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 (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은은 1988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담다디'로 대상을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78cm의 큰 키와 중성적인 이미지로 인기를 얻었으며, 1990년 유학을 떠나 음악적 성장을 거듭했다. 이후 '리채(Lee-Tzsche)'라는 이름으로 해외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인디씬에서 활동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대중과 평단의 지지를 받았으며, 2019년 EP 앨범 《fLoW》를 발표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랫 대학교 동문 - 권정호 (화가)
권정호는 한국 전쟁의 격동기를 겪으며 성장하여 계명대학교와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대구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개인의 내면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양식을 구축한 한국의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 미술 행정가이다. - 프랫 대학교 동문 - 슈테판 자그마이스터
오스트리아 출신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퍼인 슈테판 자그마이스터는 유명 음악가 앨범 커버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Sagmeister Inc.를 설립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며 그래미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나, 웹스톡 컨퍼런스에서 부적절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덕성여자중학교 동문 - 박영선 (정치인)
박영선은 MBC 아나운서, 기자, 앵커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 여성 최초 민주당 정책위의장 및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덕성여자중학교 동문 - 김지미
김지미는 1957년 영화 《황혼열차》로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고 지미필름을 설립하여 영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상은 (가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상은 |
출생일 | 1970년 3월 1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학력 | 한양대학교 (중퇴) |
최종 학력 | 프랫 인스티튜트 |
직업 | 가수 싱어송라이터 |
활동 시기 | 1988년–현재 |
장르 | 팝 발라드 |
악기 | 보컬 |
레이블 | 브리즈 뮤직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이상은 |
한자 | 李尙恩 |
로마자 표기 | I Sang-e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i Sangŭn |
활동 예명 (한글) | 리채 |
활동 예명 (로마자 표기) | Richae |
활동 예명 (매큔-라이샤워 표기) | Rich'ae |
기타 | |
웹사이트 | 이상은 공식 페이스북 이상은 유튜브 |
2. 생애
이상은은 1970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창덕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했다. 중학생 시절 마이클 잭슨의 'Thriller'를 보고 가수를 꿈꾸게 되었다.
1988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담다디〉로 대상을 수상하며 데뷔한 이상은은 당시 흔치 않은 중성적인 매력으로 소녀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아이돌 이미지에 회의를 느껴 1990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1991년에는 미술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유학 중에도 꾸준히 음악 작업을 하여, 1991년 3집 《더딘하루》를 발표했다. 이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을 이어갔다.
1997년부터는 'Lee-Tzsche'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도 활동했다. 이 예명은 부모님의 성을 따서 지은 것으로, 'tzsche'는 프리드리히 니체에게서 영감을 받은 철자다. 1998년에는 일본 영화 '힘내서 갑시다'의 주제가로 〈Ogiyodiora〉가 채택되기도 했다.
대표곡으로는 〈담다디〉, 〈사랑할거야〉, 〈언젠가는〉, 〈비밀의 화원〉 등이 있다.
2. 1. 데뷔와 아이돌 스타 시절 (1988~1990)
178cm의 큰 키에 중성적인 스타일을 가진 만 18세의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14] 신입생 이상은은 1988년 여름 MBC 강변가요제에서 〈담다디〉[15]로 대상을 받으며 데뷔했다.[7] 데뷔 후, 가수 활동 외에도 각종 예능 프로그램, 드라마, 영화, CF, 라디오 DJ, 쇼 프로그램 MC 등 만능 엔터테이너형 아이돌 콘셉트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대중의 과도한 관심과 연예계의 횡포에 지쳐갔고, 성대결절이라는 악조건 속에서 발표한 2집 타이틀곡 〈사랑할거야〉[16]는 표절 시비에 휘말렸다. 꼭두각시처럼 끌려다니는 연예계 생활에 염증을 느끼던 이상은은 평소 꿈꿔왔던 미술 공부를 위해 유학을 결심, 1990년 가을, 인기 절정의 순간에 한국을 떠났다.[7]2. 2. 유학과 음악적 성장 (1991~1997)
1991년, 이상은은 뉴욕 프랫 인스티튜트에 입학하기 위해 준비하면서, 자신의 음악적 전환점이 되는 3집 앨범 《더딘하루》를 발표한다.[14] 이 앨범에서 그녀는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며 제작 전 과정을 직접 주도했고, 이를 통해 진정한 음악인으로서의 자세에 눈을 뜨게 된다.[15]미국 유학 중에도 이상은은 음악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의 힙합 앨범이라 할 수 있는 하우스풍의 4집 《Begin》을 발표한다.[16] 이 앨범은 양희은의 소개로 알게 된 흑인음악 프로듀서 김홍순과의 공동작업으로, 이상은은 다양한 표현 방법을 체득하게 된다. 이후 '언젠가는'이 수록된 5집을 발표하여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17]
이 시기에 이상은은 일본에서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는 재일교포 저널리스트 강신자 씨와의 인연으로 일본 아티스트들과 교류를 시작한다. 와다 이즈미[18], 다케다 하지무[19] 등과 협업하여 6집 《공무도하가》[20]를 발표하는데, 이 앨범은 한국 대중음악사의 명반 중 하나로 꼽힌다. 앨범 수록곡 〈보헤미안〉처럼 동양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의지와 세계화를 추구하는 노력을 담아냈으며, 일본에서 먼저 발매된 후 국내에 라이선스로 소개되었다.
1997년에는 7집 《외롭고 웃긴 가게》[21]를 발표하며, '내면을 그린 추상화 같은 음악'을 완성했다는 평가와 함께 노래하는 시인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 앨범을 통해 그녀는 진정한 뮤지션으로 다시 한번 태어났다.
2. 3. 리채(Lee-Tzsche)로서의 해외 활동 (1997~2000년대 초)
1997년, 이상은은 전곡 영어 앨범 8집을 발표하면서 '리채(Lee-Tzsche)'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7] 'Lee-Tzsche(리채, リ-チェ일본어)'는 외국 활동이 많아지면서 쉽게 부를 수 있는 영어 이름이 필요해 만든 것으로, '리'와 '채'는 부모님의 성씨에서 한 자씩 딴 것이고, 영어 표기 'tzsche'는 자신이 좋아하는 철학자 니체의 이름 일부를 가져온 것이다.[7]이상은은 영국의 유명 레코드사인 버진(Virgin)사와 음반 계약을 맺고 세계적인 뮤지션으로 성장했다. 일본에서 발매된 8집, 9집, 10집은 도시바EMI에서 나왔고 국내에는 라이센스로 소개됐다.
또한 한국 음악인으로는 처음으로 일본 영화 '화이팅 에츠코(がんばっていきまっしょい)'의 영화음악을 맡아 '어기여디어라' 영어 버전인 〈Ogiyodiora〉[22]가 주제곡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이 곡이 포함된 이상은의 OST 앨범 《Give it all》 역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상은은 일본에서 활동하면서도 일본어로 노래하지 않았고, 대중적인 인기를 목적으로 활동한 것이 아니라 라이브 공연 위주로 순전히 음악성만으로 인정을 받아 활동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2000년에는 다시 영국으로 미술 유학을 떠나기도 했다.
2. 4. 인디씬 활동과 현재 (2000년대 중반~)
일본 활동을 마치고 귀국한 후 이상은은 주류 음악계 대신 인디씬에서 주로 활동한다. 소규모 공연을 계속하는 한편, 여행작가, 라디오 DJ로도 활동하며 미술, 음악, 영화, 사진 등 다양한 예술 영역을 넘나들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왔다. 대중과 평단의 고른 지지를 받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여성 싱어송라이터로 자리매김했다.이상은의 앨범들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실험과 사색을 통해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그녀의 음악을 처음 접한 시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아이돌 댄스가수로 시작해 서정적인 발라드, 포크, 재즈, 록 장르를 선보였고, 동양적 색채를 띠며 내면으로 깊이 침잠하는 철학적인 음악도 선보였다. 실험적인 사운드를 즐기는 몽상가에서 어느 순간 사랑에 빠진 달콤한 예술가가 되기도 하고, 돌연 파격적인 일렉트로닉 음악을 선보여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에는 빈티지한 사운드로 다시 한번 음악적 변신을 시도하는 등, 자기 발전을 위한 그녀의 오랜 여정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2009년에는 'Breeze Music (브리즈뮤직)'이라는 인디레이블을 설립하여 14집 앨범부터 자신의 레이블을 통해 발매하고 있다.[23] 2014년 2월에는 4년 만의 신작인 15집 《lulu》를 발표했는데, 모든 수록곡의 작사, 작곡뿐만 아니라 편곡, 녹음, 사운드메이킹, 믹싱 등 앨범 작업 일체를 홈레코딩으로 홀로 해내는 또 다른 도전을 이뤄냈다.
2015년 7월에는 국립극장에서 이틀 동안 단독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대중성과 음악성을 모두 갖춘 아티스트로 평가받는 이상은은 국립극장의 여우락 페스티벌에 참여해 기존 자신의 레퍼토리를 국악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공연을 준비하며 전통음악에 대해 많은 공부와 고민을 했다는 이상은은 이를 새 앨범 작업으로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24] 월간객석 10월호 인터뷰에 따르면 16집 앨범 준비에 들어갔다고 한다.[25] 2019년 10월에는 5년 만의 신작 EP 앨범 《fLoW》를 발표했다.
3. 학력
4. 음반 목록
이상은은 1988년 MBC 강변가요제에서 〈담다디〉로 데뷔한 이후, 다양한 음반을 발표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아이돌 스타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뉴욕 유학을 계기로 싱어송라이터로 변신하여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4. 1. 정규 음반
- 1989년 1월: 1집 《Happy Birthday》
- 1989년 12월: 2집 《사랑할거야》
- 1991년 11월: 3집 《더딘하루》 - 뉴욕 유학 중 작업 (3집부터 자작곡 / 아이돌에서 싱어송라이터로 포지션 변경)
- 1992년 6월: 4집 《BEGIN》 - 뉴욕
- 1993년 1월: 5집 《LEE SANG EUN》 - 뉴욕
- 1995년 7월: 6집 《공무도하가》 - 일본 활동 (이때부터 한국에 라이선스 형태로 역수입됨)
- 1997년 3월: 7집 《외롭고 웃긴 가게》
- 1997년 12월: 8집 《Lee-Tzsche》 - 전곡 영어 앨범 / 일본에만 발매되었다가 한국엔 2000년에 수입됨
- 1999년 3월: 9집 《Asian Prescription》 - 일본
- 2001년 2월: 10집 《Endless Lay》 - 일본
- 2003년 3월: 11집 《신비체험》
- 2005년 6월: 12집 《Romantopia》[27]
- 2007년 10월: 13집 《The Third Place》
- 2010년 3월: 14집 《We Are Made Of Stardust》
- 2014년 2월: 15집 《LuLu》
4. 2. 비정규 음반
발매일 | 음반명 | 비고 |
---|---|---|
1988년 8월 | 《제9회 MBC 강변가요제 앨범》 | 담다디 수록 |
1989년 12월 | 《크리스마스 캐롤앨범》 | 크리스마스 또 돌아왔네 수록 |
1990년 4월 | 《동요앨범》 | 까치소리 동동동 수록 (김흥국 공동 참여, 문화부장관 표창 수상) |
1992년 5월 | 《이상은 베스트앨범》 | 1, 2집 곡 수록 - 지구레코드 |
1997년 11월 | 싱글 〈Actually, Finally〉 | 도시바EMI 일본 |
1998년 8월 | 싱글 〈Ogiyodiora〉 | 도시바EMI 일본 |
1998년 9월 | 영화 《간밧떼 이키맛쇼이》 OST 《Give it all》 | 한국인 최초 일본영화음악담당, 도시바EMI 일본 |
1999년 2월 | 싱글 〈A Path〉 | 도시바EMI 일본 |
2000년 10월 | 《Lee-tzsche 베스트》 | 1991~1999 곡 수록, 도시바EMI 일본 |
2000년 10월 | 영화 봉자 OST 《She Wanted》 | |
2002년 3월 | 스튜디오 라이브앨범 《Asian Breeze》[28] | 도시바EMI 일본 |
2007년 8월 | 디지털 앨범 《Out of Space》 | |
2011년 8월 | 디지털 스페셜 앨범 《Bliss》 | |
2012년 2월 | 디지털 싱글 〈안녕, 좋은하루〉 | |
2019년 10월 | EP 앨범 《fLoW》 |
4. 3. 참여 음반
연도 | 음반명 | 수록곡 |
---|---|---|
1991년 | MBC 《축하의 노래》 | 〈당신의 생일을 축하합니다〉 |
1996년 | 강산에 3집 | 〈별뜻없이, 자유새〉 |
1997년 | 어어부 프로젝트 1집 | 〈녹색병원〉 |
1997년 | 황보령 1집 | 〈탈진〉 |
1997년 | 도시락특공대 | 〈Hold me, 즉흥퍼포먼스 2〉 (자작곡) |
1997년 | 영화 《꽃을 든 남자》 OST | 〈당신 생각에〉 |
1997년 | 원일 '아수라' | [https://www.youtube.com/watch?v=M6g2_T3WscQ 〈달빛항해〉] (몽금포타령) |
1998년 | 김동섭 | 〈Oz Aurora [몽 夢]〉 |
1999년 | 한대수 | 〈1975 고무신 서울~ 1997 후쿠오카 라이브〉 (코러스) |
2000년 | 도시락특공대 2집 | 〈Actually, Finally〉 (자작곡) |
2000년 | 어어부밴드 3집 | 〈중국인 자매〉 |
2001년 | CB-MASS 2집 | 〈흔적〉 |
2001년 | 2001 쌈지사운드 페스티벌 라이브 | 〈사막〉 (자작곡) |
2002년 | 김수철 POP & ROCK | 〈보고 싶은 너〉 |
2004년 | 달파란 & 병준 모조소년 1집 | 〈To The Moon〉 |
2004년 | 영화 《인어공주》 OST | 〈To Mother〉 |
2005년 | 한대수 라이브 | 〈2001 Live At Olympic Fencing Stadium〉(코러스) |
2005년 | 2005 국악축전 공식음악 | [https://www.youtube.com/watch?v=Ut_kVu95mmU 〈Dancing Goddess〉] (자작곡) |
2009년 | MBC 《음악여행 라라라》 Live | 〈매일 그대와〉 |
2011년 | MBC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 OST | 〈Falling〉 |
2012년 | 이야기해주세요 | 〈성녀〉 (자작곡) |
2013년 | MBC 드라마 《제왕의 딸 수백향》 OST | 〈정읍사〉 |
2015년 | 한대수 40주년 트리뷰트 앨범 'Rebirth' | 〈One day 나 혼자, 하루 아침〉 |
2016년 | tvN 드라마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 15》 OST | 〈꿈을 따라가〉 (자작곡) |
2020년 | KBC광주방송 남도애가요 프로젝트 | 〈쉬어가리〉 (자작곡) |
5. 기타 활동
이상은은 영화, 음악,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89년 영화 《담다디》와 《굿모닝 대통령》에 출연했고, 1997년 영화 《홀리데이 인 서울》의 음악(선곡 작업)을 담당했다. 1998년 일본 영화 《가んばっていきまっしょい(Give it all)》, 2000년 영화 《봉자》의 음악감독을 맡았다.[1]
2004년 단편 애니메이션 'Africa a.F.r.i.c.A'의 음악감독을 맡아 도쿄 애니메이션 페어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2008년 제2회 시네마디지털서울(CinDi 2008) 공식 트레일러 연출, 2009년 제6회 서울환경영화제 에코 프렌즈로 위촉되어 트레일러 영상에 출연했다.[1]
5. 1. 방송
연도 | 프로그램 |
---|---|
1988년 | MBC FM4U 《FM은 내친구》 DJ |
1989년 | KBS TV 《젊음의 행진》 MC (with 이정현) |
1989년 | CBS 라디오 《우리들의 이야기》 청소년대상 토크쇼 MC |
1990년 | MBC FM4U 《밤의 디스크쇼》 DJ - [https://www.youtube.com/watch?v=HK8ZB-9Wq70 이상은 밤디 로고송] |
1993년 | KBS 제2FM 《FM 인기가요》 DJ (with 조규찬) |
1996년 | EBS 라디오 《음악의 세계》 DJ |
1996년 | KMTV 《세계 유행 음악- 라 스텔라 스텔라》 MC |
2002년 | KBS 제2FM 《사랑해요 FM》 DJ |
2009년 | EBS 라디오 《세계음악기행》 DJ |
2010년 | MBC FM4U 《이상은의 골든디스크》 DJ (2010. 4. ~ 2012. 10.) |
2011년 | G1 강원민방 내일의 빛 콘서트 4주간의 음악여행 MC |
2003년 | EBS TV 《삼색토크 여자》 고정패널 |
2004년 | KBS 1TV 아테네올림픽특집 〈영혼의 자유를 노래하는 사람들〉 - 가수 이상은의 그리스 음악 |
2004년 | KBS 1TV 《그곳에 가고싶다》 - 길 위에 머문 시간 (경북 영주편) |
2008년 | EBS TV 세계테마기행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기행〉 4부작 |
2009년 | KBS 1TV 《한밤의 문화산책》 리포터 |
2011년 | KBS 2TV 밴드오디션 프로그램 《TOP밴드》 특별심사위원 |
2012년 | KBS 1TV KBS 스페셜 다큐 〈런던, 재탄생!〉 |
2013년 | KBS 1TV 《문화 책갈피》 프레젠터 |
2019년 | EBS TV 특집다큐 광화문 광장, 도시의 심장을 바꾸다 |
5. 2. 저서
제목 | 발행일 | 출판사 | 비고 |
---|---|---|---|
《푸른 달팽이의 달빛무대 & SOUL》 | 2004년 4월 | 소담출판사 | 시집 |
《이상은 ART & PLAY - 예술가가 되는 법》 | 2007년 5월 | M&K | |
《삶은 여행》(이상은 in 베를린) | 2008년 3월 | 북노마드 | |
《올라 투명한 평화의 땅, 스페인》(보헤미안 이상은 스페인 여행기) | 2008년 11월 | EBS지식채널 | |
《뉴욕에서》(문화관찰자 이상은의 뉴욕이야기) | 2010년 8월 | 스테이지팩토리 | |
《London Voice》(삶은여행, 두번째 이야기) | 2011년 1월 | 북노마드 | |
《젊은 날의 선택》 | 2004년 7월 | 정음 | 이상은 외 11인 공저 |
《인생기출문제집》 | 2009년 10월 | 북하우스 | 이상은 외 20인 공저 |
《사랑 풍경》 | 2012년 9월 | 섬앤섬 | 이상은 외 16인 공저 |
《넌 아름다워》 | 2019년 12월 | 노란상상 | 그림책, 그림 서평화 |
5. 3. 전시
이상은은 여러 차례 전시회에 참여했다. 1996년 5월에는 조선호텔에서 열린 '카멜레옹즈(KameleonZ) 그룹전'에 참여했고, 같은 해 9월에는 홍익대학교 거리미술전에 참여했다. 1997년 4월에는 인사동 갤러리2000에서 열린 '외롭고 웃긴 가게' 전시회에 참여했다.[1] 2001년 10월에는 아트웍스코리아에서 초영노트, 크리스마스 카드, 다이어리 디자인을 맡았다.[1]2008년에는 여러 전시에 참여했는데, 3월에는 소공동 롯데백화점 쌈지아트마켓에서 베를린 여행 사진·에세이展을 열었고, 9월에는 갤러리 이앙에서 '시간의 점- 일상 속 아뜰리에 展'을 열었다.[1] 12월에는 인사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린 '스타작가들의 자선 사진전- 사랑을 전하는 시선 展'과 구 서울역사에서 열린 '서울 국제사진페스티벌- 기획전시'에 참여했다.[1]
2010년 10월에는 롯데에비뉴엘에서 열린 '아티스타☆에비뉴엘'展에 참여했고, 2016년 7월에는 거창문화센터 전시실에서 열린 '아트테이너 & 지역작가 초대전'에 참여했다.[1]
연도 | 전시회 제목 | 장소 |
---|---|---|
1996.05 | 카멜레옹즈(KameleonZ) 그룹전 | 조선호텔 |
1996.09 | 홍익대학교 거리미술전 | 홍익대학교 |
1997.04 | 외롭고 웃긴 가게 | 인사동 갤러리2000 |
2001.10 | 아트웍스코리아 | 초영노트, 크리스마스 카드, 다이어리 디자인 |
2008.03 | 베를린 여행 사진·에세이展 | 소공동 롯데백화점 쌈지아트마켓 |
2008.09 | 시간의 점- 일상 속 아뜰리에 展 | 갤러리 이앙 |
2008.12 | 스타작가들의 자선 사진전- 사랑을 전하는 시선 展 |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
2008.12 | 서울 국제사진페스티벌- 기획전시 | 구 서울역사 |
2010.10 | 아티스타☆에비뉴엘展 | 롯데에비뉴엘 |
2016.07 | 아트테이너 & 지역작가 초대전 | 거창문화센터 전시실 |
6.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 후보작 | 출처 |
---|---|---|---|---|
1988년 | MBC 강변가요제 | 대상 | 〈담다디〉 | |
골든디스크 어워즈 | 신인가수상 | [10] | ||
MBC 가요대제전 | 신인가수상, 10대가수상 | |||
KBS 가요톱10 | 1위 (4주) | |||
1993년 | MBC 결정! 최고 인기가요 | 1위 (2주) | 〈언젠가는〉 | |
2004년 | 한국대중음악상 | 올해의 여자가수상 | 11집 | [11] |
2005년 | KBS 바른언어상 | 아름다운 노랫말 부문 특별상 | 12집 | [29] |
2006년 | 한국대중음악상 | 올해의 여자가수상 | 12집 | [12] |
2008년 | 한국대중음악상 | 올해의 음반 | 13집 | |
올해의 팝음반 (종합장르부문) | ||||
올해의 가수상 후보 |
참조
[1]
웹사이트
Sylvia Lee Is Ready for a Starry Season in San Jose
https://www.sfcv.org[...]
2016-08-16
[2]
웹사이트
이상은 - Daum 검색
https://100.daum.net[...]
Daum
2024-01-19
[3]
웹사이트
이상은 - Daum 검색
https://100.daum.net[...]
Daum
2024-01-19
[4]
웹사이트
이상은 - Daum 검색
https://100.daum.net[...]
Daum
2024-01-19
[5]
웹사이트
이상은(Leetzsche) 소개
http://m.mnet.com/a/[...]
2018-12-12
[6]
웹사이트
From 'Dam-da-di' to 'Lulu'
http://koreajoongang[...]
2014-03-06
[7]
서적
Billboar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96-03-16
[8]
서적
Pop Goes Korea: Behind the Revolution in Movies, Music, and Internet Culture
https://books.google[...]
Stone Bridge Press
[9]
서적
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https://books.googl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10]
웹사이트
골든디스크 역대수상자
https://www.goldendi[...]
2018-12-12
[11]
웹사이트
1회 시상식 수상결과
http://koreanmusicaw[...]
2018-12-12
[12]
웹사이트
3회 시상식 수상결과
http://koreanmusicaw[...]
2018-12-12
[13]
문서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중 이상은의 6집앨범 《공무도하가》와 7집앨범 《외롭고 웃긴 가게》 선정 결과
[14]
문서
이상은의 학창 시절 및 진로 선택 과정
[15]
문서
이상은의 '담다디'에 대한 설명
[16]
문서
이상은의 '사랑할거야'에 대한 설명
[17]
문서
이상은의 '슬픈 인연'에 대한 설명
[18]
문서
이상은 6집, 13집 앨범 프로듀서에 대한 설명
[19]
문서
이상은과 오랜 시간 함께 작업한 음악적 동반자에 대한 설명
[20]
문서
'공무도하가' 노래 제작 계기
[21]
문서
이상은 7집 앨범 《외롭고 웃긴 가게》에 대한 설명 및 평론
[22]
문서
'어기여디어라' 영어 버전 및 영화 '화이팅 에츠코' 음악 감독 참여에 대한 설명
[23]
웹사이트
봄을 품고 온 그녀…시린 삶 응원합니다
http://www.hani.co.k[...]
[24]
웹사이트
이상은 '아람가락' 국립극장 공연 및 한겨레 기사
http://blog.naver.co[...]
[25]
웹사이트
가수 이상은 '변화가 만드는 새로운 균형'
http://navercast.nav[...]
[26]
문서
이상은의 런던 유학 및 첼시 칼리지, 센트럴 세인트 마틴 재학 경험
[27]
문서
이상은의 연애 및 13집 앨범 '삶은 여행'에 대한 설명
[28]
문서
일본 발매 스튜디오 라이브 앨범 및 'En' 곡에 대한 설명
[29]
웹사이트
송일국 이상은, ‘KBS 바른언어상’ 특별상 수상
http://entertain.nav[...]
2005-10-07
[30]
문서
이상은의 강변가요제 수상 소감 및 마이클 잭슨에 대한 언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