

KT&G 상상아트홀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가능한 전문 공연장이다.[35]

4. 지배 구조

주주가치 제고 및 권익보호를 위하여 독립된 사외이사로 구성된 이사회를 중심으로 책임 전문 경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높여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중시하는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 결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실시하는 기업지배구조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하였다(2018년 기준).

이사회는 KT&G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심의하고 의결한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의 비중은 관련 법령 및 규정상 요건을 상회하는 수준인 75%(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6명)로 하여 경영진에 대한 이사회의 견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사회 의장과 사장을 분리하였으며,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 중에서 이사회 결의를 통해 결정한다.

5. 사회적 책임 및 논란

KT&G는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2003년 KT&G복지재단을, 2008년에는 KT&G장학재단을 설립하여 지역 사회 복지 및 장학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6]

한편, 2013년 출시한 담배 제품 "THIS AFRICA"의 광고 및 포장 디자인이 아프리카인을 비하하는 인종차별적 요소를 담고 있다는 국내외의 강한 비판을 받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9]

5. 1. '인종차별 광고' 논란

2013년 9월 출시된 담배 제품 "THIS AFRICA"의 포장 디자인과 광고가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켰다. 해당 광고와 포장 디자인이 아프리카인을 チンパンジー|침팬지일본어에 비유하여 묘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アフリカ・たばこ規制同盟|아프리카 담배 규제 연합일본어은 성명을 통해 "파렴치하고 모욕적"이며 "극도의 문화적 무지를 드러낸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BBC와 AFP통신을 비롯한 해외 주요 언론들도 '인종차별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비판적인 보도를 이어갔다.

KT&G는 논란이 확산되자 10월 23일 해당 광고의 송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침팬지가 그려진 포장 디자인에 대해서는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변경을 거부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심지어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원숭이는 사람들에게 아프리카를 떠올리게 하는 유쾌한 동물이라 선택했을 뿐"이라고 해명하여 국제적인 비난 여론을 더욱 키웠다. 결국 거센 비판에 직면한 KT&G는 11월 4일 문제의 포장 디자인을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9]

5. 2. 기타

KT&G는 2003년 KT&G복지재단을, 2008년에는 KT&G장학재단을 설립하여 지역밀착형 복지사업과 차별화된 장학사업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36]

참조

[1] 웹사이트 KT&G Corporation: CEO and Executives https://www.bloomber[...] 2018-03-12
[2] 웹사이트 KT&G rakes in record-high global sales of $979 mn in 2017 http://pulsenews.co.[...] 2018-03-12
[3] 웹사이트 033780:Korea SE Stock Quote - KT&G Corp https://www.bloomber[...] 2018-03-12
[4] 웹사이트 KT&G Corporation: Private Company Information https://www.bloomber[...] 2018-03-12
[5] 웹사이트 History of KT&G Corporation http://www.fundingun[...] 2018-03-12
[6] 웹사이트 Our Story, Cheong Kwan Jang's Ginseng, best ginseng - Korea Ginseng Corp https://www.kgcus.co[...] 2018-03-12
[7] 웹사이트 Tobacco in South Korea http://www.euromonit[...] euromonitor 2010-08-01
[8] 웹사이트 今日の韓国ニュース http://www.sjchp.co.[...]
[9] 뉴스 韓国たばこ広告で「アフリカ人をサル扱い」 「極度の文化的無理解」と批判浴びる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3-11-08
[10] 웹사이트 JT、韓国たばこのKT&G株売却へ https://www.nna.jp/n[...] NNA 2019-12-05
[11] 뉴스인용 백복인 KT&G 신임 사장 "해외서 성장동력 찾겠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10-07
[12] 기타
[13] 뉴스인용 KT&G의 ‘브랜드경영’ https://news.naver.c[...] 머니위크 2015-12-14
[14] 뉴스인용 [뉴스텔링] 불황은 없다? ‘1조 클럽 기업’ 뜨는 비결 http://www.cnbnews.c[...] CNB뉴스 2017-02-18
[15] 뉴스 홍삼회사의 주권할당표 경향신문 1948-12-17
[16] 뉴스 홍삼의 판매권 권위있는 단체에 동아일보 1949-07-07
[17] 뉴스인용 한국전매공사 설립 마무리 단계[김현태] http://imnews.imbc.c[...] MBC 1987-03-30
[18] 뉴스인용 아이칸 "KT&G 공개매수"…2조원 대공세 http://news.sbs.co.k[...] SBS 2006-02-24
[19] 뉴스 '기업 사냥꾼' 아이칸, 1500억원 갖고 튀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12-05
[20] 기타
[21] 기타
[22] 뉴스인용 KT&G·외국계 3社 ‘불붙은 담배전쟁’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6-11-11
[23] 뉴스인용 민영화 성공·성장동력 가속화 KT&G 해외시장 실적 빛났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7-03-03
[24] 뉴스인용 수출효자 한국담배···KT&G, 신시장 개척해 '세계를 품안에'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7-02-28
[25] 뉴스인용 [Love&Gift]100년 전통의 밀리언셀러 ‘정관장 홍삼정’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7-01-19
[26] 뉴스인용 KGC인삼공사 소속 스포츠단 CI 변경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1-07-26
[27] 뉴스인용 KT&G, KGC라이프앤진 출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01
[28] 뉴스인용 인삼화장품에 다시 도전장 낸 홍삼화장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11-01
[29] 뉴스인용 [단독] 소망화장품-라이프앤진 합병, '코스모코스'로 새출발 http://m.newspim.com[...] 뉴스핌 2016-07-05
[30] 뉴스인용 KT&G, 연간 200억 적자 화장품 합병 검토中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6-02-11
[31] 뉴스인용 젊어지는 '꽃을 든 남자'…코스모코스, 체질개선 박차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7-02-08
[32] 뉴스인용 영진약품, KT&G생명과학 흡수 합병 https://news.naver.c[...] 한국경제TV 2016-12-13
[33] 뉴스인용 KT&G, 본업은 '담배'·부업은 '부동산투자' http://www.bizwatch.[...] 비지니스워치 2016-08-25
[34] 뉴스인용 아티스트들의 창작과 소통 저장소 ‘KT&G상상마당’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7-01-14
[35] 뉴스인용 KT&G,상상아트홀 공연장 개관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6-11-05
[36] 뉴스 [나누는 기업들]KT&G, 사회공헌도 '영토확장'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6-12-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