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BC 강변가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 강변가요제는 1979년 처음 개최되어 1980년대까지 신인 가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 대한민국의 가요제이다. 이선희의 'J에게', 이상은의 '담다디' 등 많은 스타를 배출하며 대중적 인기를 얻었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쇠퇴하여 2001년 폐지되었다. 2021년 'MBC 강변가요제 레전드' 방송을 통해 부활을 알렸고, 2022년 'MBC 강변가요제 뉴챌린지'로 정식 부활하여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설립 -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관
    2022년 5월 개관한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관은 아얀 카샤바예프 총영사 지휘 아래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관계 발전에 기여하며, 특히 경제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관계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2022년 설립 -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1988년 삼성종합화학으로 설립되어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준공하며 성장한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으로, 프랑스 토탈과의 합작 및 한화 그룹 편입을 거쳐 202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대산 석유화학 단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오! 나의 파트, 너
    오! 나의 파트, 너는 MBC TV에서 2020년에 방영된 음악 예능 프로그램으로, 정체를 숨긴 참가자 중 음치를 가려내는 추리 형식으로 규현, 임현주 진행, 박미선, 문희준, 홍현희, 박경 등이 패널로 출연하며,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송 마스터와 참가자가 팀을 이루어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2001년 폐지 -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는 교육, 사회, 문화 분야 정책을 총괄하고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 2001년 폐지 - 다나시시
    다나시시는 에도 시대 오메 가도의 역참 마을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 세이부 신주쿠선 개통과 군수 공장 설립으로 도쿄의 베드타운으로 성장했으나, 2001년 호야시와 합병하여 니시도쿄시가 되면서 폐지된 도쿄도의 옛 시이다.
MBC 강변가요제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명MBC 강변가요제
시청 등급ALL
원제강변가요제
장르음악
방송 기간1979년 ~ 2001년
2022년~
방송 횟수22부작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채널원주문화방송, MBC M
기획MBC 예능본부
제작MBC 예능본부
홈페이지MBC 강변가요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79년 경기도 가평군 청평유원지에서 처음 개최된 MBC 강변가요제는 그 시대 젊은이들의 정서를 반영하며 1980년대까지 신인가수들의 중요한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했다.[1] 1999년에는 학력 제한을 폐지하고 만 17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1] 처음 2회까지는 '''MBC FM 강변축제'''였다가 3회부터 '''MBC 강변가요제'''로 이름이 바뀌었다.[1] MBC 대학가요제와 마찬가지로 젊은이들의 놀거리가 다양해지고 가수의 등용문이 기획사 중심 체제로 재편되면서 급격히 쇠퇴하여 2001년 22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1] 이후 2021년 원주 간현유원지에서 '''MBC 강변가요제 레전드'''를 방송하며 부활을 알렸고, 2022년 '''MBC 강변가요제 뉴챌린지'''로 다시 시작되었다.[1]

2. 1. 개최 배경 및 초창기 (1979년 ~ 1980년대 초)

1979년 경기도 가평군 청평유원지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1980년대까지 신인가수들의 중요한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했다.[1] 처음 2회까지는 '''MBC FM 강변축제'''였다가 3회부터 '''MBC 강변가요제'''로 이름이 바뀌었다.[1]

2. 2. 전성기 (1980년대 중반 ~ 1990년대 초)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 MBC 강변가요제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1984년 이선희의 'J에게', 1988년 이상은의 '담다디' 등 강변가요제 출신 가수들이 연이어 히트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댄스 음악이 유행하면서, 강변가요제에서도 댄스, 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매년 여름, 강변가요제는 젊은이들의 뜨거운 관심과 참여 속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요제로 자리매김했다.[1]

2. 3. 쇠퇴기 (1990년대 중반 ~ 2001년)

1990년대 중반부터 대형 기획사 중심의 아이돌 그룹이 등장하고, 다양한 오디션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강변가요제의 입지는 점차 좁아졌다. MBC 대학가요제와 마찬가지로 젊은이들의 놀거리가 다양해지고 가수의 등용문이 기획사 중심의 체제로 재편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였고, 결국 2001년 22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1]

2. 4. 부활과 새로운 시작 (2021년 ~ 현재)

2021년 원주 간현유원지에서 MBC '''강변가요제 레전드'''를 방송하면서 부활을 알렸다.[1] 2022년 '''MBC 강변가요제 뉴챌린지'''로 부활했다.[1]

3. 역대 주요 수상자 및 수상곡

MBC 강변가요제는 1979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01년까지 매년 개최되었으며, 2022년과 2023년에 "MBC 강변가요제 뉴챌린지"라는 이름으로 다시 개최되었다. 다음은 역대 주요 수상자 및 수상곡 목록이다.

연도회차수상곡명비고
1979년제1회은상해오라기 - 〈숨바꼭질〉
동상건아들 - 〈가슴을 펴고〉
장려상감자바위 - 〈비야 이젠 그만 내려라〉
인기상장남들 - 〈여름바다〉
격려상김인순, 이은숙 - 〈작은 소망〉
금상홍삼트리오 - 〈기도〉[2]
1981년제2회금상하눌타리 - 〈푸른 여름에는〉
은상김광용, 김은희, 황국현 - 〈사랑은〉
동상애오라지 - 〈모심는 마음〉
장려상인삼뿌리 2기(주현미 등) - 〈이 바다 이 겨울 위에서〉
1982년제3회대상천국의 이방인 - 〈태양의 예언〉
금상결사대 - 〈나빠〉
은상황선형 - 〈님의 눈물〉
동상정승원 - 〈삼학도 배따라기〉
장려상소용돌이 - 〈보랏빛 안개〉
1983년제4회대상손현희 - 〈이름 없는 새〉
금상백마들 - 〈오늘 같이 좋은 날〉
은상진(Zin) - 〈너무하잖아〉
동상김명숙 - 〈벗에게〉
장려상오규록 - 〈비와 바람의 입맞춤〉
1983년제4회특별상김상우 - 〈비익조〉
1984년제5회금상푸른소리 - 〈구름강강산술래〉
은상손정희 - 〈여름 그리기〉
동상멜러디 - 〈지난날의 슬픈 이야기〉
장려상덧마루 - 〈길 잃은 친구에게〉
1984년제5회특별상정혜경 - 〈지난 새벽〉
1985년제6회금상어우러기 - 〈밤에 피는 장미〉
은상권진원 - 〈지난 여름밤의 이야기〉
동상이순길 - 〈끝없는 사랑〉
장려상박미경 - 〈민들레 홀씨되어〉
1986년제7회대상유미리 - 〈젊음의 노트〉
금상, 가창상도시그림자 - 〈이 어둠의 이 슬픔〉
은상징검다리 - 〈아무 이름으로도〉
동상바다새 - 〈바다새〉
장려상염소영, 정용석 - 〈네 곁에서〉
1986년제7회참가곡송시현 - 〈미워할 수 없는 그대〉[3]
1987년제8회대상문희경 - 〈그리움은 빗물처럼〉
금상제제(ZeZe) - 〈진실이야〉
은상여운 - 〈홀로된 사랑〉
장려상이진호 - 〈이별 여행〉
1987년제8회동상, 가창상티삼스 - 〈매일 매일 기다려〉
1989년제10회금상옥슨 - 〈청개구리〉
1989년제10회장려상김승호 - 〈타작〉, 사철나무 - 〈그대 사랑해〉
1989년제10회참가곡진시몬 - 〈캠퍼스에도 외로움이〉


3. 1. 1970년대 ~ 1980년대

1970년대한국어~1980년대한국어는 MBC 강변가요제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다양한 음악적 재능을 가진 참가자들이 등장하여 가요제의 명성을 쌓았다.

연도회차수상곡명비고
1979년제1회금상홍삼트리오 - 〈기도〉[2]
1981년제2회대상사랑의 하모니 - 〈별이여 사랑이여〉
1984년제5회대상이선희 - 〈J에게〉
1985년제6회대상마음과 마음 - 〈그대 먼 곳에〉
1988년제9회대상이상은 - 〈담다디〉
1988년제9회금상이상우 - 〈슬픈 그림 같은 사랑〉
1989년제10회대상박영미 - 〈이젠 모두 잊고 싶어요〉
1989년제10회은상박선주 - 〈귀로〉


3. 2. 1990년대 ~ 2000년대

연도대회대상금상은상동상특별상인기상
1990년제11회권성연 〈한여름 밤의 꿈〉[4]시사회 〈여름비가 내리네〉삼각관계 〈떠나가 버려〉유현국 〈아 그대여〉민형신 〈세상스케치〉, 류호숙 〈어느날 극장 앞에서〉-
1991년제12회박숙영 〈노래하는 인형〉이우덕 〈이별의 아픔〉김경호 외 2인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노진우 외 4인 〈피카소 사랑〉--
1992년제13회이후종 〈왜 내게 널〉이주희 〈눈물 속에 멀어지는 그대〉김경호 〈슬픈 영혼의 아리아(엘리제)〉주용아 〈심봤다〉손정한 〈잊기 위한 미소〉-
1993년제14회칼라(문지연, 윤세진, 김소정, 정혜림) 〈후회하고 있는 거야〉나나 〈내게는 너만이〉유명희 〈잊혀져갈 사랑이지 뭐〉아야로시 〈너의 슬픈 모습까지도〉옥슨93 〈동전 먹는 전화〉-
1994년제15회이재혁 〈재미있는 세상〉주리랑 〈졸업하는 날〉김호섭 〈넌 못말려〉황호욱 〈잃어버린 나의 모습〉입 큰 개구리 〈너를 볼 수없다는 것〉-
1995년제16회김우진 〈너에겐 미안해〉육각수(도중운, 조성환) 〈흥보가 기가 막혀〉[6]신연아, 강성민 〈그대만을 위한 사랑으로〉DM7 〈너의 곁에〉흑백조화 〈내 맘속 그대〉육각수 〈흥보가 기가 막혀〉
1996년제17회배연희 〈소중한 너에게〉[7]박상균 〈그쵸〉이지영 〈Man〉정승운 〈마네킹〉탈무드 〈그리고… 또〉EVE4 〈니가 떠나버린 곳에〉
1997년제18회네이머스(Namus; 박주영, 이준승, 노종성) 〈겨울이 끝나는 날〉김현성 〈Stop〉머피스 〈나의 사랑아〉김미랑 〈기억 속의 너를〉정용제 〈꿈의 섬〉인터넷 B&G 〈젊음이야 사랑이야〉
1998년제19회안문식 〈나와 같은 눈물을 흘릴거야〉김반엽 〈나〉S.G 〈From S.P.〉네온 〈Happy Days〉서 있는 사람들 〈나 잡아봐라〉S.G 〈From S.P.〉
1999년제20회장윤정 〈내 안에 넌…〉정글 〈악어의 눈물〉NEO 〈너의 행복을 위해〉-U4NY (오늘밤)NEO 〈너의 행복을 위해〉
2000년제21회시너지 〈그녀의 여름〉위치스 〈I Want You〉박희경 〈지천무애〉지하1층 〈안부〉이영현 〈확인〉진선주 〈Break Out〉
2001년제22회김세진 〈Please Don't Go〉, 네바다51 〈아리랑〉김정은 〈고백〉, 박은태 〈고백〉---Genius 〈차가운 미소〉


3. 3. 2020년대 ~ 현재

2021년을 끝으로 중단되었던 강변가요제가 2022년 《MBC 강변가요제 뉴챌린지》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시작되었다.[1] 2022년 대상은 사운드 힐즈의 〈홀로(Lonely Night)〉, 금상은 오헬렌의 , 은상은 New evo의 <모든 것이 떨어진다 해도>, 동상은 감성골목의 <청개구리>, 장려상은 온도의 가 수상하였다. 2023년에는 엔분의일(1/N)의 가 대상을 수상하였고, 금상은 남궁현의 <문득 그대가 찾아오는 오늘 같은 밤에>, 은상은 오아!(OAH!)의 , 동상은 억스(AUX)의 <꽃타령>, 장려상은 롱아일랜드의 가 수상하였다.

4. 역대 MC


5. 에피소드 및 뒷이야기


  • 주현미1981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6인조 밴드 '인삼뿌리 2기'의 보컬로 출전했다.
  • 이선희1984년 7월 29일 부모님이 알아볼까 봐 파마를 하고 치마가 없어 구경 온 여중생의 치마를 빌려 입고 출전했다.[8]
  • 이상은은 1988년 대상 발표 직후 사회자 이수만이 "지금 제일 생각나는 사람이 누구냐"라고 묻자 흥분한 나머지 마이클 잭슨이라고 외쳤다.[9] https://www.youtube.com/watch?v=zmDrb2dZN1c 관련 영상의 3분 35초 부분에 있다.
  • 신해철1988년 MBC 강변가요제에 '아기천사' 멤버들과의 친분으로 대타 형식으로 출전해 최종 예선까지 올랐으나 TV 방송되는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때 불렀던 곡은 '슬픈표정 하지 말아요'라고 한다. 이후 같은 해 MBC 대학가요제에서 무한궤도의 멤버로 출전해 본선에 진출하여 대상을 수상했다. 대상을 수상한 곡은 `그대에게`이다.
  • 가수 이재영은 9회에 '''내 젊음 목이 말라요'''라는 곡으로 출연하였다.

참조

[1] 웹인용 [문화프리뷰]21년 만에 돌아온 강변가요제 http://weekly.khan.c[...] 2022-08-31
[2] 문서 제1회는 금상이 최고상이었다.
[3] 문서 〈꿈결 같은 세상〉을 부른 가수 겸 작곡가
[4] 뉴스 배우 김영호, 故 김현식 추모 앨범 및 공연 참석! 무슨 사연?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 경향닷컴 2010-05-16
[5] 문서 댄스그룹 쿨의 멤버
[6] 문서 신연아는 빅마마 큰언니
[7] 뉴스 인기가수 대박의 마술사 ‘보컬 디렉터’ 화인 http://www.segye.com[...] 세계닷컴 세계일보 2006-07-25
[8] 뉴스 아시아경제 2014년 3월 22일자 http://www.asiae.co.[...]
[9] 뉴스 이상은, 23년 만에 데뷔했던 장소에서 공연 http://star.mk.co.kr[...] 스타투데이 2012-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