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4 플레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P4 플레이어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휴대용 장치이다. 칩셋에 따라 AVI, Xvid, MP2 등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록칩과 인게닉 칩셋이 널리 사용된다. AMV와 MTV와 같은 특정 비디오 포맷도 지원하며, 일부 모델은 FM 트랜스미터 기능을 갖추고 있다.
MP4 플레이어는 이름에 'MP4'가 포함되어 있지만, 반드시 MPEG-4 표준 비디오 포맷만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기기에 탑재된 칩셋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비디오 포맷을 재생할 수 있다.[1]
일부 MP4 플레이어에는 FM 트랜스미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음악을 FM 라디오 주파수로 송출하여 가까운 거리의 FM 라디오 수신기, 예를 들어 자동차 오디오 등에서 들을 수 있게 해준다.
2. 비디오 포맷
초기 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MP4 플레이어 중 일부는 중국 록칩사의 칩셋을 사용하여 Xvid 코덱으로 인코딩된 AVI 파일을 주로 지원했다.[1] 또한, 리얼네트웍스의 독자적인 포맷인 .RM이나 .RMVB 파일 재생을 위해 인게닉 칩셋을 사용한 기기들도 출시되었다.[1]
이 외에도 기기의 하드웨어 성능이나 저장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AMV나 MTV와 같은 특수한 비디오 포맷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했다. AMV는 이미지 압축률이 높지만 화질 손실이 큰 편이고, MTV 포맷은 MP3 오디오와 비압축 이미지 프레임을 결합하여 별도의 복잡한 디코딩 과정 없이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독자 포맷들은 제한된 성능의 기기에서도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했지만, 범용성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MP4 플레이어 구매 시에는 이름만 보기보다는 실제로 지원하는 비디오 포맷 목록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 1. 칩셋
MP4 플레이어에는 다양한 종류의 칩셋이 사용된다. 초기에는 중국 푸저우 록칩 일렉트로닉스에서 제조한 비디오 프로세서인 록칩이 많은 제품에 널리 채택되었다.[1] 이후 리얼네트웍스의 파일 형식을 지원하는 인게닉 칩셋을 탑재한 기기들도 등장하였다.[1]
2. 1. 1. 록칩 (Rockchip)
푸저우 록칩 일렉트로닉스(Fuzhou Rockchip Electronics)의 비디오 프로세서인 록칩은 많은 MP4 플레이어에 채택되고 있다. 이 칩셋은 B 프레임이 없는 Xvid 코덱과 MP2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는 AVI 파일 형식을 주로 지원한다. 온다(Onda) VX979+와 같은 일부 플레이어들은 리얼네트웍스의 .RM, .RMVB 포맷을 지원하는 인게닉(Ingenic) 칩셋을 사용하기 시작하기도 하였다.
2. 1. 2. 인게닉 (Ingenic)
리얼네트웍스의 .RM, .RMVB 포맷을 지원하는 인게닉(Ingenic) 칩셋을 사용하는 MP4 플레이어도 등장했다. 예를 들어, 온다(Onda) VX979+와 같은 일부 기기들이 이 칩셋을 채택하였다.
2. 2. AMV
AMV 포맷의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128 × 96 픽셀 해상도에 12 fps이며, 비트레이트 손실이 많은 특징을 가진다.
2. 3. MTV
MTV 포맷은 케이블 TV 채널 MTV와는 관련이 없는 비디오 파일 형식이다. 이 형식은 512 바이트 크기의 파일 헤더를 가지며, 이 헤더는 MP3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 프레임을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MTV 비디오를 재생할 때, 오디오 프레임은 기기의 칩셋에 내장된 디코더를 통해 처리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관련 하드웨어는 메모리 포인터를 직접 조절하여 비디오 스트림에서 다음 이미지 데이터를 찾아 화면에 보여준다.
이 방식은 비디오 재생을 위해 별도의 복잡한 디코딩 하드웨어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미지를 압축하지 않고 원본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 크기가 커져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레이어의 전체 저장 용량에 비해 실제로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3. 기타 기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