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5 코퍼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GM-5 코퍼럴은 미국이 개발한 최초의 전술 탄도 미사일로,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액체 연료 로켓 엔진과 복잡한 유도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 코퍼럴은 신뢰성 문제와 낮은 명중률, 그리고 발사 준비의 어려움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MGM-29 서전트 미사일의 등장으로 인해 1960년대 중반에 퇴역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대지 미사일 - J-600T 을드름
J-600T 을드름은 터키 로켓산에서 개발 및 제조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중국 B-611을 기반으로 국산화 및 개량되었으며, F-600T 발사 차량과 함께 2001년부터 터키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 지대지 미사일 - 함대지 미사일
함대지 미사일은 함정에서 발사되어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미사일이며, 토마호크, 현무-3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미국, 러시아, 중국,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개발 및 운용한다. - 미국의 핵무기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1945년 8월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 원자폭탄은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엄청난 인명 피해와 장기적인 방사능 피해를 야기하여 전쟁의 참상과 핵무기의 위험성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아있다. - 미국의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MGM-5 코퍼럴 | |
---|---|
개요 | |
![]() | |
종류 | 전술 탄도 미사일 |
개발 국가 | 미국 |
설계 | 제트 추진 연구소 |
제조 | 파이어스톤 타이어 앤드 러버 컴퍼니 |
제원 | |
중량 | 5,000 kg |
길이 | 13.82 m |
지름 | 76 cm |
날개폭 | 2.1 m |
탄두 | W7 핵탄두 |
탄두 중량 | 약 454 kg |
폭발력 | 20 kt |
엔진 | 액체 연료 엔진 |
추력 | 89 kN |
사거리 | 48–130 km |
속도 | 3,900 km/h (마하 3.2) |
추진제 | 액체 연료 |
최대 고도 | 50 km |
가동 시간 | 1분 4초 |
운용 정보 |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영국 육군 |
사용 기간 | 1954년–1964년 |
개발 시작 | 1952년 |
생산 수량 | 1,101기 (개발용 55기, 양산형 1,046기) |
파생형 | Type II Type IIa Type IIb |
2. 개발
코퍼럴 미사일 개발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와 제트 추진 연구소(JPL)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1944년 6월, 미국 육군은 구겐하임 항공 연구소 캘리포니아 공과대학(GALCIT)에 탄도 유도 미사일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미국에는 이러한 무기를 제작할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GALCIT는 프라이빗이라는 고체 연료 로켓 개발을 시작으로, WAC 코퍼럴이라는 액체 연료 비유도 사운딩 로켓을 거쳐, 더 큰 유도 연구 미사일인 코퍼럴 E를 개발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을 취했다.[5]
1950년 한국전쟁 발발은 코퍼럴 개발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9년 말, 육군은 코퍼럴 E를 긴급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고 추가적인 연구를 취소하여 코퍼럴 프로그램을 가속화했다. 그 결과, 코퍼럴 탄도 미사일은 JPL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52년 8월 7일 뉴멕시코주 화이트 샌즈 미사일 발사 기지에서 무기 버전으로 처음 비행했다.
코퍼럴은 적연질산 (RFNA)과 아닐린을 연소시키는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했다. 연료와 산화제의 정확한 혼합 비율은 코퍼럴의 사용 기간 동안 변경되었다. 초기 시험 프로그램에서는 산화제로 RFNA, 연료로 아닐린과 푸르푸릴 알코올 혼합물이 사용되었다. 이후 추진제는 IRFNA (억제된 적연질산), 질산, 이산화 질소, 물, 플루오린화 수소 산화제와 아닐린, 푸르푸릴 알코올, 히드라진 연료로 변경되었다.[5][6][7] 이러한 연료 체계는 발사 직전에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준비가 필요하여 전술적 대응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코퍼럴의 유도는 내부 및 지상 유도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초기 발사 단계에서 관성 유도는 미사일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사전 설정된 유도는 발사 중 미사일을 조종했다. 지상 유도 시스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용된 SCR-584 레이더를 개조한 것으로, 미사일의 위치와 거리를 추적했다. 이 정보는 궤적과 목표물 명중에 필요한 모든 수정을 계산하는 아날로그 컴퓨터로 전송되었다. 도플러 레이더는 미사일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최종 거리 보정 및 탄두 장전 명령을 보내는 데 사용되었다. 트랜스폰더 비콘은 최대 범위에서 추적하기 위한 반환 신호를 제공했다. 코퍼럴 시스템은 전자전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은 프로그램 기간 동안 해결되었고, 코퍼럴 III에서 크게 개선될 예정이었다. 고폭탄, 파편, 화학 물질 등 다양한 탄두가 개발되었지만, 미사일에 장착된 탄두는 W-7(Mk.7)이었다.[8]
코퍼럴 대대는 2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배치에 35대의 차량이 필요했고, 발사 위치에 도달한 후 미사일을 발사하는 데 9시간이 걸렸다. 유럽의 코퍼럴 미사일 대대는 많은 지원 차량과 인원이 필요했지만, 비교적 기동성이 좋았다.
코퍼럴 I은 신뢰성과 정확성이 떨어졌다.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코퍼럴 II가 개발되었으며, 코퍼럴 I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최종 생산된 코퍼럴 II는 비교적 정확했지만, CEP(원형 공산 오차)는 350미터로, 목표치인 300미터에는 미치지 못했다.
코퍼럴 II의 결함은 코퍼럴 III의 설계 및 개발로 이어졌다. 코퍼럴 III는 신뢰성, 지상 지원 장비, 특히 지상 유도 장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1957년 방위 예산 삭감으로 인해 코퍼럴 III에 대한 모든 작업이 종료되고, MGM-29 서전트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다. 1963년부터 서전트 미사일이 코퍼럴 IIb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1964년 6월까지 코퍼럴 시스템은 미국에서 완전히 퇴역했다. 1966년 6월, 마지막 코퍼럴 부대인 왕립 포병대 제27 유도 무기 연대가 코퍼럴을 퇴역시켰다.
2. 1. 프라이빗 A/F
1944년 5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시작된 ORDCIT 계획("Ordnance" and CIT)은 미국 육군 무기과가 정리한 최초의 유도 미사일 계획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트 추진 연구소(JPL)가 조직되었다. 같은 해 5월 22일에는 장사정 미사일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개발 가계약이 있었고, 6월 22일에 정식 계약이 체결되었다. 개발은 첸쉐썬이 지휘했다[15][16]。1944년 11월에는 코퍼럴의 연구, 탄도를 포함한 이론상의 계산 및 도면이 형체를 갖추기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최초의 시험 로켓인 '''프라이빗 A'''가 캘리포니아주 리치 스프링스의 리치 호수에서 발사되었다. 프라이빗 A는 미국 최초의 다단 로켓이었지만, 기술적으로 미숙한 점이 있었다.
1945년 2월부터 4월까지 프라이빗 A 및 F 로켓은 초음속 풍동 실험을 받았다. 같은 해 4월에 발사된 '''프라이빗 F'''는 날개를 가진 탄도 미사일이 비행 중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도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2. 2. WAC 코퍼럴 A/B
코퍼럴이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로켓은 기상 관측용 '''WAC 코퍼럴''' 로켓(WAC는 Without Altitude Control의 약자)이었다. WAC 코퍼럴의 부스터가 되는 타이니 팀 로켓의 시험 발사가 1945년9월 26일에 실시되었고,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서의 첫 로켓 발사 실험이 되었다. '''WAC 코퍼럴 A'''는 개량된 타이니 팀을 사용하였고, 1945년10월 1일에 처음 발사되어 약 70000m의 고도에 도달했다. 이것은 미국의 국가 예산으로 개발된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이었다. WAC 코퍼럴 A는 작동 자체는 실패했지만 관측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노즈 콘을 분리하여 귀환시키는 시스템(노즈 릴리스 리커버리 시스템)을 처음 탑재하고 있었다. WAC 코퍼럴은, 후의 1947년에 '''RTV-G-1'''로 명명되었다.이어지는 WAC 코퍼럴 B는, 경량화된 신설계 로켓 모터를 탑재하고 산화제와 연료에 의한 버스트 다이어프램을 갖추고 있으며, 1946년 12월에 행해진 WAC 코퍼럴의 12번째 실험에서 처음 발사되었다. 후에 RTV-G-4 범퍼라고 불린 연구용 2단식 로켓에도 사용되었고, 8기가 1948년부터 1950년의 시험을 위해 사용되었다. RTV-G-4에서는, 독일에서 접수된 V2 로켓을 제1단에, WAC 코퍼럴 B는 제2단에 실었다. 버스트 다이어프램은 WAC 코퍼럴 B와 범퍼의 실험으로 그 가치를 증명받아, 지대지 탄도 미사일로서의 코퍼럴의 개발과 그 실전 배치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2. 3. 코퍼럴 E (RTV-G-2)
코퍼럴 E는 전술 탄도 미사일인 코퍼럴의 직접적인 전신이다. 1947년 5월 22일에 첫 비행을 하였고, 102km의 도달 거리와 39,300m의 고도를 기록했다. 이는 지대지 유도 탄도 미사일의 제조, 비행 및 유도의 기초적인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5]1950년 12월, 헤르메스 계획이 작전용 미사일에 이르기까지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코퍼럴 E를 전술 핵 장비를 탑재한 탄도 미사일로 발전시키는 것이 승인되어 SSM-G-17 코퍼럴로 명명되었다. 1951년에 미군 미사일 명명 규칙이 변경되어 RTV-G-2와 SSM-G-17은 각각 RV-A-2와 SSM-A-17로 개칭되었지만, RV-A-2 호칭은 곧 폐지되었고, 코퍼럴의 모든 시제 미사일은 XSSM-A-17로 불렸다.[5]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코퍼럴의 주 계약자였으며, 초기 코퍼럴 E 미사일은 더글러스 항공기가 연구 시제품으로 1949년에 7기, 이후 1950년 10월 9일 계약으로 20기, 총 27기를 제조했다. 1951년 1월, 코퍼럴 개발 권한이 육군 무기과에서 레드스톤 병기창의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ABMA)으로 이관된 후, 1951년 6월 29일에 작전용 미사일 200기 제조 계약이 파이어스톤에 주어졌다. 코퍼럴 I이라고도 불렸던 SSM-A-17 코퍼럴은 1952년 8월에 첫 비행을 했고, 1954년 4월에 육군 최초의 코퍼럴 부대가 그 미사일로 훈련을 시작했다. SSM-A-17은 W7 핵분열 탄두 (핵출력 20kt)를 탑재했다.[5]
3. 설계 및 특징
코퍼럴은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했으며, 초기에는 적연질산(RFNA)과 아닐린을 추진제로 사용했다.[5] 코퍼럴의 사용 기간 동안 추진제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는데, 1958년 이후에는 IRFNA(억제된 적연질산)와 아닐린, 푸르푸릴 알코올, 히드라진 혼합물이 사용되었다.[6][7] 이러한 추진제는 발사 직전에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에 전술적 대응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코퍼럴의 유도 시스템은 내부 및 지상 유도의 복잡한 체계로 구성되었다. 초기 발사 단계에서는 관성 유도가 미사일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사전 설정된 유도가 발사 중 미사일을 조종했다. 지상 유도 시스템은 2차 세계 대전 SCR-584 레이더를 개조한 AN/MPQ-12를 사용하여 미사일의 위치와 경사 거리를 추적했다. 도플러 레이더는 미사일의 속도를 측정하고, 궤적 계산 및 최종 거리 보정, 탄두 장전 명령을 보내는 데 사용되었다. 트랜스폰더 비콘은 최대 범위에서 추적을 위한 신호를 제공했다. 코퍼럴 시스템은 전자 대항 조치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코퍼럴 III에서 크게 개선되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8]
코퍼럴 미사일은 W-7(Mk.7) 핵탄두(핵출력 20kt)를 탑재했으며, 고폭탄, 화학탄 등 다양한 탄두를 장착할 수 있었다. 코퍼럴 대대는 250명의 병력과 35대의 차량으로 구성되었으며, 미사일 발사에 9시간이 걸렸다.
4. 문제점 및 한계
코퍼럴 미사일은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했는데, 적연질산(RFNA)과 아닐린을 연소시켰다.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 비율은 사용 기간 동안 변경되었다.[5][6][7] 발사 준비에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전술적 대응성에 문제가 있었다.
코퍼럴의 유도 시스템은 내부 및 지상 유도를 결합한 복잡한 방식이었다. 초기 발사 단계에서는 관성 유도가 미사일을 수직으로 유지했고, 사전 설정된 유도가 발사 중 미사일을 조종했다. 지상 유도 시스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SCR-584 레이더를 개조한 것으로, 미사일의 위치와 거리를 추적했다. 이 정보는 궤적과 목표 명중에 필요한 수정을 계산하는 아날로그 컴퓨터로 전송되었다. 도플러 레이더는 미사일 속도를 측정하고 궤적 계산에 사용되었으며, 미사일 재진입 후 최종 거리 보정 및 탄두 장전 명령을 보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트랜스폰더 비콘은 최대 범위에서 추적하기 위한 반환 신호를 제공했다. 코퍼럴 시스템은 전자 대항 조치에 취약했으며, 이는 코퍼럴 III에서 개선되었다.
코퍼럴 대대는 250명의 병력과 35대의 차량으로 구성되었으며, 발사까지 9시간이 걸렸다. 유럽의 코퍼럴 미사일 대대는 기동성이 좋았지만, 많은 지원 차량과 인원이 필요했다. 독일에서는 잦은 경계 훈련이 실시되었는데, 모든 인원을 소집하고 차량과 미사일을 이동시켜 가상 발사를 수행했다.
최초의 핵무장 미사일인 코퍼럴 I은 신뢰성과 정확도가 낮았다. 코퍼럴 I은 너무 섬세하여 기계적, 전기적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지속적인 개발로 코퍼럴 II가 개발되었고, 코퍼럴 IIa 및 IIb(M2A1) 버전으로 개선되었다. 코퍼럴 II는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었지만, CEP(원형 공산 오차)는 350미터로 목표치인 300미터에 미치지 못했다.
코퍼럴 II의 결함으로 코퍼럴 III가 설계 및 개발되었지만, 1957년 방위 예산 삭감으로 인해 모든 작업이 종료되었다. 1963년, MGM-29 서전트 미사일이 코퍼럴 IIb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1964년 6월까지 코퍼럴 시스템은 미국에서 사라졌다.
요약하자면, 코퍼럴 미사일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 발사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추진제의 독성과 부식성으로 인해 취급이 어려웠다. 유도 시스템은 복잡하고 정비가 어려웠으며, 외부 유도 명령에 의존하여 전자 방해에 취약했다. 초기 모델인 코퍼럴 I은 신뢰성과 정확도가 낮아 지속적인 개량이 필요했다.
5. 개량형
MGM-5 코퍼럴 미사일은 지속적인 개량을 거쳤다. 초기형의 문제점을 개선한 코퍼럴 II (MGM-5A)가 개발되었고, 유도 장치를 더욱 개선한 코퍼럴 IIa가 1957년에 도입되었다. 1958년부터는 코퍼럴 IIb (MGM-5B)가 배치되었는데, 이는 내장 배터리 대신 공기 터빈 교류 발전기를 사용하고, 미사일 설치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모델이었다. 코퍼럴 III는 신뢰성과 지상 지원 장비를 더욱 개선하고자 했으나, MGM-29 서전트 개발로 인해 1957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5. 1. 코퍼럴 II (MGM-5A)
코퍼럴 II는 최초의 핵무장 미사일인 코퍼럴 I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개선한 모델이다. 코퍼럴 I이 개발 중일 때부터 이미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발이 시작되었다.[9][10][11] 엔지니어-사용자 시험에서 발견된 기계적, 전기적 문제점들은 코퍼럴 II에서 해결되었다.1953년, JPL은 신형 도플러 유닛을 포함한 레이더/무선 장치를 개발하여 코퍼럴의 신뢰성 개선을 시작했다. 미사일 발사기, 이렉터(미사일을 세우는 장치) 및 유지 보수 플랫폼도 재설계되었다. 코퍼럴 II 미사일은 처음에는 XSSM-A-17a라고 불렸지만, 나중에는 XM2E1으로 명명되었다. 1956년부터 배치가 시작되었으며, 모든 코퍼럴 I은 코퍼럴 II로 신속하게 대체되었다. 또한, 코퍼럴 미사일은 유도 미사일 M2로 지정되었다.
첫 번째 코퍼럴 II 프로토타입은 1953년 10월 8일에 비행했고, 첫 번째 완전한 유형 II 시스템은 1955년 2월에 인도되었다. 유형 II 코퍼럴은 미사일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최종 생산된 코퍼럴 II는 다른 초기 미사일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정확했지만, CEP(원형 공산 오차)는 350미터로, 목표했던 300미터에는 미치지 못했다.
5. 2. 코퍼럴 IIa/IIb (MGM-5B)
1957년에 도입된 코퍼럴 IIa는 유도 장치가 개선되었다. 시스템의 전자 장치 대부분을 변경했지만, 미사일 외형에는 변화가 없었다.[9] 1958년부터의 코퍼럴 IIb는 신뢰성이 낮은 내장 배터리 대신 공기 터빈 교류 발전기(ATA)를 사용하고, 미사일을 더 빠르게 설치하기 위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핀을 가지고 있었다.[10] 코퍼럴 IIb는 M2A1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1963년에 MGM-5B가 되었다.[11]5. 3. 코퍼럴 III
코퍼럴 II의 결함은 코퍼럴 III의 설계 및 개발로 이어졌다. 코퍼럴 III는 신뢰성, 지상 지원 장비, 특히 지상 유도 장비를 개선하여 육군에 훨씬 개선된 무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코퍼럴 IIb 미사일에는 작은 변화만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56년에 코퍼럴 II에 대한 모든 연구 및 개발 작업이 완료되었다.레드스톤 조병창의 연구에 따르면 MGM-29 서전트 미사일 시스템이 1963년에 실용화될 예정이었으며, 코퍼럴 III 장비는 추가 코퍼럴 부대에 대해서만 조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1957년에 코퍼럴 III가 비행했지만, 개발 중인 코퍼럴 시스템을 대체하기에는 너무 늦었다. 1957년 5월 23일, 방위 예산 삭감에 따라 MGM-29 서전트 개발 자금 확보를 위해 코퍼럴 III에 대한 모든 작업이 종료되었다.
6. 운용
1952년 3월에 최초의 코퍼럴 대대가 창설되었고, 1955년부터 유럽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미국 육군은 총 6개의 코퍼럴 대대를 운용했으며, 독일, 이탈리아, 미국 본토에 배치되었다.[14] 1955년에는 영국에 코퍼럴 IIA 미사일이 제공되어, 영국 왕립 포병대에서 운용되었다.[12] 1963년 MGM-29 서전트 미사일로 대체되면서 퇴역하기 시작하여, 1964년 완전히 퇴역했다.
; 운용 부대
국가 | 부대 |
---|---|
영국 | 제27 유도 무기 연대 RA (1957–1966) |
제47 유도 무기 연대 RA (1957–1965) | |
미국 | 제246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2대대 제80야전 포병 연대 (포트실)) |
제259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40야전 포병 연대 (포트블리스)) | |
제523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81야전 포병 연대 (포트카슨)) | |
제526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84야전 포병 연대 (포트실)) | |
제530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39야전 포병 연대 (독일)) | |
제531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38야전 포병 연대 (독일)) | |
제543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82야전 포병 연대 (이탈리아)) | |
제557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2대대 제81야전 포병 연대 (독일)) | |
제558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82야전 포병 연대 (독일)) | |
제559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2대대 제84야전 포병 연대 (독일)) | |
제570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1대대 제80야전 포병 연대 (이탈리아)) | |
제601 미사일 대대 (재지정: 제2대대 제40야전 포병 연대 (독일)) |
1945년 10월 11일,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제1유도 미사일 대대가 편성되었고, 1947년 4월에는 이 대대의 D중대가 WAC 코퍼럴 B를 발사했다. 1952년 3월에 최초의 탄도 미사일 부대인 3개의 코퍼럴 대대가 편성되어 6개 대대까지 늘어났다. 각 대대는 2개의 발사 중대로 구성되었으며, 이 부대들은 465기의 코퍼럴 II를 장비했다.
1955년 2월, 미국 육군의 제259 코퍼럴 대대와 제96 직접 지원 중대가 유럽에 배치되었다. 제259 코퍼럴 대대는 처음에 코퍼럴 I을 장비했지만, 1956년 4월에 코퍼럴 II로 교체되었다.
1954년 후반, 미국과 영국은 미국이 영국에 113기의 코퍼럴 IIA 미사일 및 관련 지상 장비를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 이 코퍼럴 IIA는 1955년 4월에 제공되었으며, 미국군 이외의 군대에 의해 운용된 최초의 미국제 유도 미사일이 되었다. 1959년에는 스코틀랜드의 사우스 유이스트 섬에 1957년부터 1958년까지 건설된 특별 왕립 포병 로켓 실험장에서 영국과 독일의 코퍼럴 대대가 시험 발사를 실시했다. 첫 해 성공률은 46%로, 독일에서의 코퍼럴 운용 효과에 대한 의문을 낳았다.
미국 육군은 코퍼럴 III을 개발할 예정이었으나, MGM-29 서전트 개발이 진전되면서 1958년에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 1958년부터 1959년 사이에 코퍼럴 IIb가 제조되었지만, 서전트가 1962년에 배치된 후 코퍼럴은 신속하게 제거되었다. 1963년 3월 31일에 유럽 배치 코퍼럴 대대가 활동을 중지하고, 1964년 6월 25일에 마지막 코퍼럴 대대가 해산되면서 코퍼럴 운용이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JPL/Firestone SSM-A-17/M2/MGM-5 Corporal
http://www.designati[...]
[2]
웹사이트
Corporal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All U.S. Nuclear Weapons
http://nuclearweapon[...]
2020-06-12
[4]
서적
Development of the Corporal: The Embryo of the Army Missile Program
https://apps.dtic.mi[...]
Reports and Historical Office, Army Ballistic Missile Agency, Army Ordnance Missile Command
[5]
웹사이트
Nuclear-weapons.info
http://www.nuclear-w[...]
[6]
이미지
http://nuclear-weapons.info/images/wo279-249p69.png
2022-03
[7]
이미지
http://nuclear-weapons.info/images/corporal-scud-data.png
2022-03
[8]
간행물
"The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9]
서적
The Rocket Team
Thomas Y. Crowell, Publishers
[10]
웹사이트
V-2
http://www.astronaut[...]
2016-08-20
[11]
간행물
History of the Redstone Missile System
Historical Division, Army Missile Command
[12]
뉴스
British warhead was misguided missile
https://www.theguard[...]
2003-09-06
[13]
웹사이트
59th Ordnance Brigade – Details on NATO Nuclear Artillery Units (excl. German Army)
http://www.usarmyger[...]
US Army in Germany
[14]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in the European Theater US Army, Europe
http://www.usarmyger[...]
US Army in Germany
[15]
웹사이트
Qian Xuesen: Scientist and pioneer of China's missile and space programmes
http://www.independe[...]
インデペンデント
2009-11-13
[16]
웹사이트
Qian Xuesen Laid Foundation For Space Rise in China
http://www.aviationw[...]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08-01-06
[17]
웹사이트
MGM-5
http://www.designati[...]
Designation-Systems.Net
200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