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SISD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SISDN은 이동 가입자 ISDN 번호의 약자로, 이동 통신 가입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전화번호이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권고안 E.164에 따라 최대 15자리로 구성되며, 국가 코드, 국가 대상 코드 또는 번호 계획 구역, 가입자 번호로 이루어진다. MSISDN 형식은 GSM 및 그 변형에서 사용되며, 각 구성 요소의 자릿수는 국가별로 다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화번호 -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지역, 통신망, 서비스 종류에 따라 지역번호, 국번, 가입자 번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효율성 증대와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광역화 개편 및 이동통신 번호 통합 등을 거쳤다.
  • 전화번호 - 범세계 개인 통신
    범세계 개인 통신(UPT)은 전 세계 모든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서 UPT 번호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된 표준으로,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 의해 할당된 범세계적인 번호 범위를 사용한다.
  • 식별자 - 아카이벌 리소스 키
    아카이벌 리소스 키(ARK)는 디지털, 물리적, 추상적 자원의 영구적인 식별을 위한 체계로, 분산된 웹 환경에서 관리 주체의 약속을 통해 객체의 보존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ARK Alliance가 국제적인 사용을 장려하고 한국에서도 활용된다.
  • 식별자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 ITU-T 권고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른 비대칭적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로,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과 이산 다중톤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거리와 잡음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광섬유 인터넷의 발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고 있다.
  • ITU-T 권고 - 팩시밀리
    팩시밀리는 문서나 그림을 전기 신호로 원격 전송하고 복제하는 기술 및 장치이며, 유선, 무선, 전화선을 이용한 전송 방식으로 발전해왔고, 기술적 분류를 거쳐 소형화, 고속화되었으며, 21세기에는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특정 분야에서 활용된다.
MSISDN
개요
이름MSISDN (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이동 통신 가입자 국제 식별 번호)
설명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번호
기술 정보
길이최대 15자리
구조국가 코드 (CC)
이동 통신 네트워크 코드 (MNC)
가입자 번호 (SN)
예시82 10 1234 5678 (대한민국)
사용 목적
가입자 식별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
라우팅통화 및 메시지 라우팅
과금서비스 사용에 대한 과금
관련 용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식별 번호)
전화 번호(Telephone Number)
기타
참고 사항MSISDN은 전화 번호와 유사하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

2. 약어

MSISDN의 약어는 출처나 표준화 기구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기될 수 있다. 다음은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표기 방식이다.

기관의미출처
3GPP
ITU
OMA
이동 가입자 ISDN 번호3GPP 사양 용어집 (신규)[2]
3GPP
ITU
GSMA
이동국 국제 ISDN 번호(들)MSISDN 형식 및 세부 정보 [5]
ITU이동 국제 ISDN 번호스위칭 및 신호 용어집 [7]


3. MSISDN 형식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T) 권고안 E.164는 MSISDN의 최대 길이를 15자리 숫자로 제한하며, 1~3자리는 국가 코드로 사용하고, 접두사는 포함하지 않는다. MSISDN의 최소 길이는 ITU-T에서 정하지 않고 각 국가의 통신 법령에 따라 국내 숫자 부여 방식에 의해 정해진다.

3. 1. 구성 요소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T)의 E.164 권고안은 MSISDN의 최대 길이를 15자리 숫자로 제한하며, 1~3자리는 국가 코드로 사용하고 접두사는 포함하지 않는다. MSISDN의 최소 길이는 ITU-T에서 정하지 않고 각 국가의 통신 규제 기관에서 국가 번호 계획에 따라 정한다.

GSM 및 그 변형인 DCS 1800에서 MSISDN 구성은 다음과 같다.

:MSISDN = CC + NDC + SN

:* CC = 국가 코드 (Country Code)

:* NDC = 국가 대상 코드 (National Destination Code), PLMN의 일부 또는 전체 식별

:* SN = 가입자 번호 (Subscriber Number)

GSM 변형인 PCS 1900에서 MSISDN 구성은 다음과 같다.

:MSISDN = CC + NPA + SN

:* CC = 국가 코드 (Country Code)

:* NPA = 번호 계획 구역 (Number Planing Area)

:* SN = 가입자 번호 (Subscriber Number)

국가 코드는 국가 또는 지리적 영역을 식별하며 1~3자리일 수 있다. ITU는 할당된 국가 코드 목록을 정의하고 관리한다.

3. 2. GSM 및 변형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T) 권고안 E.164에 따르면 MSISDN의 최대 길이는 15자리이며, 1~3자리는 국가 코드로 사용된다. 접두사는 포함되지 않는다. MSISDN의 최소 길이는 ITU-T에서 지정하지 않고, 각 국가의 통신 규제 기관이 국가 번호 계획에 따라 지정한다.

GSM 및 그 변형인 DCS 1800에서 MSISDN 구성은 다음과 같다.

  • MSISDN = CC + NDC + SN
  • CC = 국가 코드
  • NDC = 국가 대상 코드, PLMN의 일부 또는 전체 식별
  • SN = 가입자 번호


GSM 변형인 PCS 1900에서 MSISDN 구성은 다음과 같다.

  • MSISDN = CC + NPA + SN
  • CC = 국가 코드
  • NPA = 번호 계획 구역
  • SN = 가입자 번호


국가 코드는 국가 또는 지리적 영역을 식별하며, 1~3자리일 수 있다. ITU는 할당된 국가 코드 목록을 정의하고 관리한다.

4. 예시

다음은 MSISDN의 예시이다.

'''방글라데시'''

MSISDN: 8801812345678

CC방글라데시880
NDC로비18
SN가입자의 번호12345678



예시 번호: +880 15 00121121 (텔레토크 핫라인 번호)

MSISDN=8801500121121

MSISDN=CCCXX'''N1N2N3N4N5N6N7N8'''

CC/ISD 코드CCC (예시: 880)방글라데시
NDC/NPA 코드XX (예시: 15)방글라데시 정부 할당:
텔레토크: 015
그라민폰: 017 & 013
방글라링크: 019 & 014
로비: 018 & 016
SNN1N2N3N4N5N6N7N8 (예시: 00121121)



MSISDN 형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ITU-T 규격 E.164를 참조.

'''러시아'''

MSISDN: 79261234567

국가 코드(CC)7러시아
국내 통신망 코드(NDC)926메가폰(MegaFon)
가입자 번호(SN)1234567바실리 풉킨


참조

[2] 웹사이트 3GPP Vocabulary https://www.3gpp.org[...]
[3] 웹사이트 ITU-T Q.1741-4 http://www.itu.int/r[...]
[4] 웹사이트 OMA Dictionary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MSISDN - How to check mobile number from sim- Msisdn vs IMSI https://www.cspsprot[...] 2018-03-26
[6] 웹사이트 GSMA Acronyms http://www.gsmworld.[...]
[7] 웹사이트 ITU Vocabulary http://www.itu.int/r[...]
[8] 웹사이트 3GPP Vocabulary ftp://ftp.3gpp.org/S[...]
[9] 웹사이트 ITU-T Q.1741-4 https://www.itu.int/[...]
[10] 웹사이트 OMA Dictionary http://www.openmobil[...]
[11] 웹사이트 GSM 03.03 ftp://ftp.3gpp.org/s[...]
[12] 웹사이트 GSMA Acronyms http://www.gsmworld.[...]
[13] 웹사이트 ITU Vocabulary http://www.itu.int/r[...]
[15] 웹사이트 3GPP 어휘 ftp://ftp.3gpp.org/S[...]
[16] 웹사이트 ITU-T Q.1741-4 http://www.itu.int/r[...]
[17] 웹인용 OMA 사전 http://www.openmobil[...] 2016-12-01
[18] 웹사이트 GSM03.03 ftp://ftp.3gpp.org/s[...]
[19] 웹사이트 ITU-T Q.1741-4 http://www.itu.int/r[...]
[20] 웹인용 GSMA 약어 http://www.gsmworld.[...] 2007-09-29
[21] 웹사이트 ITU 어휘 http://www.itu.in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