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C 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C 카드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가 정의하고 개발한, 노트북 등에서 사용되는 확장 카드 표준이다. 1991년 JEIDA 4.1(PCMCIA 2.0)으로 통합되었으며, 메모리 확장 외에도 랜카드, 모뎀, 하드 디스크 등 다양한 장치에 활용되었다. PCMCIA 1.0, 2.0, 2.1, CardBus 등의 규격이 있으며, 1990년대 후반 한국에서 노트북 보급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통신 카드가 급증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ExpressCard에 자리를 내주었다. PC 카드는 Type I, II, III, IV로 분류되며, 카드 정보 구조(CIS)를 통해 카드 종류, 전원 옵션, 제조업체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인보드 - 칩셋
    칩셋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와 주변 장치 간 통신을 중재하는 핵심 부품으로, 초기에는 노스브리지와 사우스브리지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사우스브리지가 주요 부분을 담당하며, 인텔, AMD 등 CPU 제조사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메인보드 - 버스 (컴퓨팅)
    버스는 컴퓨터 내부 구성 요소나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병렬 버스와 직렬 버스로 나뉘며,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 컴퓨터 표준 - 포트란
    포트란은 1950년대 IBM에서 개발되어 과학 및 공학 계산에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수식 번역 시스템'에서 유래하여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병렬 처리 등의 기능이 추가되며 현대적인 언어로 발전해왔다.
  • 컴퓨터 표준 - PCI 익스프레스
    PCI 익스프레스(PCIe)는 고속 직렬 통신을 사용하는 컴퓨터 확장 카드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점대점 연결 방식과 패킷 기반 데이터 전송, 그리고 다양한 레인 구성과 지속적인 발전을 특징으로 한다.
  • 표준화 기구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표준화 기구 -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1906년 설립된 국제 표준화 기구로서 전기 및 전자 기술 분야의 표준 개발과 보급을 담당하며 국제 무역 원활화와 소비자 보호에 기여하고 사이버 보안 및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 분야의 표준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PC 카드
개요
종류확장 카드 표준
용도노트북 컴퓨터 확장
개발 시기1990년
개발 주체PCMCIA
대체 기술익스프레스카드 (2003년)
기술 사양
버스 폭16 또는 32비트
장치 수슬롯 당 1개
최대 속도133 MB/초
핫플러그
사용 환경외부

2. 역사

PC 카드 표준은 PCMCIA(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협회)에 의해 정의되고 개발되었다. 1991년에는 PCMCIA 표준과 일본 전자 공업 진흥 협회(JEIDA) 4.1 표준이 병합되어 PCMCIA 2.0 (PC 카드)이 되었다.[30]

PC 카드는 원래 컴퓨터 메모리 확장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노트북 주변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표준이 됨에 따라 랜카드, 모뎀, 하드 디스크 등 수많은 종류의 장치를 이 폼팩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들은 코닥 DCS 300 시리즈와 같은 초기 디지털 SLR 카메라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메모리 확장이라는 초기 용도로는 더 이상 일반적이지 않다.[30]

1990년대 수많은 노트북에는 타입 2 슬롯이 장착되어 출시되었다.

1990년 11월, PCMCIA에 의해 PCMCIA 1.0 카드 표준이 발표되었고, 곧 80개 이상의 벤더에 의해 채택되었다.[7] 이는 일본 JEIDA 메모리 카드 4.0 표준과 일치한다.[8] 원래 메모리 카드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9]

인텔은 Exchangable Card Architecture(ExCA) 사양을 작성했지만 나중에 이를 PCMCIA에 통합했다.[10]

샌디스크(당시 "SunDisk"로 운영)는 1992년 10월 PCMCIA 카드를 출시했다. 이 회사는 HP 95LX (초기 MS-DOS 포켓 컴퓨터)용 쓰기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처음으로 출시했다. 이 카드는 95LX 또는 PC에서 기존의 IDE 하드 드라이브처럼 보이도록 하는 보조 PCMCIA-ATA 표준을 준수했다. 이는 95LX에서 DOS 3.22에서 사용할 수 있는 32MB의 용량 상한을 높이는 이점이 있었다.[11]

뉴 미디어 코퍼레이션은 PC 카드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된 최초의 회사 중 하나였으며, OEM으로서 도시바컴팩과 같은 랩톱 제조업체에 PC 카드 제품을 공급하는 주요 업체가 되었다.[12]

PCMCIA 카드 표준은 팩스, 모뎀, LAN, 하드 디스크 및 플로피 디스크 카드에 대한 새로운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I/O 카드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 곧 분명해졌다.[7] 또한 새로운 BIOS 및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의 정의가 필요한 인터럽트 기능과 핫 플러깅이 필요했다.[7] 이는 1991년 9월 PCMCIA 표준 2.0 릴리스와 JEIDA 4.1의 도입으로 이어졌으며,[7][8] 1992년 11월 PCMCIA 2.1 표준에서 Card Services(CS)와 함께 수정 및 확장이 이루어졌다.[7][8]

PC 카드가 도입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병렬 포트 이더넷 어댑터. Accton Etherpocket-SP 병렬 포트 이더넷 어댑터이다. 동축 케이블(10BASE2)과 연선 케이블(10BASE-T)을 모두 지원하며, PS/2 포트 통과 케이블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PCMCIA 카드가 도입되기 전에 병렬 포트는 휴대용 주변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6]

1985년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JEIDA, 당시)에 IC 메모리 카드 기술 전문위원회가 설치되어 규격 사양 검토가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아직 노트북 컴퓨터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주로 전자 수첩을 위한 규격이었다.

IC 메모리 카드 기술 전문위원회는 PC 카드 기술 전문위원회로 개편된 후, JEIDA는 현재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EITA)로 계승되었다.

JEIDA와 PCMCIA 규격 역사
JEIDAPCMCIA기타
JEIDA 1.0
JEIDA 2.0
JEIDA 3.0FM TOWNS, 네오지오 등 - 「IC 메모리 카드」슬롯
JEIDA 4.0PCMCIA 1.0FM TOWNS (II 이후), PC-9801NL, PC-98HA (HANDY98) 등 - 메모리 공간 확장
JEIDA 4.1PCMCIA 2.0PC-9821Ne, FM TOWNS II model SN, HP200LX 등 - ATA・I/O 카드에 대응
JEIDA 4.2PCMCIA 2.1PC-9821Np・PC-9801NL/A 이후
CardBus버스 폭을 16비트에서 32비트로 확장한 것.
CardBayUSB 2.0 및 IEEE1394의 규격을 참고하여 개발된 CardBus의 후속 규격. 거의 보급되지 않았다.
Zoomed video port|ZVPort영어동영상용


2. 1. PCMCIA와 JEIDA의 협력

1989년 미국에서 PC용 메모리 카드 규격 통일을 위한 조직인 '''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협회)가 설립되었다. 1990년 일본 전자 공업 진흥 협회(JEIDA)의 요청으로 공동 작업이 시작되어 JEIDA 가이드라인 Ver4.0을 기반으로 PCMCIA Standard Release 1.0이 발행되었다.[8] 처음에는 세부적인 호환성이 부족했으나, 1993년 PC 카드 가이드라인 Version 4.2/PCMCIA Standard Release 2.1을 통해 호환성이 확보되었고, 통일된 명칭인 "PC 카드/PC Card"와 로고가 제정되었다. JEIDA 가이드라인 Ver.4.0 이후, ATA/AIMS (Auto Indexing Mass Storage, 자동 인덱싱 대용량 저장장치) 등 I/O 카드 사양도 제정되었다.[7][8]

1991년에는 PCMCIA 표준과 JEIDA 4.1 표준이 병합되어 PCMCIA 2.0 (PC 카드)이 되었다.[7][8] 1995년에는 CardBus, 3.3V 카드, 멀티 펑션 카드 등 각종 신규격을 포함하는 PC Card Standard 통합 규격이 발행되었다.

2. 2. 명칭 변경

초기에는 "PCMCIA 카드", "PCMCIA 슬롯" 등으로 불렸으나, 1993년에 규격의 통일 호칭으로 "PC 카드"가 제정되었기 때문에 "PCMCIA"는 규격 제정 단체만을 지칭하게 되었다.[30] PCMCIA는 2009년에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USB-IF에서 관리하고 있다.

3. 카드 종류

PC 카드는 신용 카드와 같은 크기(길이 85.6mm, 너비 54mm)를 가지며, 두께에 따라 Type I, Type II, Type III, Type IV로 분류된다.

종류두께인터페이스용도
Type I3.3mm16비트램, 플래시 메모리, 에스램 카드 등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Type II5mm16/32비트모뎀, 랜카드, TV 수신 카드, 하드 디스크 등
Type III10.5mm16/32비트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완전한 크기의 랜카드 등
Type IV16mm-도시바에서 도입, PCMCIA 표준 아님



Type I 카드는 Type II 슬롯에 삽입할 수 있으며, Type II 슬롯을 겹쳐 설치하면 Type I/II 카드 최대 2장 또는 Type III 카드 1장을 삽입할 수 있다.

3. 1. Type I

램, 플래시 메모리, 에스램 카드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주로 사용되었다. 원래 사양(PCMCIA 1.0)에 따라 설계된 카드는 타입 I이며 16비트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두께는 3.3mm이며, 짧은 가장자리에 연결 인터페이스로 34개의 구멍(총 68개)이 있는 이중 행을 가지고 있다.[13] 타입 I PC 카드 장치는 일반적으로 RAM, 플래시 메모리, OTP(일회성 프로그래밍 가능) 및 SRAM 카드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사용된다.

3. 2. Type II

Type II영어 카드는 16/32비트 인터페이스를 갖추었으며, 두께는 5.0mm이다. 모뎀, 랜카드, TV 수신 카드 등 다양한 입출력(I/O) 장치들이 이 타입으로 제작되었다.[14] 1990년대 중반에는 PC 카드 타입 II 하드 디스크 카드도 출시되었다.[15]

대부분 타입 II 인터페이스 카드는 소형 커넥터를 가지고 있으며, 동글에 연결되는 짧은 케이블을 통해 외부 풀 사이즈 커넥터로 연결된다. 일부 카드는 커넥터 부분에 덩어리가 있는 형태를 띠기도 하는데, 이는 더 견고하지만 슬롯이 두 개일 때 다른 슬롯을 막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모뎀 카드는 접이식 잭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잭을 카드 안으로 밀어 넣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무선 타입 II 카드는 안테나를 수용하기 위해 카드 끝에 플라스틱 덮개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3. 3. Type III

10.5mm 두께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카드나 완전한 크기의 랜카드에 흔히 쓰였다.[17] 동글이 필요 없는 풀 사이즈 커넥터가 있는 인터페이스 카드(타입 II 인터페이스 카드에 일반적으로 필요함)도 여기에 해당한다.[13]

3. 4. Type IV

도시바에서 도입한 타입 IV 카드는 PCMCIA에서 공식적으로 표준화되거나 승인되지 않았다. 이 카드의 두께는 16mm이다.

4. 카드 정보 구조(CIS)

카드 정보 구조(CIS)는 PC 카드에 저장되는 메타데이터로, 카드 내 데이터의 형식 및 구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31][18] CIS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 카드의 종류
  • 지원 전원 공급 옵션
  • 지원 전원 절약 옵션
  • 제조업체
  • 모델 번호
  • 기타 정보


카드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CIS 정보가 손실되거나 손상되었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5. 카드버스(CardBus)

카드버스(CardBus)는 1995년에 도입된 32비트 PCMCIA 장치이다. PCMCIA 5.0 (JEDIA 4.2) 이후 규격이며, 1997년 말부터 노트북에 장착되기 시작했다. 카드버스는 33MHz PCI 버스를 사용하며, 버스 마스터링을 지원하여 CPU를 통하지 않고 다른 장치나 메모리와 통신할 수 있다.

카드버스는 PC 카드 폼 팩터 안에 32비트, 33MHz PCI 버스를 넣은 것이다. 버스 마스터링을 통해 컨트롤러가 CPU를 거치지 않고 다른 장치나 메모리와 통신할 수 있다. Wi-Fi 칩셋처럼 PCI와 카드버스 모두에 사용 가능한 칩셋도 많다.

장치 왼쪽 전면의 노치가 카드버스 장치에서 약간 더 얕아서, 32비트 장치는 16비트 장치만 지원하는 구형 장비에 꽂을 수 없다. 대부분의 새로운 슬롯은 카드버스와 기존 16비트 PC 카드 장치를 모두 지원한다. 카드버스 카드는 핀 소켓 옆 카드 상단에 8개의 작은 스터드가 있는 금색 밴드로 구별할 수 있다.

32비트 버스트 모드에서 카드버스 인터페이스의 속도는 전송 유형에 따라 다르다. 바이트 모드에서는 33MB/s, 워드 모드에서는 66MB/s, 더블 워드 모드에서는 132MB/s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카드버스는 32비트, 기존 PC 카드는 16비트 규격이다. 카드버스 슬롯은 기존 16비트 PC 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기존 16비트 PC 카드 슬롯에서는 카드버스 전용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카드에 따라 스위치 전환으로 양쪽에 대응하는 제품도 있으며, 삽입 부분의 물리적 형상은 16비트 PC 카드와 호환되지만, 카드버스 특유의 접지 플레이트도 있다.[1]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원래 PCI 슬롯을 사용하는 새로운 규격의 장치는 PC 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카드버스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경우 USB 포트를 증설하는 PC 카드는 카드버스 전용이며, 16비트 규격의 PC 카드 슬롯만 갖춘 PC에서 USB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1]

6. 카드베이(CardBay)

'''카드베이'''(CardBay)는 2001년에 PCMCIA 규격에 추가된 기능이다. USBIEEE 1394와의 상위 호환성을 가지지만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으며, 일부 노트북만 카드베이 기능이 있는 PC 카드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이것은 마이크로소프트인텔의 드라이브 베이 이니셔티브의 일환이었다.[1]

7. 응용 분야

PC 카드는 1990년대 노트북의 Type-II 슬롯을 통해 다양한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로 랜카드, 모뎀, 하드 디스크 등이 사용되었으며, 코닥 DCS 300 시리즈와 같은 초기 디지털 SLR 카메라에서 저장 장치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메모리 확장 용도로는 더 이상 일반적이지 않다.[30]

델(Dell)과 같은 일부 제조업체는 2012년까지 견고한 XFR 노트북에 PC 카드 슬롯을 계속 제공했다.[3]

메르세데스-벤츠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W221 S-Class에 PCMCIA 카드 리더기를 사용하여 COMAND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MP3 오디오 파일 등을 재생했다. 2009년 이후에는 SD 카드 리더기로 교체되었다. 혼다(Honda)의 일부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에도 오디오 시스템과 통합된 PC 카드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다.[4]

TV 등 일부 일본 브랜드의 소비자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미디어 재생을 위해 PC 카드 슬롯을 채택하기도 했다.[4]

8. 후속 기술

PCMCIA가 PC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후속 규격으로 ExpressCard가 있다. PCI Express 및 USB 2.0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19] 2006년경부터 노트북에 PCMCIA 슬롯 대신 ExpressCard 슬롯이 장착되기 시작했으며, 과도기에는 두 슬롯을 모두 갖춘 랩톱도 일부 있었다.

ExpressCard는 속도와 대역폭 면에서 PC 카드보다 훨씬 빠르지만, 현대 컴퓨터에서 USB 포트가 널리 사용되면서 PC 카드만큼 인기를 얻지 못했다. PC 카드 또는 ExpressCard 장치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은 이제 외부 USB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USB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휴대용 장치 모두와 호환된다는 장점이 있다.

PC 카드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을 위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공통 인터페이스 형태와 파나소닉의 전문 "P2" 비디오 획득 메모리 카드에도 사용된다. 케이블카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케이블 셋톱 박스나 디지털 케이블 지원 텔레비전에 꽂도록 설계된 II형 PC 카드이다.

컴팩트플래시, 미니카드, P2 카드 및 스마트미디어와 같이 PC 카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소형 메모리 카드 규격이 등장했다. PC 카드 전기 사양은 컴팩트플래시에도 사용되므로 PC 카드 컴팩트플래시 어댑터는 추가 회로 없이도 작동하는 수동적인 물리 어댑터가 될 수 있다. 컴팩트플래시는 68핀 PC 카드 인터페이스의 더 작은 50핀 서브셋이며, "메모리" 또는 "ATA 저장" 중 하나로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해야 한다.

8. 1. ExpressCard

PCMCIA가 PC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후속 규격이다. PCI Express 및 USB 2.0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19] 2006년경부터 노트북에 PCMCIA 슬롯 대신 ExpressCard 슬롯이 장착되기 시작했으며, 과도기에는 두 슬롯을 모두 갖춘 랩톱도 일부 있었다.

ExpressCard는 속도/대역폭 면에서 PC 카드보다 훨씬 빠르지만, 현대 컴퓨터에서 USB 포트가 널리 사용되면서 PC 카드만큼 인기를 얻지 못했다. PC 카드 또는 ExpressCard 장치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은 이제 외부 USB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USB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휴대용 장치 모두와 호환된다는 장점이 있다.

8. 2. 기타

PC 카드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을 위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공통 인터페이스 형태와 파나소닉의 전문 "P2" 비디오 획득 메모리 카드에도 사용된다. 케이블카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케이블 셋톱 박스나 디지털 케이블 지원 텔레비전에 꽂도록 설계된 II형 PC 카드이다.

컴팩트플래시, 미니카드, P2 카드 및 스마트미디어와 같이 PC 카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소형 메모리 카드 규격이 등장했다. PC 카드 전기 사양은 컴팩트플래시에도 사용되므로 PC 카드 컴팩트플래시 어댑터는 추가 회로 없이도 작동하는 수동적인 물리 어댑터가 될 수 있다. 컴팩트플래시는 68핀 PC 카드 인터페이스의 더 작은 50핀 서브셋이며, "메모리" 또는 "ATA 저장" 중 하나로 인터페이스 모드를 설정해야 한다.

9. 한국의 특수 상황

(이전 출력에서 변경된 내용이 없으므로, 동일한 빈칸을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Inside PC Card: CardBus and PCMCIA design George Newnes Ltd 1996
[2] 서적 Changing of the car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95-12-18
[3] 간행물 How To Connect PC To TV https://web.archive.[...] crooshop 2018-12-24
[4] 웹사이트 PRO-1130HD - 50" Class (49.66" Diagonal) Elite® PureVision Plasma Displayvision | Pioneer Electronics USA http://www.pioneerel[...] 2016-01-16
[5] 웹사이트 Re: PCI SLOT http://homecommunity[...] 2018-05-09
[6] 웹사이트 What Did We Do Before PCMCIA? https://books.google[...] PC Mag 1993-12-21
[7] 서적 PCMCIA optimal nutzen Franzis-Verlag GmbH, Poing 1994
[8] 서적 PC-Card Anwender-Lösungen Franzis-Verlag GmbH, Feldkirchen 1997
[9] 간행물 Power and Potential - PCMCIA : An inside look https://books.google[...] 1993-12-21
[10] 간행물 PCMCIA's System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1993-12-21
[11] 웹사이트 HP Palmtop Paper http://www.hpmuseum.[...]
[12] 학술지 Circuit board maker at critical juncture https://www.proquest[...] American City Business Journals 1995-10-30
[13] 서적 Upgrading and repairing PCs https://archive.org/[...] Que
[14] 웹사이트 PC Mag https://books.google[...] 1993-12-21
[15] 간행물 Maxtor drive adds to portable options, MobileMax Lite will ship in '95 1994-10-10
[16] 서적 CompTIA A+ Complete Study Guide: Exams 220-801 and 220-802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9-17
[17] 웹사이트 PC Mag https://books.google[...] 1993-12-21
[18] 웹사이트 Linux PCMCIA Programmer's Guide http://pcmcia-cs.sou[...] 2018-05-09
[19] 웹사이트 PCMCIA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pcmcia.or[...]
[20] 웹사이트 Newegg.com product search results for CardBus ExpressCard http://www.newegg.co[...]
[21] 웹사이트 IC DRAM Card - ThinkWiki http://www.thinkwiki[...] 2018-05-09
[22] 웹사이트 Developing free hardware using Vivaldi and Improv as examples https://www.ubuntu-u[...] 2020-08-12
[23] 문서 "[http://www.hirose.co.jp/catalogj_hp/j64009012.pdf 旧製品資料(PDF)]" http://www.hirose.co[...] 히로세電機
[24] 웹사이트 ソケットサービス http://yougo.ascii.j[...] ASCII用語辞典 2019-02-05
[25] 웹사이트 カードサービス http://yougo.ascii.j[...] ASCII用語辞典 2019-02-05
[26] 웹사이트 PCカード型有線マウス「SlimG4」を試す https://pc.watch.imp[...] Impress WATCH 2024-09-06
[27] 웹사이트 PCカードTypeIIスロットに挿入して充電も可能な薄型マウスがサンワサプライから https://ascii.jp/ele[...] ASCII.jp 2022-06-27
[28] 서적 Inside PC Card: CardBus and PCMCIA design George Newnes Ltd 1996
[29] 서적 Changing of the car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95-12-18
[30] 웹인용 ExpressCard Information for Developers https://web.archive.[...] 2010-08-19
[31] 문서 Linux PCMCIA Programmer's Guide http://pcmcia-cs.s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