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영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다. CJ 엔투스, 공군 ACE에서 활동했으며, 2009년 은퇴했다. 손가락 부상에도 불구하고 경기에 출전하여 승리한 경험이 있다.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OGN의 《용선생의 매너파일런》과 SBS의 《미운 우리 새끼》에 출연했다. 2003년 에어워크배 전국 아마추어 최강전 우승을 비롯해, 여러 스타리그에서 16강, 8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양고등학교 동문 - 홍정민
홍정민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 삼성과 법조계 경력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운영위, 과방위 등 여러 상임위 및 특위에서 활동하며 당내 주요 직책을 수행한 인물이다. - 안양고등학교 동문 - 올티
올티는 2012년 데뷔 후 쇼미더머니3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정규 음반 발매와 더불어 "OLL'Skool" 등의 싱글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영화 출연 등 연기 활동도 하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 전북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도상
정도상은 1960년 경상남도 함양군 출생으로, 국가 폭력, 개인의 삶, 탈북민 등을 다룬 사실주의적 경향의 소설가이며, 단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전북대학교 대학원 동문 - 김성중 (1952년)
김성중(1952년)은 대한민국의 노동부 관료로, 전주고등학교와 전북대학교, 코넬대학교를 졸업하고 노동부 차관과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표창과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 군포시 출신 - 김진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최초의 여학생이자 MIT 도시계획 박사 출신인 김진애는 건축가 및 도시계획 전문가로서, 산본 신도시 조성, 세종시 건설 참여, 국회의원 활동, 방송 및 저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군포시 출신 - 정우 (가수)
정우는 1998년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NCT U, NCT 127, NCT DOJAEJUNG 등 NCT의 여러 유닛으로 활동하며, 《쇼! 음악중심》 MC와 브랜드 앰버서더로도 활동했다.
이주영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주영 (李周榮)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경기도 군포시 |
종족 | 저그 |
아이디 | OversKy |
별명 | 드론의 아버지, 출산드론, 미남저그 |
장비 | |
키보드 | 삼성 블랙키보드 |
마우스 | MS wheel 구형 |
웹사이트 |
2. 프로게이머 경력
2002년 GO(현 CJ 엔투스)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성균관대 공대에 진학한 이후 다시 게임을 잡아 프로게이머가 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2007년까지 CJ 엔투스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07년 6월 25일 공군 전산특기병에 입대하여 공군 ACE에서 활동하였다. 2009년 8월 24일 박대만과 같은 날에 제대하였다.
선수 생활 초창기부터 많은 수의 드론을 확보하는 플레이 스타일 때문에 "드론의 아버지", "SD저그" 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뛰어난 외모로 "미남저그"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마재윤, 박태민과 더불어 팀 단위 리그에서 큰 활약을 했으나, 개인 리그에서는 16강 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했다. 공군 ACE 시절엔 저그 플레이어로는 드물게 뛰어난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으며, 프로토스전과 저그전에 강했지만, 테란전은 다소 약한 모습을 보였다.
역대 공군 ACE 선수 중 김경모, 이성은, 오영종, 민찬기와 함께 가장 뛰어난 성적을 낸 선수로 평가받으며, 병장 시절에는 강한 카리스마로 선수단을 이끌었다. 군 제대를 앞둔 인터뷰에서 "가족들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과 충분히 상의한 뒤 앞으로의 거취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09년 9월 7일, 동기 박대만은 웅진 스타즈 소속으로 선수 복귀가 확정되었지만, 이주영은 학업 문제로 사실상 은퇴를 결정하였다.
2. 1. CJ 엔투스 시절 (2002년 ~ 2007년)
2002년 GO(현 CJ 엔투스)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본래 아마추어로 활동하다가 학업 문제로 활동을 그만두고, 성균관대 공대에 진학한 이후 다시 게임을 잡아 프로게이머가 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2007년까지 CJ 엔투스 소속으로 프로게이머 활동을 했다. 선수 시절 초창기부터 많은 수의 드론을 확보하는 플레이 스타일 때문에 "드론의 아버지", "SD저그" 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드론을 이용한 방어와 후반 물량전에 탁월한 실력을 보였다. 또한 프로게이머 중에서도 뛰어난 외모로 "미남저그"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이주영이 속한 슈마지오(CJ 엔투스의 전신)는 마재윤, 박태민 등 뛰어난 저그 플레이어들이 많았고, 이주영은 이들과 함께 팀 단위 리그에서 큰 활약을 했다. 하지만 개인 리그에서는 16강 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해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2. 2. 공군 ACE 시절 (2007년 ~ 2009년)
2007년 6월 25일 공군 전산특기병에 입대하여 공군 ACE에서 활동하였다. 2009년 8월 24일 박대만과 같은 날에 제대하였다. 공군 ACE 시절, 저그 플레이어로는 드물게 뛰어난 전략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콜로세움 맵에서 성큰 러쉬나 폭탄 드랍 플레이를 선보였다. 프로토스전과 저그전에 강했지만, 테란전은 다소 약한 모습을 보였다.역대 공군 ACE 선수 중 김경모, 이성은, 오영종, 민찬기와 함께 가장 뛰어난 성적을 낸 선수로 평가받으며, 병장 시절에는 강한 카리스마로 선수단을 이끌었다. 공군 유성렬 감독은 인터뷰에서 실력적, 정신적으로 팀을 이끌던 이주영의 전역으로 인한 전력 누수를 걱정하기도 했다.
2. 3. 은퇴 (2009년)
2009년 8월 24일 박대만과 같은 날에 제대하였다. 군 제대를 앞둔 인터뷰에서 이주영은 "한 달 전부터 말년 휴가를 받고 쉬어서 그런지 덤덤하다"라는 소감을 밝힌 뒤 "가족들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과 충분히 상의한 뒤 앞으로의 거취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2009년 9월 7일, 동기 박대만은 웅진 스타즈 소속으로 선수 복귀가 확정되었지만, 이주영은 학업 문제로 사실상 은퇴를 결정하였다.
3. 손가락 부상 투혼
2009년 6월 29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라운드 5주차 3경기 위메이드전 1세트 안기효와의 경기에서 이주영은 손가락 부상을 당한 상태였으나 투혼을 발휘하여 승리했다.
스타크래프트는 손을 이용하는 게임이기에 손가락 부상은 매우 치명적이다. 그럼에도 이주영은 부상이 악화될 수 있는 상황에서 출전을 강행했다. 당시 규정상 엔트리 제출 후에는 선수 교체가 불가능했고, 불참 시 몰수패를 당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주영은 손가락에 테이핑을 하고 경기에 출전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기효의 승리를 예상했다. 하지만 이주영은 안기효의 초반 전략을 막아내고 폭탄 드랍을 활용하여 승리했다.
4. 프로게이머 이후
2009년 8월 24일 박대만과 같은 날에 제대하였다. 군 제대를 앞둔 인터뷰에서 이주영은 “한 달 전부터 말년 휴가를 받고 쉬어서 그런지 덤덤하다”라는 소감을 밝힌 뒤, “가족들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과 충분히 상의한 뒤 앞으로의 거취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후 이주영은 학업 문제로 사실상 은퇴를 결정하였다. (2009년 9월 7일 동기 박대만은 웅진 스타즈 소속으로 선수 복귀가 확정되었다.)
4. 1. 해설가 활동
2010년 8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GSL)의 해설을 맡았고 2011년 11월 해설을 그만두었다.4. 2. 방송 출연
2009년 OGN 《용선생의 매너파일런》에 출연했다. 2019년에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 특별출연했다.5. 수상 경력
연도 | 대회 |
---|---|
2003년 5월 | 에어워크배 전국 아마추어 최강전 우승 |
2004년 9월 | EVER 스타리그 2004 16강 |
2005년 5월 | EVER 스타리그 2005 16강 |
2005년 9월 | So1 스타리그 16강 |
2007년 6월 | 곰TV MSL 시즌2 8강 (대회중 군입대로 기권-본인 대신 송병구가 합류) |
2007년 10월 | 곰TV MSL 시즌3 32강 |
2009년 4월 |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 64강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