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tic Ma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ystic Man》은 피터 토시의 1979년 발매된 스튜디오 앨범이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토시의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음악적 완성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다른 평론가들은 메시지의 설득력 부족과 음악적 지루함을 지적했다. 앨범에는 〈Buk-In-Hamm Palace〉, 〈Can't You See〉, 〈The Day the Dollar Die〉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빌보드 차트에 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터 토시의 음반 - No Nuclear War
피터 토시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앨범 《No Nuclear War》는 핵전쟁과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등 사회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앨범으로, 2002년 재발매되기도 했다. - 피터 토시의 음반 - Legalize It
피터 토시의 데뷔 앨범 Legalize It은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저항 정신, 특히 마리화나 합법화 주장을 담은 동명의 타이틀곡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며 레게 음악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79년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979년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Mystic Ma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음반명 | Mystic Man |
| 종류 | 음반 |
| 아티스트 | 피터 토시 |
![]() | |
| 발매일 | 1979년 |
| 녹음 장소 | 다이내믹 사운드 스튜디오, 킹스턴, 자메이카 |
| 장르 | 레게 |
| 길이 | 44분 24초 |
| 레이블 | 롤링 스톤스 레코드 / EMI / 인텔 디플로 |
| 프로듀서 | 피터 토시, 워드, 사운드 앤 파워 |
| 이전 음반 | Bush Doctor |
| 이전 음반 발매일 | 1978년 |
| 다음 음반 | Wanted Dread & Alive |
| 다음 음반 발매일 | 1981년 |
2. 반응
《Mystic Man》은 발매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의 랄프 하이부츠키는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6] 로버트 크리스가우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7] 레스터 뱅스는 전작보다 개선되었다고 평가했고,[8] 조나단 다울러-포드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특정 곡을 호평했다.[9] 데이브 톰슨은 일부 곡을 하이라이트로 꼽았지만 전반적으로는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10]
2. 1. 평론가들의 평가
《Mystic Man》은 발매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올뮤직의 랄프 하이부츠키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 토시의 "괴팍한 반대주의적 군사주의"와 서구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The Day the Dollar Die〉를 루츠 레게의 고전으로 꼽았다.[6]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크리스가우의 레코드 가이드''에서 C+ 등급을 부여하며, 토시의 메시지가 설득력이 부족하고 음악적으로도 지루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토시의 더욱 설득력 있는 목소리 입장은 그의 바보 같은 말장난, 혼란스러운 정치-경제 이론, 햄버거와 헤로인을 섞은 그의 방정식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의 음악가들은 지루한 프로 로커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처럼 들립니다."라고 썼다.[7]
레스터 뱅스는 《롤링 스톤》 리뷰에서 〈Buk-In-Hamm Palace〉를 앨범의 가장 강력한 트랙으로 꼽으며, 전작 《Bush Doctor》보다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8]
조나단 다울러-포드는 《버밍엄 데일리 포스트》에서 앨범이 "느리게 시작하지만 강하게 유지된다"고 평가하며, 〈Can't You See〉를 최고의 레게 트랙 중 하나로 꼽았다.[9]
데이브 톰슨은 〈Jah Seh No〉와 〈Rumours of War〉를 하이라이트로 꼽았지만, 전반적으로 실망스러운 앨범이라고 평가했다.[10]
3. 곡 목록
모든 곡은 피터 토시가 작사/작곡했다.
이 음반에는 오리지널 LP에 수록된 곡들과 2002년 CD에 추가된 보너스 트랙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오리지널 LP
| 제목 | 재생 시간 |
|---|---|
| Mystic Man | 5:57 |
| Recruiting Soldiers | 4:28 |
| Can't You See | 3:44 |
| Jah Seh No | 4:41 |
| Fight On | 3:22 |
| Buk-In-Hamm Palace | 3:49 |
| The Day the Dollar Die | 4:51 |
| Crystal Ball | 5:12 |
| Rumors of War | 3:30 |
모든 곡은 피터 토시가 작사/작곡했다.
2002년 EMI CD 릴리스 "The Definitive Remasters" 보너스 트랙:
- 10. Buk-In-Hamm Palace (12" 버전)
- 11. Mystic Man (롱 버전)
- 12. Fight On (Instrumental)
- 13. Recruiting Soldiers (버전)
- 14. Dubbing Buk-In-Hamm (12" 싱글에서)
3. 2. 2002년 CD (The Definitive Remasters) 보너스 트랙
| 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 10 | Buk-In-Hamm Palace (12" 버전) | 해당 정보 없음 |
| 11 | Mystic Man (롱 버전) | 해당 정보 없음 |
| 12 | Fight On (Instrumental) | 해당 정보 없음 |
| 13 | Recruiting Soldiers (버전) | 해당 정보 없음 |
| 14 | Dubbing Buk-In-Hamm (12" 싱글에서) | 해당 정보 없음 |
4. 참여진
《Mystic Man》 음반 제작에는 다양한 음악가와 기술진이 참여했다.
'''참여 음악가'''
- 피터 토시: 리드 보컬, 기타, 키보드
- 로비 셰익스피어: 베이스 기타
- 슬라이 던바: 드럼, 퍼커션
- 마이키 청: 키보드, 기타, 퍼커션
- 로비 린: 오르간, 피아노
- 우지아 톰슨: 퍼커션, "Fight On"의 리피터 드럼
- 조지 영: 알토 색소폰, 플루트
- 하워드 존슨: 바리톤 색소폰
- 루 마리니: 테너 색소폰, 플루트
- 에드 왈시: 오버하임 신시사이저 ("Recruiting Soldiers", "Jah Seh No", "Buk-In-Hamm Palace")
- 배리 로저스: 트롬본
- 마이크 로렌스: 트럼펫
- 새미 피게로아: 퍼커션, "Mystic Man", "Buk-In-Hamm Palace"의 콩가
- 클라이브 "아줄" 헌트, 마이키 청: 혼 편곡
- 브렌다 화이트 킹, 그웬 구스리, 더 탬린스, 이본 루이스: 백 보컬
- 키스 스털링: 어쿠스틱 피아노 ("Mystic Man")
- 에드 엘리잘데: 리드 기타 ("Can't You See")
'''기술진'''
- 녹음, 믹싱: 제프리 청
- 보조 엔지니어: 제임스 니콜스, 미셸 소바쥬
- 마스터링: 데니스 킹
- 사진: 애니 레보비츠
4. 1. 뮤지션
| 참여자 | 역할 |
|---|---|
| 피터 토시 | 리드 보컬, 기타, 키보드 |
| 로비 셰익스피어 | 베이스 기타 |
| 슬라이 던바 | 드럼, 퍼커션 |
| 마이키 청 | 키보드, 기타, 퍼커션 |
| 로비 린 | 오르간, 피아노 |
| 우지아 톰슨 | 퍼커션, "Fight On"의 리피터 드럼 |
| 조지 영 | 알토 색소폰, 플루트 |
| 하워드 존슨 | 바리톤 색소폰 |
| 루 마리니 | 테너 색소폰, 플루트 |
| 에드 왈시 | "Recruiting Soldiers", "Jah Seh No", "Buk-In-Hamm Palace"의 오버하임 신시사이저 |
| 배리 로저스 | 트롬본 |
| 마이크 로렌스 | 트럼펫 |
| 새미 피게로아 | 퍼커션, "Mystic Man", "Buk-In-Hamm Palace"의 콩가 |
| 클라이브 "아줄" 헌트, 마이키 청 | 혼 편곡 |
| 브렌다 화이트 킹, 그웬 구스리, 더 탬린스, 이본 루이스 | 백 보컬 |
| 키스 스털링 | "Mystic Man"의 어쿠스틱 피아노 |
| 에드 엘리잘데 | "Can't You See"의 리드 기타 |
4. 2. 기술진
| 담당 | 이름 |
|---|---|
| 녹음, 믹싱 | 제프리 청 |
| 보조 엔지니어 | 제임스 니콜스, 미셸 소바쥬 |
| 마스터링 | 데니스 킹 |
| 사진 | 애니 레보비츠 |
5. 차트
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