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e스포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갤럭시 e스포츠는 2000년 6월 9일 삼성전자 칸으로 창단하여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III,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한 e스포츠 팀이다. 2007년과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3년 MVP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인수하며 삼성 갤럭시로 팀명을 변경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서 2014년 롤챔스 스프링 우승, 2014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기록했다. 2016년 스타크래프트 II 팀을 해체하고,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Gen.G에 매각하며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콜럼버스 카턴마우스
콜럼버스 카턴마우스는 1996년부터 2017년까지 활동했던 미국의 프로 아이스하키 팀으로, CHL과 SPHL에서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으나 팀 버스 전복 사고와 재정난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 2017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샌안토니오 스타스
샌안토니오 스타스는 1997년 창단하여 2017년까지 WNBA에 참가했던 프로 여자 농구 팀으로, 유타 스타즈에서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즈를 거쳐 팀명을 변경했으며, 2008년 W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우승에 실패하고 2017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가 되었다.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임단 - 화승 OZ
화승 OZ는 2002년 창단되어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2011년 모기업의 운영 포기로 해체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다.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임단 - 위메이드 폭스
위메이드 폭스는 2003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등을 운영했으며, 2004년 SKY 프로리그에서 우승하고 2011년 팀 해체와 함께 최종 해체되었다.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해체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MVP (e스포츠)
MVP는 2010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여러 종목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우승 및 본선 진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0년 해체되었다.
삼성 갤럭시 (e스포츠)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성 갤럭시 |
원래 이름 | 삼성 칸 |
짧은 이름 | SSG SSW (삼성 화이트) SSB (삼성 블루) |
창립 | 2000년 (삼성 칸으로 창단) |
해체 | 2017년 |
모기업 | 삼성전자 |
국가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리그 오브 레전드 |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 2014 (삼성 화이트) 2017 (삼성 갤럭시) |
주요 선수 | 다양한 선수들이 활동함 (문서 참조) |
2. 역사
2000년 6월 9일 '''삼성전자 칸'''이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다. 정수영 감독이 감독직을 수행했으나, 당시에는 프로리그 같은 팀단위 리그 개념이 없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매니저의 인식이 강했다. 2001년 4월부터 팀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감독이 없는 내부 직원의 관리 체제로 2003년 7월 24일까지 이어졌다.
강성욱, 김선아, 김태훈, 허민구 등이 약 2년간 순차적으로 실질적인 감독 겸 매니저 및 프런트의 역할을 수행했다. 2003년 7월 팀의 활성화와 더불어 조직 개편과 함께 7월 25일부터 최초의 프로게이머 출신 감독이자 유일의 여성 감독인 김가을 감독과 이주연이 프런트를 맡아 진행했다. 이후 프런트는 김가을 감독과 정상진(2006년), 최윤상 감독(LOL), 오상택 코치(스타), 허민구(2013년)로 변경되었다.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전기리그와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11월 1일에는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 송병구가 우승, 창단 8년 5개월 만에 최초의 개인리그 우승자를 배출시켰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에 송병구의 부활과, 박대호, 유준희, 김기현, 유병준, 임태규등 신인들의 활약으로 프로리그 성적을 상위권으로 기록한다.
2011년 11월 해체된 3개의 게임단 공개 포스팅을 통해 신노열을 영입하였고 이후 2차 협상을 통해 이영한을 영입하였다. 오상택 코치도 영입, 2005년 변은종, 이창훈, 박성준을 영입한 이래로 최대 전력 보강을 하였다.
2012년 8월 진에어 그린윙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4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결승진출을 확정지었으나 결승에서는 CJ 엔투스에 패했다.
2013년 9월 7일 MVP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인 MVP 오존과 MVP 블루를 인수, 팀 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새로이 창단하며 팀명을 '''삼성 갤럭시'''로 변경하였다. 이후 삼성 갤럭시 오존의 이름을 화이트로 변경하였고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은 '삼성 갤럭시 칸',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삼성 갤럭시 블루',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2팀으로 활동했다. 2013년 이후 모기업의 체계적인 후원과 관리, 게이머 출신들로 구성된 사무국 등 타 프로게임단 대비 우수한 경쟁력으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2014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끝난 후 '삼성 갤럭시 화이트'와 '삼성 갤럭시 블루' 두 팀의 주전 10명과 대부분의 연습생, 코치 윤성영까지 모두 중국으로 이적했다. 2014년 11월 아마추어 선수들과 前 Prime, SKT T1 K 소속 선수들을 영입하며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완전히 다른 팀이 되었다.
2015년 5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5 개막과 동시에 선수들을 추가 영입했다.
2016년 10월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를 발표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을 우승하였다.
2017년 12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Gen.G에 매각하며 팀이 해체되었다.
2. 1. 창단과 초기 (2000년 ~ 2003년)
2. 2. 김가을 감독 시대 (2003년 ~ 2013년)
2. 3. 삼성 갤럭시로 팀명 변경 (2013년)
2013년 9월 7일, MVP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MVP 오존, MVP 블루)을 인수하며 팀 명칭이 삼성 갤럭시로 바뀌면서, 창단 이후 약 14년 동안 유지되었던 게임단 로고와 팀 명칭이 변경되었다. 스타크래프트 II 팀은 '삼성 갤럭시 칸',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삼성 갤럭시 블루', '삼성 갤럭시 화이트'로 운영되었다.2. 4.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성공과 해체 (2014년 ~ 2017년)
3. 주요 종목 및 활동
3.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2000년 6월 삼성 프로게임단 칸이 창단되었다. 2005년 10월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 우승하였고, 2006년 1월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6월에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에서 우승을, 2008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프로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 9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에서는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지만,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준우승에 머물렀다.2013년 9월 팀명이 '''삼성 갤럭시'''로 변경되었다. 주요 선수로는 송병구, 허영무, 신노열, 이영한 등이 있다. 2016년 10월 스타크래프트 II 팀 해체가 발표되었다.
3. 2. 워크래프트 III
2004년 6월 온게임넷 WEG 팀리그 WarCraft 3에서 3위를 기록했다.3. 3. 리그 오브 레전드
2013년 9월 롤팀이 창단되었다.(허민구 사무국장) 2014년 1월 롤챔스 윈터에서 삼성 갤럭시 화이트가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2014년 6월에는 롤챔스 스프링에서 삼성 갤럭시 블루가 우승하고, 삼성 갤럭시 화이트는 3위를 기록했다. 2014년 7월 LOL 클럽 마스터즈에서는 초대 우승을 달성했다. 2014년 8월 롤챔스 서머에서는 삼성 갤럭시 블루가 준우승, 삼성 갤럭시 화이트가 3위를 차지했다.2014년 10월 2014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삼성 갤럭시 화이트가 우승을 차지하고, 삼성 갤럭시 블루는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6년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준우승을,[4] 2017년 11월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4. 역대 감독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정수영이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팀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이후 2002년부터 2003년까지는 허민구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는 김가을이 2대 감독으로 재임했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오상택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송병구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최윤상이 초대 감독을 맡았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는 최우범이 2대 감독으로 재임했다.
4.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4. 2. 리그 오브 레전드
5. 우승 기록
-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3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4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 시즌
5. 1. 스타크래프트
2008년 — 신한은행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우승5. 2. 리그 오브 레전드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올림푸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2014 스프링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2014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삼성 화이트가 1위, 삼성 블루가 3위를 기록했다. 2016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위를[4],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다.6. 팀 운영 및 평가
7. 역대 명칭
2000년부터 2013년까지는 삼성전자 칸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삼성 갤럭시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경우 MVP 블루, MVP 화이트, 삼성 갤럭시 등의 명칭을 사용했다.
참조
[1]
뉴스
삼성전자, 갤럭시 프로게임단으로 새출발
http://sports.news.n[...]
This Is Game
2013-09-07
[2]
뉴스
Side by side comparison of 2014 World Champions Samsung White versus 2015 SK Telecom T1
https://dotesports.c[...]
2015-10-22
[3]
뉴스
One of these things is not like the others: Samsung's unlikely Worlds appearance
https://www.thescore[...]
2016-09-19
[4]
웹사이트
SK Telecom T1 wins World Championship again
http://eu.lolesports[...]
Riot Ga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