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0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W-08은 네덜란드에서 제조된 3차원 대공 레이더이다. 최대 공중 표적 탐지 거리는 80km, 지상 표적 탐지 거리는 40km이며, 미사일은 20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 G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등에 탑재된다. RCS 0.1㎡ 표적은 20km, RCS 1㎡ 표적은 30km, RCS 2㎡ 표적은 40km 거리에서 탐지 가능하다. 최대 70도까지 2x12도의 적층 빔 6개를 송신하며, 자동 탐지 및 추적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그리스, 포르투갈, 터키, 오만, 인도네시아 등에서 운용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용 레이더 - AN/SPY-1
AN/SPY-1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핵심인 록히드 마틴의 3차원 대공 레이다로, S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상 배열 레이다이며, 함정에 고정된 4개의 안테나로 다수의 목표물을 탐지, 추적, 요격할 수 있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군용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MW-08 | |
---|---|
레이더 정보 | |
![]() | |
국가 | 네덜란드 |
도입 시기 | 1990년 |
역할 | 목표 포착 |
종류 | 3차원 레이더 |
제조사 | 탈레스 |
주파수 | |
대역 | G 대역 (C 밴드) |
범위 | 4-6 GHz |
탐지 범위 | |
RCS 0.1m² 목표 | 17 km |
RCS 1m² 목표 | 27 km |
RCS 2m² 목표 | 32 km () |
안테나 | |
종류 | 평면 배열 형 |
소자 | 스트립라인 × 8단 |
회전 속도 | 27 rpm |
빔 폭 | 폭 2° × 높이 12° |
방위각 | 전방위 무제한 회전 |
고각 | +70도 |
크기 | 폭 2.49 m × 높이 1.16 m |
무게 | 430 kg + 구동부 90 kg |
성능 | |
첨두 전력 | 50 kW |
펄스 폭 | 0.6 마이크로초 (펄스 압축 후) |
사각 속도 | 마하 4 |
방위각 정확도 | 0.25도 |
거리 정확도 | 40 m |
고각 정확도 | 1.2도 |
방위각 해상도 | 2도 |
거리 해상도 | 90 m |
추적 능력 | |
공중 목표 | 20 (기본 구성) |
해상 목표 | 8 (기본 구성) |
해상 목표 (사격 통제) | 2 |
기타 | |
다른 이름 | MW-08 MW 08 |
2. 제원
MW-08영어은 네덜란드nl 탈레스사에서 개발한 3차원 대공 레이다이다.[3]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이 0.1m2인 목표에 대해서는 17km, 1m2일 경우 27km에서 탐지 공산 80%를 기대할 수 있다. 마하 수 4까지의 목표를 탐지 가능하다.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 20개의 공중 목표와 10개의 수상 목표를 추적할 수 있으며, 2개의 수상 목표에 대한 사격 지휘를 수행할 수 있다.
2. 1. 일반 제원
MW-08영어은 네덜란드nl 탈레스사에서 개발한 3차원 대공 레이다이다.[3]항목 | 내용 |
---|---|
제조국가 | 네덜란드nl |
종류 | 3차원 대공 레이다 |
최대 공중표적 탐지거리 | 80km[3] |
최대 지상표적 탐지거리 | 40km[3] |
미사일 탐지 거리 | 20km |
밴드 종류 | G 밴드 |
중량 | 상부 520kg, 하부 1600kg |
탑재함정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송신기에 진행파관을 사용하고, 안테나로 스트립라인을 쌓아 올린 평면 배열 안테나를 채택하는 기본 설계는 동일하지만, 안테나를 구성하는 스트립라인은 16단에서 8단으로 감소했다. 안테나 무게는 1200kg에서 430kg으로 경량화되었지만, 빔 생성 능력은 12개에서 6개로 감소했으며, 앙각은 70도까지로, 천정 방향의 수색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레이더 반사 단면적이 0.1m2인 목표에 대해서는 17km, 1m2일 경우 27km에서 탐지 공산 80%를 기대할 수 있다. 마하 4까지의 목표를 탐지 가능하다.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 20개의 공중 목표와 10개의 수상 목표를 추적할 수 있으며, 2개의 수상 목표에 대한 사격 지휘를 수행할 수 있다.
탐지 가능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사의 DA-08이나 미국의 AN/SPS-49 등, 더 긴 파장으로 탐지 거리가 긴 레이더와 함께 탑재되는 경우가 많지만, 소형 함정의 경우에는 본 기기에만 의존하는 경우도 있다.
2. 2. RCS별 탐지 거리
RCS (m²) | 탐지 거리 (km) |
---|---|
0.1 | 17 |
1 | 27 |
2 | 40 |
MW08은 고도 탐지를 위해 최대 70도까지 2x12도의 적층 빔 6개를 송신하며, 완전 자동 탐지 및 추적(ADT)이 가능하다. 이 레이더는 스플래시 플로팅 기능을 갖춘 3개의 트랙-와일-스캔(Track-While-Scan) 수면 창을 통해 지상 표적에 대한 사격을 지휘하지만, 비행 중인 지대공 미사일에 대한 업링크 명령은 제공하지 않는다. 1996년 2월 제인스 국제 방위 리뷰(Jane's International Defence Review)는 탈레스 그룹(Thales Group)의 제품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더 이상 신규 고객에게 제공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이 정책은 과거 톰슨-CSF(Thomson-CSF)였던 탈레스 프랑스에서 개발한 MRR 3D 레이더를 선호하는 것이었으나, 이후 조용히 철회되었다.
[1]
웹사이트
MW08 G-band, 3-D medium-range surveillance and target acquisition Radar
http://www.thales7se[...]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이 0.1m²의 목표에 대해서는 17 km, 1 m²일 경우 27 km의 유효 탐지 거리를 가진다. 탐지 공산 80%를 기대할 수 있는 유효 탐지 거리는 위 표와 같다. 마하 수 4까지의 목표를 탐지 가능하다.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 20개의 공중 목표와 10개의 수상 목표를 추적할 수 있으며, 2개의 수상 목표에 대한 사격 지휘를 수행할 수 있다.[1]
탐지 가능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사의 DA-08이나 미국의 AN/SPS-49 등, 더 긴 파장으로 탐지 거리가 긴 레이더와 함께 탑재되는 경우가 많지만, 소형 함정의 경우에는 본 기기에만 의존하는 경우도 있다.
3. 설계
송신기 진행파관(Traveling-wave tube, TWT)을 사용하고, 안테나로 스트립라인을 쌓아 올린 평면 배열 안테나를 채택하는 기본 설계는 동일하다. 하지만 안테나를 구성하는 스트립라인은 16단에서 8단으로 감소했다. 이로 인해 안테나 무게는 1,200 kg에서 430 kg으로 경량화되었지만, 빔 생성 능력은 12개에서 6개로 감소했으며, 앙각은 70도까지로, 천정 방향의 수색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탐지 공산 80%를 기대할 수 있는 유효 탐지 거리는,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이 0.1m2의 목표에 대해서는 17킬로미터, 1m2일 경우 27킬로미터이다. 마하 4까지의 목표를 탐지 가능하다.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 20개의 공중 목표와 10개의 수상 목표를 추적할 수 있으며, 2개의 수상 목표에 대한 사격 지휘를 수행할 수 있다.
탐지 가능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사의 DA-08이나 미국의 AN/SPS-49 등, 더 긴 파장으로 탐지 거리가 긴 레이더와 함께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소형 함정의 경우에는 본 기기에만 의존하기도 한다.
4. 운용 국가
국가 함선 종류 보유 함선 수 대한민국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척 대한민국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6척 대한민국 독도급 상륙함 1척 그리스 히드라급 호위함 4척 그리스 Roussen-class fast attack craft|루센급 고속정영어 7척 포르투갈 바스코 다 가마급 호위함 3척 터키 Kılıç-class fast attack craft|킬리치급 고속정영어 7척 오만 카히르급 초계함 2척 인도네시아 시그마급 초계함 4척
참조
[2]
서적
Seaforth World Naval Review 2017
Naval Institute Press
2016
[3]
웹인용
Land & Sea-Based Electronics Forecast
https://www.foreca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