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브리노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브리노겐은 간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는 당단백질로, 혈액 응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브리노겐은 세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Aα, Bβ, γ)로 구성되며,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무피브리노겐혈증, 저피브리노겐혈증, 이상피브리노겐혈증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임상 검사를 통해 피브리노겐의 양과 기능을 측정하며, 높은 피브리노겐 수치는 심혈관 질환 및 염증과 관련될 수 있다. 파울 모라비츠는 1905년에 피브리노겐을 처음 기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구체 단백질 - 지모겐
지모겐은 비활성 효소 전구체로서, 특정 조건에서 활성 효소로 전환되어 생리 대사에 참여하며, 활성화 과정은 생리적 조절, 반응 증폭, 효소 활성 제한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질병과도 관련되어 있다. - 전구체 단백질 -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GnRH)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어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 자극 호르몬(FSH)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합성 유사체는 불임 치료 등에 사용되며,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에서 성 호르몬 농도를 조절하는 음성 되먹임 기전에 관여한다. - 응고계통 - 지혈
지혈은 혈관 수축, 혈소판 마개 형성, 혈액 응고 과정을 통해 출혈을 막는 신체의 고유한 반응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응급 처치에 사용되며, 관련 질환과 약물, 유전적 요인이 지혈에 영향을 미친다. - 응고계통 - 트롬빈
트롬빈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세린 프로테아제 효소로서, 프로트롬빈 활성화를 통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켜 혈전 형성을 촉진하고, 혈소판 활성화, 혈관 수축, 단백질 C 활성화, 질병 발병 등 다양한 생리활성과 의학 및 식품 분야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 혈액 단백질 - 알부민
알부민은 혈액 내 주요 단백질로서, 물질 운반, 삼투압 유지, pH 완충, 아미노산 공급,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 혈청 알부민, 알파-태아단백질, 비타민 D 결합 단백질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임상적으로 간 기능 지표 및 의학적 제제로 활용된다. - 혈액 단백질 - 소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은 58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혈청 알부민의 일종으로, 교질 삼투압 유지, 물질 수송 등의 생리적 기능과 함께 생화학적 분석, 세포 배양, 나노 구조체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피브리노겐 | |
---|---|
개요 | |
유형 | 혈장 내 수용성 단백질 복합체 |
기능 | 혈액 응고 과정에 관여 |
단백질 계열 정보 | |
계열 | 피브리노겐 알파/베타 사슬 계열 |
Pfam | PF08702 |
인터프로 | IPR012290 |
스콥 | 1m1j |
피브리노겐 알파 C 도메인 정보 | |
Pfam | PF12160 |
인터프로 | IPR021996 |
피브리노겐 C 도메인 정보 | |
Pfam | PF00147 |
Pfam 클랜 | CL0422 |
인터프로 | IPR002181 |
PROSITE | PDOC00445 |
스콥 | 1fza |
2. 유전자
피브리노겐은 세 가지 폴리펩타이드 사슬, 즉 ''FGA''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피브리노겐 알파 사슬(Aα 또는 α 사슬), ''FG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Bβ 또는 β 사슬), ''FGG''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γ 사슬)로 구성된다. 이 세 유전자는 모두 인간 4번 염색체의 장완(q 완)에 위치한다.[2]
유전자 | 염색체 위치 | 유전자 산물 |
---|---|---|
FGA | 4q31.3 | 피브리노겐 알파 사슬 (Aα) |
FGB | 4q31.3 |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 (Bβ) |
FGG | 4q32.1 |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γ) |
''FGA'' 유전자는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을 통해 AαE라는 소량의 아이소폼을 생성하며, 이는 순환 피브리노겐의 1~3%를 차지한다. ''FGG'' 유전자 역시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을 통해 γ' 아이소폼을 생성하며, 이는 순환 피브리노겐의 8~10%를 차지한다. 반면, ''FGB'' 유전자는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되지 않는다.[8][9][10][11][12]
세 유전자는 정교하게 조율되어 전사 및 번역되며, 염증이나 조직 손상과 같은 상황에서는 인터루킨 6, 인터루킨 1β 등의 사이토카인에 의해 전사가 크게 증가한다.[11]
2. 1. 피브리노겐 알파 사슬 (FGA)
피브리노겐은 주로 간 간세포에 의해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된다. 내피 세포도 소량의 피브리노겐을 생성한다고 보고되었지만, 이 피브리노겐은 완전히 특성화되지 않았다. 혈액 혈소판과 그 전구체인 골수 거핵세포는 한때 피브리노겐을 생성한다고 생각되었지만, 현재는 당단백질을 흡수하고 저장할 뿐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최종 분비되는 간세포 유래 당단백질은 두 개의 단백질 삼합체로 구성되며, 각 삼합체는 ''FGA''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피브리노겐 알파 사슬(Aα 또는 α 사슬), ''FG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Bβ 또는 β 사슬), ''FGG''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γ 사슬)의 세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다. 이 세 유전자 모두 인간 4번 염색체의 장완("q" 완)에 위치한다(위치 4q31.3, 4q31.3 및 4q32.1).[2]
''FGA'' 유전자의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은 AαE라고 하는 소량의 확장된 아이소폼을 생성하여 순환하는 피브리노겐의 1~3%에서 Aα를 대체한다. ''FGG''의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은 γ'라고 하는 소량의 아이소폼을 생성하여 순환하는 피브리노겐의 8~10%에서 γ를 대체한다. ''FGB''는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 피브리노겐 생성물은 Aα, Bβ 및 γ 사슬로 주로 구성되며, AαE 및/또는 γ' 사슬을 포함하는 작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 세 유전자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조율되어 전사 및 번역된다.[8][9][10][11][12] 이 세 피브리노겐 유전자의 조율된 전사는 염증 및 조직 손상과 같은 전신적인 조건에 의해 빠르고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전신적인 조건 동안 생성되는 인터루킨 6, 인터루킨 1β 등의 사이토카인이 이 전사를 상향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11]
2. 2.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 (FGB)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Bβ 또는 β 사슬이라고도 함)은 ''FG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 유전자는 인간 4번 염색체의 장완(q 완)에 위치한다(위치 4q31.3).[2] ''FGB''는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 피브리노겐 생성물은 주로 피브리노겐 알파 사슬(Aα), 피브리노겐 베타 사슬(Bβ) 및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γ) 사슬로 구성되며, Aα 및/또는 γ 사슬 대신 AαE 및/또는 γ' 사슬을 포함하는 작은 비율을 차지한다.이 세 피브리노겐 유전자의 조율된 전사는 염증 및 조직 손상과 같은 전신적인 조건에 의해 빠르고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전신적인 조건 동안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6 및 인터루킨 1β가 이 전사를 상향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11]
2. 3.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FGG)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γ 사슬)은 ''FGG''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2] 이 유전자는 인간 4번 염색체의 장완(q)에 위치하며(4q32.1),[2] 대립유전자 스플라이싱을 통해 γ'라고 하는 소량의 아이소폼을 생성한다. 이 γ' 사슬은 순환하는 피브리노겐의 8~10%에서 γ 사슬을 대체한다.[8][9][10][11][12]''FGG'' 유전자를 포함한 세 피브리노겐 유전자(''FGA'', ''FGB'', ''FGG'')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조율되어 전사 및 번역된다.[8][9][10][11][12] 염증이나 조직 손상과 같은 전신적인 조건에서는 인터루킨 6, 인터루킨 1β 등의 사이토카인이 이들 유전자의 전사를 빠르고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11]
3. 구조
Aα, Bβ, γ 사슬은 전사되고 번역되어 소포체(ER)에서 함께 생성되며, 펩타이드 사슬은 ER로 전달되고 신호 펩티드 부분은 제거된다. ER 내부에서 세 개의 사슬은 처음에 Aαγ 및 Bβγ 이량체로 조립된 다음 AαBβγ 삼량체로, 마지막으로 (AαBβγ)2 육량체로 조립된다. 즉, 여러 개의 이황화 결합으로 결합된 두 개의 AαBβγ 삼량체이다. 육량체는 골지체로 옮겨져 N-결합 글리코실화, 수산화, 황산화, 인산화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는 성숙한 피브리노겐 당단백질을 형성한다.[10][12]
성숙한 피브리노겐은 8Å~15Å 사이의 직경을 가진 매우 얇은 실로 함께 연결된 세 개의 마디의 길고 유연한 단백질 배열로 배열되어 있다. 두 개의 끝 마디(D 영역 또는 도메인이라고 함)는 Bβ 및 γ 사슬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약간 더 작은 마디(E 영역 또는 도메인이라고 함)는 두 개의 얽힌 Aα 알파 사슬로 구성된다. 그림자 길이 측정 결과 마디 직경은 50Å~70Å 범위이다. 건조된 분자의 길이는 475Å ± 25Å이다.[14]
피브리노겐 분자는 ~340kDa~420kDa의 일반적인 분자량을 가진 가용성 혈장 당단백질로 순환한다.[15] (Aα 대 AαE, γ 대 γ' 사슬의 함량 및 탄수화물 [~4%~10%w/w]에 따라 다름). 9 × 47.5 × 6 nm의 막대 모양이며 생리적 pH에서 음전하를 띠고 있다(등전점 ~5.5 – ~6.5, 예를 들어 pH 5.8[16][17]). 혈장에서 피브리노겐의 정상적인 농도는 150–400 mg/dl이며, 이 범위보다 현저히 낮거나 높은 수치는 병리학적 출혈 및/또는 혈전증과 관련이 있다. 피브리노겐은 ~4일의 순환 반감기를 갖는다.[12]
4. 혈액 응고 기전
혈액 응고 과정에서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의 Aα 및 Bβ 사슬의 N-말단을 공격하여 개별 피브린 가닥과 두 개의 작은 폴리펩티드인 피브리노펩티드 A와 피브리노펩티드 B를 형성한다.
- 트롬빈(IIa)에 의해 피브리노펩티드 A(FpA)가 잘려 나가면, 새로운 N-말단은 D 도메인의 γA 사슬과 연결되고 프로토피브릴이 형성되기 시작한다.[13]
- 이후 트롬빈에 의해 피브리노펩티드 B(FpB)가 잘려 나가면, 새로운 N-말단은 D 도메인의 Bβ 사슬과 연결된다. FpB에 의해 이전에 결합된 αCs도 방출된다. αCs는 양방향 및 정삼각형 가지치기를 허용한다.[13]
- 제XIII인자a는 피브린을 가교한다(진한 파란색 선). C-말단 γA-γA- 및 Aα-Aα-가교가 형성된다.[13]
개별 피브린 가닥은 혈액 제XIII인자a에 의해 다른 피브린 가닥과 중합 및 가교되어 광범위하게 상호 연결된 피브린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는 성숙한 피브린 응고 형성의 기초가 된다.[3][7][18] 피브리노겐은 피브린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혈액 혈소판의 GpIIb/IIIa 표면 막 피브리노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혈소판 사이의 다리를 형성하고 활성화함으로써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18]
피브린은 적어도 두 가지 중요한 메커니즘을 통해 혈액 응고 형성을 제한하고 형성된 혈액 응고를 분해하는 데 참여한다. 첫째, 피브린은 트롬빈에 대한 세 개의 낮은 친화성 결합 부위(피브린의 E 도메인에 2개, D 도메인에 1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 결합은 트롬빈이 피브리노겐을 공격하는 것을 격리한다.[18] 둘째, 피브린의 Aα 사슬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에 의해 활성화된 플라스민의 양을 적어도 100배 가속화시키며, 플라스민은 혈액 응고를 분해한다.[5][18][3][7] 플라스민이 피브린을 공격하면 D-이합체(DD 이합체라고도 함)가 방출된다. 혈액에서 이러한 이합체의 검출은 섬유소 용해에 대한 임상 검사로 사용된다.[5]
5. 피브리노겐 관련 질환
피브리노겐의 양과 질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는 비정상적인 출혈, 혈액 응고, 또는 간, 신장, 기타 조직에 피브리노겐이 침착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5. 1. 선천성 무피브리노겐혈증
선천성 무피브리노겐혈증은 드물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피브리노겐 수치가 매우 낮거나 결핍되어 혈액 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FGA, FGB,'' 또는 ''FBG'' 유전자 중 하나의 양쪽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복제본 모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발병한다. 이 돌연변이는 사실상 완전한 유전적 침투도를 가지며, 모든 동형 접합체 보균자는 빈번하게,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및/또는 혈전증을 경험한다. 병리학적 출혈은 생애 초기에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출생 시 배꼽에서 과도한 출혈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4]5. 2. 선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
선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피브리노겐의 수치가 감소하여 혈액이 정상적으로 응고되지 않을 수 있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혈장 피브리노겐은 일반적으로 150mg/dL 미만이지만 50mg/dL 초과). 이 질환은 부모 중 한쪽의 ''FGA, FGB, 또는 FBG'' 유전자 중 하나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나타나며, 유전자 침투율이 낮다. 즉, 결함 유전자를 가진 가족 구성원 중 일부만 증상을 나타낸다. 이 질환의 증상은 혈장 피브리노겐 수치가 낮은 개인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며, 간헐적인 출혈과 혈전증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늦은 소아기 또는 성인기에 시작된다.5. 3. 피브리노겐 저장 질환
피브리노겐 저장 질환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선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의 한 형태이다. 이 질환은 ''FGG'' 유전자 사본 중 특정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해당 유전자에서 생성되는 피브리노겐이 간세포에 축적되어 손상을 일으킨다. ''FGA'' 또는 ''FGB'' 돌연변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FGG'' 돌연변이 증상은 낮은 침투율을 보인다. 이 질환에서 측정되는 혈장 피브리노겐 수치(일반적으로 50mg/dl 초과, 150mg/dl 미만)는 정상 유전자가 생성하는 피브리노겐을 반영한다. 피브리노겐 저장 질환은 비정상적인 출혈 및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로는 간 경변증을 일으키기도 한다.[19]5. 4. 선천성 이상피브리노겐혈증
선천성 이상피브리노겐혈증은 드문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혈장 피브리노겐은 돌연변이된 ''FGA, FGB,'' 또는 ''FBG'' 유전자 중 하나를 부모로부터 물려받아 만들어진 기능 장애 피브리노겐과 다른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정상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정상 피브리노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성을 반영하여, 면역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혈장 피브리노겐 수치는 정상(>150mg/dL)이지만, 응고 형성 방법으로 측정하면 약 50% 더 낮다. 이 질환은 침투도가 감소하여,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가진 일부 개인만이 비정상적인 출혈 및 혈전증 증상을 보인다.[20]5. 5. 유전성 피브리노겐 Aα-사슬 아밀로이드증
유전성 피브리노겐 Aα-사슬 아밀로이드증은 ''FGA'' 유전자 중 하나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이 질환은 특정 돌연변이로 인해 혈액 내에서 순환하며 서서히 신장에 축적되는 비정상적인 섬유소원이 생성되는 선천성 섬유소원혈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축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족성 신 아밀로이드증의 한 형태를 유발한다. 혈장 섬유소원 수치는 다른 형태의 선천성 섬유소원혈증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섬유소원 Aα-사슬 아밀로이드증은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혈전증과는 관련이 없다.[21]5. 6. 후천성 이상피브리노겐혈증
후천성 섬유소원 혈증은 다양한 후천성 질환으로 인해 혈액 내 섬유소원의 적어도 일부가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섬유소원으로 구성되는 드문 질환이다. 이 질환의 잘 연구된 원인 중 하나는 간암, 만성 활동성 간염, 간경변 및 담도 폐쇄로 인한 황달을 포함한 심각한 간 질환이다.[18] 병든 간은 정상적인 기능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지만, 당화가 잘못된(즉, Golgi를 통과하는 동안 첨가되는 설탕 잔류물의 양이 잘못된) 섬유소원을 합성한다. 잘못 당화된 섬유소원은 기능 장애를 일으키며 출혈 및/또는 혈전증의 병리학적 에피소드를 유발할 수 있다. 다른, 덜 잘 이해되는 원인으로는 순환하는 비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 또는 기타 단백질이 섬유소원 기능을 방해하는 형질 세포 이상증 및 자가면역 질환, 드문 암 사례 및 약물([이소트레티노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항백혈병제) 독성이 있다.[18]5. 7. 선천성 저이상피브리노겐혈증
선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은 면역학적으로 검출된 혈장 피브리노겐 수치가 낮고(즉, 150mg/dL 미만), 부분적으로 기능 이상 피브리노겐으로 구성된 드문 유전 질환이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상속된 두 피브리노겐 유전자 모두의 돌연변이를 반영하며, 그중 하나는 기능 이상 피브리노겐을 생성하고 다른 하나는 적은 양의 피브리노겐을 생성한다. 이 질환은 침투도가 감소하지만, 선천성 이상 피브리노겐혈증보다 일반적으로 더 심각하며, 후자와 마찬가지로 출혈 및/또는 혈액 응고의 병리학적 에피소드를 유발한다.[4]5. 8. 한랭피브리노겐혈증
한랭 피브리노겐혈증은 피브리노겐이 저온에서 침전되어 혈관 내 피브리노겐, 피브린 및 기타 순환 단백질의 침전을 유발하여 다양한 조직과 신체 말단의 경색을 일으킬 수 있는 후천성 질환이다. 한랭글로불린혈증은 근본적인 관련 질환의 증거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1차 한랭글로불린혈증(본질적 한랭글로불린혈증이라고도 함)이라고 한다. 또는 훨씬 더 흔하게, 근본적인 질환의 증거와 함께 발생하며, 이를 2차 한랭글로불린혈증이라고 한다. 2차 한랭 피브리노겐혈증은 감염, 악성 또는 전암성 질환(21%), 혈관염(25%), 그리고 자가면역 질환(42%)이 있는 개인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23][24][25][26] 이 경우, 한랭 피브리노겐혈증이 조직 손상 및/또는 기타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질환과 한랭 피브리노겐혈증 발생 사이의 실제 인과 관계는 불분명하다. 한랭 피브리노겐혈증은 또한 특정 약물의 섭취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23][24][25][26]5. 9. 후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
후천성 저피브리노겐혈증은 과도한 소모로 순환 피브리노겐이 결핍되는 질환이다. 외상, 파종성 혈관 내 응고의 특정 단계, 패혈증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혈액 손실, 농축 적혈구 수혈, 피브리노겐 결핍 전혈 대체 수혈로 인한 혈액 희석도 원인이 될 수 있다.[27]6. 임상 검사
피브리노겐 장애에 대한 임상 분석에서는 혈액 응고를 측정하는 여러 단계를 거친다.[28] 높은 수치의 피브리노겐은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43 g/L). 피브리노겐은 급성기 반응 단백질이므로 모든 형태의 염증에서 증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람의 치은 조직에서는 치주 질환 초기 단계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9][30]
6. 1. 혈액 응고 검사
피브리노겐 장애에 대한 임상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프로트롬빈 시간,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트롬빈 시간, 렙틸레이스 시간과 같은 표준 검사를 사용하여 혈액 응고를 측정한다.[28] 낮은 피브리노겐 수치와 기능 부전 피브리노겐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간을 연장시키며, 피브리노겐이 없는 무피브리노겐혈증은 이러한 시간을 무한정 연장시킨다.피브리노겐 수치는 정맥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에서 면역 분석법, Clauss 피브리노겐 분석, 또는 프로트롬빈 기반 방법과 같은 응고 분석을 통해 측정한다.[31]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정상 수치는 약 1.5~3g/L이다.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정상(1.5~3g/L)이며, 저피브리노겐혈증 및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감소(<1.5g/L)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0.02g/L).
기능적 피브리노겐 수치는 응고를 유도한 혈장에서 측정한다. 이 검사에서 응고된 피브리노겐의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감소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검출할 수 없다. 기능적 피브리노겐/항원성 피브리노겐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 0.7g/L 미만이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혈액 응고 분석은 혈액 전체 샘플에 대한 혈전탄성 측정법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이 분석은 혈액 응고 및 이후의 섬유소 용해 동안 응고 인자, 그 억제제, 항응고제, 혈구(특히 혈소판)의 상호 작용을 조사한다. 이 검사는 지혈 효능 및 최대 응고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섬유소-혈소판 상호 작용과 섬유소 용해 속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혈전탄성 측정법 참조).
시험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검사는 섬유소 혈전 밀도 및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피브리노겐 섭취 검사는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증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방사성 요오드로 표지된 피브리노겐을 개인에게 투여하고, 혈전에 통합하여 신티그래피로 감지한다.
6. 2. 피브리노겐 농도 측정
피브리노겐 장애에 대한 임상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혈액 응고를 측정한다.[28] 높은 수치의 피브리노겐은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43 g/L). 피브리노겐은 급성기 반응 단백질이므로 모든 형태의 염증에서 증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람의 치은 조직에서는 치주 질환 초기 단계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9][30]- 혈액 응고는 프로트롬빈 시간,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트롬빈 시간, 및/또는 렙틸레이스 시간과 같은 표준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낮은 피브리노겐 수치와 기능 부전 피브리노겐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간을 연장시키며, 피브리노겐이 없는 경우(무피브리노겐혈증)에는 이러한 시간을 무한정 연장시킨다.
- 피브리노겐 수치는 정맥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에서 면역 분석법을 통해 측정하거나, Clauss 피브리노겐 분석 또는 프로트롬빈 기반 방법과 같은 응고 분석을 통해 측정한다.[31] 정상 수치는 사용된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약 1.5~3 g/L이다. 이 수치는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1.5~3 g/L)에서는 정상이며, 저피브리노겐혈증 및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1.5 g/L)에서는 감소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0.02 g/L).
- 피브리노겐의 기능적 수치는 응고를 유도한 혈장에서 측정한다. 이 검사에서 응고된 피브리노겐의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감소해야 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검출할 수 없다.
- 기능적 피브리노겐/항원성 피브리노겐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 <0.7 g/L이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 혈액 응고 분석은 혈액 전체 샘플에 대한 혈전탄성 측정법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이 분석은 혈액 응고 및 이후의 섬유소 용해 동안 응고 인자, 그 억제제, 항응고제, 혈구(특히, 혈소판)의 상호 작용을 조사한다. 이 검사는 지혈 효능 및 최대 응고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섬유소-혈소판 상호 작용과 섬유소 용해 속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혈전탄성 측정법 참조)
- 시험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검사는 섬유소 혈전 밀도 및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피브리노겐 섭취 검사 또는 피브리노겐 스캔은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증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방사성으로 표지된 피브리노겐, 일반적으로 방사성 요오드를 사용하여 개인에게 투여하고, 혈전에 통합하여 신티그래피로 감지한다.
6. 3. 피브리노겐 기능 검사
피브리노겐 장애에 대한 임상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혈액 응고를 측정한다.[28] 높은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3.43 g/L). 이는 급성기 반응 단백질이므로 모든 형태의 염증에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치은 조직에서 치주 질환의 초기 단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29][30]- 혈액 응고는 프로트롬빈 시간,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트롬빈 시간, 및/또는 렙틸레이스 시간과 같은 표준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낮은 피브리노겐 수치와 기능 부전 피브리노겐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간을 연장시키며, 피브리노겐의 부재(즉, 무피브리노겐혈증)는 이러한 시간을 무한정 연장시킨다.
- 피브리노겐 수치는 정맥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에서 면역 분석법을 통해 측정하거나, Clauss 피브리노겐 분석 또는 프로트롬빈 기반 방법과 같은 응고 분석을 통해 측정한다.[31] 정상 수치는 약 1.5~3 g/L이며, 사용된 방법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수치는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즉, 1.5-3 g/L)에서는 정상이며, 저피브리노겐혈증 및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즉, <1.5 g/L)에서는 감소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즉, <0.02 g/L).
- 피브리노겐의 기능적 수치는 응고를 유도한 혈장에서 측정한다. 이 검사에서 응고된 피브리노겐의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감소해야 하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검출할 수 없다.
- 기능적 피브리노겐/항원성 피브리노겐 수치는 저피브리노겐혈증, 저기능 부전성 피브리노겐혈증 및 기능 이상성 피브리노겐혈증에서 <0.7 g/L이며, 무피브리노겐혈증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 혈액 응고 분석은 혈액 전체 샘플에 대한 혈전탄성 측정법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이 분석은 혈액 응고 및 이후의 섬유소 용해 동안 응고 인자, 그 억제제, 항응고제, 혈구(특히, 혈소판)의 상호 작용을 조사한다. 이 검사는 지혈 효능 및 최대 응고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섬유소-혈소판 상호 작용과 섬유소 용해 속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혈전탄성 측정법 참조).
- 시험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검사는 섬유소 혈전 밀도 및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피브리노겐 섭취 검사 또는 피브리노겐 스캔은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증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방사성으로 표지된 피브리노겐, 일반적으로 방사성 요오드를 사용하여 개인에게 투여하고, 혈전에 통합하여 신티그래피로 감지한다.
7. 고피브리노겐혈증
임신 중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피브리노겐 수치는 비임신 여성의 평균 3 g/L에 비해 평균 4.5 g/L로 증가한다. 다양한 형태의 암, 특히 위암, 폐암, 전립선암, 난소암에서도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피브리노겐혈증''이 병리학적 혈전증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7][32] 트루소 증후군이라고 하는 이동성 표재 정맥 혈전증의 특정 패턴이 이러한 암에서 발생하며, 다른 모든 징후와 증상보다 먼저 나타날 수 있다. 고피브리노겐혈증은 또한 신생아 지속성 폐 고혈압[33] 및 수술 후 혈전증의 원인으로 연관되어 왔다.[34] 높은 피브리노겐 수치는 급성 또는 아급성 말초 동맥 및 동맥 우회로 폐쇄에 대한 카테터 지향적 혈전용해술 동안 출혈성 합병증의 예측 인자로 제안되었다.[35] 그러나 2016년 1월까지의 이용 가능한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카테터 지향적 혈전용해술 후 출혈성 합병증 예측을 위한 혈장 피브리노겐 수치의 예측 가치는 입증되지 않았다.[36]
8. 역사
참조
[1]
논문
The evolution of vertebrate blood coagulation as viewed from a comparison of puffer fish and sea squirt genomes
2003-06
[2]
논문
Congenital fibrinogen disorders: an update
2013-09
[3]
논문
Fibrinogen and fibrin structure and functions
2005-08
[4]
논문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Congenital Fibrinogen Deficiencies
2016-06
[5]
논문
Acquired dysfibrinogenemia in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2011-09
[6]
논문
Fibrinogen as a key regulator of inflammation in disease
2012-01
[7]
논문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in gastric cancer
2017-09
[8]
논문
Laboratory and Genetic Investigation of Mutations Accounting for Congenital Fibrinogen Disorders
2016-06
[9]
논문
Fibrinogen splice variation and cross-linking: Effects on fibrin structure/function and role of fibrinogen γ' as thrombomobulin II
http://eprints.white[...]
2017-07
[10]
논문
Molecular mechanisms accounting for fibrinogen deficiency: from large deletions to intracellular retention of misfolded proteins
2007-07
[11]
논문
Fibrinogen gene regulation
2012-09
[12]
논문
The molecular basis of quantitative fibrinogen disorders
2006-10
[13]
서적
Cardiovascular thrombus
Academic Press
[14]
논문
The fibrinogen molecule: its size, shape, and mode of polymerization
1959-01
[15]
논문
Molecular weight of human fibrinogen derived from phosphorus determinations
1965-09
[16]
논문
Interaction of fibrinogen and albumin with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of different crystalline phases
2013
[17]
논문
Mechanisms of fibrinogen adsorption at solid substrates at lower pH
2013-06
[18]
논문
Acquired hypofibrinogenemia: current perspectives
[19]
논문
Hypofibrinogenemia and liver disease: a new case of Aguadilla fibrinoge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5-11
[20]
논문
Dysfibrinogenemia: from molecular anomalies to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https://archive-ouve[...]
2015-06
[21]
논문
Diagnosis, pathogenesis, treatment, and prognosis of hereditary fibrinogen A alpha-chain amyloidosis
2009-02
[22]
논문
Genetics, diagnosis and clinical features of congenital hypodysfibrinogenem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report of a novel mutation
2017-05
[23]
논문
Cryofibrinogenemia-Induced Cutaneous Ulcers: A Review and Diagnostic Criteria
2017-02
[24]
논문
Cryofibrinogenemia After a Liver Transplant: First Reported Case Posttransplant and a Case-Based Review of the Nontransplant Literature
2015-06
[25]
논문
Clinical conditions responsible for hyperviscosity and skin ulcers complications
[26]
논문
Cryofibrinogenemia
2013-04
[27]
논문
Time for changing coagulation management in trauma-related massive bleeding
2009-04
[28]
논문
The effects of fibrinogen levels on thromboelastometric variables in the presence of thrombocytopenia
2009-03
[29]
논문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A summary of current work
1976-03
[30]
논문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congenital afibrinogenaemia. Long-term observational data and systematic review
https://boris.unibe.[...]
2016-09
[31]
논문
Prothrombin time derived fibrinogen determination on Sysmex CA-6000
1998-06
[32]
서적
Medical and Surgical Diagnostic Disorders in Pregnancy
https://books.google[...]
Jaypee Brothers Publishers
[33]
논문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in the neonate
1988-03
[34]
논문
Hemorheology in surgery--a review
1987-08
[35]
논문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evaluating surgery versus thrombolysis for ischemia of the lower extremity. The STILE trial
1994-09
[36]
논문
Plasma fibrinogen level as a potential predictor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after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for peripheral arterial occlusions
2017-05
[37]
논문
"[The centennial of blood coagulation doctrine]"
2005
[38]
Kotobank
2024-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