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eaty Beaty Big and Bounc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eaty Beaty Big and Bouncy는 1971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더 후의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이 앨범은 싱글로 발매되었던 더 후의 초기 히트곡들을 모아 구성되었으며, 피트 타운젠드가 편집했다. 앨범 재킷은 런던의 레일웨이 호텔 옆면 사진을 사용했으며, 앨범에는 I Can't Explain, My Generation, Substitute, Happy Jack, I Can See for Miles 등의 대표곡이 수록되었다. 영국 앨범 차트 9위, 미국 빌보드 팝 앨범 차트 11위에 올랐으며, 미국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후의 컴필레이션 음반 - Magic Bus: The Who on Tour
    《Magic Bus: The Who on Tour》는 더 후의 첫 번째 미국 시장용 베스트 앨범이며, 1967년 미국 투어를 기념하기 위해 발매되었지만 라이브 앨범은 아니고, 셸 털미가 프로듀스한 곡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그룹 구성원들은 데카 레코드사의 허락 없는 앨범 발매에 불만을 표했다.
  • 더 후의 컴필레이션 음반 - Odds & Sods
    1974년 발매된 The Who의 컴필레이션 앨범 《Odds & Sods》는 1964년부터 1970년까지 녹음되었으나 발매되지 않은 곡들을 모아 밴드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음악적 유산을 재조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1971년 컴필레이션 음반 - Relics
    Relics는 1971년에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초기 싱글, B-사이드, 앨범 트랙, 미발표곡 등을 모아 제작되었으며, 닉 메이슨이 디자인한 커버 아트로 유명하고 영국에서 골드 등급을 인증받았다.
  • 1971년 컴필레이션 음반 - C'mon Everybody
    엘비스 프레슬리의 앨범인 C'mon Everybody는 그의 영화 사운드트랙에서 발췌한 10곡의 모노럴 트랙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전에 사운드트랙 EP로만 공개되었던 곡들을 모아 발매되어 롤링 스톤 레코드 가이드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프랑스에서 골드 인증을 획득했다.
  • MCA 레코드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MCA 레코드 음반 - 허리케인 카터
    허리케인 카터는 1966년 살인사건으로 억울하게 종신형을 선고받은 복서 루빈 "허리케인" 카터의 실화를 바탕으로, 그의 무죄 주장과 자서전을 읽고 감명받아 그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흑인 청소년의 노력을 그린 영화다.
Meaty Beaty Big and Bouncy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미티 비티 빅 앤 바운시 음반 커버
미티 비티 빅 앤 바운시 음반 커버
유형컴필레이션
아티스트더 후
발매일1971년 11월 26일 (영국)
녹음 년도1964년 – 1970년
장르록 음악
길이43분 20초
레이블데카 레코드/MCA 레코드 (미국 및 캐나다)
트랙 레코드/폴리도르 레코드
프로듀서키트 램버트
셸 탈미
더 후
더 후 음반 연대표
이전 음반후즈 넥스트 (1971년)
다음 음반쿼드로페니아 (1973년)

2. 배경

피트 타운젠드가 《Meaty Beaty Big and Bouncy》의 편집을 맡았다.[16] 밴드의 매니저 키트 램버트는 트랙 순서를 바꾸려 했으나, 이미 너무 많은 음반이 생산된 상태여서 실패했다.[16] 또한 더 후와 다른 매니저 빌 커비쉴리가 램버트와 최종 조율에 실패하면서 영국 발매가 지연되기도 했다. 램버트는 자신이 최종 승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앨범이 인쇄된 것에 불만을 품고 회수를 시도했지만, 이미 많은 물량이 출하되어 포기해야 했다.[16]

앨범 제목은 밴드 멤버들의 특징이나 별명에서 유래했다. "Meaty"는 당시 체격이 좋았던 보컬 로저 돌트리, "Beaty"는 드럼 연주를 맡은 키스 문, "Big"은 덩치가 크고 종종 "The Ox"라 불렸던 베이시스트 존 엔트위슬(이 별명은 그의 연주곡 The Ox (instrumental) 제목으로도 쓰였다), 그리고 "Bouncy"는 무대 위에서 활발한 무대 매너를 보였던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젠드를 가리킨다. 한편, 앨범 제목이 개 사료 광고 문구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다.[19] 앨범의 원래 제목은 《The Who Looks Back》이었으나, 타운젠드는 "마치 우리 모두 죽은 것 같아서"라는 이유로 변경을 제안했다.[19]

이 앨범은 더 후의 공식적인 세 번째 베스트 앨범이지만, 이전의 미국용 컴필레이션 《매직 버스: 더 후 온 투어》(1968)나 영국용 《Direct Hits》(1968)와 달리, 초기 프로듀서 셸 탤미 시절의 곡들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발매된 첫 번째 올타임 베스트 앨범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앨범 앞면 표지에는 더 후 멤버들이 네 명의 아이들을 내려다보는 사진이 실렸다. 이 아이들 중 한 명은 매니저 빌 커비쉴리의 남동생 폴이다. 재킷 안쪽 게이트폴드에 펼쳐진 파노라마 사진은 런던 북서부 해로우 & 위얼드스톤 역 옆 다리 근처에 있던 펍인 레일웨이 호텔(Railway Hotel)의 외부 모습이다. 이 펍은 모드족에게 인기 있는 곳이었으며, 더 후가 1964년 6월 키스 문 영입 직후부터 매주 화요일 밤마다 공연하며 주요 활동 무대로 삼았던 곳이다.[3] 매니저 키트 램버트가 처음 밴드를 본 곳도 이곳이었고,[3] 피트 타운젠드가 무대 위 낮은 천장에 기타 넥을 부딪혀 부러뜨린 후 처음으로 기타를 부수는 퍼포먼스를 선보인 장소이기도 하다. 이는 이후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4] 밴드는 1966년 8월 11일 이곳에서 사진 촬영을 했으며, 관련 자료는 2002년에 발견되었다.[3] 레일웨이 호텔은 2000년 3월 화재로 소실됐고,[5] 현재 그 자리에는 문 하우스(Moon House), 달트리 하우스(Daltrey House) 등 밴드 멤버들의 이름을 딴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6] 재킷 사진에 등장하는 아이들은 멤버들의 어린 시절 모습과 닮은 아이들을 찾아 촬영한 것이다.[20]

3. 수록곡

이 앨범은 대부분 싱글로 발매된 더 후의 초기 히트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1968년 미국용 ''매직 버스: 더 후 온 투어''와 영국용 ''다이렉트 히츠'' 이후 발매된 공식 베스트 앨범이지만, 이전 앨범들에서 권리 문제로 싣지 못했던 초기 프로듀서 셸 털미 시절의 곡들까지 포함하여 사실상 전 세계 공통으로 발매된 첫 올타임 베스트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앨범에는 〈I Can't Explain〉, 〈My Generation〉, 〈Substitute〉, 〈I Can See for Miles〉 등 밴드의 대표적인 곡들이 다수 수록되었다. 일부 곡들은 이전 정규 앨범이나 컴필레이션 앨범에 실렸던 버전이기도 하다. 수록곡 대부분은 영국에서 싱글로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 중 다수가 차트 10위 안에 들었다. 미국에서도 〈Happy Jack〉, 〈I Can See for Miles〉, 〈Magic Bus〉, 〈Pinball Wizard〉 등이 톱 40 히트를 기록했다.

특히 몇몇 곡들은 기존 싱글 버전과 다른 버전으로 수록된 것이 특징이다. 〈I'm a Boy〉는 1966년 10월에 다시 녹음된 버전으로, 원곡보다 길고 느리게 편곡되었다.[18] 〈Magic Bus〉는 원곡보다 1분 이상 긴 확장 버전이며, 초기 발매반에는 모노 음원을 인위적으로 스테레오처럼 만든 가짜 스테레오 믹스가 사용되었다. 〈The Kids Are Alright〉는 미국 시장을 위해 편집된 싱글 버전이다.

앨범의 트랙 선정은 피트 타운젠드가 직접 담당했다.[16]

3. 1. 곡 목록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작곡했다. 상세한 곡 목록은 각 사이드별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3. 1. 1. Side one

모든 곡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작곡했다.

#제목재생 시간
1I Can't Explain2:05
2The Kids Are Alright (싱글 에디트)2:45
3Happy Jack2:12
4I Can See for Miles4:06
5Pictures of Lily2:43
6My Generation3:18
7The Seeker3:11


3. 1. 2. Side two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트 타운젠드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비고
1Anyway, Anyhow, Anywhere로저 돌트리, 피트 타운젠드2:42LP 외 싱글
2Pinball Wizard피트 타운젠드2:59
3A Legal Matter피트 타운젠드2:48
4Boris the Spider존 엔트위슬2:28
5Magic Bus피트 타운젠드4:33확장 버전
6Substitute피트 타운젠드3:49영국 버전
7I'm a Boy피트 타운젠드3:41확장 버전


4. 참여

이 앨범의 제작에는 밴드 더 후 멤버들을 비롯하여 프로듀서, 세션 연주자, 엔지니어 등 여러 인물이 참여했다.

4. 1. The Who

4. 2. 추가 참여


  • 니키 홉킨스 – 피아노 ("Anyway, Anyhow, Anywhere", "A Legal Matter", "The Seeker")
  • 키트 램버트, 쉘 탈미 – 프로듀싱
  • 빌 커비쉴리, 마이크 쇼 – 앨범 디자인
  • 그레이엄 휴즈 – 사진
  • 스티브 호프만 – 콤팩트 디스크 마스터링

5. 평가

평론가 점수
평론가점수
올뮤직5/5 [7]
크리스가우의 음반 가이드A− [8]
대중음악 백과사전5/5 [9]
뮤직하운드 록5/5 [10]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5/5 [11]
톰 헐 – 온 더 웹A+ [12]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영국에서는 이것이 베스트 앨범이지만, 이 곡들 중 일부가 한 번도 발매되지 않았고 대부분 차트에 오른 적이 없는 미국에서는 뒤섞인 계시이다"라고 언급했다.[8] 하지만 데이브 마시는 이 컬렉션을 진정한 팬들에게는 실망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였는데, 타운젠드가 풍부하고 놀랍고 포괄적인 컬렉션을 공개적으로 약속했기 때문이다. 마시는 트랙의 절반도 안 되는 곡이 미국에서 어떤 식으로든 새로운 곡이라는 점에 주목하며, 트랙리스트의 예측 가능한 "베스트 히트" 성격에 대해 다소 비판적으로 다음과 같이 썼다. "''미티 비티''는 자칭하는 것에 절반도 못 미치고, 될 수 있었던 것에 훨씬 못 미친다. 우리가 꿈꾸던 앨범은 아니지만, 미발표된 다른 자료가 너무 많으니, 다시 시도해 볼 생각은 없는가?" 당시 후의 카탈로그에는 희귀한 곡이 많았는데, B-사이드, 데모, 영국에서만 발매되었거나, 라이브였거나, 이전에 미발매된 트랙들이 있었고, 마시는 "이렇게 엄청난 미발표 자료가 있는데, 왜 앨범에 두 번째(세 번째) 재발매를 하는가?"라고 불평했다.[13]

1987년,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을 1967년부터 1987년까지의 100대 앨범 목록에서 99위로 선정했다.

6. 차트 성적

순위영국 음반 차트[14]9미국 빌보드 팝 앨범[15]11


7. 인증

wikitext

'Meaty Beaty Big and Bouncy' 인증
지역인증
미국플래티넘


참조

[1] 웹사이트 The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2] AllMusic
[3] 서적 Anyway Anyhow Anywhere: The Complete Chronicle of the Who 1958–1978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8-26
[4] 뉴스 "'Who I Am': Rock icon Pete Townshend tells his story" https://web.archive.[...] MSNBC 2012-11-23
[5] 웹사이트 Christian Duffin: "Fire destroys the home of rock legends" http://www.carlolitt[...] 2012-02-14
[6] PastScape 2013-08-25
[7] AllMusic 2018-07-17
[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09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11] 잡지 The Who: 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5-09-02
[12] 웹사이트 Grade List: The Who http://tomhull.com/o[...] n.d.
[13] 잡지 The Who: Meaty Beaty Big And Bouncy https://www.rocksbac[...] 1972-02
[14]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Company – The Who https://www.official[...] 2012-07-23
[15] 잡지 The Who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2023-09-26
[16] 웹사이트 The Who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17] 웹사이트 The Who - Chart histor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18] 서적 "『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ウェア』アンディ・ニール、マット・ケント著、佐藤幸恵、白井裕美子訳、[[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刊、[[2008年]]、124頁"
[19] 서적 "『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ウェア』アンディ・ニール、マット・ケント著、佐藤幸恵、白井裕美子訳、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刊、2008年、236頁"
[20] 서적 "『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ウェア』アンディ・ニール、マット・ケント著、佐藤幸恵、白井裕美子訳、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刊、2008年、235頁"
[21] 올뮤직 2018-07-17
[22]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09
[23]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25] 잡지 The Who: 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5-09-02
[26] 웹인용 Grade List: The Who http://tomhull.com/o[...] 2020-07-19
[27] 올뮤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