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GLE-2006-BLG-109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GLE-2006-BLG-109L은 적어도 두 개의 외계 행성, OGLE-2006-BLG-109Lb와 OGLE-2006-BLG-109Lc를 거느린 행성계이다. 이 행성들은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질량과 궤도 특성이 태양계의 목성과 토성과 유사하다. OGLE-2006-BLG-109Lb는 목성 질량의 약 0.71배, OGLE-2006-BLG-109Lc는 목성 질량의 약 0.27배이며, 2008년 여러 천문학 연구팀의 협력을 통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력렌즈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력렌즈 - 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퀘이사가 렌즈 은하의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4개의 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M형 주계열성 - 적색왜성
적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8%~50% 정도의 작고 차가운 별로, 느린 핵융합 속도로 수명이 매우 길며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이지만, 외계행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은 여러 요인으로 논란이 있다. - M형 주계열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OGLE-2006-BLG-109L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전갈자리 |
겉보기 등급 (V) | 17.17 |
이름 | EWS 2006-BUL-109 |
특징 | |
분광형 | 불확실 (아마도 M0V) |
추정 온도 | 약 4,000 K |
위치 정보 | |
거리 | 4,920 ± 390 광년 (1,510 ± 120 파섹) |
물리적 특징 | |
질량 | 0.51 ± 0.04 태양질량 |
식별 정보 | |
심바드 | EWS+2006-BUL-109 |
EPE | OGLE-06-109L |
2. 행성계
OGLE-2006-BLG-109L은 적어도 두 개의 외계 행성인 b와 c를 거느리고 있는 행성계이다. 이 행성들은 질량, 중심별로부터의 거리, 평형 온도 등이 태양계의 목성 및 토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행성은 2008년 2월 14일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동시에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광학 중력 렌즈 실험(OGLE), [http://www.astronomy.ohio-state.edu/~microfun/ microFUN], MOA, PLANET, RoboNet 등 여러 연구팀의 공동 연구 결과였다. 이는 중력 렌즈 기법을 통해 하나의 항성계에서 두 개 이상의 행성이 동시에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각 행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OGLE-2006-BLG-109Lb
OGLE-2006-BLG-109Lb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4,900 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 OGLE-2006-BLG-109L 주위를 도는 행성 중 하나이다. 이 행성은 OGLE-2006-BLG-109Lc와 함께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이는 광학 중력 렌즈 실험(OGLE), [http://www.astronomy.ohio-state.edu/~microfun/ microFUN], MOA, PLANET, 로보넷 협력 단체의 공동 연구 결과로 2008년 2월 14일에 발표되었다. 이는 중력 렌즈 현상을 통해 두 개 이상의 행성이 발견된 최초의 행성계이다.OGLE-2006-BLG-109Lb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0.71 ± 0.08배로 추정된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약 2.3 ± 0.2 AU이며, 공전 주기는 약 1,825 ± 365일이다. 이심률은 현재까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질량과 항성으로부터의 거리 등을 고려할 때, OGLE-2006-BLG-109Lb는 태양계의 목성과 유사한 위치와 질량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2. 2. OGLE-2006-BLG-109Lc
OGLE-2006-BLG-109Lc는 항성 OGLE-2006-BLG-109L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은 질량이 목성의 약 0.27배이며, 항성으로부터 약 4.6 AU 떨어져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공전 주기는 약 5,100일, 궤도 이심률은 약 0.11로 계산되었다. 질량, 항성과의 거리, 평형 온도 등을 고려할 때 태양계의 토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OGLE-2006-BLG-109Lb와 함께 2008년 2월 14일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이는 광학 중력 렌즈 실험(OGLE), microFUN, MOA, PLANET, 로보넷 협력체들의 공동 연구 결과였다. 이 발견은 중력 렌즈 방법을 통해 하나의 항성계에서 두 개 이상의 행성이 동시에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특징 | 값 |
---|---|
질량 | 목성 질량의 0.271 ± 0.022 배 (지구 질량의 86 ± 7 배) |
공전궤도 반지름 (AU) | 4.6 ± 0.5 (다른 추정치: 4.5 ± 1 또는 4.5 ± 2.1) |
공전 주기 (일) | 5,100 ± 730 (다른 추정치: 4,931 ± 1,750 또는 4,927.5 ± 3,540.5) |
이심률 | 0.11 (다른 추정치: 0.15 ± 0.1 또는 0.15) |
궤도 경사 | 64° |
2. 3. 태양계와의 유사성
OGLE-2006-BLG-109L 행성계는 적어도 두 개의 외계 행성인 b와 c를 가지고 있다. 이 행성계는 여러 특징에서 태양계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행성들의 질량, 중심별로부터의 거리, 평형 온도 등이 태양계의 목성, 토성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두 행성은 2008년2월 14일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동시에 발견되었다. 이는 광학 중력 렌즈 실험(OGLE), [http://www.astronomy.ohio-state.edu/~microfun/ microFUN], MOA, PLANET, RoboNet 등 여러 연구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성과이다. 이 발견은 중력 렌즈 기법을 통해 둘 이상의 행성이 한꺼번에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행성 b는 목성 질량의 약 0.71배 (또는 0.727배), 행성 c는 약 0.27배의 질량을 가진다. 행성 b는 중심별로부터 약 2.3 AU 떨어져 있으며, 행성 c는 약 4.6 AU (또는 4.5 AU) 거리에 있다. 이러한 질량비와 거리비는 태양계에서 목성과 토성의 관계와 매우 유사하다.
동반천체 (가까운 순서) | 질량 (MJ) | 공전 주기 (일) | 공전궤도 반지름 (AU) | 이심률 |
---|---|---|---|---|
b | 0.71 ± 0.08 (또는 0.727 ± 0.06) | 1,825 ± 365 (또는 1790 ± 548) | 2.3 ± 0.2 (또는 2.3 ± 0.5) | 불명 |
c | 0.27 ± 0.03 (또는 0.271 ± 0.022) | 5,100 ± 730 (또는 4931 ± 1750) | 4.6 ± 0.5 (또는 4.5 ± 1) | 0.11 (또는 0.15 ± 0.1 / 0.15) |
2008년 2월 14일, 광학 중력 렌즈 실험(OGLE), microFUN, MOA, PLANET, RoboNet 협력 단체의 공동 연구를 통해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OGLE-2006-BLG-109L 주변에서 두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이는 중력 렌즈 기법으로 두 개 이상의 행성이 동시에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1]
SIMBAD
NAME OGLE 2006-BLG-109
2009-04-30
3. 발견
발견된 행성들은 OGLE-2006-BLG-109L b와 OGLE-2006-BLG-109L c이다. 이 행성계는 질량비, 항성으로부터의 거리, 평형 온도 등이 태양계의 목성과 토성 구성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동반천체
(가까운 순서)질량
(MJ)공전주기
(일)공전궤도 반지름
(AU)이심률 b 0.71 ± 0.08 1,825 ± 365 2.3 ± 0.2 (불명) c 0.27 ± 0.03 5,100 ± 730 4.6 ± 0.5 0.11
참조
[2]
웹사이트
OGLE 2006-BLG-109 -- Star
https://simbad.u-str[...]
CDS
2009-04-30
[3]
간행물
Discovery of a Jupiter/Saturn Analog with Gravitational Microlensing
2008-02-15
[4]
Citation
Masses and Orbital Constraints for the OGLE-2006-BLG-109Lb,c Jupiter/Saturn Analog Planetary System
2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