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국제전화, 이동통신, 유선전화, 공통 서비스, 특수 번호, 시외전화, 전국대표번호, 콜렉트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전화는 001부터 009까지의 식별번호를 사용하며, 이동통신은 010부터 019까지의 번호를 사용한다. 유선전화는 지역번호를 사용하며, 020부터 069까지의 번호 중 공통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번호가 대부분이다. 특수 번호는 1XY, 1XXX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긴급 및 생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외전화는 081부터 089까지의 번호를 사용하여 시외전화 사업자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국대표번호는 15XX, 16XX, 18XX 형태로 시내통화 요금이 적용된다. 콜렉트콜은 1541, 1633, 1655, 1677, 1682 번호로 수신자 부담 통화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기 통신 - 위피
대한민국 정부 주도로 개발된 무선 인터넷 플랫폼인 위피는 2000년대 초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플랫폼 난립 해소 및 무선 인터넷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었으나, 스마트폰 등장 후 탑재 의무화가 해제되며 국내 휴대전화 시장 개방과 경쟁 심화에 기여했다. - 나라별 전화번호 - 전화번호 할당 계획
전화번호 할당 계획은 국제전기통신연합의 E.164 표준에 따라 국가 또는 지역에 전화번호를 할당하는 체계로, 국제 통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국가 코드, 지역 번호, 가입자 번호 등으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가지며, 각국 정부는 이를 기반으로 통신 사업자 및 가입자에게 번호를 할당하고, 사설 번호 계획, 특수 서비스 코드 등 다양한 번호 체계를 포함한다. - 나라별 전화번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화번호 체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지역별, 이동통신별로 구분되어 운영되며, 지역 번호는 3~4자리 숫자로 구성되고, 이동통신은 강성 NET와 고려링크가 존재하며 10자리 이동 전화 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남북 간 핫라인이 설치되었으나 단절과 복원을 반복하며, 개성공업지구는 예외적인 전화 통화가 허용되었으나 폐쇄 이후 중단되었다. - 전화번호 - 범세계 개인 통신
범세계 개인 통신(UPT)은 전 세계 모든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서 UPT 번호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된 표준으로,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 의해 할당된 범세계적인 번호 범위를 사용한다. - 전화번호 - 전화번호부
전화번호부는 전화 가입자의 정보가 담긴 책자로, 시립 안내 책자에서 시작하여 디지털 전화번호부와 휴대 전화 보급으로 필요성이 줄고 환경 및 개인 정보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 |
---|---|
국가 전화 계획 | |
국가 | 대한민국 |
대륙 | 아시아 |
국가 전화 코드 | +82 |
국제 전화 접두어 | 00xyy (xyy는 국제 통신 사업자 식별 코드) |
국내 전화 접두어 | 0 |
규제 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 번호 길이 | 8, 9, 10 |
전화 계획 유형 | 폐쇄형 |
번호 형식 | 0XX-XXX-XXXX 0XX-XXXX-XXXX |
2. 국제전화
대한민국에서 국제전화를 걸 때는 00N (N은 통신사 코드)을 누른 후, 해당 국가 코드와 전화번호를 누르면 된다.[2] 해외에서 한국으로 전화를 걸 때는 앞의 "0"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해외에서 서울의 02-312-3456에 전화를 걸 때는 +82-2-312-3456과 같이 누른다. 일부 1566/1577/1588 번호는 해외에서 걸 수 없다.
2. 1. 국제전화 사업자별 식별번호
001부터 009까지는 국제전화를 위하여 사용된다.[2] 003과 007은 과거 별정통신을 위한 번호였으며, 기간통신사업자도 별도 신고를 통해 이를 겸업할 수 있었다. 2018년 이후 별정통신은 기간통신 분류로 통합되어 현재는 설비 보유 재판매에 해당한다. 한 사업자가 여러 번호를 가진 경우는 대개 다른 사업자의 영업을 양수하며 번호를 승계한 것이고, 이후 과금 방식이나 제공 서비스를 약간 달리 구성한다.식별번호 | 사업자 |
---|---|
001, 00727, 00345 | KT |
002, 00300, 00388 | LG유플러스 |
00370 | (주)원텔 |
00377 | KT파워텔 |
00380, 00789 | 드림라인 |
00382 | KT솔루션스 |
00386 | 아이투라인 |
005, 00766, 00761, 00762 | SK브로드밴드 |
006, 00700, 00321 | SK텔링크 |
00701 | HK텔레콤 |
00707 | 씨씨엠프라자 |
00745 | 베스트테크놀러지 |
00747 | LG헬로비전 |
00753 | 도화텔레콤 |
00755 | 삼성SDS |
00760 | 대정씨티아이 |
00770 | 새롬기술 |
00777 | 한국케이블텔레콤 |
00779 | 사이버패스 |
00782 | KT네트웍스 |
00787 | 한화S&C |
00788 | 애니유저넷 |
008, 00365 | 세종텔레콤 |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에서 01Y 번호는 무선전화, 무선호출, 부가통신망 등에 사용된다. 0N0 번호는 각종 지능망 등 공통 서비스에 사용된다.[2]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같이 셋째 자리가 0인 번호는 통신망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다.
3. 이동통신 및 부가통신망
번호 용도 030 통합 메시징 서비스 (UMS) 050 개인 번호 서비스 060 전화 정보 서비스 (통화 요금 외에 정보 이용료가 별도로 부과된다.) 070 인터넷 전화 (VoIP) 080 착신 과금 서비스 (수신자 부담 전화)
3. 1. 이동통신 식별번호
010부터 019까지는 이동통신 및 부가 통신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다. 010과 011·016·017·018·019(일명 01X)은 이동전화, 012는 사물 통신용, 015는 무선 호출 및 부가 서비스, 013X는 선박 무선 통신·주파수 공용 통신·무선 데이터 통신 등, 014XX는 부가 통신 역무용이다. 011·016·017·018·019(일명 01X) 식별 번호는 2004년 1월 1일부로 신규 가입 부여가 중단되었다.[2] 2021년 6월 30일부로 통신사의 01X 번호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번호 | 용도 | 사업자 |
---|---|---|
010 | 이동전화 | 이동통신 공동 사용 식별번호 (2004년 1월 1일 이후 신규 가입 및 변경 시 강제 적용) |
0100 | 위성전화 | 글로벌스타 |
012 | 사물통신 | 사물통신용, 과거 무선호출기용 |
0130, 0132 | 주파수공용통신 | |
0131 | 항만전화 | |
0133 | 무선데이터통신 | |
01410, 01411, 01412 | 코넷 | |
01413, 01414 | 리빙넷 | |
01421, 01422 | LG데이콤 | |
01431 | 세종텔레콤 | |
01433 | 삼성네트웍스 | |
01441 | colspan="2" | | |
01442 | colspan="2" | | |
01446 | colspan="2" | | |
015 | 무선호출 | 서울이동통신, 네띠앙 |
3. 2. 기타 무선통신 서비스
010부터 019까지는 이동통신 및 부가통신망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된다. 010은 이동전화, 012는 사물 통신용, 015는 무선호출 및 부가서비스, 013X는 선박무선통신·주파수공용통신·무선데이터통신 등, 014XX는 부가통신역무용이다. 011·016·017·018·019 (일명 01X) 식별 번호는 2004년 1월 1일부로 신규가입 부여가 중단되었다.[2] 2021년 6월 30일 자로 통신사 01X 번호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번호 | 용도 | 사업자 |
---|---|---|
010 | 이동전화 | 이동통신 공동 사용 식별번호 (2004년 1월 1일 이후 신규 가입 및 변경 시 강제 적용) |
0100 | 위성전화 | 글로벌스타 |
012 | 사물통신 | 사물통신용, 과거 무선호출기용 |
0130, 0132 | 주파수공용통신 | |
0131 | 항만전화 | |
0133 | 무선데이터통신 | |
01410, 01411, 01412 | 코넷 | |
01413, 01414 | 리빙넷 | |
01421, 01422 | LG데이콤 | |
01431 | 세종텔레콤 | |
01433 | 삼성네트웍스 | |
01441 | SK브로드밴드 | |
01442 | SK텔레콤 | |
01446 | 경기도 | |
015 | 무선호출 | 서울이동통신, 네띠앙 |
4. 유선전화
대한민국의 유선전화 번호 체계는 같은 지역 내 통화와 다른 지역으로 통화할 때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 같은 지역 내 통화: XXXX-YYYY 형태로, 국번호(XXXX)와 가입자 번호(YYYY)를 누른다. 국번호는 2~9 사이의 숫자로 시작하며 최대 4자리, 가입자 번호는 4자리이다.
- 다른 지역으로 통화: 0NZ-XXXX-YYYY 형태로, 지역번호(0NZ)를 누른 후 국번호와 가입자 번호를 누른다. N은 2~6, Z는 1~5 사이의 숫자이다.
- 일반 전화가 아닌 다른 통신망: 0NN-(0ZZ)-XXXX-YYYY 형태로, 통신망 식별번호(0NN)를 누른 후 지역번호(필요시), 국번호, 가입자 번호를 누른다.
예를 들어 서울(02)에서 312-3456으로 전화할 경우, 같은 서울 내에서는 312-3456만 누르면 되고, 다른 지역에서는 02-312-3456을 눌러야 한다. 부산(051)에서 212-3456으로 전화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부산 내에서는 212-3456, 다른 지역에서는 051-212-3456을 누른다.
1998년 서울 지역번호 02를 사용하는 전화번호에 자릿수가 추가되었고, 2000년에는 지역번호가 2~3자리로 단축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지역번호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지역번호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지역번호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에서 지역번호는 02, 03Y~06Z 형태로 구성된다. 02는 서울특별시를, 03Y~06Z는 다른 지역을 나타낸다. 대한민국 정보통신부(현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99년 9월 29일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4]을 통해 전화 지역번호 광역화 작업을 추진, 기존 144개였던 지역번호가 16개 권역으로 통합되었다.[5] 2000년 7월 2일부터 시행된[5] 이 작업으로 서울특별시와 광역시는 기존 번호를 유지하고, 나머지 지역은 도 단위별 3자리 지역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서울: 02-(X)XXX-XXXX (9 또는 10자리)
- 서울 이외 전 지역: 0NZ-(X)XXX-XXXX (N=3~6, Z=1~5, 10 또는 11자리)
지역번호 통합으로 시외전화 이용 방법도 변경되었다. 번호권 내에서는 지역번호 없이 전화번호만 누르고, 번호권 간에는 변경된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입력한다.[6] (예: 경기도 안양→수원: (031-)2XX-XXXX, 안양→강원도 춘천: 033-2XX-XXXX)
통일 이후 북한 지역 번호 자원도 확보되었으나, 별도 배정은 없었다.
지역번호 | 지역 |
---|---|
02 | 서울특별시 |
031 | 경기도 |
032 | 인천광역시 |
033 | 강원특별자치도 |
041 | 충청남도 |
042 | 대전광역시 |
043 | 충청북도 |
044 | 세종특별자치시 |
051 | 부산광역시 |
052 | 울산광역시 |
053 | 대구광역시 |
054 | 경상북도 |
055 | 경상남도 |
061 | 전라남도 |
062 | 광주광역시 |
063 | 전북특별자치도 |
064 | 제주특별자치도 |
4. 1. 1. 지역번호 예외 지역
원칙적으로는 지역번호 표를 따르지만, 통화권 구역에 따라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7]- 경기도 과천시, 광명시 일원, 고양시 덕양구 일부(옛 고양군 신도읍·화전읍 지역), 하남시 일부(옛 광주군 서부면 일부), 시흥시 일부(과림동 일대), 부천시 일부(옥길동, 역곡동 일부), 안양시 일부(석수동 접경지역), 구리시 일부(아천동 일부)는 지역번호가 02이다. 광명 일원과 고양 일부, 하남 일부는 1970년대 서울시내 전화망 확충 및 시읍면 단위 통화권을 시군 단위 통화권으로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서울시내 전화로 편입된 지역이며[8], 과천은 정부과천청사의 업무 편의를 위하여 1985년 서울 통화권으로 편입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600번대) 일원과 안산시 단원구 일부(대부도)는 지역번호가 032이다. 과거 부천시는 소사읍 시절부터 인천의 부평전신전화국의 관할에 들어갔던터라[9] 인천통화권에 포함되었다. 시흥시 중 구 소래읍 지역은 1979년 소래면 통화권(단, 1978년에 서울통화권에 편입된 옥길동ㆍ과림동 제외)이 부천전화국 관할로 흡수되면서 인천통화권(032)으로 편입되었고, 거모동 일부와 월곶동, 연성동 등 중부지역은 1996년에 인천통화권으로 편입되었으나 2000년 지역번호 광역화 개편 때 안산통화권으로 조정되면서 현재는 지역번호가 031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일부와 계룡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양지리, 노산리, 하석리는 지역번호가 042이다.
- 경상북도 경산시와, 칠곡군 지천면 낙산리·연호리·용산리는 지역번호가 053(각각 800번대, 310번대)이다.
- 대구광역시 군위군은 지역번호가 054(380번대)이다.[10]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방기리 등 일부 지역은 지역번호가 055이다.
- 서울특별시 강서구 일부(오곡동 일부와 오쇠동 일부)의 업체가 032를 사용하며, 경기도 의정부시 일부(장암동 수락리버시티 아파트)가 02를 사용하는 것처럼 법적인 통화권과 다르게 이웃 지역의 통화권에 연결하여, 이웃 지역의 지역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5. 공통 서비스 및 특수 번호
대한민국의 전화번호는 크게 지역번호, 통신망 식별번호, 특수번호로 구성된다.
- 00Y: 국제전화
- 01Y: 무선전화, 무선호출, 부가통신망
- 08Y: 시외전화
- 14YY: 기간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수신자부담 전국대표번호)[2]
- 15YY·16YY·18YY: 기간통신사업자 공통부가서비스 및 자율부가서비스 (전국대표번호 등)
- 17YY·19YY: (예비)
700번은 1990년대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가 생활정보식별번호로 일원화한 번호이다.[3]
5. 1. 공통 서비스 (0N0)
0N0영어 번호는 각종 지능망 등 공통 서비스에 사용된다.[2]- 030 - 통합 메시징(UMS)
- 050 - 개인 번호 서비스
- 050x - 익명 가상 번호 서비스
- 060 - 전화 기반 지능형 서비스 (유료)
- 070 - 인터넷 전화(VoIP)
- 080 - 수신자 부담 전화 (일부는 휴대전화에서 무료가 아님)
5. 2. 특수 번호 (1XY, 1XXX)
100번은 KT 고객센터, 101번은 LG유플러스 홈서비스(구 LG데이콤) 고객센터, 106번은 SK브로드밴드 고객센터이다.[2] 107번은 손말이음센터, 109번은 자살 예방 상담전화(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1393과 동일), 110번은 정부 통합 민원 안내 콜센터이다.111번은 간첩 신고 (국가정보원), 112번은 범죄 신고 (경찰청), 113번은 간첩 신고 (경찰청)이다. 114번은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로, 휴대전화에서는 지역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용 중인 통신사 고객센터로 연결된다. 115번은 전보 접수, 116번은 표준시각 안내 (KT), 117번은 학교폭력·여성폭력·가정폭력 긴급지원센터 (경찰청), 118번은 사이버테러 신고 (한국인터넷진흥원), 119번은 화재·구조·구급·재난신고·병원 정보 안내 (소방청 / 응급 전화번호)이다.
120번은 생활정보 및 민원 (각 광역자치단체 콜센터. 단, 043은 충북도청이 아닌 청주시, 충주시 콜센터로 연결), 122번은 해양 긴급 신고 (해양경찰청), 123번은 전기 고장 신고 (한국전력공사), 124번은 디지털 방송 콜센터 신고, 125번은 밀수사범 신고 (관세청), 126번은 세무상담센터 (국세청), 127번은 마약사범 신고 (검찰청), 128번은 환경오염 신고 (환경부), 129번은 보건복지콜센터 (보건복지부)이다.
1300번은 우체국 민원안내 (우정사업본부), 1301번은 마약·범죄종합신고 (검찰청), 1308번은 위기임산부 상담지원센터 (보건복지부), 131번은 일기예보 (기상청), 132번은 법률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1330번은 관광 정보 안내 (한국관광공사), 1331번은 인권 침해 상담 (국가인권위원회), 1332번은 금융 민원 상담 (금융감독원), 1333번은 교통 정보 안내 (국토교통부), 1335번은 방송통신 민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36번은 개인정보 침해 상담 (한국인터넷진흥원), 1337번은 테러 신고, 안보상담 (군사안보지원사령부), 1338번은 통신민원 상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39번은 질병관리청이다.
1350번은 노동법령, 제도상담 (고용노동부), 1355번은 국민연금 상담 (국민연금공단), 1357번은 중소기업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1365번은 자원봉사 안내 (행정안전부), 1366번은 여성 긴급전화 (여성가족부), 1369번은 금융정보 조회 (금융결제원), 1372번은 소비자 민원 (소비자상담센터), 1377번은 방송통신심의 민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79번은 정부민원안내 (국민권익위원회), 1380번은 수출안내통합콜센터 (FTA통합콜센터), 1382번은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행정안전부), 1385번은 기업불편 신고 (감사원, 188과 동일), 1388번은 헬프콜 청소년 긴급전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여성가족부 유관 기관), 1390번은 선거법 안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391번은 아동학대 상담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393번은 자살 예방 상담전화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109와 동일), 1397번은 서민금융 다모아 콜센터, 1398번은 부패신고 (국민권익위원회), 1399번은 부정·불량식품 신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다.
182번은 경찰 민원 신고 (경찰청), 188번은 기업불편 신고 (감사원, 1385와 동일)이다.
번호 | 용도 |
---|---|
100 | KT 고객센터 |
101 | LG유플러스 홈서비스 (구 LG데이콤) 고객센터 |
106 | SK브로드밴드 고객센터 |
107 | 손말이음센터 |
109 | 자살 예방 상담전화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1393과 동일) |
110 | 정부 통합 민원 안내 콜센터 |
111 | 간첩 신고 (국가정보원) |
112 | 범죄 신고 (경찰청) |
113 | 간첩 신고 (경찰청) |
114 | 전화번호 안내. 휴대전화에서는 지역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용중인 통신사 고객센터로 연결된다. |
115 | 전보 접수 |
116 | 표준시각 안내 (KT) |
117 | 학교폭력·여성폭력·가정폭력 긴급지원센터 (경찰청) |
118 | 사이버테러 신고 (한국인터넷진흥원) |
119 | 화재·구조·구급·재난신고·병원 정보 안내 (소방청 / 응급 전화번호) |
120 | 생활정보 및 민원 (각 광역자치단체 콜센터. 단, 043은 충북도청이 아닌 청주시, 충주시 콜센터) |
122 | 해양 긴급 신고 (해양경찰청) |
123 | 전기 고장 신고 (한국전력공사) |
124 | 디지털 방송 콜센터 신고 |
125 | 밀수사범 신고 (관세청) |
126 | 세무상담센터 (국세청) |
127 | 마약사범 신고 (검찰청) |
128 | 환경오염 신고 (환경부) |
129 | 보건복지콜센터 (보건복지부) |
1300 | 우체국 민원안내 (우정사업본부) |
1301 | 마약·범죄종합신고 (검찰청) |
1308 | 위기임산부 상담지원센터 (보건복지부) |
131 | 일기예보 (기상청) |
132 | 법률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
1330 | 관광 정보 안내 (한국관광공사) |
1331 | 인권 침해 상담 (국가인권위원회) |
1332 | 금융 민원 상담 (금융감독원) |
1333 | 교통 정보 안내 (국토교통부) |
1335 | 방송통신 민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336 | 개인정보 침해 상담 (한국인터넷진흥원) |
1337 | 테러 신고, 안보상담 (군사안보지원사령부) |
1338 | 통신민원 상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339 | 질병관리청 |
1350 | 노동법령, 제도상담 (고용노동부) |
1355 | 국민연금 상담 (국민연금공단) |
1357 | 중소기업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
1365 | 자원봉사 안내 (행정안전부) |
1366 | 여성 긴급전화 (여성가족부) |
1369 | 금융정보 조회 (금융결제원) |
1372 | 소비자 민원 (소비자상담센터) |
1377 | 방송통신심의 민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379 | 정부민원안내 (국민권익위원회) |
1380 | 수출안내통합콜센터 (FTA통합콜센터) |
1382 |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행정안전부) |
1385 | 기업불편 신고 (감사원, 188과 동일) |
1388 | 헬프콜 청소년 긴급전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여성가족부 유관 기관) |
1390 | 선거법 안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1391 | 아동학대 상담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
1393 | 자살 예방 상담전화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109와 동일) |
1397 | 서민금융 다모아 콜센터 |
1398 | 부패신고 (국민권익위원회) |
1399 | 부정·불량식품 신고 (식품의약품안전처) |
182 | 경찰 민원 신고 (경찰청) |
188 | 기업불편 신고 (감사원, 1385와 동일) |
6. 시외전화
081부터 089까지의 번호는 시외전화 사업자망을 바꾸는 데 사용된다.
번호 | 사업자 |
---|---|
081 | KT |
082 | LG유플러스 |
083 | 세종텔레콤 |
084 | SK브로드밴드 |
08560 | 브이텔레콤 |
08565 | 엔터프라이즈네트웍스 |
08566 | SK브로드밴드 |
08582 | KT솔루션스 |
086 | SK텔링크 |
089 | SK텔레콤 |
7. 전국대표번호
전국대표번호는 15YY, 16YY, 18YY 등으로 시작하며, 기간통신사업자의 공통부가서비스 및 자율부가서비스에 사용된다.[2] 이 번호는 수신자 요금 부담 번호가 아니며, 대부분 시내 통화 요금이 적용된다. 일부 가입자의 경우 시외 통화 요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신자에게 '시외통화'라는 안내 음성이 나온다.
번호 | 사업자 |
---|---|
1588, 1577, 1899 | KT |
1544, 1644, 1661 | LG유플러스 |
1566, 1600, 1670 | SK브로드밴드 |
1688, 1666 | 세종텔레콤 |
1599 | SK텔링크 |
1877 | 한국케이블텔레콤 |
1855 | LG헬로비전 |
1800 | 티온텔레콤 |
8. 콜렉트콜
콜렉트콜은 전화를 받는 사람이 통화 요금을 부담하는 서비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수신자부담 전국대표번호 14YY
https://enterprise.k[...]
[2]
웹인용
수신자부담 전국대표번호 14YY
https://enterprise.k[...]
[3]
뉴스
생활정보통신망(700망) 연말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0-07-23
[4]
간행물
정보통신부고시 제1999-80호
1999-09-29
[5]
간행물
전화지역번호 광역화 추진 안내
http://theme.archive[...]
정보통신부
1999-10-07
[6]
문서
눌러도 되고 누르지 않아도 된다.
[7]
법규
통화권별 행정구역
https://www.law.go.k[...]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12-06
[8]
웹사이트
http://theme.archive[...]
[9]
웹사이트
http://theme.archive[...]
[10]
문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