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GN 엔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GN 엔투스는 대한민국의 e스포츠 팀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스페셜포스2, 배틀그라운드, 클래시로얄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했다. 2001년 프로슈머 팀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팀명 변경을 거쳤으며, CJ 엔투스 시절 스타크래프트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17년에 해체되었고, 배틀그라운드 종목에서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삼성 갤럭시는 2000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значимые 발자취를 남긴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었으나,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매각 후 해체되었다.
OGN 엔투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도시 | 서울 |
위치 | 대한민국 |
모기업 | OGN |
창단일 | 2001년 4월 |
해체일 | 2020년 11월 |
팀 구성 | |
종목 | |
종목 | Clash Royale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League of Legends StarCraft II Warcraft 3 |
OGN 엔투스 (구 CJ 엔투스) 정보 | |
기업 | CJ (2006년 4월 ~ 2018년 1월 31일) |
기업 | OGN (2018년 2월 1일 ~ 2020년 11월 28일) |
대표 이사 | 하대중 |
단장 | 김종선 |
사무국장 | 이학평 |
프론트 | 김경호 |
역사 | |
스타크래프트 창단일 | 2001년 4월 |
리그 오브 레전드 창단일 | 2012년 5월 24일 |
배틀그라운드 창단일 | 2017년 12월 14일 |
클래시 로얄 창단일 | 2018년 |
스타크래프트 II 해체일 | 2016년 10월 19일 |
리그 오브 레전드 해체일 | 2017년 12월 27일 |
클래시 로얄 해체일 | 2019년 12월 31일 |
배틀그라운드 해체일 | 2020년 11월 30일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트위터 |
웹사이트 | 페이스북 |
웹사이트 | 티빙 |
2. 연혁
OGN 엔투스는 2001년 4월 프로슈머 팀으로 시작하여, 2001년 9월 게임아이와 계약하며 게임아이 이노츠로 팀명을 변경했다. 2002년 4월 게임아이 부도 이후 GO(Greatest One) 팀을 창단했고, 2003년 9월 슈마 일렉트론과의 스폰서 계약으로 슈마 GO(SUMA GO)로 팀명을 변경했다가, 2004년 9월 계약 만료 후 다시 G.O.로 팀명을 변경했다.
2006년 4월, CJ 그룹과의 창단 계약을 통해 CJ 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고,[8] 5월에 CJ 엔투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2010년 10월에는 하이트 스파키즈와 합병하여 하이트 엔투스로 팀명을 변경했다가, 2011년 5월 네이밍 스폰서 계약 종료와 함께 CJ 엔투스로 복귀했다.
2012년 4월 8일,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1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12월 14일,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을 창단했고, 2018년 2월 1일 팀명을 OGN 엔투스로 변경했다. 2020년 11월 28일, CJ ENM의 OGN 운영 종료 및 매각 결정으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도 해체되었고, 11월 30일 OGN 엔투스는 19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19년에는 클래시로얄 리그 월드 파이널에 진출하였으며, 클래시로얄 리그 아시아 S2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OGN 엔투스는 자율적인 연습 분위기와 과묵한 팀 컬러로 유명했다. 초창기 멤버인 김동준, 임성춘, 최인규, 김정민, 이재훈, 김근백 등을 시작으로 서지훈, 강민, 전상욱, 박태민, 이주영, 변형태, 박영민을 거쳐 김정우, 조병세, 진영화, 한상봉, 신동원 등 많은 유명선수를 발굴 및 배출한 전통 명문팀이었다.비기업팀이었던 기간이 길었던지라 다른 팀으로의 선수 이적이 잦았다. 최인규와 김근백이 삼성 갤럭시로, 김정민과 강민이 KT 롤스터로, 전상욱과 박태민이 T1으로 이적하고 김동준과 임성춘이 해설자로 전향하는 등 매번 이적 및 은퇴가 이루어질 때마다 전력 손실의 우려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명장 조규남 감독의 선수 발굴 및 관리 등 지도력과 함께 주력 선수들의 이적을 전력 손실이 아닌 신인들의 기회로 삼아 수위를 유지했고, 잦은 이적에도 전력을 꾸준히 상승시키며 전통의 강호로 자리 잡았다.
좋은 기량의 선수진과 상위권 성적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후원이나 창단 계약은 없고 보유 선수만 자본 구단으로 이적해가자 비판받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조규남 감독은 팀이 선수들의 앞길을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는 신조 하에 이적을 막지 않았고, 오히려 보유 선수들이 더 좋은 환경으로 옮겨가 당당히 대우를 받으며 게임할 수 있는 것을 만족으로 여겼다고 한다. 그리고 조규남 감독 자신도 팀의 비후원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자 보유한 선수들을 더 이상 얽매지 않기 위해 2006년 2월에는 1개월 안에 스폰서가 잡히지 않으면 해체하기로 했다고 한다. 그렇게 배수진을 치자 20개 기업과 접촉하게 되는 등 상황이 진전[7] 되어 동년 4월에 CJ와 창단 계약이 성사[8] 되었고, 팀은 대기업의 대우와 함께 존속하게 되었다.
개인전과 단체전 양쪽에서 좋은 성적을 내왔는데, 특히 프로리그에서도 개인전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왔다. 프로리그 통합 이전 MBC게임의 단체전 리그였던 개인전 위주의 팀 배틀 방식인 팀리그에서는 최다 우승 및 최다 입상 (3회 우승, 1회 준우승, 1회 3위)의 기록 또한 가지고 있고, 최근에 펼쳐진 프로리그 내의 팀 리그 방식인 위너스 리그에서도 9승 2패라는 엄청난 성적으로 결승에 직행했고, 급기야 최근에는 조병세가 0:3으로 밀리던 팀에게 4:3으로 팀 리그 결승전 사상 최초의 역올킬로 팀에게 우승컵을 안겨주는 등 팀 리그에는 유독 강한 모습을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에서 6위에 그쳤고, 포스트시즌에서도 SKT T1에게 패배하는 등 하향세를 보였다. (하지만 CJ 소속 김정우 선수가 대한항공 스타리그에서 우승)
그리고 2010년 조규남 감독의 자진사퇴와 팀 내 독보적인 에이스였던 김정우의 돌연 은퇴, 마재윤이 승부 조작 사건 가담으로 인해 영구 제명을 당하면서 CJ 엔투스가 어찌 될지 모두가 주목하였고, CJ 엔투스는 CJ의 온미디어 인수로 인해 모기업이 같아지고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주축 선수 다수가 연루된 하이트 스파키즈와 합병함으로써 하이트 엔투스로 변모한다.
하이트 엔투스라는 이름은 5월에 하이트와의 스폰서 계약이 만료되면서 CJ 엔투스라는 이름으로 복귀한다. CJ 엔투스라는 팀 이름으로 복귀하고 첫 경기는 위메이드 폭스와 상대하였다.
2011년 6월 26일 STX를 상대로 4:2로 승리하면서 종합 성적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KT와 격돌하게 된 CJ는 선수들이 큰 기량을 보이지 못하고 2패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아쉽게 실패한다.
2012년 9월 22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결승전에서 삼성 갤럭시를 4:1(스타1 2:0, 스타2 2:1)로 제압하며, 창단 이후 첫 우승이자 G.O 시절 이후로는 8년 만에 프로리그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10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폐지되면서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를 발표하였다.
'''OGN 엔투스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연혁'''
연도 | 대회 |
---|---|
2001년 4월 | 프로슈머 팀 창단 |
2001년 9월 | 게임아이와 계약으로 게임아이 이노츠로 개칭 |
2002년 4월 | 게임아이 부도 이후 GO(Greatest One) 팀 창단 |
2003년 6월 | 계몽사배 MBC게임 팀리그 우승 |
2003년 8월 | KTF EVER컵 프로리그 4위 |
2003년 9월 | 슈마 일렉트론과 스폰서 계약으로 슈마 GO(SUMA GO)로 팀명 변경 |
2003년 10월 | LIFE ZONE MBC게임 팀리그 우승 |
2004년 1월 | LG IBM MBC게임 팀리그 3위 |
2004년 2월 |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우승 |
2004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4위 |
2004년 8월 | 투싼배 MBC게임 팀리그 준우승 |
2004년 9월 | 슈마 일렉트로닉과 계약 만료.G.O.(Greatest One)로 팀명 변경 |
2005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공동 3위 |
2005년 3월 | MBC무비스배 MBC 게임 팀리그 우승 |
2005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3위 |
2005년 10월 |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2006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4위 |
2006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3위 |
2006년 4월 | CJ 프로게임단 창단 |
2006년 5월 | CJ 엔투스로 팀명 변경 |
2006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3위 |
2007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준우승 |
2008년 1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준우승 |
2009년 3월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우승 |
2009년 8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위 |
2010년 7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
2010년 10월 | 하이트 스파키즈 합병, 하이트 엔투스로 팀명 변경 |
2011년 3월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4위 |
2011년 5월 | 네이밍 스폰서 종료,CJ 엔투스로 팀명 복귀 |
2011년 7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위 |
2012년 3월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4위 |
2012년 9월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 우승 |
2013년 2월 |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 부르드워 최우수 프로게임단상 |
2013년 2월 |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2 최우수 프로게임단상 |
2014년 3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 3위 |
2014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준우승 |
2014년 7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3위 |
2014년 7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공동 3위 |
2015년 2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3위 |
2015년 4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 우승 |
2015년 6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4위 |
2015년 9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3위 |
2015년 9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통합 3위 |
2016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4위 |
2016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3라운드 3위 |
2016년 10월 | CJ 엔투스 스타크래프트II 프로게임단 해체 |
2. 2. 리그 오브 레전드
League of Legends영어 팀은 2012년 2월 17일 LoL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고, 5월 19일 아주부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에서 블레이즈 팀이 우승, 프로스트 팀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5월 24일에는 거품게임단을 인수하여 창단했다. 이후 2012년 9월 8일 아주부 더 챔피언스 서머 2012에서 프로스트 팀이 우승했고, 11월 5일 MLG 2012 폴 시즌 챔피언십에서 블레이즈 팀이 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013년에는 2월 2일 올림푸스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에서 프로스트 팀이 준우승, 3월 9일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에서 블레이즈 팀이 우승, 프로스트 팀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12월 1일에는 WCG 2013에서 블레이즈 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에는 1월 18일 ZOTAC NLB 윈터 2013-2014에서 블레이즈 팀이, 5월 17일 빅파일 NLB 스프링 2014에서 프로스트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 11월 14일에는 2015 네이버 LoL KeSPA컵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 2017에서 준우승, 서머 2017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2016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이후 강등되었다.[5] 2017년 12월 27일, OGN의 모기업인 CJ E&M이 한국e스포츠협회를 탈퇴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 팀도 해체를 공식 선언했다.[6]
연도 | 대회명 | 팀 | 결과 |
---|---|---|---|
2012 | LoL 인비테이셔널 | 우승 |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블레이즈 | 우승 |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프로스트 | 준우승 |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서머 2012 | 프로스트 | 우승 | |
2013 | 올림푸스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프로스트 | 준우승 |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 블레이즈 | 우승 | |
프로스트 | 준우승 | ||
WCG 2013 | 블레이즈 | 금메달 | |
2014 | ZOTAC NLB 윈터 2013-2014 | 블레이즈 | 우승 |
빅파일 NLB 스프링 2014 | 프로스트 | 우승 | |
2015 | 2015 네이버 LoL KeSPA컵 | 준우승 | |
2017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 2017 | 준우승 |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7 | 우승 |
2. 3. 스페셜포스2
CJ 엔투스는 2012년 4월 8일에 처음으로 열린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1에서 숙적 SK텔레콤 T1을 3:0으로 완벽하게 제압하고 팀 최초로 스페셜포스2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8]2. 4. 배틀그라운드
OGN 엔투스는 2017년 12월 14일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을 창단하였다. 2018년 2월 1일 팀명을 OGN 엔투스로 변경하였으며, 2020년 11월 28일 CJ ENM의 OGN 운영 종료 및 매각이 결정되면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도 해체되었다. 이틀 후인 11월 30일 OGN 엔투스는 창단 19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OGN 엔투스 시절의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명 | 결과 |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스플릿 2 | 3위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스플릿 3 | 우승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파이널 | 4위 |
PUBG 서바이벌 시리즈 베타 파이널 | 우승 |
스타시리즈 i-리그 PUBG | 7위 |
PGL PUBG 스프링 인비테이셔널 2018 | 9위 |
스타시리즈 i-리그 PUBG 시즌 2 파이널 | 준우승 |
아프리카TV PUBG 리그 시즌 2 | 우승 |
PUBG 코리아 리그 2018 시즌 1 | 3위 |
서울컵 OGN 슈퍼매치 크레센트 Day 1 | 우승 |
서울컵 OGN 슈퍼매치 메인 매치 | 3위 |
KT 기가 인터넷 PUBG 코리아 리그 2018 Week 2 | 우승 |
KT 기가 인터넷 PUBG 코리아 리그 2018 정규시즌 | 준우승 |
KT 기가 인터넷 PUBG 코리아 리그 2018 파이널 | 5위 |
PUBG 아시아 인비테이셔널 2019 | 준우승 |
2019 핫식스 PUBG 코리아 리그 페이즈 1 | 4위 |
페이스잇 글로벌 서밋: PUBG 클래식 | 4위 |
2019 핫식스 PUBG 코리아 리그 페이즈 2 | 10위 |
2. 4. 1. OGN 엔투스 에이스
자율적인 연습 분위기와 과묵한 팀 컬러로 유명했다. 초창기 멤버인 김동준, 임성춘, 최인규, 김정민, 이재훈, 김근백 등을 시작으로 서지훈, 강민, 전상욱, 박태민, 이주영, 변형태, 박영민을 거쳐 김정우, 조병세, 진영화, 한상봉, 신동원 등 많은 유명 선수를 발굴 및 배출한 전통 명문팀이었다.2. 4. 2. OGN 엔투스 포스
OGN 엔투스 포스는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으로, 2017년 12월 14일에 창단되었다. 2018년 2월 1일 OGN 엔투스로 팀명이 변경되기 전까지 사용된 팀명이다.OGN 엔투스 포스 시절의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명 | 결과 |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스플릿 1 | 7위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스플릿 3 | 9위 |
아프리카TV PUBG 리그 파일럿 시즌 파이널 | 19위 |
카카오TV PUBG #1 클럽 매치 | 우승 |
아프리카TV PUBG 리그 시즌 2 | 우승 |
- 2018년 6월 30일 '''아프리카TV PUBG 리그 시즌 2 우승''' 은 OGN 엔투스 포스 시절이 아닌 OGN 엔투스 시절의 기록이므로 표에서 분리하여 작성하였다.
2. 5. 클래시로얄
- 2019년 클래시로얄 리그 월드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 2019년 클래시로얄 리그 아시아 S2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3. 역대 팀 명칭
- 2001년 4월 '''프로슈머''' 팀이 시초였다.
- 2001년 9월 게임아이와 계약으로 '''게임아이 이노츠'''로 개칭되었다.
- 2002년 4월 게임아이 부도 이후 '''GO'''('''Greatest One''') 팀이 창단되었다.
- 2003년 9월 슈마 일렉트론과 스폰서 계약으로 '''슈마 GO'''('''SUMA GO''')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04년 9월 슈마 일렉트로닉과 계약 만료로 '''G.O.'''('''Greatest One''')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06년 4월 CJ 프로게임단이 창단되었다.
- 2006년 5월 CJ 엔투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10년 10월 하이트 스파키즈와 합병하여, 하이트 엔투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11년 5월 네이밍 스폰서 종료로, CJ 엔투스로 팀명이 복귀되었다.
- 2018년 2월 1일 팀명을 OGN 엔투스로 변경했다.
4. 역대 팀 감독
조규남 감독은 선수 발굴 및 관리 능력으로 유명했으며, 선수들의 이적을 막지 않고 더 나은 환경을 찾아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7] 이러한 철학 덕분에 OGN 엔투스는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하고도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2006년에는 CJ와 창단계약을 맺어[8] 팀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2010년 조규남 감독이 자진 사퇴했다.
4.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연도 | 사건 |
---|---|
2001년 4월 | 프로슈머 팀 창단 |
2001년 9월 | 게임아이와 계약, 게임아이 이노츠로 팀명 변경 |
2002년 4월 | 게임아이 부도, GO(Greatest One) 팀 창단 |
2003년 6월 | 계몽사배 MBC게임 팀리그 우승 |
2003년 8월 | KTF EVER컵 프로리그 4위 |
2003년 9월 | 슈마 일렉트론과 스폰서 계약, 슈마 GO로 팀명 변경 |
2003년 10월 | LIFE ZONE MBC게임 팀리그 우승 |
2004년 1월 | LG IBM MBC게임 팀리그 3위 |
2004년 2월 | 네오위즈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우승 |
2004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4위 |
2004년 8월 | 투싼배 MBC게임 팀리그 준우승 |
2004년 9월 | 슈마 일렉트로닉과 계약 만료, G.O.로 팀명 변경 |
2005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공동 3위 |
2005년 3월 | MBC무비스배 MBC 게임 팀리그 우승 |
2005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3위 |
2005년 10월 |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2006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4위, 그랜드파이널 3위 |
2006년 4월 | CJ 프로게임단 창단 |
2006년 5월 | CJ 엔투스로 팀명 변경 |
2006년 7월 |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3위 |
2007년 1월 |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준우승 |
2008년 1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준우승 |
2009년 3월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8-09 우승 |
2009년 8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위 |
2010년 7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
2010년 10월 | 하이트 스파키즈 합병, 하이트 엔투스로 팀명 변경 |
2011년 3월 |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4위 |
2011년 5월 | 네이밍 스폰서 종료, CJ 엔투스로 팀명 복귀 |
2011년 7월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위 |
2012년 3월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4위 |
2012년 9월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 우승 |
2013년 2월 |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 부르드워 및 스타크래프트2 최우수 프로게임단상 수상 |
2014년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 3위, 3라운드 준우승, 4라운드 3위, 통합 공동 3위 |
2015년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3위, 2라운드 우승, 3라운드 4위, 4라운드 3위, 통합 3위 |
2016년 5월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4위, 3라운드 3위 |
2016년 10월 | CJ 엔투스 스타크래프트II 프로게임단 해체 |
OGN 엔투스는 초창기 김동준, 임성춘, 최인규, 김정민, 이재훈, 김근백 등을 주축으로, 이후 서지훈, 강민, 전상욱, 박태민, 변형태, 박영민 등이 활약했다. 김동준과 임성춘은 해설자로 전향, 최인규와 김근백은 삼성 갤럭시, 김정민과 강민은 KT 롤스터, 전상욱과 박태민은 SK텔레콤 T1으로 이적했다.
CJ 엔투스는 팀 경기와 개인전 모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프로 리그 개인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MBC 게임 SK텔레콤 리그에서 3회 우승, 1회 준우승, 1회 3위를 기록했고, 9승 2패로 위너스 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신한은행 리그에서는 6위를 기록, 포스트 시즌에서 SKT T1에 패했다.[3]
2016년 5월 24일, 장 "MC" 민철이 은퇴 2주 만에 팀에 합류했다.[4]
4. 2. 리그 오브 레전드
OGN 엔투스는 2012년 5월 24일 거품게임단을 인수하면서 창단되었다.[5] 창단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여러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주요 대회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대회명 | 날짜 | 팀 | 결과 |
---|---|---|---|
LoL 인비테이셔널 | 2012년 2월 17일 | 우승 |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2012년 5월 19일 | 블레이즈 | 우승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2012년 5월 19일 | 프로스트 | 준우승 |
아주부 더 챔피언스 서머 2012 | 2012년 9월 8일 | 프로스트 | 우승 |
MLG 2012 폴 시즌 챔피언십 | 2012년 11월 5일 | 블레이즈 | 우승 |
올림푸스 더 챔피언스 스프링 2012 | 2013년 2월 2일 | 프로스트 | 준우승 |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 2013년 3월 9일 | 블레이즈 | 우승 |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 | 2013년 3월 9일 | 프로스트 | 준우승 |
WCG 2013 | 2013년 12월 1일 | 블레이즈 | 금메달 |
ZOTAC NLB 윈터 2013-2014 | 2014년 1월 18일 | 블레이즈 | 우승 |
빅파일 NLB 스프링 2014 | 2014년 5월 17일 | 프로스트 | 우승 |
2015 네이버 LoL KeSPA컵 | 2015년 11월 14일 | 준우승 |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 2017 | 2017년 4월 21일 | 준우승 |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7 | 2017년 8월 25일 | 우승 |
5. 주요 종목
OGN 엔투스는 선수 육성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여러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이다.
종목 | 활동 내용 및 주요 선수 |
---|---|
스타크래프트 | |
스페셜포스2 | |
리그 오브 레전드 | |
배틀그라운드 |
참조
[1]
웹사이트
스포츠조선 :: [프로리그 리뷰] CJ, 선두로 1라운드 마감
http://m.sportschosu[...]
2012-01-03
[2]
웹사이트
"CJ 창단 Cho Gyu-nam 감독 인터뷰" 파이터포럼
http://gmnews.afreec[...]
2015-08-03
[3]
웹사이트
프로리그는 '춘추전국시대', 삼성전자 ↑ CJ ↓ : 스포츠조선
http://sports.chosun[...]
2012-02-03
[4]
웹사이트
MC joins CJ Entus
http://www.thescoree[...]
[5]
웹사이트
The Relegation of CJ Entus Marks the Passing of an Era
https://pvplive.net/[...]
2016-08-29
[6]
뉴스
CJ Entus disband League of Legends roster
https://dotesports.c[...]
2017-11-13
[7]
웹인용
"CJ 창단 조규남 감독 인터뷰" 파이터포럼
http://gmnews.afreec[...]
2015-08-03
[8]
문서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