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라디오 방송 기술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87.5~108.0MHz 대역에서 사용되며, 국가별로 주파수 간격 및 대역에 차이가 있다. FM 방송은 음질이 좋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한민국에서는 88.1~107.9MHz 대역을 사용하며, 표준 FM과 음악 FM을 포함한 다양한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 디지털 라디오 방송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FM 방송은 재난 상황 등에서 중요한 정보 전달 수단으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송공학 - 건조
건조는 물질 속 수분을 증발시켜 고체나 반고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으로, 식품 보존, 화학 실험, 산업 공정, 방송 공학, 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DNA 손상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의 저항성을 진화시키기도 한다. - 방송공학 - 텔레비전 방송국
텔레비전 방송국은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조직으로, 정부 규제 하에 방송 허가를 받아 운영되며, 최근에는 온라인 방송 확산과 디지털 전환으로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 통신공학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공학 - 라디오
라디오는 전파를 이용해 음성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술 및 장치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과 인터넷 라디오 등으로 발전했으며, 방송, 통신, 위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주파수 대역과 변조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국제적으로 주파수 관리를 받는다. - FM 라디오 방송 - MBC 표준FM
MBC 표준FM은 1959년 부산문화방송으로 개국하여 1961년 수도권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이며, 뉴스, 시사, 교양, 오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4시간 방송한다. - FM 라디오 방송 - 원음방송
원음방송은 원불교 재단에서 설립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및 TV 방송국이며, 1998년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전국으로 권역을 확대하고 2015년 TV 방송을 개국하여 24시간 방송을 진행한다.
FM 방송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라디오 방송 |
주파수 대역 | 초단파 |
변조 방식 | 주파수 변조 (FM) |
용도 | 음악 방송 뉴스 방송 교육 방송 교통 정보 방송 기타 |
기술적 특징 | |
대역폭 | 150kHz~200kHz |
주파수 편이 | ±75 kHz |
스테레오 방식 | 파일럿 톤 방식 |
역사 | |
최초 개발 |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 |
최초 상용 방송 | 1930년대 후반 (미국) |
장점 | |
음질 | AM 방송에 비해 우수 |
전파 방해 | 전파 방해에 강함 |
서비스 범위 | 지역 방송에 적합 |
단점 | |
서비스 범위 | AM 방송에 비해 좁음 |
지형 영향 |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음 |
전파 도달 거리 | 가시거리 내에서만 수신 가능 |
FM 방송의 활용 | |
라디오 방송 | 주된 라디오 방송 매체로 활용 |
데이터 방송 | 부가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
자동차 라디오 | 차량용 라디오 시스템에 널리 사용 |
각국 FM 방송 현황 | |
대한민국 | 수도권 및 주요 도시에서 다양한 FM 방송 서비스 제공 |
일본 | 광역 방송 및 지역 방송이 활발 |
미국 | 주요 상업 라디오 방송 매체로 자리 잡음 |
유럽 | 다양한 국가에서 공영 및 상업 FM 방송 운영 |
관련 기술 | |
RDS |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
DAB | 디지털 오디오 방송 |
HD 라디오 | 디지털 라디오 기술 |
기타 | |
관련 용어 | FM 스테레오 FM 모노 FM 수신기 FM 안테나 |
2. 방송 대역
FM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초단파(VHF) 대역을 사용하며, 대부분 87.5MHz에서 108.0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83] 그러나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독립국가연합(구 소련 공화국) 및 일부 구 동구권 국가: 과거 65.8~74MHz 대역(OIRT 대역)도 사용했으나 점차 폐지되고 있다.
- 일본: 76~95MHz 대역을 사용한다.
- 브라질: 2010년대 후반까지 88~108MHz 대역만 사용했으나, 아날로그 텔레비전 폐지에 따라 76~88MHz 대역이 추가 할당되었다.
FM 방송국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00kHz의 배수이다. 대한민국 등 일부 국가는 홀수 배수만 사용하고,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는 짝수 배수만 사용하거나 홀수/짝수 모두 사용한다. 주파수 간격은 보통 0.1MHz(100kHz)이지만, 국가에 따라 0.2MHz(200kHz, 대한민국 등), 0.05MHz(50kHz, 이탈리아, 태국 등)로 차이가 있다. 일부 국가에는 비표준 간격(1, 10, 30, 74, 500, 300kHz)을 가진 오래된 FM 방송 표준이 존재하기도 한다.
2. 1. 국가별 주파수 할당
대한민국과 미국을 포함한 카리브해 연안 지역 등에서는 FM 방송 주파수를 0.2MHz(200kHz)씩 홀수 단위로 배정한다.[83] 반면, 유럽, 그린란드,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짝수 배수만 사용하며, 영국에서는 홀수와 짝수를 모두 사용한다. 이탈리아와 태국에서는 0.05MHz(50kHz) 간격으로 주파수를 사용하기도 한다.과거 소련 및 동구권 국가에서는 65.8~74MHz 대역(OIRT 대역)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점차 폐지하고 87.5~108.0MHz 대역(CCIR 대역)을 병행하거나 전환하고 있다.[1]
일본에서는 76~95MHz 대역을 사용한다.[1] 이는 국제 표준과 차이가 있으며, 90 - 108MHz는 일본에서 FM 방송의 실험 단계부터 이미 텔레비전 방송 1ch - 3ch(V-Low 대역)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방송 대역의 차이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주파수 변환기(Band Expander)라는 액세서리를 제조/판매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변조되지 않은 반송파의 허용 최대 주파수 오차는 할당된 주파수의 2kHz 이내여야 한다.[3][4]
채널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인접한 송신기 부지에서 운영되는 방송국은 기술적으로 더 가까운 주파수 간격이 허용되더라도 최소 500kHz의 주파수 간격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ITU는 상대적인 세기에 따라 주파수 간 최소 간격을 제공하는 보호 비율 그래프를 게시한다.[5] 커버리지 영역 간에 충분히 넓은 지리적 분리가 있는 방송국만 동일하거나 가까운 주파수로 운영할 수 있다.
2. 2. 주파수 변환기
방송 대역의 차이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주파수 변환기(Band Expander)를 사용하여 다른 국가의 FM 방송을 수신하기도 한다.[83]3. 기술적 특징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AM 방식의 장파 방송, 중파 방송, 단파 방송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에 유리하다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지역에 따라 47~108MHz의 주파수를 방송용으로 할당하고 있다.[51] 이 중 라디오 방송용으로는 러시아 등 구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 국가를 포함한 동유럽을 제외한 유럽과 미국의 대부분은 87.5~108MHz, 동유럽은 68~74MHz(74~76MHz는 가드 밴드이므로 사용 불가), 일본은 76.1~94.9MHz[52](종래에는 90.0MHz까지였음)가 할당되어 있다.
주파수의 특성상 송신소에서 도달하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국내 방송, 그 중에서도 일부 지역(일본의 경우 도도부현내, 시구정촌내 등)을 대상으로 한 방송에 사용된다. 다만, 봄부터 여름 무렵의 낮에는 스포라딕 E층이라는 특수한 전리층이 나타나 평소 들을 수 없는 원격지의 방송이 수신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1채널의 반송파 주파수 간격은 200kHz이고,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넓으며(점유 주파수 대역폭 허용치는 200kHz), S/N비가 높고 잡음에 강하다. 파일럿 톤 방식은 모노 수신기와 호환되지만, 전파 왜곡에 민감하여 잡음이 발생하기 쉽고, 신호 분리도가 10% 정도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엠퍼시스(Emphasis) 방식을 사용한다. 엠퍼시스는 송신측의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와 수신측의 '디엠퍼시스(de-emphasis)'로 구성된다.[6]
또한, 다중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다중 방송(스테레오 방송)이나 보조 통신 업무(SCA: Subsidiary Communications Authority)라고 불리는 자막 방송(문자 방송), 독립 음성 방송, 팩시밀리, 무선 호출(페이징)이 가능하다.
3. 1. 변조 방식
주파수 변조(FM) 방식을 사용하며, 장파, 중파, 단파 등 진폭 변조(AM) 방식에 비해 음질이 깨끗하고 기상 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이 있다. AM 방송은 채널이 20여 개에 불과하지만, FM 방송은 더 많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100개 이상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주파수 변조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필요로 하므로 초단파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음성 주파수 대역이 50 Hz에서 15 kHz에 이르는 고음질 방송과 스테레오 방송이 가능하다.
FM 스테레오 방송은 두 가지 신호를 동시에 보내는 방식으로, 파일럿 톤 방식(AM-FM 스테레오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 방식은 기존 모노 FM 수신기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좌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신호의 합(L+R)과 차(L-R)를 하나의 전파에 담아 보낸다. 모노 방송은 합신호(L+R)를 0~15 kHz 대역폭으로, 스테레오 방송은 차신호(L-R)를 23~53 kHz 대역폭으로 송출하며, 19 kHz 대역에는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다.
파일럿 톤 방식은 모노 수신기와 호환되지만, 전파 왜곡에 민감하여 잡음이 발생하기 쉽고, 신호 분리도가 10% 정도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1970년대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4채널 스테레오 방송이 추진되었으나, 방식 통일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3. 2. 엠퍼시스
FM 방송은 변조 주파수가 높을수록 잡음이 심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변조 신호에서 변조를 강하게 하여 송신하고, 수신기에서 역특성 회로를 통해 원래 신호로 되돌려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엠퍼시스(Emphasis) 방식을 사용한다. 엠퍼시스는 송신측의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와 수신측의 '디엠퍼시스(de-emphasis)'로 구성된다.[6]대부분의 국가에서 엠퍼시스 값은 50μs이며, 북미, 중국, 대한민국에서는 75μs를 사용한다.[8] 이는 모노 및 스테레오 방송 모두에 적용된다. 프리엠퍼시스와 디엠퍼시스의 값이 다르면 고음부 신호가 약간 왜곡될 수 있다.
무작위 잡음은 FM 시스템에서 삼각형 스펙트럼 분포를 가지므로, 잡음은 베이스밴드 내의 높은 오디오 주파수에서 주로 발생한다. 송신 전에 고주파수를 증폭하고 수신기에서 해당 양만큼 감소시키면 이를 상쇄할 수 있다. 수신기에서 고주파 오디오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고주파 잡음도 감소한다. 특정 주파수를 증폭한 다음 감소시키는 과정을 각각 프리엠퍼시스와 디엠퍼시스라고 한다. 사용되는 프리엠퍼시스와 디엠퍼시스의 양은 간단한 RC 필터 회로의 시정수로 정의된다.[8]
3. 3. 스테레오 방송
FM 스테레오 방송은 두 가지 신호(좌, 우)를 동시에 보내 입체적인 음향 효과를 낸다. 주로 파일럿 톤 방식(AM-FM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기존 모노 FM 수신기와의 호환성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방식은 좌측(L)과 우측(R)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된 신호를 변조한 합신호(L+R)와 차신호(L-R)를 하나의 전파에 담는다.합신호(L+R)는 0~15kHz 대역폭으로 모노 방송으로 송출되며, 차신호(L-R)는 23~53kHz 대역폭으로 스테레오 방송으로 송출된다. 차신호는 23~38kHz와 38~53kHz로 나뉘어 각각 L, R 신호를 담는다. 그리고 19kHz 대역에 검토용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다.
파일럿 톤 방식은 모노 수신기와 호환되지만, 전파 왜곡에 민감하여 잡음에 약하고, 신호 분리도가 10% 정도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1970년대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4채널 스테레오 방송이 실용화될 예정이었으나, 방식 통일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FM 스테레오 전송이 고려되기 훨씬 이전부터 다른 유형의 오디오 정보의 FM 멀티플렉싱이 실험되었다.[10] FM을 발명한 에드윈 암스트롱은 뉴욕시의 실험용 방송국 W2XDG에서 멀티플렉싱을 처음으로 실험했다. 1934년 11월에 시작된 이 실험은 주 채널 오디오 프로그램과 세 개의 부반송파(팩스 프로그램, 팩스 프로그램 동기 신호, 전신 '명령' 채널)로 구성되었다.
1935년 4월, AM 부반송파는 FM 부반송파로 대체되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1948년에는 뉴저지주 알파인에 있는 암스트롱의 실험 방송국 KE2XCC에서 최초의 FM 부반송파 전송이 이루어졌다. 이 전송은 두 채널 오디오 프로그램, 이중 음향 오디오 프로그램, 팩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1950년대 후반, FCC는 FM 라디오에 스테레오를 추가하기 위한 여러 시스템을 고려했다. 크로스비, 할스테드, EMI, 제니스, 제너럴 일렉트릭 등 14개 회사의 시스템이 평가되었다. 크로스비 시스템은 기존 (SCA) 서비스와 호환되지 않아 거부되었고, 할스테드 시스템은 고주파 스테레오 분리 부족과 주 채널 신호 대 잡음비 감소로 인해 거부되었다.
제니스와 제너럴 일렉트릭 시스템은 이론적으로 유사하여 1961년 4월 FCC에 의해 미국 표준 스테레오 FM 방송 방식으로 승인되었으며,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되었다.[11][12] 스테레오 방송은 모노 수신기와 호환되어야 하므로, 좌(L) 채널과 우(R) 채널은 합(L+R) 및 차(L−R) 신호로 대수적으로 인코딩된다.
(L+R) 신호는 19kHz 파일럿 신호를 보호하기 위해 30Hz~15kHz로, (L−R) 신호는 15kHz로 제한된다. (L-R) 신호는 38kHz (DSB-SC) 신호에 진폭 변조되어 23kHz~53kHz를 차지한다. 19kHz ± 2Hz[13] 파일럿 톤은 스테레오 신호를 식별하고 38kHz 부반송파를 재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복합 스테레오 멀티플렉스 신호에는 주 채널(L+R), 파일럿 톤, (L−R) 차 신호가 포함되며, 이 신호는 FM 송신기를 변조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및 파일럿 톤(10% 변조)으로 인한 송신기 반송파 주파수의 순시 편차는 다음과 같다.
:[14][15]
여기서 A와 B는 프리엠퍼시스된 좌우 오디오 신호이고, =19kHz는 파일럿 톤의 주파수이다.
대부분의 스테레오 인코더는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여 38kHz 부반송파를 생성하지만, 실제 인코더 설계에는 스위칭 고조파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가 포함되어야 한다. 멀티플렉스 신호를 좌우 오디오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작업은 스테레오 수신기의 디코더에 의해 수행된다.
스테레오 신호는 모노 신호보다 신호 대 잡음비 및 다중 경로 왜곡이 더 나쁘다.[17] 따라서 많은 스테레오 FM 수신기에는 스테레오/모노 스위치가 있으며, 대부분의 자동차 라디오는 신호 대 잡음비가 악화됨에 따라 분리를 줄여 결국 모노로 전환된다.
미국에서는 2010년경 스테레오 부반송파에 단일 측파대 변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8][19] 이는 스펙트럼 효율을 높이고 수신기에서 4dB s/n 개선을 제공하며 다중 경로 왜곡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재 FCC 규정은 이러한 스테레오 작동 모드를 허용하지 않는다.[20]
1969년, 루이 도렌은 4채널 FM 방송 시스템인 쿼드라플렉스를 발명했다. 쿼드라플렉스 시스템에는 표준 스테레오 FM의 부반송파 외에 두 개의 추가 부반송파가 있다. 기저대역 레이아웃은 다음과 같다.
- 50 Hz ~ 15 kHz 주 채널 (모든 4채널의 합계) (LF+LR+RF+RR) 신호 (모노 FM 청취 호환성)
- 23 ~ 53 kHz (사인 정사각파 부반송파) (LF+LR) − (RF+RR) 좌우 차이 신호 (2채널 스테레오 청취자 호환성)
- 23 ~ 53 kHz (코사인 정사각파 38 kHz 부반송파) (LF+RR) − (LR+RF) 대각선 차이 (쿼드라포닉 청취자)
- 61 ~ 91 kHz (사인 정사각파 76 kHz 부반송파) (LF+RF) − (LR+RR) 전후 차이 (쿼드라포닉 청취자)
- 105 kHz SCA 부반송파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읽기 서비스, 배경 음악 등)
일반 스테레오 신호는 38 kHz에서 좌우 채널 간을 전환하는 것으로, 쿼드라포닉 신호는 76 kHz에서 LF, LR, RF, RR을 순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21]
초기 4채널 쿼드라포닉 음악 전송은 두 개의 FM 방송국을 사용해야 했다. 1970년 샌프란시스코의 KIOI가 FCC의 특별 허가를 받아 단일 FM 방송국에서 쿼드라포닉 사운드를 전송하면서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FCC를 위한 전국 쿼드라포닉 라디오 위원회 현장 시험에서 GE, 제니스, RCA, 데논이 제출한 다양한 시스템이 테스트되었다. 도렌 쿼드라플렉스 시스템이 가장 우수하여 미국의 쿼드라포닉 FM 방송 국가 표준으로 선택되었다. 최초의 상업용 FM 방송국은 Ann Arbor/Saline, Michigan의 WIQB(현재 WWWW-FM)였다.[22]
3. 4. 다중 방송
FM 다중 방송은 텔레비전의 음성다중방송과 같은 원리로, FM 방송 주파수 대역 중 높은 대역에 보조 채널을 설정하여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프로그램 안내, 뉴스 헤드라인, 교통 정보, 주식 정보, 무선 호출(페이징), 라디오 텍스트, 배경 음악, 날짜, 시각 등 여러 가지 내용을 보낼 수 있다.[84]FM 다중 방송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다.
-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 : 57kHz 대역을 사용하며, 전송 속도는 1187.5bps로 유럽에서 주로 사용된다.
- 보조적 통신 업무 허가(SCA) : 67kHz 대역을 사용하며, 1955년 미국에서 시작된 최초의 FM 다중 방송 방식이다. KBS 제3라디오가 2000년 중파 방송으로 전환하기 전, 1995년 KBS 제1라디오의 표준FM 방송에서 SCA 방식을 통해 FM 다중 방송으로 송출한 적이 있다.
-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 76kHz 대역을 사용하며, 16kbps의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 1986년 일본 NHK에서 개발했으며, 1995년 3월 28일 카시오에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수신기인 '카시오 MR-1'을 출시했다.[85]
FM 방송은 초기부터 보조 통신 승인(SCA) 서비스 기능을 포함했는데, 이는 면허 보유자가 추가 수입을 창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25] SCA는 미국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 이러한 부반송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라디오 읽기 서비스[26], 개인 데이터 전송 서비스 (예: 주식 정보를 주식 중개인에게 전송), 상점을 위한 유료 광고 없는 배경 음악 서비스, 페이징("비퍼") 서비스, 대체 언어 프로그램 등에 사용되었다. SCA 부반송파는 일반적으로 67kHz와 92kHz이다. 초기 SCA 서비스는 내부용 또는 임대용 개인 아날로그 오디오 채널이었다. 실험적인 쿼드러포닉 사운드도 있었다.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다. 57kHz 부반송파는 저대역폭 디지털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어 방송국 이름, 대체 주파수(AF), 위성 항법 시스템을 위한 교통 정보[27], 라디오 텍스트(RT)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신호는 1,187.5 비트/초로 텍스트에만 적합하다. RDS의 변형은 북미 RBDS 또는 "스마트 라디오" 시스템이다. 독일에서는 RDS 이전에 아날로그 ARI 시스템이 사용되어 운전자에게 교통 방송을 알렸다. RDS는 ARI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가 FM 대역 내에서 배치된다. 이 대역 내 채널 방식은 고급 압축 오디오를 사용한다. 아이비키티(iBiquity)의 독점 시스템은 HD 라디오라는 브랜드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기존 아날로그 FM 반송파와 디지털 측대band 부반송파를 모두 전송한다.
다중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다중 방송(스테레오 방송)이나 보조 통신 업무 (SCA)라고 불리는 자막 방송(문자 방송), 독립 음성 방송, 팩시밀리, 무선 호출(페이징, 소위 “포켓벨”)이 가능하다. 이 중 스테레오 방송은 표준적으로 실시된다.
4. 대한민국의 FM 라디오 방송
KBS 한민족방송과 AFN Thunder AM을 제외하고, 대한민국의 모든 AM방송은 표준FM과 음악FM을 병행 운용하고 있다.
올림픽이나 세계 박람회와 같은 이벤트 시에는 주최자가 이벤트 방송국을 개설하고,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재해 발생 시에는 시구정촌이 임시 재난 방송국을 개설하기도 한다.
4. 1. 개요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FM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KBS, MBC, SBS 등 주요 방송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지역 민영 방송사와 종교 방송사, 공동체 라디오 등이 FM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대북방송 성격이 강한 KBS 한민족방송과 AFN Thunder AM을 제외하고, 모든 한국의 AM방송은 표준FM으로서 그대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표준FM과 음악FM을 병행 운용하고 있다.
방송사 | 채널 | 비고 |
---|---|---|
KBS | KBS 제1표준FM (1라디오) | |
KBS | KBS 제2표준FM (2라디오, 해피FM) | |
KBS | KBS 제3표준FM (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수도권 | |
KBS | KBS 클래식FM (1FM) | |
KBS | KBS 쿨FM (2FM)수도권 | |
MBC | MBC 표준FM | |
MBC | MBC FM4U | |
SBS | SBS 러브FM (SBS 표준FM) | |
SBS | SBS 파워FM | |
KNN | KNN 러브FM (KNN 표준FM) | |
KNN | KNN 파워FM | |
EBS | EBS FM | |
CBS | CBS 표준FM | |
CBS | CBS 음악FM | |
FEBC | FEBC FM | |
BBS | BBS FM | |
Cpbc | Cpbc FM | |
WBS | WBS FM | |
경인방송 | 경인방송 iFM수도권 | |
OBS | OBS 라디오 | |
YTN | YTN News FM수도권 | |
아리랑 라디오 | 아리랑 라디오제주특별자치도 한정 | |
Gugak FM | Gugak FM | |
TBS | TBS FM수도권 | |
TBS | TBS eFM | |
TBN 한국교통방송 | TBN 한국교통방송 | |
국방부 | 국방FM | |
AFN Korea | AFN The Eagle | |
관악공동체라디오 | 관악FM | |
마포공동체라디오 | 마포FM | |
성남FM | 성남FM | |
금강에프엠방송 | 금강FM | |
성서공동체FM | 성서공동체FM | |
광주시민방송 | 광주시민방송 | |
영주에프엠방송 | 영주FM |
4. 2. 주파수 할당 및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88.1 ~ 107.9MHz의 주파수 대역이 FM 라디오 방송에 할당되어 있다. AM방송의 난청 지역 해소를 위해 FM 보완 중계국이 운영되고 있으며, 표준FM과 음악FM 방송이 병행 운용되고 있다.방송사 | 구분 | 호출 부호 | 주파수 | 출력 | 비고 |
---|---|---|---|---|---|
KBS 제1표준FM (1라디오) | |||||
KBS 제2표준FM (2라디오, 해피FM) | |||||
KBS 제3표준FM (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 수도권 | ||||
KBS 클래식FM (1FM) | |||||
KBS 쿨FM (2FM) | 수도권 | ||||
MBC 표준FM | |||||
MBC FM4U | |||||
SBS 러브FM (SBS 표준FM) | |||||
SBS 파워FM | |||||
KNN 러브FM (KNN 표준FM) | |||||
KNN 파워FM | |||||
EBS FM | |||||
CBS 표준FM | |||||
CBS 음악FM | |||||
FEBC FM | |||||
BBS FM | |||||
Cpbc FM | |||||
WBS FM | |||||
경인방송 iFM | 수도권 | ||||
OBS 라디오 | |||||
YTN News FM | 수도권 | ||||
아리랑 라디오 | 제주특별자치도 한정 | ||||
Gugak FM | |||||
TBS FM | 수도권 | ||||
TBS eFM | |||||
TBN 한국교통방송 | |||||
국방FM | |||||
AFN The Eagle | |||||
관악FM | |||||
마포FM | |||||
성남FM | |||||
금강FM | |||||
성서공동체FM | |||||
광주시민방송 | |||||
영주FM |
4. 3. 주요 방송사
방송사 | 비고 |
---|---|
KBS 제1표준FM | |
KBS 제2표준FM (해피FM) | |
KBS 제3표준FM (사랑의 소리 방송) | 수도권 |
KBS 클래식FM | |
KBS 쿨FM | 수도권 |
MBC 표준FM | |
MBC FM4U | |
SBS 러브FM (SBS 표준FM) | |
SBS 파워FM | |
KNN 러브FM (KNN 표준FM) | |
KNN 파워FM | |
EBS FM | |
CBS 표준FM | |
CBS 음악FM | |
FEBC FM | |
BBS FM | |
Cpbc FM | |
WBS FM | |
경인방송 iFM | 수도권 |
OBS 라디오 | |
YTN News FM | 수도권 |
아리랑 라디오 | 제주특별자치도 한정 |
Gugak FM | |
TBS FM | 수도권 |
TBS eFM | |
TBN 한국교통방송 | |
국방FM | |
AFN The Eagle | |
관악FM | |
마포FM | |
성남FM | |
금강FM | |
성서공동체FM | |
광주시민방송 | |
영주FM |
5. 다른 나라의 FM 라디오
일본은 다른 나라와 달리 76.1~94.9MHz의 주파수를 FM 방송용으로 할당하였다.[52] 90~108MHz는 FM 방송 실험 단계부터 이미 텔레비전 방송 1~3ch로 사용되었으며, 이 주파수 대역은 일본에서 V-Low 대역이라고 불린다.
NHK 수도권 방송국(도쿄 본부)의 FM 실용화 시험 방송 주파수는 1957년 12월 24일부터 1961년 6월 18일까지 87.3MHz, 출력은 1kW였으나, 1961년 6월 19일 이후 출력을 10kW로 확대하면서 전파 간섭이 발생하여 82.5MHz로 변경되었다.[57]
1ch(90~96MHz)를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하던 관동 광역권 등에서는 텔레비전 수신 방해가 발생하여 86~89.9MHz는 “가드 밴드”로 사용 할 수 없었다. 80.8~81.2MHz는 군용 항공 무선기의 국제 긴급 주파수(243MHz) 및 그 근처의 1/3 저조파에 해당하여 조난 통신 방해의 원인이 되므로, “가드 밴드”로 취급되어 사용할 수 없다.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화로 남은 V-Low 대역은 멀티미디어 방송과 나누는 형태로 FM 방송 디지털화도 검토되었지만 중지되었고, FM 보완 중계국과 커뮤니티 방송에 90~94.9MHz(와이드 FM)가 할당되었다.[52][59] 99~108MHz는 광역 방송·현역 방송으로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방송에 할당되고, 디지털화된 커뮤니티 방송에도 할당될 예정이며, 95~99MHz는 FM 방송과의 혼신·간섭을 피하기 위해 “가드 밴드”로 지정되어 원칙적으로 방송에 사용하지 않는다.[60]
다른 나라에서는 대부분 87.5~108MHz(눈금은 88~108)가 사용되고 있어, 이 주파수 대역만 지원하는 라디오를 해외 여행객이 일본에 가져와 수신하면 수신 가능한 방송국이 적거나 없을 수 있다. 특히 외국어 방송의 경우, 예상 청취자에게 방송이 전달되지 않는 것은 큰 문제이다. InterFM(현:interfm)은 2015년 10월 31일 수신 환경 개선을 겸해 기존 76.1MHz에서 89.7MHz로 주파수를 변경하였다.
해외 사용을 고려하지 않은 일본 사양의 일본차가 중고차로 해외에 판매된 경우, 일본 사양의 카 오디오로는 현지 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컨버터를 장착하면 대응이 가능하지만, 일부 주파수는 수신할 수 없다고 한다.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특히 독일은 FM을 광범위하게 채택한 최초의 국가들 중 하나였다.[3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이 고출력 중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군대 오락 방송과 냉전 선전 방송을 송출하면서 서유럽의 중파 대역은 과밀화되었다.[39] 전쟁 후, 코펜하겐 주파수 계획에서 승전국 대표들은 방송 주파수를 재할당했고, 독일 방송사들은 남은 AM 주파수가 두 개뿐이어서 확장을 위해 FM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39]
영국에서는 BBC가 1940년대에 시험 방송을 진행했고,[9] 1955년에 88.0~94.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세 개의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FM 방송을 시작했다. 94.6~97.6MHz 대역은 나중에 BBC와 지역 상업 방송국에서 사용되었다. 1973년 상업 방송 도입으로 FM 방송 사용이 늘어났고, 1980년부터 1995년 사이에 FM 대역이 108.0MHz까지 확장됨에 따라, FM 방송은 영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되어 장파(LW) 및 중파(MW)를 대체했다. 1987년에는 경찰 이동식 무전기가 II 대역에서 이동함에 따라 97.6~99.8MHz 주파수 대역이 BBC 라디오 1에 할당되었고, 런던에서 시작하여 1989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41]
이탈리아는 1970년대 초에 FM 방송을 광범위하게 도입했지만, 이탈리아 방송협회(RAI)의 최초 실험은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2] "자유 라디오 운동"은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표현의 자유 권리를 인정받았다. 재판 결과 후, 전국적으로 소규모 민영 라디오 방송국들이 참여하는 "FM 라디오 붐"이 일어났다. 197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의 모든 도시에서 FM 라디오 주파수 대역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그리스는 1970년대 중반, 전국 방송국이 FM 방송을 시작하기 전에 아테네와 테살로니키를 중심으로 "해적 방송"들이 FM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했다. 1977년 말, 국영 방송사 EIRT(이후 ERT)는 아테네에 첫 FM 송신기를 설치했다. 1970년대 말까지 그리스 대부분 지역은 세 개의 전국 FM 프로그램으로 송출되었고, 모든 도시에는 많은 FM "해적 방송"들이 존재했다. 민간 상업 라디오 방송국이 FM 대역을 사용하게 된 것은 1987년이었다.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은 1960년대에 FM 방송을 도입하여 1990년대까지 사용을 확장했다. 지리적으로 넓은 국가, 특히 지형이 복잡한 곳을 커버하려면 많은 수의 FM 송신국이 필요하기 때문에 FM은 전국 네트워크보다 지역 방송에 더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동유럽 국가에서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전국적인 FM 방송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동독을 제외한 모든 소련 의존 국가에서는 OIRT 대역이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채널 간격 100kHz로 68~73MHz로 제한되었지만, 1970년대에는 결국 채널 간격 30kHz로 65.84~74.00MHz로 확장되었다.[43]
5. 1. 미국
FM 방송은 1930년대 후반, 미국의 여러 실험 방송국에서 시작되었다. W1XOJ/W43B/WGTR(1953년 폐국), 매사추세츠주 팩스턴(현재는 워세스터)의 W1XTG/WSRS, 코네티컷주 메리든의 W1XSL/W1XPW/W65H/WDRC-FM/WFMQ/WHCN, 뉴저지주 알파인의 W2XMN, KE2XCC, WFMN(에드윈 암스트롱 소유, 1954년 암스트롱 사망 후 폐국) 등이 그 예이다.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은 뉴욕주 셰넥터디의 W2XDA와 뉴욕주 뉴 스코틀랜드의 W2XOY에서 1939년에 48.5 MHz로 실험적인 FM 송신을 시작했다. W2XOY는 1940년 11월 20일 정규 방송을 시작했고,[30] 이후 W57A, W87A, WGFM 호출 부호를 거쳐 FM 대역이 88~108 MHz 대역으로 재배치되면서 99.5 MHz로 이동했다. 현재 이 방송국은 WRVE이다.
다른 초기 FM 방송국으로는 뉴욕의 W2XQR/W59NY/WQXQ/WQXR-FM, 테네시주 내슈빌의 W47NV/WSM-FM(1951년 폐국), 보스턴과 메인주 포틀랜드에 스튜디오를 두고 뉴햄프셔주 화이트 마운틴에 송신기를 둔 W1XER/W39B/WMNE(1948년 폐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W9XAO/W55M/WTMJ-FM(1950년 폐국) 등이 있다.
1941년 1월 1일,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상업용 FM 방송 대역이 설립되었고,[31] 1940년 10월 31일 최초의 15개 건설 허가가 발표되었다.[32] 이 방송국들은 주로 AM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송하며, 상점과 사무실에 오케스트라 음악을, 도시 지역의 상류층 청취자에게 클래식 음악을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도 방송했다.[33]
1945년 6월 27일, FCC는 FM 대역을 88~106 MHz의 90채널로 재할당했고(곧 88~108 MHz의 100채널로 확장됨),[34][35] 이는 AM 방송사 RCA의 압력에 의한 것이었다.[36] 이 변화로 인해 기존 FM 수신기는 무용지물이 되었고, FM 방송의 발전이 늦춰졌다.[36] 1961년 시카고 지역의 WEFM과 WGFM(뉴욕주 셰넥터디)가 최초의 스테레오 방송국으로 알려졌다.[37] 1960년대 후반까지 FM은 스테레오 "AOR—'앨범 지향적 록'' 포맷" 방송에 채택되었지만, 1978년이 되어서야 북미에서 FM 방송 청취율이 AM 방송을 넘어섰다.
5. 2. 일본
일본은 다른 나라와 달리 76.1~94.9MHz의 주파수를 FM방송용으로 할당하였다.[52] 90~108MHz는 일본에서 FM 방송 실험 단계부터 이미 텔레비전 방송 1~3ch로 사용되었다. 이 주파수 대역은 일본에서 V-Low 대역이라고 불린다.NHK 수도권 방송국(도쿄 본부)의 FM 실용화 시험 방송이 시작된 1957년 12월 24일부터 1961년 6월 18일까지의 방송 주파수는 87.3Mc, 출력은 1kW였기 때문에 NHK 종합 1ch와의 전파 간섭은 일어나기 어려웠지만,[56] 1961년 6월 19일 이후 출력 증강으로 10kW로 확대되면서 전파 간섭이 발생하여 주파수가 82.5Mc로 변경되었다.[57]
이 때문에 1ch(90~96MHz)를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하던 관동 광역권 등에서는 텔레비전 수신 방해가 발생하여 86~89.9MHz는 “가드 밴드”로 사용 할 수 없었다. 또한, 80.8~81.2MHz는 군용 항공 무선기의 국제 긴급 주파수(243MHz) 및 그 근처의 1/3 저조파에 해당하여 조난 통신 방해의 원인이 되므로, “가드 밴드”로 취급되어 사용할 수 없다.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화로 남은 V-Low 대역은 멀티미디어 방송과 나누는 형태로 FM 방송 디지털화도 검토되었지만 중지되었고, FM 보완 중계국과 커뮤니티 방송에 90~94.9MHz(와이드 FM)가 할당되었다.[52][59]
99~108MHz는 광역 방송·현역 방송으로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방송에 할당되고, 디지털화된 커뮤니티 방송에도 할당될 예정이며, 95~99MHz는 FM 방송과의 혼신·간섭을 피하기 위해 “가드 밴드”로 지정되어 원칙적으로 방송에 사용하지 않는다.[60]
대부분의 다른 나라에서는 87.5~108MHz(눈금은 88~108)가 사용되고 있어, 이 주파수 대역만 지원하는 라디오를 해외 여행객이 일본에 가져와 수신하면 수신 가능한 방송국이 적거나 없을 수 있다. 특히 외국어 방송의 경우, 예상 청취자에게 방송이 전달되지 않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이에 간토 광역권 일부를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는 InterFM(현:interfm)은 2015년 10월 31일 수신 환경 개선을 겸해 기존 76.1MHz에서 89.7MHz로 주파수를 변경하였다.
또한, 해외 사용을 고려하지 않은 일본 사양의 일본차가 중고차로 해외에 판매된 경우, 일본 사양의 카 오디오로는 현지 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컨버터를 장착하면 대응이 가능하지만, 일부 주파수는 수신할 수 없다고 한다.
일반적인 FM 라디오 수신기로는 휴대형, 탁상형, 카세트·CD 일체형(라디오 카세트 레코더), 카 오디오가 판매되고 있다.
일본 제조사 제품 중 1970년대 이후 발매·제조된 많은 FM 라디오는 당시 아날로그 텔레비전 1~3채널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76~108MHz를 지원하는 제품이 많으며, 이들은 FM 보완 중계국 방송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중국·대만 등 일부 제조사 및 통신기 형태의 제품은 64~108MHz까지 지원하는 FM 라디오도 있다.
au(KDDI·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가 2003년 12월에 발매한 A5503SA(산요전기제)를 시작으로, 각 휴대전화 사업자에서 FM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가 발매되고 있다. PHS에서는 아스텔에서 AT-15(도시바제)가 발매된 적이 있다. 일부 스마트폰에도 FM 수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PSP나 닌텐도 DS와 같은 게임기에서도 게임기 본체 배터리를 사용하는 수신 장치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닌텐도 DS판은 닌텐도 라이선스 상품이 아님).
iPod nano(5세대·6세대·7세대) 등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일부에도 FM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일본의 FM 방송 관련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53년 | 나가오카시에서 나가오카 교육 방송 설립. |
1957년 | NHK-FM방송 실험국 방송 시작. |
1958년 | 도카이대학 "도카이대학 초단파 방송 실험국" 방송 개시. |
1960년 | "도카이대학 초단파 방송 실용화 시험국" 개국, 약칭 "FM도카이". |
1963년 | "AM-FM 방식" 스테레오 방송 표준 형식 채택. |
1969년 | NHK 실험국, 실용화 시험국 본방송 시작. |
1970년 | FM도카이 폐국, 에프엠 도쿄 개국. |
1981년 | 전국 FM방송협의회(JFN) 결성. |
1982년 | 에프엠 에히메 개국, 민방 FM 개국 붐 시작. |
1988년 | J-WAVE 개국. |
1990년 | 세인트 기가 시험 방송 시작. |
1991년 | 위성 라디오 방송 제1호 "세인트 기가" 개국. |
1992년 | 커뮤니티 방송 제1호 FM 이루카 개국. |
1995년 | 외국어 방송 제1호 FM COCOLO 개국. |
2014년 | FM 보완 중계국 제도화, 90~94.9MHz 할당.[52] |
5. 3. 유럽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특히 독일은 FM을 광범위하게 채택한 최초의 국가들 중 하나였다.[3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이 고출력 중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군대 오락 방송과 냉전 선전 방송을 송출하면서 서유럽의 중파 대역은 과밀화되었다.[39]전쟁 후, 코펜하겐 주파수 계획에서 승전국 대표들은 방송 주파수를 재할당했다. 독일 방송사들은 남은 AM 주파수가 두 개뿐이어서 확장을 위해 FM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39]
영국에서는 BBC가 1940년대에 시험 방송을 진행했고,[9] 1955년에 88.0~94.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세 개의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FM 방송을 시작했다. 94.6~97.6MHz 대역은 나중에 BBC와 지역 상업 방송국에서 사용되었다. 1973년 상업 방송이 도입되면서 FM 방송 사용이 늘어났다. 1980년부터 1995년 사이에 FM 대역이 108.0MHz까지 확장됨에 따라, FM 방송은 영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되어 장파(LW) 및 중파(MW)를 대체했다.
1987년에는 경찰 이동식 무전기가 II 대역에서 이동함에 따라 97.6~99.8MHz 주파수 대역이 BBC 라디오 1에 할당되었고, 런던에서 시작하여 1989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41]
이탈리아는 1970년대 초에 FM 방송을 광범위하게 도입했지만, 이탈리아 방송협회(RAI)의 최초 실험은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2] "자유 라디오 운동"은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표현의 자유 권리를 인정받았다. 재판 결과 후, 전국적으로 소규모 민영 라디오 방송국들이 참여하는 "FM 라디오 붐"이 일어났다. 197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의 모든 도시에서 FM 라디오 주파수 대역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그리스는 1970년대 중반, 전국 방송국이 FM 방송을 시작하기 전에 아테네와 테살로니키를 중심으로 "해적 방송"들이 FM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했다. 1977년 말, 국영 방송사 EIRT(이후 ERT)는 아테네에 첫 FM 송신기를 설치했다. 1970년대 말까지 그리스 대부분 지역은 세 개의 전국 FM 프로그램으로 송출되었고, 모든 도시에는 많은 FM "해적 방송"들이 존재했다. 민간 상업 라디오 방송국이 FM 대역을 사용하게 된 것은 1987년이었다.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은 1960년대에 FM 방송을 도입하여 1990년대까지 사용을 확장했다. 지리적으로 넓은 국가, 특히 지형이 복잡한 곳을 커버하려면 많은 수의 FM 송신국이 필요하기 때문에 FM은 전국 네트워크보다 지역 방송에 더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동유럽 국가에서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전국적인 FM 방송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동독을 제외한 모든 소련 의존 국가에서는 OIRT 대역이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채널 간격 100kHz로 68~73MHz로 제한되었지만, 1970년대에는 결국 채널 간격 30kHz로 65.84~74.00MHz로 확장되었다.[43]
6. FM 방송의 미래
FM 방송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중요한 방송 매체로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디지털 오디오 방송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6. 1. 디지털 전환 논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FM 방송의 디지털 전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FM 방송을 중단하고 디지털 라디오 방송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노르웨이는 2017년에 세계 최초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으로 완전히 전환한 국가가 되었다.[45][46][47][48][80] 노르웨이 정부는 국토의 지형적 특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FM 라디오 방송을 중단하고 DAB로 전환하였다. 다만, 일부 지역 방송국은 2022년까지 FM 방송을 유지했으며, 2031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DAB+로의 전환은 특히 시골 지역에서 FM 방송 시대와 비교하여 훨씬 다양한 라디오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FM 방송 중단 전 몇 년 동안 여러 새로운 라디오 방송국이 DAB+로 방송을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ransmission standards for FM sound broadcasting at VHF
http://www.itu.int/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1-08
[2]
웹사이트
MCom entrega certificado às emissoras que estreiam a faixa estendida da FM
https://www.gov.br/m[...]
2023-07-11
[3]
웹사이트
FM BROADCAST STATION SELF - INSPECTION CHECKLIST
https://transition.f[...]
FCC
2018-06-08
[4]
웹사이트
Ofcom Site Engineering Code for Analogue Radio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s
https://www.ofcom.or[...]
2020-04-08
[5]
웹사이트
Planning standards for terrestrial FM sound broadcasting at VHF
https://www.itu.int/[...]
2019-08-02
[6]
웹사이트
Digital Audio BroadcastingSupplementary Analog SCA Compatibility TestsTest Plan and Procedures
https://www.fcc.gov/[...]
Advanced Television Technology Center
2019-10-30
[7]
웹사이트
Recommendation ITU-R SM.853-1
https://www.itu.int/[...]
2022-05-29
[8]
웹사이트
The 75 Microsecond Pre-Emphasis Curve
https://www.cgould.c[...]
2013-10-10
[9]
웹사이트
Report 1946-04 – Frequency Modulation
https://www.bbc.co.u[...]
1946-01
[10]
웹사이트
How FM Stereo Came to Life
https://web.archive.[...]
2016-03-06
[11]
서적
Living Stereo: Histories and Cultures of Multichannel Soun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0-10-25
[12]
학술지
The Notebook:A Modulator for the New FM Stereo System
Boontown Radio Corp.
1961-09-01 # Fall 1961을 9월 1일로 가정
[13]
웹사이트
73-319
https://www.govinfo.[...]
FCC
2021-04-11
[14]
간행물
Stereophonic Broadcasting: Technical Details of Pilot-tone System
BBC Engineering Information Service
1970-06-01 # June 1970을 6월 1일로 가정
[15]
웹사이트
Subsidiary communications multiplex operation: engineering standards
https://www.fcc.gov/[...]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7-01-12
[16]
웹사이트
FM Stereo demodulation circuit
http://www.google.co[...]
USPTO
2015-12-06
[17]
웹사이트
FM Reception Guide: FM Propagation
http://www.wgbh.org/[...]
WGBH
2010-05-09
[18]
웹사이트
SSBSC: A Win-Win for FM Radio?
https://www.radiowor[...]
2012-04-02
[19]
웹사이트
Radio Tech Check
https://www.nab.org/[...]
2018-05-30
[20]
웹사이트
FCC CFR 47 Part 73.322
https://www.govinfo.[...]
2020-05-23
[21]
웹사이트
Compatible four channel FM system
http://pdfpiw.uspto.[...]
USPTO
2016-10-19
[22]
뉴스
""
Ann Arbor News
1973-01-03
[23]
논문
Einfluß des Dolby-B-Verfahrens auf die Übertragungsqualität im UKW-Hörrundfunk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IRT)
1977
[24]
논문
Prüfung eines modifizierten HIGH COM-Kompanders für den Einsatz bei der RF-Übertragung im UKW-Hörfunk.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IRT)
1981-12-30
[25]
웹사이트
Full text of "Radio Electronics (August 1987)"
https://archive.org/[...]
1987-08
[26]
웹사이트
CRIS Radio
https://chicagolight[...]
[27]
웹사이트
Liv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for GPS systems
https://www.crutchfi[...]
[28]
웹사이트
O sonho dourado: 45 anos de Rádio FM no Brasil
http://www.italiamig[...]
[29]
뉴스
MCom entrega certificado às emissoras que estreiam a faixa estendida da FM
https://www.gov.br/m[...]
2021-05-07
[30]
간행물
Carnival Atmosphere
https://archive.org/[...]
Broadcasting
1940-12-01
[31]
뉴스
FCC Order No. 67
https://babel.hathit[...]
Federal Register
1940-05-25
[32]
간행물
New FM Call Letters Proposed
https://archive.org/[...]
Broadcasting
1940-11-15
[33]
뉴스
MUSIC FOR BUSES URGED / F. C. C. Proposes Wide Field Also for FM News Reports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2019-02-19
[34]
간행물
FCC Allocates 88-106 mc Band to FM
https://archive.org/[...]
Broadcasting
1945-07-02
[35]
간행물
FCC Allocations Order Text
https://archive.org/[...]
Broadcasting
1945-07-02
[36]
서적
The Innovation Journey of Wi-Fi: The Road to Global Succes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1-18
[37]
뉴스
Stereophonic FM Broadcast Begun by WEFM
http://www.wgem.com/[...]
Chicago Tribune
2020-04-08
[38]
서적
Early FM Radio: Incremental Technology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3-03-13
[39]
서적
The Invisible Medium
http://link.springer[...]
Macmillan Education UK
1989
[40]
웹사이트
Idzerda, the first radio broadcaster
https://artsandcultu[...]
Nederlands Instituut voor Beeld en Geluid
[41]
웹사이트
Radio 1 History - Transmitters
http://www.radiorewi[...]
2013-08-11
[42]
웹사이트
[IT] Radio FM in Italia
http://www.leradiodi[...]
2015-09-22
[43]
웹사이트
OIRT Tuner
http://ukradio.info/[...]
2016-10-25
[44]
웹사이트
ITU Publications
http://www.itu.int/p[...]
2007-03-26
[45]
웹사이트
Norway becomes first country to switch off FM radio
https://www.thelocal[...]
2017-12-13
[46]
웹사이트
Norway becomes first country to end national radio broadcasts on FM
http://www.theguardi[...]
2017-12-13
[47]
웹사이트
Norway's FM Shutdown, Six Months Later
https://www.radiowor[...]
2018-06-06
[48]
웹사이트
Switching off FM in Norway and, soon, Switzerland {{!}} News {{!}} WorldDAB
https://www.worlddab[...]
[49]
웹사이트
Change to the law to allow the use of low power FM transmitters for MP3 players
http://media.ofcom.o[...]
Ofcom
2006-11-23
[50]
웹사이트
Inexpensive Options for Assistive Listening Device Receivers
http://w0is.com/misc[...]
2014
[51]
간행물
周波数割当計画 第2周波数割当表 第2表27.5MHz―10000MHz
総務省
[52]
간행물
平成26年総務省告示第150号による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改正
総務省
[53]
서적
スマートTVと動画ビジネス 次世代メディアをデザインするのは誰か?
インプレスジャパン
2012
[54]
서적
スマートTVと動画ビジネス 次世代メディアをデザインするのは誰か?
インプレスジャパン
2012
[55]
법규
電波法施行規則第2条第1項第28号の4の2
[56]
웹사이트
日本のFM放送の始まり
https://www.japanrad[...]
[57]
웹사이트
五味比左志〜合唱とともに〜 NHK-FM放送の歴史(タイムテーブル/番組表)
https://glee.sakura.[...]
[58]
웹사이트
島根県は1chを使用していたNKTの鉢伏山からの電波が届きにくく「ガードバンド」適用地域は少なかった。
[59]
뉴스
神奈川県川崎市川崎区のFM大師(94.9MHz)開局
該当なし
2024-09-30
[60]
웹사이트
V-Lowマルチメディア放送及び放送ネットワークの強靭化に係る周波数の割当て・制度整備に関する基本的方針
https://warp.da.ndl.[...]
総務省
2013-10-01
[61]
법규
電波法施行規則第2条第1項第20号
[62]
웹사이트
平成7年郵政省告示第52号 放送普及基本計画第2の2の(1)のウの規定による一般放送事業者の行う超短波放送のうちの外国語放送を行う放送局の放送対象地域
https://www.tele.sou[...]
[63]
웹사이트
【特別編】米国のラジオのデジタル化と日本語ラジオ放送の現状
https://xtech.nikkei[...]
ITpro(日経BP社)
2007-04-25
[64]
웹사이트
FM放送の受信方法を知りたい
http://faq.myjcom.jp[...]
[65]
위키
放送波遮蔽対策推進協会
[66]
법규
平成22年総務省令第51号による電波法施行規則改正
2010-04-23
[67]
법규
昭和34年法律第30号による放送法改正
[68]
법규
昭和43年郵政省令第22号による改正
[69]
법규
昭和43年郵政省令第26号、後の平成23年総務省令第86号
[70]
법규
昭和47年郵政省令第25号による改正
[71]
서적
開局5周年の足どり 新しい文化の発信をめざして
富山エフエム放送
1992-03-28
[72]
법률
昭和63年郵政省令第25号、後の平成23年総務省令第89号
null
[73]
법률
昭和63年法律第29号による放送法改正
null
[74]
법률
昭和63年郵政省令第58号による放送法施行規則改正
null
[75]
법률
平成4年郵政省令第2号による放送法施行規則改正
null
[76]
법률
平成7年郵政省令第9号による放送法施行規則改正
null
[77]
법률
平成7年郵政省令第17号、後の平成23年総務省令第90号
null
[78]
웹사이트
福島県いわき市のコミュニティ放送局のエリア拡大-いわき市内13地区の難聴地を解消-
https://warp.da.ndl.[...]
東北総合通信局
2013-04-05
[79]
웹사이트
東北管内におけるコミュニティ放送局の開設状況 平成25年3月27日現在
https://warp.da.ndl.[...]
null
null
[80]
웹사이트
ノルウェー、今年末までにFMラジオ放送を廃止 世界初
https://www.cnn.co.j[...]
CNN
null
[81]
뉴스
라디오의 종말?…노르웨이, FM 송출중단
http://www.zdnet.co.[...]
지디넷코리아
2015-04-20
[82]
뉴스
노르웨이, 세계 최초 FM 라디오 송출 중단..."디지털 방송 전환"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7-01-12
[83]
웹인용
Transmission standards for FM sound broadcasting at VHF
http://www.itu.int/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84]
서적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4-01-10
[85]
서적
디지털시대의 방송미디어
나남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